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4926B1 -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926B1
KR101394926B1 KR1020070069182A KR20070069182A KR101394926B1 KR 101394926 B1 KR101394926 B1 KR 101394926B1 KR 1020070069182 A KR1020070069182 A KR 1020070069182A KR 20070069182 A KR20070069182 A KR 20070069182A KR 101394926 B1 KR101394926 B1 KR 10139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image
panel
panel display
drive 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828A (ko
Inventor
공남용
김성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26B1/ko
Priority to US12/216,680 priority patent/US8508431B2/en
Publication of KR2009000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를 커팅하여 자신과 대응하는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함으로써 전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평판표시패널이 조립된 멀티패널; 상기 평판표시패널 각각에 설치되는 다수의 멀티구동보드; 및 상기 멀티구동보드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입력 영상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멀티구동보드와 상기 평판표시패널은 1:1로 대응하고 상기 멀티구동보드마다 서로 다른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멀티구동보드는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를 커팅하여 자신과 대응하는 상기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하고, 그 외 나머지 데이터를 다른 평판표시패널의 멀티구동보드로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Expan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Module}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를 커팅하여 자신과 대응하는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함으로써 전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한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는 컴퓨터 모니터(브라운관을 이용)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이다. 이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도 1처럼 여러 개의 평판 디스플레이가 상호 연결하여 대형 스크린 및 멀티 스크린을 구성하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광고나 영화 등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평판 디스플레이 연결하 여 한 패널에 나타냈던 이미지를 전체 화면으로 구현하게 된다. 이 확장형 멀티 디스플레이는 각각의 스크린에 맞는 멀티 영상소스를 받기 위해 각각의 스크린 개수에 맞는 영상출력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각의 스크린 개수에 맞는 영상출력 시스템의 설치는 대형 스크린 및 멀티 스크린을 구성하게 되었을 때 비용(Cost)이 상승 되고 확장시에 복잡한 네트웍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확장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만으로 구현되는 것에 비하여 불필요한 기능이 있을 뿐 아니라 슬림(Slim)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본 발명은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를 커팅하여 자신과 대응하는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함으로써 전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평판표시패널이 조립된 멀티패널; 상기 평판표시패널 각각에 설치되는 다수의 멀티구동보드; 및 상기 멀티구동보드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입력 영상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멀티구동보드와 상기 평판표시패널은 1:1로 대응하고 상기 멀티구동보드마다 서로 다른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멀티구동보드는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를 커팅하여 자신과 대응하는 상기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하고, 그 외 나머지 데이터를 다른 평판표시패널의 멀티구동보드로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판표시패널 각각에 맞게 분할된 다수의 블록을 지정하는 화면분할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구동보드 각각에 공급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구동보드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평판표시패널 각각에 맞게 분할된 다수의 블록을 지정하는 화면분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구동보드 각각에 공급하는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구동보드는 상기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가 커팅된 부분을 상기 평판표시패널의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구동보드는 상기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블록의 데이터가 커팅된 부분을 상기 평판표시패널의 프레임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내부에 멀티구동보드를 내장함으로써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를 커팅하여 자신과 대응하는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함으로써 전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의 배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확장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는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20) 내에 내장되어 일체화된 멀티구동보드(22), 멀티구동보드(22)를 제어하는 콘트롤부(Control Block Logic, 23), 콘트롤부(23)에 그래픽 신호를 공급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이하 Graphic User Interface)를 구비한다.
멀티구동보드(22)는 동영상 또는 PC 영상의 데이터를 공급받는다. 이 멀티구동보드(22)는 평판 디스플레이(20) 상에 멀티 구동을 위한 보드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고 멀티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네트웍이 구성되어 있다. 즉, 멀티구동보드(22)는 영상을 공급하는 입력영상 라인(DVI #1, DVI #2, DVI #3)과 영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신호 라인(UART)이 각 액정패널(20)의 멀티구동보드(22)에 직렬(Serial)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영상 중 하나는 PC 영상이고 나머지 는 동영상 재생기로부터 입력되는 TV 또는 DVD 등의 영상이 공급되며 이 동영상 입력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동영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리고 멀티구동보드(22)는 콘트롤부(23)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가 제어신호 라인을 통해서 공급됨으로써 각 평판표시패널의 블럭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구동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멀티구동보드(22)는 입력영상 공급받고 그 영상을 그대로 다음 패널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부(A), PC 신호 및 외부 동영상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B), 멀티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C), 제어신호를 다음 패널로 전송하는 제어전송부(D)로 구성된다.
영상전송부(A)는 PC 영상 및 외부 동영상을 입력받고 이 입력받은 영상을 다음 패널로 전송한다. 이 영상전송부(A)는 입력받은 PC 영상 및 외부 동영상의 데이터에 어떤 변조 없이 입력데이터를 다음 패널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영상전송부(A)를 구성하고 있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는 도 4처럼 시스템(System)과 영상을 연결시키는 인터페이스(Interface) 역할을 하며 이 TMDS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위칭부(B)는 PC 신호와 외부 동영상 신호를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위칭부(B)의 스위치가 도 3처럼 위로 스위칭하게 되면 윗부분의 영상전송부(A)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위칭부(B)의 스위치가 아래로 스위칭하게 되면 아래부분의 영상전송부(A)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된다. 이 스위칭부(B)로부터 공급받은 영상 데이터는 구동부(C)에 공급된다.
구동부(C)는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각 패널 각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전송부(A)로부터 공급받은 PC 영상 및 외부 동영상이 스위칭부(B)에 의하여 스위칭됨으로써 구동부(D)에 공급된다. 이 구동부(D)는 각 패널의 식별코드(ID)를 식별하여 이미지를 커팅(Cutting)하는 분할부(33), 영상 크기를 제어하는 스케일(Scale)부(34), 영상 주파수를 제어하는 DFR(Double Frame Rate)부(35)로 구성된다.
분할부(33)는 영상전송부(A)로부터 공급받은 전체 화면의 PC 영상 및 외부 동영상의 이미지를 각 패널의 이미지로 커팅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할부(33)는 콘트롤부(23)의 제어신호에 의한 각 패널의 블럭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게 된다. 이것은 콘트롤부(23)가 전체 화면의 크기 정보와 각 패널 블럭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예컨대, 도 5에서 분할부(33)는 콘트롤부(23)에 의한 제어신호로부터 전체 화면의 크기와 그 전체 화면을 4 개의 패널 블럭으로 나누어진 각 패널 블럭의 식별코드(①~④)에 대등하여 자신의 패널 블럭의 이미지를 커팅하게 된다.
스케일부(34)는 분할부(33)에 의한 커팅된 이미지를 패널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Scaling)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6처럼 패널해상도가 I×J 인 패널을 가지고 N×M 의 멀티 디스플레이를 구동한다고 가정하면, 분할부(33)에 의한 각 패널 블럭에 커팅된 이미지는 각 패널 해상도에 맞지 않음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없다. 이를 위해, 스케일부(34)는 각 패널(I×J)의 이미지를 패널의 해상 도에 맞게 스케일링하는 역할을 한다.
DFR(Double Frame Rate)부(35)는 한 프레임당 화면에 공급하는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PC 영상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당 30HZ를 화면에 공급한다. 한 프레임당 30HZ의 주파수는 화면에 플리커를 느끼게 함으로써 화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DFR(Double Frame Rate)부(35)는 주파수를 변환시켜 한 프레임당 화면에 60HZ를 공급함으로써 플리커를 방지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이 변환된 영상 주파수는 타이밍 콘트롤러부(21)에 공급한다.
제어전송부(D)는 두 가지의 역할을 한다. 하나는 스위칭부(A)에 의한 스위칭을 할 때 이 스위칭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콘트롤부(23)로부터 각 패널의 블럭 정보를 가진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분할부(33)를 제어하고 다른 패널에 전송한다.
콘트롤부(23)는 전체 화면의 크기 정보와 각 패널 블럭별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콘트롤부(23)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4)에 의하여 제어된다. 콘트롤부(23)로부터의 제어신호는 분할부(33)를 제어함으로써 패널 블럭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패널 블록을 분할하여 패널 블록에 공급된 데이터를 커팅하게 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24)는 콘트롤부(23)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4)는 콘트롤부(33)를 제어하여 제어신호가 제어전송부(D)를 통하여 직렬로 모든 패널에 전송되게 한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 터페이스는 그래픽 데이터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공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구동보드의 구동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멀티구동보드(22)는 제 1 입력라인으로부터 PC 영상 및 제 2 입력라인으로부터 외부 동영상, 즉 시스템(System)을 입력받는다.(S1) 여기서, PC 영상인 경우는 도 6처럼 전체 패널(N*I×M*J)에 30HZ의 주파수로 입력영상이 공급되고 외부 동영상인 경우는 도 8처럼 WXGA(Wide Extended Graphics Array) 패널(1920×1080)에 60HZ 주파수가 공급된다.
S1 단계 후, 입력라인으로부터 공급된 PC 영상 및 외부 동영상은 분할부(33)에 의한 각 패널 블럭의 식별코드가 식별됨으로써 영상을 표현하는 각 패널의 이미지를 커팅하게 된다. 이 단계 후 각 패널에 스캔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즉, PC 영상인 경우는 도 6처럼 전체 패널(I×J×Z(N×M))을 분할한 각 패널(I×J)에 해당하는 스캔(Sync)신호를 발생시키고, 외부 동영상인 경우는 도 8처럼 각 패널 블럭의 식별코드(①~⑨)가 식별됨으로써 분할된 각 패널(①~⑨)에 해당되는 스캔(Sync)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S2)
S2 단계 후, PC 영상은 소프트웨어 분할 제어를 함으로써 이미지를 전체 화면에 공급하게 된다. 이 소프트웨어 분할 방식은 스케일링을 과정이 필요없고 DFR부(35)에 의한 영상 주파수를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PC 영상은 입력라인을 통해서 공급될 때 플리커를 느끼게 되는 30HZ로 공급됨으로써 DFR부(35)에 의한 영상 주파수를 60HZ로 변환시키게 된다. 반면에 외부 동영상은 공급시 60HZ 로 공급됨으로써 DFR부(35)에 의한 영상 주파수의 변환 과정이 필요없고, 하드웨어 분할 제어에 따른 스케일링 과정이 필요하다. 이 외부 동영상인 경우는 도 8처럼 분할부(33)에 의한 각 패널 블럭 분할 과정 후 각 패널(①~⑨)의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을 하지 않으면 원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없으므로 스케일링 과정이 꼭 필요하게 된다.(S3) 여기서, 메모리(SDRAM)는 DFR부(35)에 의한 영상 주파수의 변환시 또는 각 패널의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시 필요한 저장 장치이다.
S3 단계 후, PC 영상 및 외부 동영상은 도 9 내지 도 12처럼 그래픽 모드(Graphic Mode) 또는 텍스트 모드(Text Mode)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확장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패널로 전체 화면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그래픽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때 각 패널 사이에 베젤(Bezel,92) 이라는 틈이 발생하여 본 그래픽이 분리되어 깨져서 표현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래픽 모드일 때는 쪼개서 그래픽을 표현하고 텍스트 모드일 때는 그대로 전송함으로써 표현된다. 예컨대, 도 9 및 도 10처럼 원을 표현하는 그래픽 모드일 때는 각 패널에 표현되는 원 그래픽(90) 보다도 좀더 작은 원 그래픽(91)으로 나타냄으로써 원 형상이 도 10처럼 천제 화면으로 봤을 때 원이 깨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1 및 도 12처럼 텍스트 모드일 때는 그대로 전송하여도 원하는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다.(S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내부에 멀티구동보드가 내장되고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한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블럭의 데이터를 커팅하여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한다. 이 커팅 된 데이터가 스케일링이나 주파수의 변환 과정을 거쳐 구현된 전체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확장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화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구동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구동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식별코드를 나타내는 화면.
도 6은 N×M 확장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의 구동 수순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외부 동영상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그래픽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멀티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텍스트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멀티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액정패널:20 타이밍 콘트롤부:21
멀티구동보드:22 콘트롤부:2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4 분할부:33
스케일부:34 DFR부:35
영상 전송부:A 스케일부:B
제어전송부:C 구동부:D

Claims (5)

  1. 다수의 평판표시패널이 조립된 멀티패널;
    상기 평판표시패널 각각에 설치되는 다수의 멀티구동보드; 및
    상기 멀티구동보드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며,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입력 영상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멀티구동보드와 상기 평판표시패널은 1:1로 대응하고 상기 멀티구동보드마다 서로 다른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멀티구동보드는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를 커팅하여 자신과 대응하는 상기 평판표시패널에 공급하고, 그 외 나머지 데이터를 다른 평판표시패널의 멀티구동보드로 바이패스시키며;
    상기 멀티패널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의 데이터는 그래픽 모드 또는 텍스트 모드로 화면에 표시되며;
    상기 영상이 그래픽 모드 일 때, 각 평판표시패널에 표시될 영상을 축소하여 더 작은 영상이 멀티패널에 표시되며;
    상기 영상이 텍스트 모드 일 때, 영상이 변조 없이 표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패널 각각에 맞게 분할된 다수의 블록을 지정하는 화면분할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구동보드 각각에 공급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구동보드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평판표시패널 각각에 맞게 분할된 다수의 블록을 지정하는 화면분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구동보드 각각에 공급하는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구동보드는,
    상기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블록의 데이터가 커팅된 부분을 상기 평판표시패널의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구동보드는,
    상기 자신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블록의 데이터가 커팅 된 부분을 상기 평판표시패널의 프레임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69182A 2007-07-10 2007-07-10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1394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82A KR101394926B1 (ko) 2007-07-10 2007-07-10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US12/216,680 US8508431B2 (en) 2007-07-10 2008-07-09 Expandable multi-modul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82A KR101394926B1 (ko) 2007-07-10 2007-07-10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28A KR20090005828A (ko) 2009-01-14
KR101394926B1 true KR101394926B1 (ko) 2014-05-15

Family

ID=4025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82A Active KR101394926B1 (ko) 2007-07-10 2007-07-10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8431B2 (ko)
KR (1) KR1013949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96A (ko) * 2018-07-02 2020-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87069A1 (ko) * 2021-07-14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42026B2 (en) 2021-07-14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19364A (en) * 2007-10-29 2009-05-01 Coretronic Corp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1483455B1 (ko) * 2008-07-01 2015-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074961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세트
JP5165788B1 (ja) * 2011-12-26 2013-03-21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US9501980B2 (en) * 2011-12-28 2016-11-22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system
KR101987186B1 (ko) * 2012-07-31 2019-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비젼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9880727B2 (en) * 2013-05-29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manipulations for configuring system settings
TWI679624B (zh) * 2014-05-02 2019-12-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US10296279B2 (en) * 2014-05-13 2019-05-21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ing images across multiple displays
CN104361867B (zh) * 2014-12-03 2017-08-29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拼接屏显示装置以及其显示驱动方法
KR102416071B1 (ko) 2014-12-12 202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20160076227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5141876B (zh) * 2015-09-24 2019-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频信号转换方法、视频信号转换装置以及显示系统
CN105653224B (zh) * 2015-12-31 2019-02-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
CN108886633B (zh) * 2016-03-29 2021-06-22 三菱电机株式会社 图像接收再现方法和装置以及图像生成发送方法和装置
WO2017183109A1 (ja) 2016-04-19 2017-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530458B1 (ko) * 2018-06-14 202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258519B (zh) * 2018-11-30 2021-07-06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屏幕分屏实现方法、装置、终端和介质
KR102697989B1 (ko) * 2019-04-15 202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28828A (ko) * 2020-04-17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725350B1 (ko) 2020-05-21 2024-11-06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 유한회사 캐스케이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CN113625982A (zh) * 2021-07-21 2021-11-0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多屏显示方法及装置
KR20240067679A (ko) * 2022-11-09 2024-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드라이버 ic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535340A1 (en) 2022-11-09 2025-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ple driver ics, modular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410A (en) * 1995-07-19 1998-10-27 Drapeau; Raoul E. Video-wall viewing-angle enhancement system
US20010006375A1 (en) * 1999-11-30 2001-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st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panel attribute reading-out method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US20040113865A1 (en) * 2002-12-06 2004-06-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image data writing method, thin display fil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for thin display fi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3307A (en) * 1997-01-27 1999-07-13 Microsoft Corporation Logical monitor configuration in a multiple monitor environment
US5956000A (en) * 1997-05-12 1999-09-21 Scitex Corporation Ltd. Digital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JP4172096B2 (ja) * 1999-06-14 2008-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信号発生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4665375B2 (ja) * 2000-07-28 2011-04-0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242204A (ja) * 2004-02-27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
US7525511B2 (en) * 2004-07-02 2009-04-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play differences between monitors on multi-monitor computer systems
GB0524804D0 (en) * 2005-12-05 2006-01-11 Falanx Microsystems A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graphics
JP2007264141A (ja) * 2006-03-27 2007-10-1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410A (en) * 1995-07-19 1998-10-27 Drapeau; Raoul E. Video-wall viewing-angle enhancement system
US20010006375A1 (en) * 1999-11-30 2001-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st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panel attribute reading-out method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US20040113865A1 (en) * 2002-12-06 2004-06-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image data writing method, thin display fil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for thin display fi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96A (ko) * 2018-07-02 2020-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5270B1 (ko) 2018-07-02 202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87069A1 (ko) * 2021-07-14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42026B2 (en) 2021-07-14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28A (ko) 2009-01-14
US20090015513A1 (en) 2009-01-15
US8508431B2 (en)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926B1 (ko)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25350B1 (ko) 캐스케이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JP5061148B2 (ja) フラットパネル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7322747A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US7098886B2 (en) Flat panel display
US20150347077A1 (en) Display device, multi-display system and multi-display method
KR101987186B1 (ko) 멀티비젼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050022406A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051848A (ja) 表示装置、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同期制御方法、同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80032682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비디오 소스 기기의제어방법
JP2019113672A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15007051A1 (zh) 一种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20100194689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Windows for Multiple Computers or Video Devices
CN101329841A (zh) Lcd大屏幕中拼接电路模块及其控制方法
KR101878171B1 (ko) 평판 표시장치
KR100881142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244356A (ja) 表示装置
US871118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32872B2 (en) Picture displaying method, system and unit
KR10256891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8144075B2 (en) Display system for outputting analog and digital signals to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system and method
WO2021064801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05169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다화면 표시장치
KR101211283B1 (ko) 데이터 드라이버
KR20060092524A (ko)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0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305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3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4101001569

Request date: 201403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3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2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