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3242B1 -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242B1
KR101393242B1 KR1020070033305A KR20070033305A KR101393242B1 KR 101393242 B1 KR101393242 B1 KR 101393242B1 KR 1020070033305 A KR1020070033305 A KR 1020070033305A KR 20070033305 A KR20070033305 A KR 20070033305A KR 101393242 B1 KR101393242 B1 KR 101393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nductive
conductive layer
antenna
layer
signal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152A (ko
Inventor
유기종
조범준
김경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2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2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전도층을 포함하며 투명 전도층의 면적이 전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터치스크린과, 투명 전도층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안테나, 터치스크린, 투명 전도층, 신호선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MOBILE TERMINAL}
도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터치스크린과 안테나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입력장치 60:안테나
100:터치스크린
110:상판 112a:표시영역
120:상부 투명 전도층 122a, 122b, 122c:상부 금속 전극
130:상부 보완층 140:하부 투명 전도층
142a, 142b, 142c:하부 금속 전극
150:하부 보완층 160:하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안테나가 필요하다. 안테나의 성능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을 좌우한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형태와 성능이 매우 다양하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안테나의 특성도 달라진다.
본 발명은 방사성능이 우수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투명 전도층을 포함하며 투명 전도층의 면적이 전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전도층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제어부(10), 메모리부(20), 오디오 처리부(30), 이동통신모듈(40), 키 버튼(50), 안테나(60) 및 터치스크린(100)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들(10, 20, 30, 30, 50, 60)는 버스(bus, 70)에 의해 연결된다.
제어부(10)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메모리부(2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 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오디오 처리부(30)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를 입출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3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을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하거나, 각종 정보나 명령을 마이크(MIC)를 통해 오디오로 입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이동통신모듈(40)은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이다.
입력장치(5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입력장치(50)는 키버튼, 터치 패드 등일 수 있다.
안테나(60)는 이동통신모듈(4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신하거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이동통신모듈(40)이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안테나(60)는 단말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장형 안테나이다.
터치스크린(100)은,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외부로부터 특정 부위가 터치됨으로써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터치스크린와 안테나 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터치스크린(100)와 안테나(60)을 포함하고 있다.
터치스크린(100)에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 및 입력장치(50)가 형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은 상판(110)과, 투명 전도층(120, 140), 하판(160), 상하부 보완층(130, 150)을 포함한다. 투명 전도층은 상부 투명 전도층(120) 및 하부 투명 전도층(140)을 포함한다.
상판(100)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부에 탑재되되, 상면 전 영역에 구비되거나, 상면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판(110)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표시 영역(viewing area, 112a)과, 표시 영역(112a) 주변부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영역(도면부호 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판(110)의 재질은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판(110)에는 마이크(MIC), 스피커(SPK) 및 입력장치(50)를 장착하기 위한 통공이 존재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부 투명 전도층(120) 및 하부 투명 전도층(140)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층의 면적은 터치스크린(100)의 상판(110)의 전체 면적보다 작다. 이것은 투명 전도층(120, 140)에 유기되는 전류층으로 인하여 안테나(60)의 방사 성능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 투명 전도층(120) 및 하부 투명 전도층(140)의 면적이 터치스크 린(100)의 상면(110)의 전체 면적보다 작거나, 상부 투명 전도층(120) 및 하부 투명 전도층(140) 중의 어느 하나의 면적이 터치스크린(100)의 상면(110)의 전체 면적보다 작을 수도 있다.
상부 투명 전도층(120)은 상판(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 투명 전도층(140)은 상부 투명 전도층(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투명 전도층(120) 및 하부 투명 전도층(140)은 ITO(Indium-Tin-Oxide), IZO(Indium-Zinc-Oxide), ITZO(Indium-Tin-Zinc-Oxide) 등 투과성 전도층일 수 있다.
상부 투명 전도층(120)에는 상부 금속 전극(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상부 금속 전극은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영역의 하부에 3개의 금속 전극(122a, 122b, 122c)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금속 전극(122a, 122b)은 상부 투명 전도층(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금속 전극(122c)은 금속전극(122b)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상부 투명 전도층(12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부 투명 전도층(120)과 금속전극(122c) 사이에는 절연막(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상부 투명 전도층(120)에 전압을 인가하고 임의의 접촉된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 값을 읽어내기 위한 상부 신호선(124)이 구비된다. 한편, 상부 신호선(124)은 통상적으로 연성회로기판(FPC)에 인쇄되어 형성된다.
상부 신호선(124)은 데드 스페이스 영역(도면부호 미부여) 하부에서 금속 전극(122c)을 통하여 금속 전극(122a, 122b)과 연결된다. 한편, 상부 신호선(124)은 안테나(60)와 가능한 멀리 떨어진 영역을 통과한다. 상부 신호선(124)은 안테 나(60)의 상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통과한다. 즉, 상부 신호선(124)은 안테나(60)의 상부 영역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투명 전도층(140)의 상면에는 하부 금속 전극(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하부 금속 전극(도면 부호 미부여)은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하부에서 하부 투명 전도층(140)과 연결되도록 2개의 금속 전극(142a, 142b)이 형성되고, 금속 전극(142a, 142b)에는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하부에서 또 다른 금속 전극(142c)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금속 전극(142c)은 상부 금속 전극(122c)과 마찬가지로 하부 투명 전도층(14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부 투명 전도층(140)과 하부 금속 전극(142c) 사이에는 절연막(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금속 전극(142a, 142b, 142c) 안쪽에는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146)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투명 전도층(140)에 전압을 인가하고 임의의 접촉된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 값을 읽어내기 위한 하부 신호선(144)이 구비된다. 한편, 하부 신호선(144)은 통상적으로 연성회로기판(FPC)에 인쇄되어 형성된다.
하부 신호선(144)은 데드 스페이스 영역 하부에서 금속 전극(142c)을 통해 금속 전극(142a, 142b)과 연결된다. 하부 신호선(144)은 상부 신호선(124)과 마찬가지로 안테나(60)의 상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통과한다. 즉, 하부 신호선(144)은 안테나(60)의 상부 영역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신호선(144)도 통상적으로 연성회로기판(FPC)에 인쇄되어 형성되므로, 상부 신호선(124)과 하부 신호선(144)은 통상적으로 연성회로기판의 상하부 면에 각각 인쇄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연성회로기판(FPC)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신호선(124) 및 하부 신호선(144)은 상부 투명 전도층(120) 및 하부 투명 전도층(140)에 상부 금속 전극(122a, 122b, 122c) 및 하부 금속 전극(142a, 142b, 142c)를 통하여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을 인가하거나, 상부 투명 전도층(120)과 하부 투명 전도층(140)이 일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접촉되었을 때 상부 투명 전도층(120)과 하부 투명 전도층(140)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 신호선(124) 및 하부 신호선(144)이 안테나(60)의 상부 영역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60)의 방사성능이 좋아진다.
하판(160)은 하부 투명 전도층(140)의 하부에 형성된다. 하판(160)의 재질은 상판(110)과 마찬가지로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안테나(60)는 방사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투명 전도층(120, 14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60)는 상부 투명 전도층(120) 및 하부 투명 전도층(140)이 형성되지 않는 위치에 상판(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안테나(60)는 터치스크린(100)의 측부, 특히, 투명 전도층(120, 140)이 형성되지 않은 측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 보완층(130)은 상판(110)의 하부 중 상부 투명 전도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보완층(130)은 부도체이다. 상부 보완층(130)은 상부 투명 전도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판(110)과 하판(160) 사이의 갭(gap)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하부 보완층(150)은 상판(110)의 하부 중 하부 투명 전도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보완층(150)은 상부 보완층(130)과 마찬가지로 부도체로 형성되며, 상판(110)과 하판(160) 사이의 갭(gap)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상부 투명 전도층(120) 및 하부 투명 전도층(140)에는 스피커(SPK) 장착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보완층(130) 및 하부 보완층(150)에는 마이크(MIC)와 입력장치(50)를 장착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판(160)에는 마이크(MIC), 스피커(SPK) 및 입력장치(50)를 장착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60)의 상부에 전류가 흐르는 투명 전도층(120, 140)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 안테나(60)의 방사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투명 전도층(120, 140) 대신에 상하부 보완층(130, 150)을 형성하므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 실시예에서 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동통신단말기는 바 타입 이외에도 폴더나 슬라이딩, 풀립 타입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의 방사 성능이 좋은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투명 전도층과 부도체인 보완층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전도층의 면적이 전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터치스크린과;
    상기 투명 전도층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된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보완층은 상기 안테나의 방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투명 전도층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투명 전도층과 이웃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판과 하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투명 전도층과 상기 보완층은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투명 전도층에 형성된 금속 전극과, 상기 금속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을 통과하는 신호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층은 ITO(Indium-Tin-Oxide), IZO(Indium-Zinc-Oxide), ITZO(Indium-Tin-Zinc-Oxid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터치입력되는 영역과 터치입력되지 않는 영역을 갖는 전면부와;
    상기 터치입력되는 영역 부위에 대향하여 설치된 투명전도층과 부도체인 보완층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입력되지 않는 영역 부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보완층은 상기 안테나의 방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투명 전도층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투명 전도층과 이웃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은 상기 안테나의 방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의 상부 영역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33305A 2007-04-04 2007-04-04 이동통신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39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305A KR101393242B1 (ko) 2007-04-04 2007-04-04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305A KR101393242B1 (ko) 2007-04-04 2007-04-04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152A KR20080090152A (ko) 2008-10-08
KR101393242B1 true KR101393242B1 (ko) 2014-05-08

Family

ID=4015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3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3242B1 (ko) 2007-04-04 2007-04-04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016B1 (ko) * 2010-06-04 2017-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 안테나의 제조방법
CN102331871B (zh) * 2010-07-13 2016-01-20 上海晨兴希姆通电子科技有限公司 带有收音机内置天线的触摸屏及其制造工艺及电子装置
US9184502B2 (en) * 2010-12-22 2015-11-10 Intel Corporation Antenna integrated into a touch sensor of a touchscreen display
EP2728449B1 (en) 2011-07-01 2018-12-26 Huawei Device (Dongguan) Co., Ltd. Terminal with a touch screen including an fm antenn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uchscre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9851A (ja) * 2003-11-27 2005-06-16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9851A (ja) * 2003-11-27 2005-06-16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152A (ko)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67151B (zh) 电子设备
US11569561B2 (en) Antenna having single non-conductive por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147998B2 (en) Interface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07544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mechanism
US7940251B2 (en) Input device
US9367155B2 (en) Touch panel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JP5666289B2 (ja) 電子機器
CN108281767B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208738425U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KR101410175B1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CN108736134B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108092009A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KR20190098889A (ko) 표시 장치
CN108649335A (zh) 天线组件、电子设备及天线切换方法
KR20130037909A (ko) 휴대 기기의 키 입력 장치
KR101393242B1 (ko) 이동통신단말기
CN109346828B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208738416U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109066056B (zh) 天线组件以及电子设备
US8712465B2 (en) Mobi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utilizing operation portions, conductive portion, operation detecting unit, power supply unit, and signal processing unit
JPWO2009048127A1 (ja) 情報端末装置
US999620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TO electrode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31981A (ko) 휴대용 단말기
KR100968856B1 (ko) 키 입력장치
KR20150014723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3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4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