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4466B1 -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466B1
KR101394466B1 KR1020140013483A KR20140013483A KR101394466B1 KR 101394466 B1 KR101394466 B1 KR 101394466B1 KR 1020140013483 A KR1020140013483 A KR 1020140013483A KR 20140013483 A KR20140013483 A KR 20140013483A KR 101394466 B1 KR101394466 B1 KR 101394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sh net
nonwoven fabric
waterproofing
mes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박혜정
김성엽
Original Assignee
(주) 수향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수향방수 filed Critical (주) 수향방수
Priority to KR102014001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4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방수 및 보수시공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방수성을 적극 개선하고자 상부와 하부로 나눠지는 시트를 구비하여 사이로 메쉬망(20)을 결집하여 인장력이 우수하고, 방수액의 침투가 원활하여 방수효과가 뛰어나며, 시공시 방수액이 메쉬망(20)을 통해 상부와 하부로 쉽게 침투하게 되어 시트와 방수액의 일치되며 구조물에 안전압착되고 방수효과가 뛰어나고 건축물의 부식 및 균열로 인해 생성되는 틈으로 수분이 스며들 때, 방수시트 내부에 도포된 방수액이 방수시트의 위아래로 결속되어 있어 물이 넓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시공된 방수 코팅이 장기간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건축물의 수명을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Non-woven fabric complex sheet for waterproofing using mes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방수 및 보수시공에 사용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로 형성된 복합시트 사이에 메쉬가 결집되어 인장력이 우수하고, 방수액의 침투가 원활하여 방수효과가 뛰어난 것에 특징이 있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산업발전과 인구증가로 인해 주택, 아파트, 공장 등의 수많은 건축물이 증가 되었고, 그 구조에 있어서는 철근 콘크리트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경화하여 건조되고 수축하는 성질이 있으며, 수축되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균열의 내부로 수분이 쉽게 스며들게 되어 부식되거나 균열이 커지는 등의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부직포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방수시공을 하게 된다.
보통 부직포는 균열 및 부식이 일어난 구조물에 부착되어 방수 코팅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데, 상세하게는, 도포 된 방수액이 부직포의 내부로 흡수되며 방수층의 생성을 유도하여 방수 코팅하는 공법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부직포는 섬유의 면을 곱게 하기 위해 열처리 과정을 거치고, 이 과정에서 섬유가 고밀도로 압축되어 흡수성이 저하되고 필터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방수시공에 있어서 방수액을 도포시 부직포 내부로의 원활한 침투를 방해하고 도포 된 방수액이 부직포의 상부에서 머물게 되어, 방수층이 부직포의 외부로만 얇게 형성되어 내구성이 약하여 부직포와 방수층이 쉽게 분열하게 된다.
또한, 표면이 약해진 방수층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이때 발생하는 균열로 인해 부직포 내부로 수분이 스며들게 되고, 부직포는 수분을 넓게 흡수하여 팽창되며 방수층의 균열을 유도하게 되고, 시공된 구조물에서 쉽게 이탈하게 된다. 이러한 하자부분은 외관상으로 초기에 발견하기 어렵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결과적으로는 구조물의 방수성이 떨어져 건축물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예컨대, 종래 기술의 부직포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1204호 "방수 시트와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방수 시트는 외부로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방수 및 보강을 위한 추가적인 구조물이 형성되고, 내구 구조물의 증가에 기인하여 제작단가가 높아짐과 동시에 제작공정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시트 내부에 방수액의 침투를 원활하게 하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제작과정의 최소화로 시트의 표면을 열처리하지 않아도 표면이 곱게 마감됨은 물론, 인장력이 높은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수용 복합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사이 공간에는 폴리에틸렌을 소재로 한 메쉬망(20)이 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쉬망(20)은 다수의 위사와 경사가 상호 교차함에 기인하여 메쉬 구조 형태의 격자망이 형성됨에 따라 수개 형성된 교차점에 대해 위사가 경사의 상하로 개별 위입되어 감싸는 형상의 옭매듭으로 결속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상호 결집시 방수액의 침투가 유도되는 수개의 통공부를 니들펀칭에 의해 메쉬망 상에 상하 관통 형성할 수 있도록 수개의 갈고리 바늘(100)을 구비하되, 상기 갈고리 바늘의 하강운동으로 상부시트, 메쉬망, 하부시트를 순차적으로 상하 관통하면서 상부시트의 섬유조직이 메쉬망을 개재된 상태에서 하부시트와 결집되게 한 후, 갈고리 바늘의 상승운동으로 하부시트의 섬유조직을 메쉬망이 개재된 상태에서 재차 상부시트까지 유입시켜 결집을 유도함에 따라 메쉬망(20)을 관통하는 수개의 통공부가 생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갈고리 바늘(100)은 정삼각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면의 경로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해당 섬유의 결집을 유도하기 위한 삼각 형상의 홈으로 구비되는 삼각홈(101);과, 모서리면과 삼각홈이 시작되는 경계 영역에서 삼각홈의 대향되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갈고리(102);를 포함하며, 상기 삼각홈과 갈고리는 각 모서리면이 제공하는 경로 상에서 등간격으로 일대일 구분 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부직포를 소재로 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구비하여 상하부시트의 사이 공간으로 메쉬망을 개재한 후 제1니들펀칭기로 이송하는 제1공정;과, 제1니들펀칭기로 공급된 해당 대상물에 대해 수개의 갈고리 바늘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침투시켜 상부시트, 메쉬망, 하부시트의 순으로 일체되게 관통하며 상부시트의 섬유조직이 메쉬망을 개재된 상태에서 하부시트와 결집되게 한 후, 갈고리 바늘(100)의 상승운동으로 하부시트의 섬유조직을 메쉬망이 개재된 상태에서 재차 상부시트까지 유입시켜 결집하는 제2공정;과, 제2공정에 의해 하나로 결집된 대상물을 제2니들펀칭기로 유입시켜 상부시트와 메쉬망에 대해서만 니들펀칭하여 상부시트(10)의 섬유조직을 메쉬망(20)까지 유입시켜 마감 결집하여 상부시트의 섬유 웹의 밀도를 하부시트보다 높게 유도하는 제3공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에 부착된 시트는 방수시공에 있어서 방수액이 시트의 상부로 침투하여 내부의 메쉬를 통해 원활하게 하부 부직포까지 침투하게 되어 시트와 방수액이 일치되어 방수성이 뛰어나고 인장력이 우수하며 시공에 있어서 시트가 구조물에 안전하게 압착이 되어 건물과 상호 일치되어 방수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두 차례의 니들펀칭공정으로 제직되기 때문에 시트의 표면을 열처리하지 않아도 표면이 곱게 마감됨은 물론, 종래의 시트보다 액상의 침투성이 뛰어나며 인장력이 높은 효과가 있으며, 제작과정이 최소화되어 제작기간이 단축되고 제작비가 절감된다.
유지에 있어서는, 건축물의 부식 및 균열로 인해 생성되는 틈으로 수분이 스며들 때 시공된 시트 내부에 도포 된 방수액이 시트의 위아래로 결속되어 슬라브와 방수시트 간의 완벽한 접착으로 방수막의 형성을 유도하게 하여 시공된 방수 코팅이 장기간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건축물의 수명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결속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제조 공정도.
도 5는 도 4의 확대도.
도 6은 제1니들펀칭기의 실시 개념도.
도 7은 제2니들펀칭기의 실시 개념도.
도 8은 종래의 부직포에 방수액이 침투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에 방수액이 침투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로 보수, 보강이 필요한 건축물의 바닥면에 방수시공되어 높은 밀도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내부의 메쉬가 방수액의 침투를 유도하여 방수액과 시트의 일체화로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균열 및 크랙을 최소화한다.
또한, 1, 2차의 니들펀칭으로 결집되어 열처리를 하지 않아도 표면이 곱게 마감되며 인장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결속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제조 공정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확대도이고, 도 6은 1차 니들펀칭공정의 실시 개념도이고, 도 7은 2차 니들펀칭공정의 실시 개념도이고, 도 8은 종래의 부직포에 방수액이 침투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 개념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에 방수액이 침투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 개념도.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는 그 구조상 크게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30)와 그 사이에 끼워지는 메쉬망(20)으로 구성되며 니들펀칭과정에서 갈고리바늘(100)을 구비하여 결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30)를 구성하고,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30)의 사이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메쉬망(20)을 구비하여 니들펀칭으로 결집한다. 이때, 상부시트(10), 메쉬망(20) 및 하부시트(30)를 동일하게 이송시켜 니들펀칭으로 결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30)는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단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단섬유가 방사되는 형태로 도포 되어 겹겹의 층을 형성하고 압축공정을 거쳐 하나의 부직포로 형성되며 주로 2~4㎝의 짧은 섬유들이 사용되어 결속력이 높고, 장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보다 방수액의 침투성이 우수하여 방수시공시 유리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는 구조상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로 구분되고,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사이에 메쉬망(20)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는 단섬유로 이루어진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30)가 내부의 메쉬망(20)을 통해 방수액의 완전침투를 유도하기 위해 형성된 구조로 설명한다. 또한, 상하시트의 결속력과 흡수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를 종래의 시트에 비례하여 1/3 정도의 두께로 얇게 형성하여 결속된 상부시트(10), 메쉬망(20), 하부시트(30)가 종래의 시트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두께 및 밀도에 있어서, 수치상 최소 2.0㎜이상 최대 3.2㎜이하의 두께로 설정하며, 최소 350g이상 최대420g/㎡이하의 밀도로 설정해주어야 상하시트의 결속력이 유지되고 방수액이 메쉬망(20)까지 원활하게 침투하여 시트가 구조물에 안전압착하게 되고 높은 밀도의 방수층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메쉬망(20)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섬유로서, 다수의 위사와 다수의 경사가 상호 교차하며 메쉬 구조 형태의 격자망을 이루는 수개의 교차점을 형성하고 각 교차점은 위사가 경사의 상하로 개별 위입되어 감싸는 형상의 옭매듭으로 결속되고, 결속된 메쉬망(20)은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30)의 사이에 니들펀칭으로 결집되어 뼈대역할을 함과 동시에, 메쉬의 내부로 방수액이 원활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쉬망(20)은 횡 방향으로 일정하게 연속되는 다수의 위사와 종 방향으로 일정하게 연속되는 다수의 경사로 구성되며, 상기 위사와 경사는 상호 일정간격으로 교차하게 배치되어 메쉬를 형성하고, 상호 엇갈리면서 수개의 교차점을 생성하게 되며, 특히 각 교차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위사가 경사의 상부와 하부로 개별 위입되어 경사의 측면을 회전으로 감싸는 원형의 고리를 형상하고 그 내부로 위사의 끝단이 관통하며 묶임으로 결속되는 옭매듭을 형성하는 매듭끈 역할을 하며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경사는 위사의 매듭의 내부로 결속되어 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이동끈 역할을 하며 교차점을 생성하게 되고 각 교차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으로 결속된 매듭이 게 풀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메쉬망(20)은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30)의 사이로 결속되어도 그 형태를 유지하며 인장력이 강한 특징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위사와 경사를 형성함에 있어서, 위사와 경사 간의 간격이 가로 2.5~3.5㎜, 세로 3.0~4.0㎜로 형성되게 하고, 두께는 0.3~0.8㎜ 로 형성하며, 밀도는 15~30g/m2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사와 경사간의 간격이 가로3.5㎜, 세로 4.0㎜를 초과하면 부직포의 인장력이 저하되고, 가로 2.5㎜, 세로 3.0㎜ 미만이면 메쉬의 간격이 좁아져 방수액의 침투가 어렵게 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갈고리 바늘(100)은 정삼각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면의 경로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해당 섬유의 결집을 유도하기 위한 삼각 형상의 홈으로 구비되는 삼각홈(101);과, 모서리면과 삼각홈이 시작되는 경계 영역에서 삼각홈의 대향되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갈고리(102);를 포함하며, 상기 삼각홈(101)과 갈고리(102)는 각 모서리면이 제공하는 경로 상에서 등간격으로 일대일 구분 배치되게 하고, 상기 삼각홈(101)은 갈고리 바늘(100)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내부 중심부로 함몰되는 간격을 0.5㎜ ~ 1.5㎜로 설정하여 갈고리바늘(100)의 내구성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갈고리(102)가 원활하게 섬유를 유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갈고리 바늘(100)은 수직 왕복운동 간에 섬유를 상부와 하부로 결집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는 2~4㎝의 단섬유로 제직된 특성상 니들의 갈고리형상에 걸리면 쉽게 빠지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갈고리 바늘의 수직왕복운동 간에 상호상부와 하부로 당겨지며 결집하게 된다.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사이로 결집되는 메쉬망(20)은 폴리에틸렌재질의 섬유로 이루어져 쉽게 분리되지 않고 인장력이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두께가 두꺼워서 갈고리 바늘에 쉽게 걸리지 않고, 갈고리 바늘이 메쉬망(20)의 내부공간으로만 왕복 운동하여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단섬유가 원활하게 메쉬망(20)을 감싸는 형태로 결집하여 내부의 메쉬망(20)이 그 형태를 유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4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은 크게 3단계로 구성된다.
제1 공정 -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니들펀칭기(40)와 제2니들펀칭기(50)로 주입되는 롤형태의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를 배치하고,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사이로 주입되는 메쉬망(20)을 배치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30)는 메쉬망(20)을 중심으로 각각 동일직선상의 상하 양방향으로 배치되며, 사이의 메쉬망(2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원활한 이송공정을 하게 되고, 배치된 상부시트(10), 메시층 및 하부시트(30)가 동일하게 이송되어 제1니들펀칭기으로 주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30)는 주입되는 과정에 있어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어야 하며, 그 속도에 있어서는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 사이에 배치된 메쉬망(20)의 이송속도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송되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결집된 시트의 밀도 및 인장력을 낮추거나 높이는 것도 가능한 특징이 있다.
제2 공정 - 제1니들펀칭기(40)로 주입되는 상부시트(10), 메쉬망(20) 및 하부시트(30)를 니들펀칭으로 결집한다. 상기 제1니들펀칭기(40)는 수개의 갈고리 바늘(100)로 형성된 바늘판이 펀칭기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며 메쉬망(20)을 관통하는 통공부를 형성하고 이 통공부는 방수액의 침투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니들펀칭기(40)는 주입되는 상부시트(10), 메쉬망(20), 하부시트(30)를 수개의 갈고리 바늘(100)로 형성된 바늘판으로 니들펀칭하고, 이는 상부시트(10)와 내부의 메쉬망(20)과 하부시트(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결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집과정에서 상기 니들의 수직 왕복운동으로 결집된 섬유 웹의 밀도를 높게 유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갈고리 바늘(100)은 제 2공정간에 하강운동으로 상부시트(10)의 섬유를 하부까지 결집함과 동시에 관통하는 통공부를 생성하고, 상승운동으로 하부시트(30)의 섬유를 상부까지 결집하면서 생성된 통공부를 유지하고 반복되는 상하운동으로 수개의 통공부를 생성하고 이때, 니들펀칭과정에서 각 결집부를 최소 3회 이상 반복결집하도록 설정하여 형성된 통공부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게 유도함과 동시에 섬유웹을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공정 - 펀칭으로 결집된 상부시트(10)와 메쉬망(20)을 니들펀칭으로 마감 결집한다. 제3공정은 결집된 상부시트(10)의 표면으로부터 메쉬망(20)의 하부까지 재차 니들펀칭하여 인장력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표면을 곱게 마감하여 시공시 그 형태를 유지하여 파손 및 분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공정은 제2공정으로 결집된 상부시트(10), 메쉬망(20)을 재차 니들펀칭하여 마감 결집하는 것으로, 표면을 곱게 마감하기 위하여 표면의 상부시트(10)로부터 메쉬망(20)까지만 결집하며 이때, 제3공정은 제2공정의 니들펀칭의 강도보다 낮은 저강도의 약 펀칭으로 결집하여 상부시트의 표면을 곱게 마감함과 동시에 섬유 웹의 밀도를 높게 유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에 의하면, 방수액이 내부의 메쉬망(20)과 메쉬망을 관통하는 통공부를 통해 상부시트로부터 하부시트까지 원활하게 침투하게 되고 시트와 방수액이 일치되어 인장력이 우수하며, 방수시공에 있어서 부직포가 구조물에 안전하게 압착하게 되어 구조물과 상호 일치되어 방수효과가 뛰어나고, 건축물의 부식 및 균열로 인해 생성되는 틈으로 수분이 스며들 때, 방수시트 내부에 도포 된 방수액이 방수시트의 위아래로 결속되어 있어 물이 넓게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시공된 방수 코팅이 장기간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건축물의 수명을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상부시트 20. 메쉬망
30. 하부시트 40. 제1니들펀칭기
50. 제2니들펀칭기 100. 갈고리 바늘
101: 삼각홈 102: 갈고리

Claims (3)

  1. 부직포를 소재로 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상호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수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사이 공간에는 폴리에틸렌을 소재로 한 메쉬망(20)이 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쉬망(20)은 다수의 위사와 경사가 상호 교차함에 기인하여 메쉬 구조 형태의 격자망이 형성됨에 따라 수개 형성된 교차점에 대해 위사가 경사의 상하로 개별 위입되어 감싸는 형상의 옭매듭으로 결속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30)의 상호 결집시 방수액의 침투가 유도되는 수개의 통공부를 니들펀칭에 의해 메쉬망 상에 상하 관통 형성할 수 있도록 수개의 갈고리 바늘(100)을 구비하되, 상기 갈고리 바늘의 하강운동으로 상부시트, 메쉬망, 하부시트를 순차적으로 상하 관통하면서 상부시트의 섬유조직이 메쉬망을 개재된 상태에서 하부시트와 결집되게 한 후, 갈고리 바늘의 상승운동으로 하부시트의 섬유조직을 메쉬망이 개재된 상태에서 재차 상부시트까지 유입시켜 결집을 유도함에 따라 메쉬망(20)을 관통하는 수개의 통공부가 생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바늘(100)은 정삼각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면의 경로 상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해당 섬유의 결집을 유도하기 위한 삼각 형상의 홈으로 구비되는 삼각홈(101);과, 모서리면과 삼각홈이 시작되는 경계 영역에서 삼각홈의 대향되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갈고리(102);를 포함하며, 상기 삼각홈과 갈고리는 각 모서리면이 제공하는 경로 상에서 등간격으로 일대일 구분 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3.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를 소재로 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구비하여 상하부시트의 사이 공간으로 메쉬망을 개재한 후 제1니들펀칭기로 이송하는 제1공정;과,
    제1니들펀칭기로 공급된 해당 대상물에 대해 수개의 갈고리 바늘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침투시켜 상부시트, 메쉬망, 하부시트의 순으로 일체되게 관통하며 상부시트의 섬유조직이 메쉬망을 개재된 상태에서 하부시트와 결집되게 한 후, 갈고리 바늘(100)의 상승운동으로 하부시트의 섬유조직을 메쉬망이 개재된 상태에서 재차 상부시트까지 유입시켜 결집하는 제2공정;과,
    제2공정에 의해 하나로 결집된 대상물을 제2니들펀칭기로 유입시켜 상부시트와 메쉬망에 대해서만 재차 니들펀칭하여 상부시트(10)의 섬유조직을 메쉬망(20)까지 유입시켜 마감 결집함과 동시에 상부시트의 섬유 웹의 밀도를 하부시트보다 높게 유도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40013483A 2014-02-06 2014-02-06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39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483A KR101394466B1 (ko) 2014-02-06 2014-02-06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483A KR101394466B1 (ko) 2014-02-06 2014-02-06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466B1 true KR101394466B1 (ko) 2014-05-13

Family

ID=5089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483A Active KR101394466B1 (ko) 2014-02-06 2014-02-06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4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118B1 (ko) * 2014-10-23 2016-02-26 (유)대광건설산업 복합 방수공법
KR101944925B1 (ko) * 2018-06-18 2019-02-07 신문기 배수성을 갖는 보도의 아스팔트 포장 공법
KR20220159002A (ko) *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2931A (ja) * 1985-02-08 1986-08-15 Sekisui Chem Co Ltd 折板用断熱シ−ト
JPH08239961A (ja) * 1995-03-03 1996-09-17 Tajima Roofing Co Ltd 絶縁用防水シートおよび該シートを使用する防水施工法
KR101006473B1 (ko) * 2010-03-15 2011-01-06 한국토지주택공사 자착식 방수시트
KR101116811B1 (ko) * 2011-06-20 2012-02-28 (주)삼성건업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2931A (ja) * 1985-02-08 1986-08-15 Sekisui Chem Co Ltd 折板用断熱シ−ト
JPH08239961A (ja) * 1995-03-03 1996-09-17 Tajima Roofing Co Ltd 絶縁用防水シートおよび該シートを使用する防水施工法
KR101006473B1 (ko) * 2010-03-15 2011-01-06 한국토지주택공사 자착식 방수시트
KR101116811B1 (ko) * 2011-06-20 2012-02-28 (주)삼성건업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118B1 (ko) * 2014-10-23 2016-02-26 (유)대광건설산업 복합 방수공법
KR101944925B1 (ko) * 2018-06-18 2019-02-07 신문기 배수성을 갖는 보도의 아스팔트 포장 공법
KR20220159002A (ko) *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KR102586662B1 (ko) * 2021-05-25 2023-10-10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427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iber-reinforced flat bodies containing a hardenable binder
US4680213A (en) Textile reinforcement used for making laminated complexes, and novel type of laminate comprising such a reinforcement
KR101380960B1 (ko)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1394466B1 (ko)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RU2365687C1 (ru) Нетканый иглопробивно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1669486B1 (en) Nonwoven base fabric for reinforcing
AU2011101706A4 (en) Construction Safety Netting
EP0429730B1 (en) A composite material for attachment to a concrete panel
CN106283820A (zh) 一种三维造纸毛毯及其制备方法
JP2021188496A (ja) ラス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ラス複合体を用いた塗工体及び工法
RU2357029C2 (ru) Нетканый иглопробивной материал
RU69079U1 (ru) Нетканый иглопробивной материал
JP2003105975A (ja) 補強シート及び補強方法
KR102090264B1 (ko) 투수성, 위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웹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 부직포
KR102023775B1 (ko) 통기성 방수시트, 통기성 방수시트 제조방법 및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CN102242462A (zh) 絮里及其制作方法
ES8506120A1 (es) Un metodo de hacer un laminado de tela, reforzado, no tejido, economico, que tiene excelente resistencia a la abrasion, estabilidad dimensional y absorbencia
KR101475149B1 (ko) 배수가 용이한 구조의 토목공사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090275B1 (ko) 터널 배수재용 부직포
KR101673120B1 (ko) 친환경 복합 방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수 구조체
JP2017101450A (ja) 防水シート及びトンネルの防水構造
CN208329219U (zh) 一种多层岩棉保温结构
JP2708662B2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用内張材
JP2017089261A (ja) 排水材及びトンネルの排水構造
CN119036962A (zh) 一种聚酯无纺布玻璃纤维复合阻燃毡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