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4285B1 -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285B1
KR101394285B1 KR1020130139960A KR20130139960A KR101394285B1 KR 101394285 B1 KR101394285 B1 KR 101394285B1 KR 1020130139960 A KR1020130139960 A KR 1020130139960A KR 20130139960 A KR20130139960 A KR 20130139960A KR 101394285 B1 KR101394285 B1 KR 10139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oupling
front cover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13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285B1/ko
Priority to US14/522,234 priority patent/US9206630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11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부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접철부에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덮는 배면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로서, 상기 전면 커버의 개폐 단 일 측에 자성체를 포함한 상태로 부착된 제 1 결합부; 상기 접철부 대향 측의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자성체를 포함한 제 2 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 1,2 결합부의 접촉면에 의한 자성 결합에 의해 상기 전면 커버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 커버의 개폐를 전면 커버의 개폐 단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각각 별도 형성된 제 1,2 결합부의 자성 결합에 의하여 달성하여, 슬림하고 가벼운 전면 커버 개폐형 케이스를 운용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CONNECTING DEVICE OPENING AND SHUTTING FRONT COV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마치 다이어리식과 같이 전면 커버의 개폐형으로 제공된 케이스에서 전면 커버의 측단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결합부 간에 간편한 결합 관계를 도모하여 전면 커버가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스트랩을 통한 단추 결합 방식의 전면 커버 결합 방식보다 깔끔하고 편리한 결합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 가능한 사이즈로 이루어져 통신, 게임, 동영상 재생,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전자기기로서, 게임기, 동영상 재생기와 같은 것이 존재하나 현재 이동통신단말기, 특히 스마트폰이 가장 보편적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전면에 터치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측면/배면에 ON/OFF 스위치를 비롯하여 전면 등을 포함한 부위에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에서 기종마다 세부적 형상은 다르나 대체로 측면보다 전면/배면의 사이즈가 넓은 직육면체의 바아(bar) 형태를 가지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 및 배면만을 덮어 전면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육안으로 노출되도록 한 전면 노출 타입, 전면 커버(플립 커버)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폐하는 다이어리 타입 등이 개발된 상태이다.
이 중에서 특히 후자의 다이어리 타입의 케이스가 현재 인기를 끌고 있는바, 값비싼 휴대용 전자기기(특히, 스마트폰)를 고급스럽게 보호할 뿐 아니라 전면 커버 내측 면 또는 기타 부위에 신용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추가 공간을 제공하여 활용도를 높일 뿐 아니라, 굳이 전면 커버를 개방하지 않고도 전면 커버에 형성된 식별창을 통하여 위젯 형태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이어리 타입의 케이스는 힌지부(접철부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측면을 덮는 측면 보호부)를 매개로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가 연결되어 전면 커버가 개폐되는 방식을 취하는데, 전면 커버에서 힌지부의 대향 측에 배면 커버와 아무런 결합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전면 커버가 쉽사리 개방되어 전면 커버 내측 면에 수용된 신용카드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분실의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불필요하게 전면 커버가 유동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면 커버의 측단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스트랩을 구비하고 이 스트랩의 단부에 제 1결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면 커버의 일 측에 제 2 결합부를 형성하되 주로 단추 결합 방식의 제 1,2 결합부가 결합되는 구조가 시중에 공개되었는데, 이 기술에 의하면 스트랩 자체가 거치적거릴 뿐 아니라 전면 커버의 개방을 위해 제 1,2 결합부를 힘들게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스마트폰에서 전화를 받거나 급히 디스플레이부의 정보를 보기 위할 경우 시간이 지체되거나 불편한 문제가 따른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463462호는 로킹 수단을 이용하여 전면 커버와 스마트폰의 측면까지 덮는 커버 간에 긴밀한 결합 관계를 보장(마치 상자 결합식과 비슷한 구조)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 케이스의 측면을 눌러야 하는 별도의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비록 스마트폰의 측면을 덮는 구조에 의해 내구성을 보장할 수는 있어도 스마트폰이 대형화되는 추세에서 케이스 자체가 무거워짐과 동시에 구조가 둔탁해져서 사용자가 소지를 꺼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의 개폐식 케이스에서 슬림한 구조를 유지하여 가벼운 무게를 자랑하면서도 거치적거리는 결합 수단을 배재하고 간편하고 조작이 편리하면서 충분한 결합력도 보장할 수 있는 신규하고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면 커버가 개폐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면 커버의 개폐 단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블록 형태로 형성된 제 2 결합부 간에 자력 결합을 함으로써, 전면 커버의 개폐가 용이하고 컴팩트(compact)하면서 가벼운 구조를 추구할 수 있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 간의 효율적인 접촉 상태를 보장하는 다양한 구조를 제시하여 전면 커버가 들뜨거나 제 1,2 결합부의 접촉 면적이 보장되지 않게 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결합부에 별도의 보호 시트를 적층시킴과 동시에 제 2 결합부를 자석이 내장된 연성 재질로 마련하여 제 1 결합부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전면 커버가 닫히면서 제 1,2 결합부가 접촉할 때의 반발력의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제 1 결합부를 전면 커버의 개폐 단 일 측에 끼움 결합하고 자석 수용 홈을 제 1,2 결합부에 걸쳐 마련함으로써 제작의 편의성과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제 1,2 결합부의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여 접촉 면적 확보, 내구성 보장, 편리한 개폐 방식 제공 등의 기능을 보장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철부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접철부에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덮는 배면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로서, 상기 전면 커버의 개폐 단 일 측에 자성체를 포함한 상태로 부착된 제 1 결합부; 상기 접철부 대향 측의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자성체를 포함한 제 2 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 1,2 결합부의 접촉면에 의한 자성 결합에 의해 상기 전면 커버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의 접촉면에는, 보호 시트가 추가로 적층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2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자성체 수용부를 구비하여, 이에 상기 자성체를 수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결합부는, 절곡면을 기준으로 제 1면과 제 2면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기 제 1,2 면이 끝단으로 연장될 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의 개폐 단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절곡면의 내측 부위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과 이격된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 공간 내 상기 절곡면의 내측면에는 바 및 블록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밀림 방지 부재;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면에서 180도 절곡되어 상기 제 1면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추가 연장 형성된 추가 절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제 1 오목부가 함입 형성되고, 제 2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제 2 오목부가 함입 형성되되, 상기 제 1,2 결합부가 접촉하였을 때의 상기 제 1,2 오목부는 하나의 폐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의하면,
1) 전면 커버의 개폐를 전면 커버의 개폐 단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각각 별도 형성된 제 1,2 결합부의 자성 결합에 의하여 달성하여, 슬림하고 가벼운 전면 커버 개폐형 케이스를 보장 및 제공할 수 있고,
2) 전면 커버의 계폐 단 측에 별도 공간을 마련하여 제 1 결합부를 수용함으로써 전면 커버가 들뜨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3) 보호 시트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4) 제 1 결합부를 클립 구조로 형성하여 편리한 탈착 구조를 보장하면서 제 2 결합부와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5) 다양한 제 1,2 결합부의 구조에 따라 제작 환경의 편의성 및 사용상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 장치가 부착된 전면 커버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제 1,2 결합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케이스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결합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장치에 대한 제 1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결합 장치에 대한 제 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결합부의 추가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 장치가 부착된 전면 커버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제 1,2 결합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0)는 휴대용 전자기기(1)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기본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특히 외부 충격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외부 충격 흡수 기능을 강화한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라 함은 사용자가 주머니, 손, 가방 등에 휴대/보관할 수 있는 사이즈로 이루어져 다양한 통신, 게임, 동영상 시청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고, 스마트폰, 이동통신단말기, MP3 플레이어, 동영상 재생기와 같은 종류가 있다.
이 중 현재 가장 보편적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디스플레이부)이 노출 장착된 바아 타입(bar type)의 스마트폰(삼성의 갤럭시 S/노트 시리즈, LG의 옵티머스 시리즈, 팬택사의 베가 시리즈, 애플사의 아이폰 시리즈 등)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폰은 현재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즈가 5인치를 넘는 것이 많아 자체적인 중량도 적지 않은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스(10)는 이와 같이 대형화가 된 스마트폰을 대표적으로 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되, 무게감을 최소화하는 다이어리식 구조(전면 커버의 개폐 구조)를 취하면서 전면 커버(20)의 보다 용이한 개폐 상태를 보장함과 동시에 폐쇄 시 전면 커버(20)가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케이스(10)는 크게 휴대용 전자기기(1)의 전면을 덮어 보호하는 전면 커버(20)와, 휴대용 전자기기(1)의 배면을 덮어 보호하는 배면 커버(30) 및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 일 측을 덮으면서 상기 전면 커버(20)와 배면 커버(30)를 연결하는 접철부로 구성되어 있다.
접철부(40)는 전면 커버(20)가 이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힌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케이스(10)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는 주로 바 타입 형상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기기(1)에서의 4개의 측면 중 접철부(40)를 제외한 3개의 측면이 케이스(10)에 의해 덮여 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취한다.
공지의 다이어리(diary)식 케이스는 외부 케이스 내에 또 다른 보조 케이스, 즉 돔 형태로 이루어진 일명 젤리 케이스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싼 다음 이를 다시 외부 케이스를 통해 배면과 측면을 덮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이 경우 케이스 자체 하중이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가 5인치 이상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하기에 무겁다는 이유로 부담스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스(10)는 주로 조작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보다는 파손의 우려가 적은 바아 타입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기기(1)의 3개 측면(또는 2개 측면)을 전부 또는 일부 노출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무게를 줄이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을 덮는 케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전면 커버(20)는 주로 바아(bar) 타입의 휴대용 전자기기(1)에서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접철부(40)를 기준으로 접철되는 방식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전면 커버(20)에는 개방시키지 않아도 휴대용 전자기기(특히,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된 위젯을 볼 수 있는 투시창(21)이 형성될 수 있고, 전면 커버(20)의 내측 면에는 신용카드나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결합 장치는 제 1,2 결합부(100,200)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결합 장치에 대한 일 구성인 제 1 결합부(100)는 상기 전면 커버(20)의 외측 단(즉, 개폐 측 단)에 별도 형성된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특히 전면 커버(20)의 개폐 측 길이 전체와 동일한 길이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 아니라 전면 커버(20)의 일 부위에서 절편, 패드, 블록 등의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제 1 결합부(100)의 외측 돌출 길이는 후술할 제 2 결합부(200)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에 버금가는 정도면 충분한 것으로서, 이물감 내지 거치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의 폭보다 심하게 외측으로 돌출될 필요는 없다.
즉, 제 1 결합부(100)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단에서 후술할 제 2 결합부(200)와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정도로 돌출된 것으로 충분하고 이와 제 1 결합부(100)에서 돌출된 부위의 하측 면을 제 1 결합부(100)의 접촉면이라 한다.
이러한 제 1 결합부(100)의 접촉면에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디스플레이부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샤무드 내지 기타 천 재질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보유하거나 기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호 시트(110)가 추가로 적층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제 1 결합부(100)는 제 2 결합부(200)와의 자성 결합을 위하여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제 1,2 결합부(100,200)가 상호 마주보는 면이 N,S 극으로 이루어진 자석이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가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철과 같은 자성체, 특히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제 1,2 결합부(100,200) 중 어느 하나가 철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산화 방지를 위하여 크롬/SUS과 같은 금속을 도금/증착 처리할 수 있고, 제 1,2 결합부(100,200) 중 어느 하나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PC/실버를 도금/증착 처리할 수 있다.
즉, 제 1,2 결합부(100,200)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인력(引力)에 의하여 자성 결합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결합 장치에 대한 또 하나의 구성인 제 2 결합부(200)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에 부착이 되어 상기 제 1 결합부(100)의 접촉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제공하여 자성 결합 관계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 일 측(제 1 결합부의 접촉면이 접촉될 수 있는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 2 결합부(200)의 부착면(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접촉되는 면)에는 접착층(210)이 형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에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한다.
또는 제 2 결합부(200)는 배면 커버(30)에서 블록 형태로서 절곡 연장되어 배면 커버(30)와의 일체적인 결합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역시 부착면에는 접착층(210)이 형성되어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에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배면 커버(30)에서 절곡된 측면 보호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측면 보호부의 일 부위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 2 결합부(20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결합부(200)는 상부 면이 제 1 결합부(100)의 접촉면과 접촉하게 되는데, 제 2 결합부(200)의 상부 면을 제 2 결합부(200)의 접촉면이라 한다. 제 2 결합부(200)의 접촉면은 제 1 결합부(100)의 접촉면과 접촉될 수 있는 충분하고 안정적인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제 1,2 결합부(100,200)는 자성 결합을 하게 되는데 제 1,2 결합부(100,200)가 모두 단단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 1,2 결합부(100,200)가 상호 접촉할 때 반발력에 의해 제 1,2 결합부(100,200)가 원활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2 결합부(100,200) 중 어느 하나는 실리콘과 같이 반발력을 최소화하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자석을 수용하거나 아니면 고무 자석을 사용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제 1 결합부(100)는 금속이 도금 또는 증착 처리된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제 2 결합부(20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 자석을 삽입(인서트 성형 또는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제 1,2 결합부(100,200) 각각에 별도의 자성체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이에 자석 등과 같은 자성체를 삽입 수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후술할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전면 커버(20)가 닫히면서 제 1 결합부(100)가 제 2 결합부(200)에 접촉을 할 때 반발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 1 결합부(100)의 하측 면에 추가로 형성된 보호 시트(110)에 의하여 제 2 결합부(200)의 접촉면과 접촉하지 않고 휴대용 전자기기(1)의 디스플레이부에 접촉하는 면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장치 및 케이스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전면 커버(20)의 개폐 단(끝단) 측에 제 1 결합부(100)가 부착이 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때 전면 커버(20)의 폭은 휴대용 전자기기(1)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고 배면 커버(30)는 전면 커버(20)보다 폭이 약간 더 넓은데 제 2 결합부(200)의 폭에 상응하는 수준만큼 더 넓게 이루어져 제 2 결합부(200)가 배면 커버(30) 상에 안착되어 제 1 결합부(100)가 제 2 결합부(200)에 접촉할 때에도 중력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면 커버(30)에서 제 2 결합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를 안착부(31)라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결합부(200)가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배면 커버(30)에 안착 지지가 되어 쉽사리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보장하며 제 1 결합부(100)와 결합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b)는 전면 커버(20)의 개폐 단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단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되, 하부 부위에 제 1 결합부(1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제 1 결합부 수용부(22)를 구비하고, 나머지는 도 2(a)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 1 결합부(100)를 전면 커버(20)의 개폐 단에 마련된 별도의 공간, 즉 제 1 결합부 수용부(22)에 조립 내지 접착식으로 결합을 할 수 있어 제작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2(a)의 구조에 비하여 전면 커버(20)에서 제 1 결합부(100)가 이탈될 우려 없이 전면 커버(20)와의 일체적 결합 관계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 더불어, 제 1 결합부(100)에 의해 전면 커버(20)가 닫혔을 때 들뜨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구비한다.
도 2(c)는 도 2(b)와 유사하게 전면 커버(20)의 개폐 단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이에 블록/조각 형태의 제 1 결합부(100)를 수용하되, 전면 커버(20)의 계폐 단의 상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 1 결합부 수용부(22)가 경사 수용부로 이루어진 것이고, 이를 제 1 결합부 경사 수용부(23)라 한다.
즉, 전면 커버(20)의 개폐 단을 가공해서 비스듬한 공간을 만들고 이에 도 2(c)에 도시된 형상의 제 1 결합부(100)를 수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는 가공의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도 2(b)와 마찬가지로 제 1 결합부(100)의 이탈 문제 및 전면 커버(20)의 폐쇄 시의 들뜸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제 1 결합부 경사 수용부(23)의 경사면은 아래로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를 하여 제 1 결합부(100)와 전면 커버(20) 간의 결합력을 보장하고 양자 간의 결합의 용이성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결합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 2 결합부(200)의 폭이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 즉 상협하광(上狹下廣)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2 결합부(200)의 상면인 접촉면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제 1 결합부(100)와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함과 동시에 그렇다고 전체 체적이 커지지 않고 슬림한 체적을 유지하여 배면 커버(30)의 안착부에 안착되게 한 것이다.
도 3(b)는 배면 커버(30)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제 2 결합부(200)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 결합부(200)가 블록 형태로 상향 절곡되어 배면 커버(3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제 2 결합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 구조이다.
도 3(c)는 제 2 결합부(200)에 자성체 수용부(220)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자성체 수용부(220)는 접촉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취해 이에 자석과 같은 자성체(50)를 수용 결합하도록 한다.
이러한 도 3(c)의 구조는 제 1 결합부(10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제 2 결합부(200)는 실리콘 바디로 형성하고, 제 1 결합부(100)는 비자성체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3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는 세부 구조 및 구성 별로 재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장치의 제 1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4,5에 따른 실시예는 제 1 결합부를 전면 커버에 부착하기 편리하도록 제 1 결합부를 전면 커버의 개폐 단에 끼우는 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4,5에 따른 제 1 결합부(100)는 절곡면(102)을 기준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제 1,2 면(101,103)으로 이루어져 마치 ㄷ자와 유사한 형상을 취하여 전면 커버(20)의 개폐 단 일 측에 끼움 결합한다.
특히, 제 1,2 면(101,103)은 절곡면(102)에서 끝단으로 연장될 수록 그 폭이 모아지게(테이퍼 처리되도록) 형성되어 전면 커버(20)에 끼움 결합 시 전면 커버(20)를 적절하고 견고하게 물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제 1 결합부(100)의 제 1면(101)의 단부에는 전면 커버(20)에 끼움 결합의 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공간인 결합 보장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결합부(100)가 전면 커버(20)에 끼움 결합 시 공기가 압축되어 결합이 잘 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곡면(102)은 휴대용 전자기기(1)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제 2 결합부(200)와의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절곡면(102)이 휴대용 전자기기(1)와 이격된 공간(이를 '이격 공간'이라 한다)이 발생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이격 공간이 사용자의 힘이나 외력에 의해 밀려 제 1,2 결합부(100,200)의 접촉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곡면(102)의 내측 부위에는 밀림 방지 부재(17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밀림 방지 부재(170)는 바(bar) 또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면(102) 내측 부위에 밀착되어 제공됨으로써, 이 존재로 인해 외력에 의해서도 제 1 결합부(100)가 찌그러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고유의 형상과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2 결합부(100,2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제 1,2 결합부(100,200)를 분리(즉, 전면 커버의 개방)하기 쉽도록 오목하게 파여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 1 결합부(100)에 형성된 것을 제 1 오목부(160)라 하고 제 2 결합부(200)에 형성된 것을 제 2 오목부(260)라 한다.
이러한 제 1,2 오목부(160,260)는 제 1,2 결합부(100,200)가 접촉하였을 때 'ㅁ' 자와 같은 오목 공간 또는 하나의 폐곡면 형태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이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고 전면 커버(20) 내지 제 1 결합부(100)를 들어올림으로써 전면 커버(20)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 2 결합부(200)의 외측 면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가 되어 외력(특히 제 2 결합부에 수평으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쉽사리 밀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에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 2 결합부(200)의 내측면(휴대용 전자기기의 밀착면) 역시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도 4,5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 2 결합부(200)의 내측면 부위에 자성체 삽입부(220)를 함입 형성하고 이에 자석과 같은 자성체를 삽입 수용시키거나 아니면 제 2 결합부(200) 내에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제 1 결합부(100) 역시 이와 같은 자성체 수용 구조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도 4,5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결합부(100)를 클립형 탈착 방식으로 형성하여 편리하게 전면 커버(20)에 끼움 결합하되 쉽사리 이탈되지 않도록 제 1,2 면(101,103)이 테이퍼 처리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제 1,2 오목부(160,260)에 의해 용이한 개방 상태를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1,2 결합부(100,200)의 접촉 면적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긴밀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는 등의 특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 장치에 대한 제 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 따른 변형 실시예는 전반적으로 도 4,5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고 다만 밀림 방지 부재(170) 등을 선택 적용할 수 있으나, 가장 특이한 점은 제 1면(101)을 추가로 절곡 연장하여 추가 절곡면(104)을 형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추가 절곡면(104)은 제 1 면(101)의 끝단에서 180도 절곡되어 제 1 면(101)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연장 형성된 것으로, 제 1면(101)의 끝단과 전면 커버(20)의 경계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단턱에 의해 이물감을 최소화하기 위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제 1면(101)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저항할 수 있는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역할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제 1면(101)의 날카로운 끝단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 제 1면(101)을 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전면 커버(20)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도 4 내지 6에 따른 실시예에서 세부 구성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본 발명의 케이스(1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결합부의 추가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 2 결합부(200)가 블록 또는 절편 등의 형태로서 접착층(210) 등을 매개로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하였는데, 도 7에서의 제 2 결합부(200)는 띠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 둘레를 감싸는 범퍼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따른 제 2 결합부(200)는 접철부(40)의 대향 측의 전자기기(1)의 측면을 덮는 제 1 파트(201), 상기 제 1파트(20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 각각을 덮는 제 2,3 파트(202,203)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제 2,3 파트(202,203)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말리도록 라운딩지게 휘어진 절곡 결합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절곡 결합부(204)의 휘어진 상태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을 덮는 구조로서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 둘레를 따라 감싸는 기능을 구비하여 접착층 없이 긴밀하게 휴대용 전자기기(1)에 결합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접착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제 1 결합부(100)가 형성된 부위에 접하는 제 1 파트(201) 일 측 부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부(205)가 형성되어 있어, 제 1 결합부(100)와의 접촉 면적을 보장하도록 하며 이 접촉부(205)에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서 제 2 결합부(200)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까지 보호함과 동시에 제 1 결합부(100)와의 자성 결합을 컴팩트한 방식으로 도모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휴대용 전자기기 10: 케이스
20: 전면 커버 21: 투시창
22: 제 1 결합부 수용부 23: 제 1 결합부 경사 수용부
30: 배면 커버 31: 안착부
40: 접철부 50: 자성체
100: 제 1 결합부 101: 제 1면
102: 절곡면 103: 제 2면
104: 추가 절곡면 110: 보호 시트
120: 접착층 150: 결합 보장부
160: 제 1 오목부 170: 밀림 방지 부재
200: 제 2 결합부 201: 제 1 파트
202: 제 2 파트 203: 제 3 파트
204: 절곡 결합부 205: 접촉부
210: 접착층 220: 자성체 수용부
250: 라운딩 처리부 260: 제 2 오목부

Claims (12)

  1. 접철부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접철부에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덮는 배면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 커버를 개폐하는 결합 장치로서,
    상기 전면 커버의 개폐 단 일 측에 자성체를 포함한 상태로 부착된 제 1 결합부;
    상기 접철부 대향 측의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자성체를 포함한 제 2 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 1,2 결합부의 접촉면에 의한 자성 결합에 의해 상기 전면 커버를 개폐하되,
    상기 제 1 결합부는,
    절곡면을 기준으로 제 1면과 제 2면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기 제 1,2 면이 끝단으로 연장될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의 개폐 단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접촉면에는,
    보호 시트가 추가로 적층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자성체 수용부를 구비하여, 이에 상기 자성체를 수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의 내측 부위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과 이격된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 공간 내 상기 절곡면의 내측면에는 바 및 블록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밀림 방지 부재;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면은,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 공간을 확보한 결합 보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제 1 오목부가 함입 형성되고, 제 2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제 2 오목부가 함입 형성되되,
    상기 제 1,2 결합부가 접촉하였을 때의 상기 제 1,2 오목부는 하나의 폐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면에서 180도 절곡되어 상기 제 1면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추가 연장 형성된 추가 절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상기 접철부 대향 측의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부착되는 제 1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타 측면 각각을 덮는 제 2,3 파트 및,
    상기 제 2,3 파트에서 내측으로 라운딩지게 절곡 연장된 절곡 결합부와,
    상기 자성체를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접촉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파트 일 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결합 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전면 커버의 개폐 단 하측 면에 추가로 형성된 제 1 결합부 수용부에 수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배면 커버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12. 삭제
KR1020130139960A 2013-11-18 2013-11-18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Active KR10139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960A KR101394285B1 (ko) 2013-11-18 2013-11-18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14/522,234 US9206630B2 (en) 2013-11-18 2014-10-23 Magnetic closure for electronic device c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960A KR101394285B1 (ko) 2013-11-18 2013-11-18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285B1 true KR101394285B1 (ko) 2014-05-14

Family

ID=5089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960A Active KR101394285B1 (ko) 2013-11-18 2013-11-18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06630B2 (ko)
KR (1) KR101394285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91U (ko) * 2014-11-05 2016-05-13 안권웅 스마트폰 보호커버용 방향 조절구
WO2016164350A1 (en) * 2015-04-08 2016-10-13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54605B2 (en) 2015-03-04 2017-05-16 Otter Products, Llc Accessory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and cover
US9774713B2 (en) 2015-07-19 2017-09-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US9986805B2 (en) 2015-03-30 2018-06-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058155B2 (en) 2015-07-19 2018-08-2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US10103769B2 (en) 2014-01-07 2018-10-1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485312B2 (en) 2016-08-30 2019-11-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with stand
US10623043B2 (en) 2018-01-23 2020-04-1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10694835B2 (en) 2018-03-15 2020-06-3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0750844B2 (en) 2018-03-15 2020-08-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D897329S1 (en) 2019-07-02 2020-09-29 Otter Products, Llc Case for a smartphone
US11068030B2 (en) 2018-12-19 2021-07-20 Otter Products, Llc Stand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11633025B2 (en) 2020-06-26 2023-04-25 Otter Products, Llc Carrying case with stand
US11745670B2 (en) 2020-05-06 2023-09-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KR102582819B1 (ko) * 2023-03-16 2023-09-26 (주)코리아씨티씨 자동 개폐가 가능한 원터치 스마트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2830B2 (en) * 2011-03-14 2013-11-0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agnetic attachment system
US10882661B1 (en) 2013-08-27 2021-01-05 Concept Workshop Worldwide, Llc Devices and methods relating to modular storage
USD777718S1 (en) * 2015-02-16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20170068274A1 (en) * 2015-09-08 2017-03-09 Optelec Holding B.V. Display and hous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US10309128B2 (en) * 2016-08-11 2019-06-04 Carrington D. Horton Changeable lock cover
USD928770S1 (en) * 2019-09-26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26745S1 (en) * 2019-10-31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76246S1 (en) * 2020-09-08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993231S1 (en) * 2020-11-04 202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1014483S1 (en) * 2021-09-01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1014485S1 (en) * 2021-09-01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1037233S1 (en) * 2022-11-03 2024-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20250094759A1 (en) * 2023-02-07 2025-03-20 Michael Blackstone Biometric electronic card and case
USD1081642S1 (en) * 2023-09-22 2025-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1081641S1 (en) * 2023-09-22 2025-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44Y1 (ko) * 2012-11-13 2013-03-12 이춘식 휴대폰 케이스
KR101296178B1 (ko) 2013-06-10 2013-08-14 송인식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되는 커버 탈착용 클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227A (en) * 1916-02-19 1916-09-12 Charlotte Hinchey Door-holding means.
US2453021A (en) * 1946-11-27 1948-11-02 Konelsky Anna Handbag lock
US3260788A (en) * 1964-03-11 1966-07-12 Emerson & Cuming Inc Magnetic radio frequency seal for shielded enclosures
US3749301A (en) * 1972-05-15 1973-07-31 G Peckar Magnetically sealable container
US4021891B2 (en) * 1974-04-18 1987-09-08 Magnetic lock closure
US5088602A (en) * 1991-02-07 1992-02-18 Heyderman Mark B Book-like storage container for a videocassette or the like
GB2264975B (en) * 1992-03-02 1995-02-22 Toly Products Container catches
US5944368A (en) * 1997-06-12 1999-08-31 Hastings; Mark S. Door knob holding device
US20040183313A1 (en) * 2003-03-19 2004-09-23 Sherman Robert A. Display case with magnetic latch assembly
DE10345919B4 (de) * 2003-10-02 2009-11-05 Lämmermann, Gerd Insektenschutztür oder -fenster
TWI238309B (en) * 2004-01-29 2005-08-2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agnetic switch
US20050198904A1 (en) * 2004-03-12 2005-09-15 Browne Alan L. Active seal assemblies for movable windows
TW200601008A (en) * 2004-06-25 2006-01-0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apparatus and magnetic lock device thereof
CN1949672B (zh) * 2005-10-14 2011-03-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电池盖结构
FR2914002A1 (fr) * 2007-03-21 2008-09-26 Diam Europ Sa Dispositif de verrouilage
CN101325615B (zh) * 2007-06-13 2012-03-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盖体开启装置及具有盖体开启装置的便携式电子装置
CN101740738A (zh) * 2008-11-19 2010-06-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固定装置
CN101752524B (zh) * 2008-12-01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FR2968339A1 (fr) * 2010-12-06 2012-06-08 Maison Frerot Dispositif de deverrouill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44Y1 (ko) * 2012-11-13 2013-03-12 이춘식 휴대폰 케이스
KR101296178B1 (ko) 2013-06-10 2013-08-14 송인식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되는 커버 탈착용 클립체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1749B2 (en) 2014-01-07 2019-09-1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03769B2 (en) 2014-01-07 2018-10-1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01591U (ko) * 2014-11-05 2016-05-13 안권웅 스마트폰 보호커버용 방향 조절구
KR200481417Y1 (ko) * 2014-11-05 2016-09-29 안권웅 스마트폰 보호커버용 방향 조절구
US9654605B2 (en) 2015-03-04 2017-05-16 Otter Products, Llc Accessory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and cover
US10405623B2 (en) 2015-03-30 2019-09-1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986805B2 (en) 2015-03-30 2018-06-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206472B1 (en) 2015-03-30 2019-02-19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36716B2 (en) 2015-03-30 2018-11-27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6164350A1 (en) * 2015-04-08 2016-10-13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814289B2 (en) 2015-04-08 2017-11-1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993054B2 (en) 2015-04-08 2018-06-12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78903B2 (en) 2015-07-19 2019-01-1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10058155B2 (en) 2015-07-19 2018-08-2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US9807211B2 (en) 2015-07-19 2017-10-3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modular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9774713B2 (en) 2015-07-19 2017-09-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US10485312B2 (en) 2016-08-30 2019-11-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with stand
US10623043B2 (en) 2018-01-23 2020-04-1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11031969B2 (en) 2018-01-23 2021-06-0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10750844B2 (en) 2018-03-15 2020-08-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0694835B2 (en) 2018-03-15 2020-06-3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1068030B2 (en) 2018-12-19 2021-07-20 Otter Products, Llc Stand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D897329S1 (en) 2019-07-02 2020-09-29 Otter Products, Llc Case for a smartphone
US11745670B2 (en) 2020-05-06 2023-09-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11987183B2 (en) 2020-05-06 2024-05-2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11633025B2 (en) 2020-06-26 2023-04-25 Otter Products, Llc Carrying case with stand
KR102582819B1 (ko) * 2023-03-16 2023-09-26 (주)코리아씨티씨 자동 개폐가 가능한 원터치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6630B2 (en) 2015-12-08
US20150137533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10007366U (ko) 덮개 개방 없이 통화가 용이한 휴대용 통신기기보호케이스
KR200455692Y1 (ko) 배터리커버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120003703U (ko)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JP5689520B1 (ja) 携帯電話機用背面カバー
KR200473245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2140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10586B1 (ko) 스마트폰의 보호커버용 클립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88737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8639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40002815U (ko) 지갑 착탈형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140005628U (ko) 지갑이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239088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KR200470595Y1 (ko) 수납공간을 겸비한 스마트폰 인형케이스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101474960B1 (ko) 핸드폰 케이스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20160003982U (ko)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6114Y1 (ko) 모바일 기기 거치구
KR20130006049U (ko) 지갑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