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3523B1 - 차량용 에어 스프링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523B1
KR101393523B1 KR1020080054807A KR20080054807A KR101393523B1 KR 101393523 B1 KR101393523 B1 KR 101393523B1 KR 1020080054807 A KR1020080054807 A KR 1020080054807A KR 20080054807 A KR20080054807 A KR 20080054807A KR 101393523 B1 KR101393523 B1 KR 10139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air spring
airbag
vehicle
be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844A (ko
Inventor
신훈송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2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45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method or by the mounting arrangement, e.g. mounting of the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60G2202/314The spring being a pneumat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4Ball joints; Spherical suppor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스프링은,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하고 그 압축 공기의 배출을 통해 수축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축으로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에어백의 상부에 결합되어 차체로 연결되는 어퍼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차축과 연결되는 마운트 볼트가 상기 피스톤에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마운트 볼트 사이에 베어링유닛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가장치, 에어 스프링, 피스톤, 베어링유닛, 롤러 베어링, 회전, 비틀림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스프링 {AIR SPRING FOR VEHICL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에어식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스톤과 마운트 볼트의 고정 구조로 인한 에어백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 차량 또는 승용 차량의 에어식 현가 장치는 압축된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각각 조절하여 차체에 적재되는 하중에 따라 차량의 지상고를 적절하게 제어함과 더불어, 주행중 유발되는 차체의 거동 자세의 변화를 줄여 주행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식 현가 장치는 에어 스프링을 구비하는 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스프링은 도 3에서와 같이,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하고 그 압축 공기의 배출을 통해 수축하는 에어백(1)과, 에어백(1)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축과 연결되는 피스톤(3) 및, 에어백(1)의 상부에 결합되어 차체와 연결되는 어퍼 플레이트(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3)은 마운트 볼트(MB)를 통하여 차축으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피스톤(3)과 차축의 연결은 그 피스톤(3)에 형성된 탭 가공부(7)에 마운트 볼트(MB)가 체결되고, 그 마운트 볼트(MB)가 차축으로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마운트 볼트(MB)를 피스톤(3)의 탭 가공부(7)에 체결하는 조립 과정에서 에어백(1)과 결합된 피스톤(3)의 회전으로서 에어백(1)이 비틀리게 되며, 이로 인해 에어 스프링을 재조립 하는 등 에어 스프링의 재조립에 따른 작업 시간의 손실이 증가하게 되고, 조립 라인의 비가동율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피스톤(3)과 마운트 볼트(MB)가 탭 가공부(7)를 통해 고정됨으로 피스톤(3)의 상하 작동시 에어백(1)이 비틀리게 되어 전체 에어 스프링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되며, 이와 같은 품질 저하로 인해 고객의 불만이 가중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조립 과정 또는 피스톤의 상하 작동시 에어백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운트 볼트에 대하여 피스톤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에어 스프링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스프링은,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하고 그 압축 공기의 배출을 통해 수축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축으로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에어백의 상부에 결합되어 차체로 연결되는 어퍼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차축과 연결되는 마운트 볼트가 상기 피스톤에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마운트 볼트 사이에 베어링유닛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베어링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베어링 리테이너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유닛은 상기 마운트 볼트와 연결되며,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에 장착되는 롤러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볼트는 마운트 블록을 통하여 상기 롤러 베어링과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 의하면, 베어링유닛을 통하여 피스톤이 마운트 볼트에 대하여 회전하게 구성되므로, 조립 과정 또는 피스톤의 상하 작동시 에어백이 비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과정에서 에어백의 비틀림으로 인한 재조립의 작업 시간 및 조립 라인의 비가동율을 줄일 수 있으며, 전체 에어 스프링의 내구성 및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고, 품질 향상으로 인한 고객 만족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스프링(100)은 상용 차량 또는 승용 차량, 바람직하게는 트럭과 같은 상용 차량의 에어식 현가장치에 적용된다.
이러한 에어 스프링(100)은 공기의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고, 노면으로부터의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며, 또한 휠로부터 전달되는 불규칙 한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용 에어 스프링(100)은 기본적으로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 받아 팽창하고 그 압축 공기의 배출을 통해 수축하는 에어백(10: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에어 벨로우즈" 라고도 한다)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스프링(100)은 에어백(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축(미도시)으로 연결되는 피스톤(30: 당 업계에서는 "스프링 시트" 라고도 한다) 및, 에어백(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차체(미도시)로 연결되는 어퍼 플레이트(50: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스프링 컨투어" 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30)은 마운트 볼트(MB)를 통하여 차축으로 연결되며, 어퍼 플레이트(50)는 스틸 밴드(미도시)를 통하여 에어백(10)의 상부와 결합되며, 그 어퍼 플레이트(50)에는 압축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에어 주입구(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10), 피스톤(30) 및 어퍼 플레이트(50)는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에어 스프링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차량용 에어 스프링(100)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피스톤(30)이 마운트 볼트(MB)와 탭 고정됨으로 조립 라인의 조립 과정 또는 피스톤의 상하 작동시 에어백(10)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운트 볼트(MB)에 대하여 피스톤(30)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 스프링(100)은 피스톤(30)과 마운 트 볼트(MB) 사이에 구성되는 베어링유닛(70)을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유닛(70)은 외륜과 내륜 사이에 롤러가 구비된 통상적인 구조의 롤러 베어링(71)으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롤러 베어링(71)은 피스톤(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베어링 리테이너(33)에 장착되며, 마운트 블록(75)을 통하여 마운트 볼트(MB)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트 블록(75)은 롤러 베어링(71)이 피스톤(30)의 베어링 리테이너(33)에 장착된 상태로 그 롤러 베어링(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탭 가공이 이루어져 마운트 볼트(MB)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스프링(100)은 베어링유닛(70)을 통하여 피스톤(30)이 마운트 볼트(MB)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조립 라인의 조립 과정 또는 피스톤(30)의 상하 작동시 에어백(10)이 비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라인의 조립 과정에서 에어백(10)의 비틀림으로 인한 재조립의 작업 시간 및 조립 라인의 비가동율을 줄일 수 있으며, 전체 에어 스프링(100)의 내구성 및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고, 품질 향상으로 인한 고객 만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 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 스프링의 단면 구성도이다.

Claims (3)

  1.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하고 그 압축 공기의 배출을 통해 수축하는 에어백(10)과, 상기 에어백(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축으로 연결되는 피스톤(30) 및 상기 에어백(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차체로 연결되는 어퍼 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차축과 연결되는 마운트 볼트(MB)가 상기 피스톤(30)에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30)과 상기 마운트 볼트(MB) 사이에 베어링유닛(70)이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30)은 상기 베어링유닛(70)을 장착하기 위한 베어링 리테이너(3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유닛(70)은 상기 마운트 볼트(MB)와 연결되며,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33)에 장착되는 롤러 베어링(7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트 볼트(MB)는 마운트 블록(75)을 통하여 상기 롤러 베어링(71)과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 베어링(71)은 상기 피스톤(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33)에 장착되며, 상기 마운트 블록(75)을 통하여 마운트 볼트(MB)와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마운트 블록(75)은 롤러 베어링(71)이 피스톤(30)의 베어링 리테이너(33)에 장착된 상태로 그 롤러 베어링(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탭 가공이 이루어져 마운트 볼트(MB)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스프링.
  2. 삭제
  3. 삭제
KR1020080054807A 2008-06-11 2008-06-11 차량용 에어 스프링 Active KR10139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807A KR101393523B1 (ko) 2008-06-11 2008-06-11 차량용 에어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807A KR101393523B1 (ko) 2008-06-11 2008-06-11 차량용 에어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844A KR20090128844A (ko) 2009-12-16
KR101393523B1 true KR101393523B1 (ko) 2014-05-09

Family

ID=4168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807A Active KR101393523B1 (ko) 2008-06-11 2008-06-11 차량용 에어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5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316A (ja) 2005-01-12 2006-07-2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07033892A1 (de) 2005-09-24 2007-03-29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Gasfederanordnung
JP2008516161A (ja) 2004-10-07 2008-05-15 ツェットエフ フリードリッヒスハーフェン アーゲー ボールジョイントを備えた空気バ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161A (ja) 2004-10-07 2008-05-15 ツェットエフ フリードリッヒスハーフェン アーゲー ボールジョイントを備えた空気バネ
JP2006194316A (ja) 2005-01-12 2006-07-2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07033892A1 (de) 2005-09-24 2007-03-29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Gasfeder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844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95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 two-track vehicle
AU4093297A (en) Beam-type axle suspension system
EP0974476B1 (en) Spring seat fixing structure for a hydraulic shock absorber
CN108706055B (zh) 一种重卡驾驶室前悬置装置及汽车
CN212685145U (zh) 一种新型空气悬架系统及含有该系统的汽车
US7758057B2 (en) Independent suspension with chassis-stiffening pneumatic or hydraulic suspension parts
KR101884912B1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 장치
KR101393523B1 (ko) 차량용 에어 스프링
KR200334830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CN217270705U (zh) 用于安装打气泵的减震座及打气泵总成
KR20030040959A (ko) 차량용 공기 스프링
CN109808436B (zh) 车用空气悬挂系统
US20060049605A1 (en) McPherson front corner module assembly with banana or s-shaped spring
US6361029B1 (en) Vibration damper
CN112455172A (zh) 一种新型空气悬架系统及含有该系统的汽车
CN220869943U (zh) 一种轻量化高性能减震器顶胶
KR101512363B1 (ko) 에어 베어링을 포함하는 에어 스프링 현가장치
CN113059974A (zh) 一种复合材料板簧保护装置
KR20120030850A (ko) 에어 서스펜션의 탑 마운트
KR20130052791A (ko) 자동차용 공기스프링
CN221851656U (zh) 一种吸能降噪减振装置及含其的前滑柱总成
CN211055255U (zh) 一种适用于福田欧曼etx的驾驶室后悬浮支架
US20230076886A1 (en) Easily Retrofittable Air Suspension Bracket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CN211847040U (zh) 一种叉车用具有缓冲减震底座的油缸
KR20030030067A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 에어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6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