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321B1 - Osteosynthesis device - Google Patents
Osteosynthesis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4321B1 KR101394321B1 KR1020130037671A KR20130037671A KR101394321B1 KR 101394321 B1 KR101394321 B1 KR 101394321B1 KR 1020130037671 A KR1020130037671 A KR 1020130037671A KR 20130037671 A KR20130037671 A KR 20130037671A KR 101394321 B1 KR101394321 B1 KR 1013943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member
- bone
- stopper
- fixing
- stopper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devices, e.g. pins or nai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resorp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부에 적절한 수준의 하중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골절부의 치료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골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접합 장치는 골절된 뼈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뼈를 고정하는 골접합 장치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개구된 제1고정부재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1고정부재의 개구된 단부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제1고정부재에는 제1고정부재의 내부에 결합되며 제2고정부재에 접촉되어 제2고정부재가 제1고정부재의 내부로 기준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되, 제2고정부재를 통해 기준하중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제1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1스토퍼부재와, 제1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되 제1스토퍼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2고정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제1스토퍼부재의 분리시 제2고정부재가 제1고정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joining device improved in structure to improv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a fractured portion by allowing an appropriate level of load to be transmitted to a fractured portion. 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ne joining apparatus for inserting a bone into a fractured bone to fix the bone, the bone join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fixing member,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is open at one end; And a second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open end of the fixing member,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contacts the second fixing member, so that the second fixing member contacts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 first stopper member which restricts insertion of the first stopper member beyond a reference depth but separates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when a force greater than a reference load is applied through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a first blocking member which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restricts the insertion of the second fixing member into the first fixing member when the first stopper member is detach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접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수강(bone-marrow cavity) 즉 뼈 속의 내부로 삽입하여 뼈를 고정시키는 골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골접합 장치는 뼈가 골절된 경우 골수강(즉, 뼈 속 내부)으로 삽입하여 뼈를 고정시키는 장치로, 이와 관련하여 EP 1905367A1 등이 특허로 출원된 바 있다.The bone joining device is a device for inserting a bone into bone graft (that is, inside the bone) when the bone is fractured, and EP 1905367A1 and the like have been filed for patent.
도 1은 종래의 골접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경우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골접합 장치(1)를 골수강 내에 삽입한 후 스크류(2)를 이용하여 골접합 장치(1)와 뼈(b)를 고정한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bone joining device. Referring to FIG. 1, in the conventional case, a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뼈(b)와 골접합 장치(1)를 고정하면, 뼈(b) 보다 강성이 높은 골접합 장치(1)가 골절부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응력방패효과(Stress shielding)가 유발되어 뼈와 골접합 장치 사이에 응력 불균형이 발생한다. 즉, 보행시 발생하는 대부분의 하중을 고정장치가 받게 되고, 이에 따라 골절뼈 부위에 치료세포가 원활히 분화하기 위한 적절한 수준의 자극이 전달되지 않으며, 그 결과 골절부의 치료가 늦어지고 골다공증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bone b and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절부에 적절한 수준의 하중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골절부의 치료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골접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ne joining apparatus improved in structure to improve treatment efficiency of a fractured portion by allowing a load of a proper level to be transmitted to a fractur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골접합 장치는 골절된 뼈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뼈를 고정하는 골접합 장치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개구된 제1고정부재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개구된 단부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가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부로 기준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제2고정부재를 통해 기준하중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상기 제1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1스토퍼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스토퍼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고정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스토퍼부재의 분리시 상기 제2고정부재가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ne joining apparatus for inserting a bone into a fractured bone to fix the bone, the bone join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fixing member,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is open at one end; And a second fixing member inserted into an open end of the first fixing member,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xing member, A first stopper member that restricts insertion of the first fixing member beyond a reference depth in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separates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when a force greater than a reference load is applied through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member when the first stopper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And a first blocking member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block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차단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lock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에 삽입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의 개구된 단부에 삽입되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고정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제3고정부재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부로 기준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제3고정부재를 통해 기준하중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상기 제2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2스토퍼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스토퍼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고정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스토퍼부재의 분리시 상기 제3고정부재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fixing member, the opposite end of the end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member is open and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third member inserted into the open end of the second fixing member Wherein the second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fixing member so that the third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member beyond the reference depth, A second stopper member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ing member when a force greater than a reference load is applied through the third fixing member, and a second stopper member disposed inside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fixing member for restricting the insertion of the third fixing member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upon detachment of the second stopper member It is prefer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스토퍼부재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opper member includes a biodegradable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스토퍼부재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 결합되는 환형부와,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형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opper member includes an annular portion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coupl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a reinforcing portion made of the biodegradable material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annular portion .
본 발명에 따르면 골절 부위가 회복됨에 따라 뼈로 전달되는 하중이 단계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골절 부위 주변의 치료세포가 원활히 분화하게 되므로, 치료 효율이 향상되고 골다공증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racture site is restored, the load transferred to the bone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us the therapeutic cells around the fracture site are smoothly differentiated, so that the treatment efficiency is improved and side effects such as osteoporosis are prevented from occurring .
도 1은 종래 골접합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 및 제1차단부재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conventional bone joining apparatus.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ne jo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of a first fixing member and a first blocking memb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Bon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절개사시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ne jo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100)는 골절된 뼈의 내부(즉, 골수강)로 삽입되어 뼈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를 포함한다.2 to 4, the
제1고정부재(1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10)의 일단부는 개구되고, 반대측 단부는 막혀져 있으며, 그 내부는 비어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10)는 강도가 높으며 인체에 무해한 소재, 예를 들어 스테이리스강과 같은 금속계열의 소재 또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제1고정부재(10)의 내부에는 제1스토퍼부재(11)와, 제1차단부재(12)가 배치된다. 제1스토퍼부재(11)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제1고정부재(10)에서 개구된 단부 측에 결합된다. 이때, 제1스토퍼부재(11)가 제1고정부재(10)에 결합되는 강도(즉, 결합력의 세기)와 관련하여, 기준하중(즉, 임계치)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제1고정부재(10)로부터 제1스토퍼부재(11)가 분리(즉, 제1고정부재로부터 떨어짐)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되는 방식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제1스토퍼부재(11)가 제1고정부재(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결합되는 방식은 제한됨이 없다. The
제1차단부재(12)는 제1고정부재(10)의 내부에 결합되며, 제1스토퍼부재(11)를 사이에 두고 후술하는 제2고정부재(20)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1차단부재(12)는 인체에 무해하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어 합성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blocking
제2고정부재(2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강도가 높으며 인체에 무해한 소재, 예를 들어 스테이리스강과 같은 금속계열의 소재 또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20)의 일단부는 개방되며, 개방된 단부는 제1고정부재(10)의 개방된 단부에 삽입된다. 이때, 제2고정부재(20)는 제1스토퍼부재(11)에 의해 차단되어, 기준깊이 이상으로 제1고정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여기서, 기준깊이라 함은 처음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20)가 제1고정부재(10)로 삽압되는(즉, 제1스토퍼부재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깊이) 깊이로, 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한편, 제2고정부재(20)를 통해 제1스토퍼부재(11)로 전달되는 외력의 크기가 기준하중 이상이 되면 제1스토퍼부재(11)가 제1고정부재(10)로부터 분리되므로, 제1스토퍼부재(11)는 더 이상 제2고정부재(20)가 삽입되는 것을 제한(즉, 제2고정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을 제1스토퍼부재가 지지하지 못함)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제1차단부재(12)에 의해 제2고정부재(20)가 제1고정부재(10)의 안쪽으로 더 삽입되는 것이 제한된다(즉, 제2고정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을 제1차단부재가 지지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골접합 장치(100)는 골절된 뼈의 내부에 삽입되며,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s) 등에 의해 뼈와 체결된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골절된 부위를 다리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상기와 같은 골접합 장치(100)가 다리 뼈에 삽입되면, 환자가 걸을 때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의 대부분은 골접합 장치 즉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부의 하중만이 뼈로 전달된다. 이때, 제2고정부재(20)는 제1스토퍼부재(11)에 의해 제1고정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제한된다(즉, 제2고정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은 제1스토퍼부재로 전달됨). When the
그리고, 시간이 경과하여 골절 부위가 조금씩 회복됨에 따라 환자가 걸을 때 골절된 다리에 조금씩 더 하중을 싣게 되면, 제2고정부재(2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제1스토퍼부재(11)가 파손(즉, 제1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제2고정부재(20)를 통해 제1차단부재(12)로 하중이 전달된다(즉, 제1차단부재에 의해 제2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것이 제한됨). When the patient is slightly overloaded with the fractured leg when the patient is walking as the time elapses and the fracture portion is slightly recovered, the
이때, 제1스토퍼부재(11)가 파손된 상태에서는, 매우 미세하지만 제1스토퍼부재(11)와 제1차단부재(12) 사이의 간격만큼 제2고정부재(20)가 제1고정부재(10)의 내부로 더 삽입되게 되고, 더불어 제1스토퍼부재(11) 보다 강성이 약한 제1차단부재(12)에 의해 제2고정부재(20)가 지지되므로, 골접합 장치(100) 전체의 강성은 제1스토퍼부재(11)가 파손되지 않았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약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골접합 장치(100)의 강성이 약해지면, 뼈로 전달되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 골절 부위 주변의 치료세포가 원활히 분화하게 되어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해지고 골다공증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when the
한편, 상호 끼워지는 고정부재를 3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뼈에 인가되는 하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는데, 이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by making three or more fixing members mutually fitted, the load applied to the bones can be increased step by step,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200)는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와, 제3고정부재(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제1고정부재(21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210)의 일단부는 개구되고, 반대측 단부는 막혀져 있으며, 그 내부는 비어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210)에는 제1스토퍼부재(211)와, 제1차단부재(212)가 결합되어 있다.The
제2고정부재(22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고정부재(220)의 양측 단부는 개방된다. 제2고정부재(220)는 제1고정부재(210)의 개방된 단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고정부재(220)의 내부에는 제2스토퍼부재(221) 및 제2차단부재(222)가 결합된다. 이때, 제2스토퍼부재(221) 및 제2차단부재(222)의 형상 및 기능은 제1스토퍼부재(211)와 제1차단부재(212)와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 제2스토퍼부재(221)가 제2고정부재(220)로부터 분리되는 기준하중은, 제1스토퍼부재(211)가 제1고정부재(210)로부터 분리되는 기준하중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3고정부재(23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개구된다. 제3고정부재(230)의 개구된 단부는 제2고정부재(220)의 단부(제1고정부재에 삽입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삽입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골접합 장치(200)에 있어서, 골접합 장치의 시술 초기에는 걸을 때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의 대부분이 골접합 장치(2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하여 골절 부위가 조금씩 회복됨에 따라 환자가 걸을 때 골절된 다리에 조금씩 더 하중을 싣게 되면, 먼저 제2스토퍼부재(221)가 제2고정부재(220)에서 분리되며, 이에 따라 뼈로 전달되는 하중이 1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후, 골절 부위가 더 회복되어 다리에 하중이 더 실리게 되면, 제1스토퍼부재(211)가 제1고정부재(210)에서 분리되며, 이에 따라 뼈로 전달되는 하중이 더 증가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골절 부위가 회복되는 상태에 따라 뼈로 전달되는 하중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증가되며, 그 결과 더욱더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해진다.I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n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300)의 기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100)의 구성과 유사하며, 이하에서는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골접합 장치의 제1스토퍼부재(311)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스토퍼부재(311)는 환형부(3111)와, 보강부(3112)를 포함한다. 환형부(3111)는 환형(즉,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고정부재(310)에 결합된다. 보강부(3112)는 생분해성 물질, 히알루론산 등과 같이 체액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환형부(3111)의 내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고정부재(320)에는 다수의 관통공(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관통공(321)을 통해 뼈 속에 있는 체액이 제1스토퍼부재(311)로 전달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골접합 장치(300)를 시술한 직후에는 보강부(3112)가 환형부(3111) 내부를 채우고 있으므로, 제1스토퍼부재(311)의 강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이후, 시간이 경과하면 체액에 의해 보강부(3112)가 분해되며, 이에 따라 제1스토퍼부재(311) 자체의 강도가 약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스토퍼부재(311) 자체의 강도가 약해지면, 제1스토퍼부재(311)로 보다 작은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제1스토퍼부재(311)가 제1고정부재(310)로부터 분리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reinforcing
이와 관련하여, 골접합 장치 시술 초기에는 뼈에 작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뼈를 다시 접합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뼈로 하중이 최대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시술 초기에 제1스토퍼부재가 파손되어 뼈로 인가되는 하중이 증가되는 일은 절대적으로 방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때, 본 실시예의 경우 시술 초기에는 보강부(3112)에 의해 제1스토퍼부재(311)의 강도가 일정 수준으로 보강되므로 제1스토퍼부재(311)가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보강부(3112)가 분해되면서 제1스토퍼부재(311)의 강도가 약화되므로 제1스토퍼부재(311)가 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해진다.In this regard, in the early stage of the bone joining device, it is necessary to bond the bone again even if a small impact is applied to the bon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loa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one as much as possible. Increasing the load applied to the bones by fracture should be absolutely prevented. In this regard,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trength of the
한편, 제1스토퍼부재와 제1고정부재와의 결합강도를 조절하는 방안으로, 접착제의 접착강도를 변경할 수도 있으나, 제1스토퍼부재의 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부재(411)와 제1고정부재(410)가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지도록 제1스토퍼부재(411)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제1스토퍼부재(411)와 제1고정부재(410) 사이의 결합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nding strength of the adhesive may be changed in order to adjus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stopper member and the first fixing member, but the shape of the first stopper member may be changed. 7, by forming the shape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said invention is direct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제1스토퍼부재 전체를 생분해성 물질로 제작하거나, 제1스토퍼부재에서 제1고정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을 생분해성 물질로 제작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1스토퍼부재가 제1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스토퍼부재가 분해되는 시간은 생분해성 물질의 종류나 조성비 등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tire first stopper member may be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or a portion of the first stopper member coupled with the first fixing member may be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As a result, The invention may also be configured to separate from the member. At this time, the time for decomposing the first stopper member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by adjusting the kind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iodegradable material.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부재가 제1고정부재의 내부 전체를 채우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부재(312)가 제1고정부재(310) 전체를 채우지 않고 일부만 채우도록(즉, 제1차단부재의 크기가 작아짐)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1차단부재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제1차단부재가 이동(즉, 제1고정부재 안쪽으로 미끌어짐)되지 않도록, 제1차단부재(312)가 제1고정부재(310)의 내벽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first blocking member fills the entire interior of the first fixing member. However, as shown in FIG. 8, the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100,200,300,400...골접합 장치
10,210,310,410...제1고정부재 20,220,320...제2고정부재
11,211,311...제1스토퍼부재 12,212,312...제1차단부재
221...제2스토퍼부재 222...제2차단부재
230...제3고정부재100, 200, 300, 400 ... bone joining device
10, 210, 310, 410 ... First fixing
11, 211, 311 ...
221 ...
230 ... third fixing member
Claims (5)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개구된 제1고정부재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개구된 단부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가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부로 기준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제2고정부재를 통해 기준하중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상기 제1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1스토퍼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스토퍼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고정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스토퍼부재의 분리시 상기 제2고정부재가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접합 장치.A bone joining apparatus for inserting bone into a fractured bone to fix the bone,
A first fixing member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is open at one end,
And a second fixing member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open end of the first fixing member,
In the first fixing member,
The second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contacts the second fixing member to limit the insertion of the second fixing member into the first fixing member beyond the reference depth, A first stopper member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when a force is applied,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fixing member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with the first stopp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first blocking member for restricting the insertion of the bone block into the bone.
상기 제1차단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접합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lock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상기 제2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에 삽입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의 개구된 단부에 삽입되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고정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제3고정부재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부로 기준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제3고정부재를 통해 기준하중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상기 제2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2스토퍼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스토퍼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고정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스토퍼부재의 분리시 상기 제3고정부재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접합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fixing member, an end opposite to the end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member is open,
Further comprising a third fixing member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open end of the second fixing member,
In the second fixing member,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contacts the third fixing member to limit insertion of the third fixing member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beyond a reference depth, A second stopper member which is detached from the second fixing member when a force is applied,
Wherein the third stopper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fixing member with the second stopp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for restricting the insertion of the bone block into the bone.
상기 제1스토퍼부재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접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opper member comprises a biodegradable material.
상기 제1스토퍼부재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 결합되는 환형부와,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형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접합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topper member includes an annular portion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coupl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a reinforcing portion made of the biodegradable material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annular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7671A KR101394321B1 (en) | 2013-04-05 | 2013-04-05 | Osteosynthesis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7671A KR101394321B1 (en) | 2013-04-05 | 2013-04-05 | Osteosynthesis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4321B1 true KR101394321B1 (en) | 2014-05-14 |
Family
ID=5089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76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4321B1 (en) | 2013-04-05 | 2013-04-05 | Osteosynthesis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432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0898B1 (en) | 2015-08-18 | 2017-12-20 | 파오난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 Apparatus Adapted for Resiliently Holding the Resected Fibular Sections for Preventing Rejoining Thereof |
KR101915406B1 (en) | 2017-07-21 | 2018-11-05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Traction Arm and Over-Force Protection Traction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706782A2 (en) * | 1994-10-14 | 1996-04-17 | Synthes AG, Chur | Osteosynthetic longitudinal alignment and/or fixation device |
US6224600B1 (en) * | 1996-07-10 | 2001-05-01 | G. Constantine Protogirou | Intramedullary, flexible fracture fixation device, using bi-axial prestressing |
US20100087820A1 (en) * | 2006-09-28 | 2010-04-08 | Orthofix S.R.L. | Intramedullary osteosynthesis device |
US20120239036A1 (en) * | 2010-09-20 | 2012-09-20 | Cyril Voisard | Method for Joining Two or More Segments of a Surgical Implant |
-
2013
- 2013-04-05 KR KR1020130037671A patent/KR1013943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706782A2 (en) * | 1994-10-14 | 1996-04-17 | Synthes AG, Chur | Osteosynthetic longitudinal alignment and/or fixation device |
US6224600B1 (en) * | 1996-07-10 | 2001-05-01 | G. Constantine Protogirou | Intramedullary, flexible fracture fixation device, using bi-axial prestressing |
US20100087820A1 (en) * | 2006-09-28 | 2010-04-08 | Orthofix S.R.L. | Intramedullary osteosynthesis device |
US20120239036A1 (en) * | 2010-09-20 | 2012-09-20 | Cyril Voisard | Method for Joining Two or More Segments of a Surgical Implan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0898B1 (en) | 2015-08-18 | 2017-12-20 | 파오난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 Apparatus Adapted for Resiliently Holding the Resected Fibular Sections for Preventing Rejoining Thereof |
KR101915406B1 (en) | 2017-07-21 | 2018-11-05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Traction Arm and Over-Force Protection Tra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59959B2 (en) | Bone plate for elastic osteosynthesis | |
KR101142895B1 (en) | Ballon anchor reinforcing pedicle screw in osteoporotic spine | |
US887096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fracture replacement of comminuted bone fractures or portions thereof adjacent bone joints | |
KR101234754B1 (en) | Femoral stem for artificial hip joint and artificial hip joint including the same | |
WO2007078692A3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ixation of bone with an expandable device | |
JP6086993B2 (en) | Osteotomy implant | |
US9532818B2 (en) | Orthopedic nail and an orthopedic nail system | |
WO2007092813A3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one fracture fixation | |
WO2006102268A3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one stabilization | |
DE602004011083D1 (en) | ORTHOPEDIC IMPLANT AND BONE SCREW ARRANGEMENT | |
WO2008003047A3 (en) | Dynamic fixation system | |
WO2007063213A3 (en) | Surgical implant with extracortical support for a ligament transplant | |
JP2013540509A5 (en) | Surgical stabilization plate, method and system for implanting surgical stabilization plate | |
WO2007106408A3 (en) | Intra-medullary implant with active compression | |
WO2012021702A3 (en) | Structures for use in orthopaedic implant fixation and methods of installation onto a bone | |
KR20170005470A (en) | Tissue graft fixation with tension adjustment | |
MX2012000525A (en) | Hip joint device. | |
KR101394321B1 (en) | Osteosynthesis device | |
CN107753150B (en) | Revision belt loop fixing plate | |
EP2967886B1 (en) | System for patellar resurfacing treatment | |
US20150025650A1 (en) | Bone Plug | |
WO2008036578A3 (en) | Orthopedic plate system | |
US20190321188A1 (en) | Transcortal Bone Joint Fusion System | |
KR101529615B1 (en) | Anchor for fixing a tendon and fastener thereof | |
EP2473127B1 (en) | An orthopedic nail and an orthopedic nai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105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5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