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2911B1 - 이물질 채집 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채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911B1
KR101392911B1 KR1020070022178A KR20070022178A KR101392911B1 KR 101392911 B1 KR101392911 B1 KR 101392911B1 KR 1020070022178 A KR1020070022178 A KR 1020070022178A KR 20070022178 A KR20070022178 A KR 20070022178A KR 101392911 B1 KR101392911 B1 KR 10139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handle
cap
circulating duct
fil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744A (ko
Inventor
유상희
배종득
장보영
박영배
김지맹
정수진
조애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911B1/ko
Priority to CNA2007103001487A priority patent/CN101177907A/zh
Priority to US12/041,921 priority patent/US20080216523A1/en
Priority to DE102008012648A priority patent/DE102008012648B4/de
Publication of KR2008008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9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는,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의 필터 유닛이 세탁조의 안쪽으로 노출되지 않아 세탁물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이나 필터 유닛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를 모듈화하여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채집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FOREIGN MATERIAL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채집 장치가 구비된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를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이물질 채집 장치를 정면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이물질 채집 장치를 정면에서 보인 조립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이물질 채집 장치를 측면에서 보인 Ⅰ-Ⅰ선 종단면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이물질 채집 장치의 세탁수 순환덕트를 후면에서 보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따른 이물질 채집 장치의 캡과 핸들의 조립상태에 대한 실시예들을 후면에서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Ⅱ-Ⅱ선 종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따른 이물질 채집 장치에서 필터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이물질 채집 장치에서 캡과 핸들의 조립방식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세탁기 110 : 케비닛
120 : 탑커버 130 : 리드
140 : 저수조 150 : 세탁조
160 : 펄세이터 170 : 컨트롤패널
180 : 세제박스 190 : 구동유닛
200 : 이물질 채집 장치 210 : 세탁수 순환덕트
211 : 세탁수 안내돌기 212 : 세탁수 유입구
213 : 커버 안착홈 214 : 후크홈
220 : 필터 커버 221 : 캡
221a : 후크 삽입홈 221b : 핸들 걸림돌기
222 : 핸들 222a : 필터 고정돌기
223 : 미세 통공 224 : 배수공
225 : 핸들 고정리브 226 : 필터 고정리브
228 : 핸들 몸체 228a : 확장부
228b : 고정홈 229 : 후크돌기
230 : 필터 유닛 231 : 전면 필터
231a : 메쉬망 231b : 필터 고정홈
232 : 후면 필터 235 : 프레임
236 : 포집망 F : 세탁수 안내유로
M : 인서트 몰딩
본 발명은 이물질 채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에 적용되는 이물질 채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가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방식과,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방식은 세탁조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이 세탁조의 내벽면과 마찰되거나 낙하되는 과정에서 세탁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펄세이터 방식은 펄세이터가 회전하면서 수류를 발생시키고 이 수류와 세탁물이 마찰되거나 상기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충격을 가해 세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 중에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보푸라기와 같은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이물질 채집 장치가 상기 세탁조의 상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는 통상 세탁조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프레임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포집망이 부착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은 세탁조에 착탈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사각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집망은 세탁수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도록 소정의 개구율을 갖는 메쉬형상의 섬유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물질 채집 장치가 마련된 세탁기는, 그 세탁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펄세이터가 회전하여 수류가 발생되고, 이 수류에 의해 세탁수는 상기 세탁 조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이 상승된 세탁수는 이물질 채집 장치를 거쳐 상기 세탁조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를 거치는 세탁수에는 보푸라기와 같이 세탁물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이 섞이게 되나, 이 이물질은 세탁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의 포집망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걸러지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 장치는, 상기 포집망이 세탁조의 안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그 포집망이 세탁물과 반복 접촉되면서 세탁물이나 포집망이 훼손되거나 상기 프레임이 탈거될 우려가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이물질 채집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상기 포집망과 세탁물이 마찰되지 않도록 하여 그 포집망이나 세탁물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채집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 상기 포집망의 설치시 물빠짐이 좋으면서도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이물질 채집 장치를 제공하려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개의 세탁수 유입구가 형성되어 세탁조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세탁수 순환덕트; 상기 세탁수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에 장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세 탁수 순환덕트와 필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포집망;를 포함한 이물질 채집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채집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채집 장치가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에 적용된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채집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비닛(110)과, 상기 케비닛(110)의 상측부에 안착되는 탑커버(120)와, 상기 탑커버(120)의 상측부에 안착되어 후술할 세탁조(150)를 개폐하는 리드(130)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저수조(140)가 설치되고, 상기 저수조(140)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채워져 회전하면서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조(150)가 설치되며, 상기 세탁조(150)의 저면에는 세탁수를 휘저어 주는 펄세이터(160)가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150)의 내벽 일측에는 이물질 채집 장치(2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120)의 일측에는 상기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70)이 설치되고, 상기 탑커버(120)의 내측 경사면에는 세제 박스(180)가 삽입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90은 구동유닛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세탁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상기 세탁조(150) 내부에 세탁물을 적치한 뒤 상기 컨트롤 패널(170)에 장착된 코스 선택 버튼 등을 눌러서 세탁 조건을 입력한다. 그리고, 작동 버튼을 눌러서 세탁 과정이 시작되도록 하면,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150) 내부로 흘러들어오게 되고, 세탁수가 설정 수위까지 차게 되면 상기 펄세이터(160)가 회전하면서 세탁이 시작된다.
상기 펄세이터(160)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수에 원심력이 작용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는 상기 세탁조(150)의 내벽쪽으로 밀려 그 세탁조(150)의 내벽을 따라 원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150)와 펄세이터(160)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함에 따라 수류와 세탁물이 서로 뒤섞이면서 세탁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탁수는 세탁조(15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환하면서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200)를 통과하게 되고, 이 이물질 채집 장치(2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세탁수의 내부에 섞여 있던 보푸라기와 같은 기타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200)에서 걸러지게 된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채집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채집 장치(200)는 세탁조(15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세탁수 순환덕트(210)와,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2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커버(220)와, 상기 필터 커버(220)의 배면에 배치되어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유닛(230)이 포함된다.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210)는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세탁조(150)의 내벽면과 대략 동일한 사각판체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배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세탁조(150)의 내주면과 함께 세탁수 안내유로(F)를 이루도록 세탁수 안내돌기(211)가 대략 수직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210)의 대략 중간 높이에는 상기 세탁수 안내유로(F)의 내측에 적어도 한 개의 세탁수 유입구(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수 유입구(212)의 전면 주변에는 상기 필터 커버(2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커버 안착홈(213)이 형성되고, 그 커버 안착홈(213)의 상하 양측에는 후술할 핸들(222)의 후크돌기(229)가 착탈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홈(2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후크돌기와 후크홈은 서로 반대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탁수 유입구(212)는 상기 필터 유닛(230)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필터 유닛(23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 유닛(230)이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전면 필터(231)와 후면 필터(232) 사이에 이물질 채집공간(S)을 갖는 사각박스 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후면 필터(232)의 두께만큼 이물질 채집공간을 늘리기 위해 상기 세탁수 유입구(212)의 하측에 상기 필터 유닛(230)의 후면 필터(2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터 삽입홈(215)이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필터 커버(22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210)의 세탁수 유입구(212)를 복개하는 캡(221)과, 상기 캡(221)에 결합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210)에 착탈되는 핸들(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221)은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원반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상반부에는 반경방향으로 나열된 작은 미세 통공(223)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 되는 반면 그 하반부에는 반경방향으로 나열된 배수공(224)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221)의 배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핸들(222)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핸들 고정리브(225)가 형성되고, 상기 캡(221)의 배면측 상단과 하단에는 후술할 핸들(222)의 후크돌기(229)가 삽입되도록 후크 삽입홈(221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후크삽입홈(221a)의 내측면 양측에는 상기 핸들(222)이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핸들 걸림돌기(221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핸들 고정리브(225)는 도 7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또는 원호형 단면 모양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핸들(222)의 고정홈(228b)에 압입될 수 있도록 단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거나,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핸들(222)이 상기 핸들 고정리브(225)의 사이에 끼여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핸들 고정리브(225)가 원형 또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222)의 내측과 외측에 두 줄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 고정리브(225)의 끝단은 도 9에서와 같이 그 핸들 고정리브(225)가 후술할 핸들(222)의 고정홈(228b)에 삽입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쐐기모양으로 확장된 걸림돌기(22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222)은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원형 띠 모양으로 핸들몸체(228)가 형성되고, 그 핸들몸체(228)의 상하 양측에는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210)의 후크홈(21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돌기(229)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몸체(228)의 적당 개소에는 확장부(228a)가 형성되고, 그 확장부(228a)에는 상기 캡(221)의 핸들 고정리브(22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228b) 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222)은 상기 캡(22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복적인 착탈 동작과 착탈 동작시 탄력적으로 복원되어 결합력이 높아질 수 있도록 가급적 상기 캡보다는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캡(221)은 경질인 피씨(PC)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222)은 연질인 피오엠(POM)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유닛(230)은 도 3에서와 같이 전면 필터(231)와 배면 필터(232)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222)에 결합되거나 또는 도 10에서와 같이 프레임(235)과 포집망(236)으로 이루어져 상기 캡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 유닛(230)이 메쉬망(231a)을 구비한 전면 필터(231)와 평판으로 된 배면 필터(232)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전면 필터(231)와 배면 필터(232)가 상단은 개구되고 좌우 양측과 하측은 닫힌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면 필터(또는, 배면 필터)(231)의 양쪽 외측면에 상기 핸들몸체(222)의 필터 고정돌기(222a)가 요철 결합될 수 있도록 필터 고정홈(231b)이 형성된다. 반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 유닛(230)이 프레임(235)과 포집망(236)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프레임(235)이 상기 캡(220)의 배면에 구비되는 필터 고정리브(22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16은 덕트 고정돌기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물질 채집 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즉, 상기 캡(221)의 핸들 고정리브(225)에 상기 핸들(222)의 고정홈(228b)을 끼우는 동시에 상기 핸들(22)의 후크돌기(229)가 상기 캡(221)의 후크 삽입 홈(221a)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핸들(222)이 캡(221)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후크 삽입홈(221a)의 좌우 양측에는 후크 걸림돌기(221b)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핸들(222)의 핸들 몸체(228)와 후크돌기(229) 사이의 연장부를 걸어 상기 핸들(222)의 상하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 핸들(222)의 필터 고정홈(222a)에는 상기 전면 필터(231)의 필터 고정돌기(231b)가 요철 결합되어 상기 필터 유닛(230)이 필터 커버(220)와 한 덩어리로 묶여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210)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유닛(230)이 망필터인 경우에는 그 망필터의 프레임(235)이 상기 필터 커버(220)의 캡(221)에 구비된 필터 고정리브(226)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핸들(222)의 후크돌기(229)를 엄지와 검지로 파지한 상태에서 그 후크돌기(229)를 눌렀다가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210)의 후크홈(214)에 대고 놓으면, 상기 후크돌기(229)가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후크홈(214)에 끼워져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 유닛(230)은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210)와 필터 커버(2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 채집 장치가 조립된 세탁기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과정을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펄세이터(160)가 회전을 하여 수류를 발생시키면, 그 수류에 의한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세탁조(150)의 내벽면쪽으로 밀려나고, 이 세탁수는 상기 세탁조(150)의 내벽면에 장착된 세탁수 순환덕트(210)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이 세탁수 순환덕트(210)를 따라 상승하던 세탁수는 그 세탁수 순환턱트(210)의 중 간 높이에 형성된 세탁수 유입구(212)를 통해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2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200)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전면 필터(231)와 배면 필터(232) 사이로 안내되어 이물질은 상기 전면 필터(231)에 구비된 메쉬망(231a)에 걸러져 남고 세탁수는 그 메쉬망(231a)과 상기 캡(221)의 배수공(224)을 통해 상기 세탁조(150)의 내부로 순환 유입되는 것이다.
이렇게 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200)가 조립되는 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상기 필터 유닛(230)을 분리시키고, 그 필터 유닛(230)에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이물질 채집 장치(200)를 조립하여 세탁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채집 장치의 필터 커버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 커버(220)를 이루는 캡(221)과 핸들(22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는 상기 캡(221)과 핸들(222)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캡(221)의 핸들 고정리브(225)에 상기 핸들(222)의 고정홈(228b) 또는 상기 핸들 몸체(228)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를 결합부위에 부어 인서트 몰딩(M)으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캡(221)과 핸들(222)은 그 형상과 재질은 전술한 일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캡(221) 과 핸들(222)을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인서트 몰딩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221)과 핸들(222)이 일체로 결합되어 세탁중에 상기 캡(221)과 핸들(222)이 탈거되면서 세탁작업을 저해하거나 상기 필터 유닛(230)이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는,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의 필터 유닛이 세탁조의 안쪽으로 노출되지 않아 세탁물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이나 필터 유닛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를 모듈화하여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한 개의 세탁수 유입구가 형성되어 세탁조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세탁수 순환덕트; 상기 세탁수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에 장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와 필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의 세탁수 유입구를 복개하는 캡과, 상기 캡에 결합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에 장착되는 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과 핸들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이물질 채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캡 보다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이물질 채집 장치.
  5. 적어도 한 개의 세탁수 유입구가 형성되어 세탁조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세탁수 순환덕트; 상기 세탁수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에 장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와 필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의 세탁수 유입구를 복개하는 캡과, 상기 캡에 결합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에 장착되는 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핸들 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에는 상기 핸들 고정리브가 삽입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이물질 채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리브의 끝단은 쐐기모양으로 확장 형성되는 이물질 채집 장치.
  7. 적어도 한 개의 세탁수 유입구가 형성되어 세탁조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세탁수 순환덕트; 상기 세탁수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에 장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와 필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의 세탁수 유입구를 복개하는 캡과, 상기 캡에 결합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에 장착되는 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에는 복수 개의 핸들 고정리브가 내외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그 양측 핸들 고정리브 사이에 상기 핸들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이물질 채집 장치.
  8. 적어도 한 개의 세탁수 유입구가 형성되어 세탁조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세탁수 순환덕트; 상기 세탁수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에 장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와 필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의 세탁수 유입구를 복개하는 캡과, 상기 캡에 결합되어 상기 세탁수 순환덕트에 장착되는 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에 핸들이 인서트 몰딩되어 고정 결합되는 이물질 채집 장치.
KR1020070022178A 2007-03-06 2007-03-06 이물질 채집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9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178A KR101392911B1 (ko) 2007-03-06 2007-03-06 이물질 채집 장치
CNA2007103001487A CN101177907A (zh) 2007-03-06 2007-12-16 洗衣机异物采集装置
US12/041,921 US20080216523A1 (en) 2007-03-06 2008-03-04 Foreign materials filtering apparatus
DE102008012648A DE102008012648B4 (de) 2007-03-06 2008-03-05 Fremdsubstanzen-Filter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178A KR101392911B1 (ko) 2007-03-06 2007-03-06 이물질 채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744A KR20080081744A (ko) 2008-09-10
KR101392911B1 true KR101392911B1 (ko) 2014-05-12

Family

ID=3940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1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2911B1 (ko) 2007-03-06 2007-03-06 이물질 채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16523A1 (ko)
KR (1) KR101392911B1 (ko)
CN (1) CN101177907A (ko)
DE (1) DE102008012648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8996A (ja) * 2015-03-23 2016-10-13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WO2022169221A1 (ko) * 2021-02-04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2209351B2 (en) 2021-02-04 2025-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917B1 (ko) * 2007-03-06 2014-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1432585B1 (ko) * 2007-03-06 2014-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의 청소방법
KR101348718B1 (ko) 2007-03-06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360205B1 (ko) * 2007-03-06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1348719B1 (ko) 2007-03-06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MX2009002334A (es) * 2009-02-27 2010-04-13 Mabe Sa De Cv Sistema de lavado de alta eficiencia energetica.
US8601836B2 (en) * 2009-07-31 2013-12-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20160059489A (ko) * 2014-11-07 2016-05-2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방법
AU2017230177B2 (en) * 2016-03-10 2019-07-0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2639680B1 (ko) * 2016-12-23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10295487B (zh) * 2018-03-23 2023-05-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过滤盖组件
CN111979712B (zh) * 2019-05-21 2024-12-10 青岛海尔洗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
TR201908898A2 (tr) * 2019-06-14 2020-12-21 Arcelik As Fi̇ltreleme elemani i̇çeren bi̇r çamaşir maki̇nes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091A (ja) * 1998-01-29 1999-08-03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100316996B1 (ko) * 1999-08-30 2001-12-22 구자홍 전자동세탁기의 실밥채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9305A (en) * 1956-12-05 1960-06-07 Gen Motors Corp Lint filter for washing machine
US3040552A (en) * 1960-12-29 1962-06-26 Whirlpool Co Lint filter for use with washing machines
US3240345A (en) * 1963-02-06 1966-03-15 Whirlpool Co Filter
US4362047A (en) * 1981-02-23 1982-12-07 Gelman Sciences Inc. Filter device for cigarette testing
TW366015U (en) * 1997-08-16 1999-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ID20692A (id) * 1997-08-16 1999-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untuk mesin cuci
KR100223415B1 (ko) * 1997-08-16 1999-10-15 윤종용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역류차단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091A (ja) * 1998-01-29 1999-08-03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100316996B1 (ko) * 1999-08-30 2001-12-22 구자홍 전자동세탁기의 실밥채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8996A (ja) * 2015-03-23 2016-10-13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WO2022169221A1 (ko) * 2021-02-04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2209351B2 (en) 2021-02-04 2025-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7907A (zh) 2008-05-14
DE102008012648B4 (de) 2012-07-26
US20080216523A1 (en) 2008-09-11
DE102008012648A1 (de) 2008-10-02
KR20080081744A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911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KR101441917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1360205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1348718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348719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US7882715B2 (en) Method for cleaning foreign materials filtering apparatus
KR101332286B1 (ko) 세탁기
US20110047714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10161280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5919091B2 (ja) 洗濯機
JP2009225871A (ja) 洗濯機
KR100751781B1 (ko) 드럼세탁기의 보풀 제거구조
KR101115218B1 (ko)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 장치
KR1016204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70063996A (ko) 드럼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 장치
KR100215820B1 (ko) 전자동 세턱기의 실밥 채집장치
KR101115776B1 (ko)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 장치
JP6663398B2 (ja) 洗濯乾燥機
KR100353027B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TWI677610B (zh) 洗衣烘乾機
CN118957953A (zh) 一种毛屑收集装置和衣物处理设备
CN114108249A (zh) 洗衣机洗涤压盖及洗衣机
WO2024208000A1 (zh) 排水过滤器和洗衣机
KR101250548B1 (ko)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 장치
KR20070059411A (ko) 세탁기의 순환 필터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