KR101396219B1 - Pinhole contact lens with intensity reinforcements of symmetric type - Google Patents
Pinhole contact lens with intensity reinforcements of symmetric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6219B1 KR101396219B1 KR1020120113823A KR20120113823A KR101396219B1 KR 101396219 B1 KR101396219 B1 KR 101396219B1 KR 1020120113823 A KR1020120113823 A KR 1020120113823A KR 20120113823 A KR20120113823 A KR 20120113823A KR 101396219 B1 KR101396219 B1 KR 1013962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hole
- light quantity
- symmetrical
- light
- le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491 my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27 vitreous bod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044192 2-hydroxyethyl methacr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AGJBKFAPBKOEGA-UHFFFAOYSA-M 2-methoxyethylmercury(1+);acetate Chemical compound COCC[Hg]OC(C)=O AGJBKFAPBKOEG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101100190537 Homo sapiens PNN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WOBHKFSMXKNTIM-UHFFFAOYSA-N Hydroxy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O WOBHKFSMXKNT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100038374 Pin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20 cereb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7 he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23 long-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79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28 optic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HHSONZFOIEMCP-UHFFFAOYSA-O 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N+](C)(C)CCOP(O)(O)=O YHHSONZFOIEMCP-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229950004354 phosphorylch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6776 visual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G02C7/165—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with stenopaeic aper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sthes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중앙의 핀홀 주변에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는 투명 재질의 렌즈 본체; 상기 렌즈 본체에 삽입되는 광 차단부; 상기 광 차단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핀홀; 및 상기 핀홀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광 차단부에 형성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칭형 광량 보강부는 핀홀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링 형상 광량 보강부, 핀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직선 슬릿, 핀홀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형성된 광량 보강용 핀홀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는 핀홀에 의해 망막에 형성되는 상의 밝기를 균일하게 향상시킴으로써 착용시 부자연스러움을 없앨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nhole contact lens in which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is formed around a pinhole at the center of a lens, and a pinhole contact lens having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parent lens body; A light shielding part inserted into the lens body; A pin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ght blocking portion; And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art formed in the light intercepting part so as to be symmetrical about the pinhole, wherein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art comprises at least one ring-shaped light quantity enhancing part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pinhole, A straight slit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a pinhole for reinforcing a light quantity formed on a concentric circle centering on a pinhol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pinhole contact lens formed with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improv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formed on the retina by the pinhole, thereby eliminating unnaturalness when worn.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중심에 핀홀이 천공된 핀홀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 중앙의 핀홀 주변에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nhole contact lens in which a pinhole is perforated at the center of a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nhole contact lens in which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is formed around a pinhole at the center of the lens.
시각의 인지는 피사체에서 출사된 광이 각막을 거쳐 수정체에서 굴절된 후 초자체를 투과하여 망막에 결상되면, 결상된 정보가 시신경을 통해 대뇌에 전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수정체가 두껍거나 안축장(안구의 전후 길이)이 길어 피사체에서 출사된 광이 망막의 전방에서 결상되면 근시로 나타나고, 수정체가 얇거나 안축장이 짧아 피사체에서 출사된 광이 망막의 후방에서 결상되면 원시로 나타나며, 각막이나 수정체 등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광이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하면 난시로 나타난다.Visual perception is achieved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subject passing through the cornea, being refracted by the lens, passing through the vitreous body, forming an image on the retina, and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cerebrum through the optic nerve. At this time, i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ubject is long-lasting because the lens is thick or the axial length (front and rear length of eyeball) is long, the light emerges from the front of the retina and becomes nearsighted. If the surface of the cornea or lens is not uniform and the light does not focus at one point, it appears as astigmatism.
이러한 근시, 원시, 난시 등의 교정 수단으로는 안구에 진입하는 광을 굴절시켜 망막에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안경, 콘택트렌즈 등이 널리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안구에 진입하는 광의 광속 폭을 제한하여 망막에 상이 퍼지지 않고 맺히도록 하여 상이 초점에 맺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핀홀 콘택트렌즈가 제안되었다.As a means for correcting such nearsightedness, primordial astigmatism, astigmatism, and the like, glasses and contact lenses for refracting light entering the eyeball to focus on the retina are widely known. In recent years, the width of the light beam entering the eye has been limited, The pinhole contact lens is formed so that the image does not spread on the pinhole contact lens, and the phase is focused on the pinhole contact lens.
그런데 광속 폭이 핀홀 크기로 제한되면 안구에 진입하는 광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피사체가 어둡게 보이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핀홀 주변에 복수의 미세한 구멍을 천공함으로써 망막에 맺히는 상의 밝기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However, when the light beam width is limited to the pinhole siz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eye becomes small, so that the subject looks dark. To solve this problem, the brightness of the image formed on the retina is improved by punctur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around the pinhole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특허문헌 1’은 개구부 주변에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천공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에 입사하는 입사광을 차광하는 차광부(1),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차광부(1)의 전면 및 후면을 피복하는 렌즈 본체(2)로 구성되어, 차광부(1)에 개구부(3) 및 개구부보다 작은 직경의 복수의 구멍(4)이 형성된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피사체에서 출사된 광이 차광부(1) 전면의 렌즈 본체(2), 개구부(3) 및 차광부(1) 후면의 렌즈 본체(2)를 통과하여 각막에 입사되고, 각막을 통과한 광은 수정체 및 초자체를 거쳐 망막에 결상된다. 이때, 망막에 도달하는 광은 개구부(3)에 의해 광속의 폭이 좁게 제한되므로, 망막에 비교적 선명한 상이 맺히고, 개구부(3) 주변의 미세한 구멍(4)을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의 밝기가 향상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개구부 주변에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천공된 콘택트렌즈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4)이 개구부(3) 주변에 무작위로 배치되어 있어, 도 2와 같이 개구부를 통해 망막에 형성된 상의 밝기가 불규칙하고 양쪽 눈에 보이는 시야가 달라져 시력보정효과가 떨어지며, 착용자가 어지러움, 이물감 등의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tact lens in which a plurality of fine holes are perforated around the aperture, a plurality of fine holes 4 are randomly arranged around th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핀홀을 통해 망막에 결상되는 상의 밝기를 균일하게 향상시키는 핀홀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nhole contact lens that uniformly improves the brightness of an image formed on a retina through a pinhol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는 투명 재질의 렌즈 본체; 상기 렌즈 본체에 삽입되는 광 차단부; 상기 광 차단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핀홀; 및 상기 핀홀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광 차단부에 형성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nhole contact lens having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comprising: a transparent lens body; A light shielding part inserted into the lens body; A pin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ght blocking portion; And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unit formed on the light intercepting unit so as to be symmetrical about the pinhole.
상기 대칭형 광량 보강부는 핀홀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1 개 이상의 링 형상 광량 보강부, 핀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직선 슬릿, 핀홀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형성된 광량 보강용 핀홀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symmetrical optical power enhancing portion comprises at least one ring-shaped optical power enhancing portion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pinhole, a linear slit formed radially around the pinhole, a pinhole for reinforcing the light quantity formed on a concentric circle centering on the pinhole, or a combination thereof As a technical feature.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는 핀홀에 의해 망막에 형성되는 상의 밝기를 균일하게 향상시킴으로써 착용시 부자연스러움을 없앨 수 있다.The pinhole contact lens formed with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improv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formed on the retina by the pinhole, thereby eliminating unnaturalness when worn.
또한, 대칭형 광량 보강부의 곡률 반경, 폭, 형상 등을 조절함으로써 착용자의 양쪽 눈의 시력이 다른 경우에도 양쪽 눈을 균등하게 시력보정 할 수 있다.
Further, by adjusting the radius of curvature, width, shape, and the like of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visual acuity of both eyes equally even when the visual acuity of both eyes of the wearer is different.
도 1은 종래의 핀홀 주변에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천공된 콘택트렌즈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시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단면도
도 5는 렌즈 본체의 단면도
도 6 내지 10은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광 차단부의 평면도
도 11은 나안일 때의 시야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시야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tact lens, in which a plurality of fine holes are perforated around a pinhole,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lens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nhole contact lens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nhole contact lens in which a symmetrical light amount reinfor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5 is a sectional view
6 to 10 are plan views of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ed with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11 is a view
FIG. 12 is a view showing a view of a case in which a pinhole contact lens in which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reinfor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inhole contact lens having a symmetrical optical fiber reinfor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nhole contact lens having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nhole contact lens having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Sectional view.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는 투명 재질의 렌즈 본체(10), 상기 렌즈 본체(10)에 삽입되는 광 차단부(20), 상기 광 차단부(20)의 중앙에 형성되는 핀홀(30) 및 상기 핀홀(30)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광 차단부(20)에 형성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는 핀홀(30)을 통해 피사체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속 폭을 줄여 망막에 선명한 상이 결상되도록 하고, 핀홀(30) 주위에 형성된 대칭형 광량 보강부(40)에 의하여 결상된 상의 밝기가 균일하게 향상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pinhole contact lens in which the symmetrical light amount enhanc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cludes a
렌즈 본체(10)는 투명한 원형 부재로서, 표면이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각막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이다. 렌즈 본체(10)의 재질은 여러 가지 단량체를 교차결합한 중합체로, 헤마(M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Glycerol Methachrylate),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Silicon Hydrogellens), 퍼스퍼릴콜린(Phosphorylcholine) 등이 주로 사용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용으로 사용되는 렌즈 본체(10)의 직경(D)은 적어도 각막의 직경보다는 커야하는데, 통상적인 사람의 경우 각막의 직경이 약 12㎜ 이내이므로, 렌즈 본체(10)의 직경은 13 ~ 14㎜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렌즈 본체(10)의 직경(D)은 착용자의 각막 직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The
렌즈 본체(10)는 2 가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첫째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본체(10)의 중앙에 광 차단부(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슬롯(12)이 형성된 타입이다. 도 5(a)와 같은 삽입슬롯(12)이 형성된 렌즈 본체(10)는 삽입슬롯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있는 주형 내에 상기 헤마 등의 재료를 삽입,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삽입슬롯(12)이 형성된 렌즈 본체(10)에 광 차단부(20)가 삽입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가 완성된다.The
둘째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본체(10)가 2 장의 렌즈부재(14, 16)로 구성되어 봉합 또는 융착되는 타입이다. 도 5(b)와 같은 2 장의 렌즈부재(14, 16)로 구성되는 렌즈 본체(10)의 경우, 광 차단부(20)가 2 장의 렌즈부재(14, 16) 사이에 삽입된 후 렌즈부재(14, 16)가 봉합 또는 융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가 완성된다.
Second, as shown in Fig. 5 (b), the
도 6 내지 10은 대칭형 광량 보강부(40)가 형성된 광 차단부(20)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에 적용될 수 있는 광 차단부(2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6 to 10 are plan views of the
광 차단부(20)는 불투명 부재로서 각막의 표면 형상을 따르는 곡면 형상이다. 광 차단부(20)의 평면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동공을 완전히 가릴 수 있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차단부(20)에는 착색제가 포함되어 착용시 적색, 청색 등이 나타나도록 하여 컬러 콘택트렌즈 기능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광 차단부(20)의 크기는 적어도 동공의 크기보다는 커야하는데, 통상적인 사람의 경우 동공의 크기가 최대로 되었을 때 약 9㎜ 미만이므로, 광 차단부(20)가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광 차단부(20)의 직경(d)은 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핀홀(30)은 광 차단부(20)의 중앙에 천공되어 피사체에서 출사된 광이 각막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통로로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홀(30)의 직경은 0.1 ~ 2.0㎜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핀홀(30)의 직경이 0.1 ~ 2.0㎜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착용자의 나안 시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대 1.0 정도로 시력이 보정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핀홀(30)의 직경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핀홀(30)을 통해 안구로 진입하는 광량이 적어 상이 어둡게 보일 뿐만 아니라 회절 현상에 의해 상이 흐릿하게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핀홀(30)의 직경이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핀홀(30)을 통해 안구에 진입하는 광의 광속 폭이 넓어서 망막에 상이 흐릿하게 맺히므로 시력보정 효과가 현저히 감소한다. 따라서 핀홀(30)의 직경은 0.1 ~ 2.0㎜ 범위에서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는 광 차단부(20)의 중앙에 천공되는 핀홀(30)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예를 들면 핀홀(30)과 대칭형 광량 보강부(40)가 동심을 이루도록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대칭형 광량 보강부(40)의 폭은 핀홀(3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곡률반경(광량 보강부가 링 형상인 경우)이 동공의 반지름보다 작아야 한다. 왜냐하면, 핀홀(30)을 통과한 광에 의해 맺힌 상의 밝기를 보강하기 위해서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를 통해 피사체에서 사출된 광의 일부가 안구에 진입되어야 하는데, 대칭형 광량 보강부(40)의 곡률반경 또는 길이가 동공보다 큰 경우에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를 통해 광이 안구에 진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The symmetrical light
다음으로 대칭형 광량 보강부(40)가 형성된 광 차단부(20)의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도 6은 링 형상의 대칭형 광량 보강부(40)가 형성된 광 차단부(20)를 도시한 것이다. 1 개의 링 형상의 대칭형 광량 보강부(40)가 광 차단부(20)의 중심에 형성된 핀홀(30)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를 통과한 광이 핀홀(30)을 통과한 광에 대칭으로 안구에 진입될 수 있다.
Fig. 6 shows a
도 7은 링 형상의 대칭형 광량 보강부(40)가 형성된 다른 형태의 광 차단부(20)를 도시한 것으로서, 2 개의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40), 즉 제1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42) 및 제2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44)가 광 차단부(20)의 중심에 형성된 핀홀(30)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7과 같은 실시형태는 안구에 진입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홍채가 작은 착용자에게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대칭형 광량 보강부(40)의 폭은 회절, 광속 폭의 제한 등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의 개수를 늘이는 방법을 채택한 것이다. 도 7에는 2 개의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만 도시되었으나, 광 차단부(20)에는 3 개 이상의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7 shows another type of
도 8은 방사상 슬릿 형상의 대칭형 광량 보강부(40)가 형성된 광 차단부(20)를 도시한 것으로서, 직선 슬릿(46)이 핀홀(3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과 같은 실시형태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링 형상인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상이 번져 보이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구조이다.
8 shows a
도 9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링 형상의 대칭형 광량 보강부(40)와 도 8에 도시된 방사상 슬릿 형상의 대칭형 광량 보강부(40)가 같이 형성된 광 차단부(2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42)가 핀홀(30)과 동심을 이루어 형성되고, 직선 슬릿(46)이 핀홀(3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도 7과 같이 2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광 차단부(2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광 차단부(20)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는데, 안구에 진입되는 광량이 늘어나 상이 밝아지는 반면, 상이 약간 흐리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범위에서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의 폭 및 곡률반경, 직선 슬릿(46)의 길이 등이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9 shows a
도 10은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로서 광량 보강용 핀홀(48)이 형성된 광 차단부(20)를 도시한 것이다. 광량 보강용 핀홀(48)은 핀홀(3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형성된다. 즉, 광량 보강용 핀홀(48)과 핀홀(30)의 거리가 일정한 대칭형 광량 보강부(40)가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광 차단부(20)의 경우 안구에 진입되는 광량이 적어 상은 어두워지지만, 상이 깨끗하게 맺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맑은 날이나 해안가, 설원 등 주변이 밝은 환경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10 shows a
도 11은 나안일 때의 시야이고,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시야이다. FIG. 11 is a view of the naked eye, and FIG. 12 is a view when the pinhole contact lens with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worn.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 종래의 핀홀 주변에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천공된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시야인 도 2에 비해 상의 선명도나 밝기가 현저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When the pinhole contact lens in which the symmetrical light amount enhanc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s worn, the sharpness and brightness of the image are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view of FIG. 2 when a contact lens in which a plurality of fine holes are perforated around the conventional pinhole is worn .
10 렌즈 본체 12 삽입슬롯
14, 16 렌즈부재 20 광 차단부
30 핀홀 40 대칭형 광량 보강부
42 제1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
44 제2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
46 직선 슬릿 48 광량 보강용 핀홀 10
14, 16
30
42 first ring-shaped symmetrical light amount reinforcing portion
44 second ring-shaped symmetrical light amount reinforcing portion
46 Straight slit 48 Pinhole for light quantity reinforcement
Claims (8)
상기 렌즈 본체(10)에 삽입되는 광 차단부(20);
상기 광 차단부(20)의 중앙에 형성되는 핀홀(30) 및
상기 핀홀(30)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광 차단부(20)에 형성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렌즈 본체(10)는 2 장의 렌즈부재(14, 16)로 구성되어,
상기 광 차단부(20)가 상기 2 장의 렌즈부재(14, 16)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A lens body 10 of a transparent material;
A light blocking portion 20 inserted into the lens body 10;
A pinhole 3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ght shield 20,
And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art (40) formed on the light intercepting part (20) so as to be symmetrical about the pinhole (30)
The lens body 10 is composed of two lens members 14 and 16,
Wherein the light intercepting portion (20) is inserted between the two lens members (14, 16).
상기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는 링 형상이며, 상기 핀홀(30)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art (40) is ring-shaped and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pinhole (30).
상기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는 상기 핀홀(30)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42) 및 제2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section (40) is a first ring-shaped symmetry type light quantity enhancing section (42) and a second ring symmetry type light quantity enhancing section (44)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pinhole (30) A pinhole contact lens having an additionally formed portion.
상기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는 상기 핀홀(3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직선 슬릿(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mmetrical optical power enhancement unit (40) is a linear slit (46) formed radially around the pinhole (30).
상기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는 상기 핀홀(30)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 링 형상 대칭형 광량 보강부 및 상기 핀홀(3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직선 슬릿(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40 is a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ortion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pinhole 30 and a linear slit 46 formed radially around the pinhole 30. [ A pinhole contact lens having an additionally formed portion.
상기 대칭형 광량 보강부(40)는 상기 핀홀(3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형성된 광량 보강용 핀홀(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mmetrical light quantity enhancing part (40) is a light quantity enhancing pinhole (48) formed on a concentric circle centering on the pinhole (3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3823A KR101396219B1 (en) | 2012-10-12 | 2012-10-12 | Pinhole contact lens with intensity reinforcements of symmetric type |
PCT/KR2013/008976 WO2014058205A1 (en) | 2012-10-12 | 2013-10-08 | Pinhole contact lens in which symmetrical light quantity reinforcement unit is form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3823A KR101396219B1 (en) | 2012-10-12 | 2012-10-12 | Pinhole contact lens with intensity reinforcements of symmetric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7475A KR20140047475A (en) | 2014-04-22 |
KR101396219B1 true KR101396219B1 (en) | 2014-05-16 |
Family
ID=5047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3823A Active KR101396219B1 (en) | 2012-10-12 | 2012-10-12 | Pinhole contact lens with intensity reinforcements of symmetric typ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6219B1 (en) |
WO (1) | WO2014058205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9690A (en) * | 2022-03-28 | 2023-10-05 | (주)딥포커스 | Adjustable intraocular len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3496B1 (en) | 2009-10-20 | 2014-04-08 | 가부시끼가이샤 유니버설 뷰 | Soft contact lens |
WO2019198889A1 (en) * | 2018-04-10 | 2019-10-17 | (주)고려아이텍 | Contact lens worn on one eye to improve presbyopia |
CN108919484A (en) * | 2018-06-22 | 2018-11-30 | 平行现实(杭州)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contact lenses formula amplification mould group and nearly eye amplification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6122A (en) * | 2006-06-29 | 2009-04-13 |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 Contact lenses with light blocking rings |
KR20120098641A (en) * | 2009-10-20 | 2012-09-05 | 가부시끼가이샤 유니버설 뷰 | Soft contact len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9024B1 (en) * | 2005-01-19 | 2006-07-12 | 범진선 | Corneal Refractive Contact Lenses with Through Holes |
-
2012
- 2012-10-12 KR KR1020120113823A patent/KR101396219B1/en active Active
-
2013
- 2013-10-08 WO PCT/KR2013/008976 patent/WO201405820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6122A (en) * | 2006-06-29 | 2009-04-13 |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 Contact lenses with light blocking rings |
KR20120098641A (en) * | 2009-10-20 | 2012-09-05 | 가부시끼가이샤 유니버설 뷰 | Soft contact len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9690A (en) * | 2022-03-28 | 2023-10-05 | (주)딥포커스 | Adjustable intraocular lens |
KR102736977B1 (en) | 2022-03-28 | 2024-12-03 | (주)딥포커스 | Adjustable intraocular le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7475A (en) | 2014-04-22 |
WO2014058205A1 (en) | 2014-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28000B2 (en) | Soft contact lens | |
AU2019302757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myopia in children | |
KR102021750B1 (en) | Multi-axis lens design for astigmatism | |
ES3014466T3 (en) | High defini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intraocular lens | |
KR20180071177A (en) | High plus center treatment zone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 |
WO2014054946A1 (en) | Artificial asymmetrical pupil for extended depth of field | |
KR101396219B1 (en) | Pinhole contact lens with intensity reinforcements of symmetric type | |
JP6093508B2 (en) | contact lens | |
US20170131574A1 (en) | Soft contact lens for presbyop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JP5486494B2 (en) | Contact lenses for binocular diplopia treatment | |
JP2015018179A (en) | Contact lens | |
KR101390215B1 (en) | Soft contact lens for presbyopia and method for thereof | |
JP6448104B1 (en) | Pinhole contact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inhole contact lens | |
KR101069110B1 (en) | Adjustable intraocular lens | |
JP2022531469A (en) | How to Design Edge-to-Edge Photochromic Soft Contact Lenses | |
US20200192121A1 (en) | Contact lens for presbyopia with pinhole ring | |
KR20170002098U (en) | Soft contact lens for presbyopia | |
CN120266045A (en) | Spectacle lens, spectacle lens set, and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 |
CN115308926A (en) | Lens construction, soft hydrophilic contact lenses and spectacles | |
HK1169715A (en) | Soft contact lens | |
CN118131507A (en) | Vision prevention and control le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