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847B1 - Booster pump combined with water hammer preventive equipment - Google Patents
Booster pump combined with water hammer preventiv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2847B1 KR101392847B1 KR1020120100589A KR20120100589A KR101392847B1 KR 101392847 B1 KR101392847 B1 KR 101392847B1 KR 1020120100589 A KR1020120100589 A KR 1020120100589A KR 20120100589 A KR20120100589 A KR 20120100589A KR 101392847 B1 KR101392847 B1 KR 1013928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air
- pressure
- pipe
- intak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7/00—Pumps displacing fluids by using inertia thereof, e.g. by generating vibrations therein
- F04F7/02—Hydraulic ra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65—Arrangements for producing propulsion of gases or vapours
- F17D1/07—Arrangements for producing propulsion of gases or vapours by 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의 수격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와 관로의 급수를 위한 가압펌프를 구비한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는, 관로와 연결되어 저수조의 물을 가압하여 상기 관로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펌프가 구비된 가압펌프부와; 내부에 물과 공기가 채워진 압력탱크로서,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관로 내에서 발생되는 수격을 흡수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의 수위를 유지시키기 위해 공기의 보충을 수행하는 용기로서, 상부로는 공기보충배관을 매개로 흡배기밸브와 연결되며, 하부 일측으로는 관로와 연결되고, 하부 타측으로는 저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관로와의 개폐에 따른 제어를 통해 상기 가압탱크 내로 공기를 보충하는 공기보충장치와; 흡기부와 배기부로 구분되어 서로 연통되며, 상기 흡기부는 외부 대기와 공기보충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보충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공기보충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보충장치와 상기 가압탱크를 연결하는 흡배기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pump combined with a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ure pump combined with a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the water hammer and a pressurizing pump for supplying water to the pipe.
The pressure pump includes a pressure pump unit connected to a conduit and having at least one pressure pump for pressurizing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conduit; A pressure tank filled with water and air, the pressure tank being connected to the conduit and absorbing a water hammer generated in the conduit;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intake / exhaust valve through an air replenishing pipe,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pipe,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water reservoir for maintaining the water level of the pressurizing tank. An air replenishing device for replenishing air into the pressurizing tank through control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pipe; And the air intake part is connected to the air replenishing device through an outside air and an air replenishing pipe, and the exhaust part connects the air replenishing device and the pressure tank through the air replenishing pipe And an intake and exhaust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의 수격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와 관로의 급수를 위한 가압펌프를 구비한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도 5는 급수구역의 가압 공급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5 shows a pressurized feed system of a water supply zone.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역의 가압 공급 시스템은 취수원(51)과, 취수원(51)으로부터 물을 가압하여 도수관(52)을 따라 이송시키는 취수펌프(53)와, 도수관(52)의 수격을 방지하기 위한 수격방지설비(54)와, 취수원(51)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수도용으로 정수하는 정수장(55)과, 정수된 물을 가압하여 송수관(56)을 따라 이송시키는 송수펌프(57)와, 송수관(56)의 수격을 방지하기 위한 수격방지설비(58)와, 정수장(55)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시 저장하는 저수조(59)와, 저수조(55)에 저수된 물을 가압하여 급수관(60)을 통해 급수지역으로 보내는 가압펌프(61)와, 급수관(60)의 수격을 방지하기 위한 수격방지설비(62)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surization supply system of the water supply zone includes a
취수펌프(53), 송수펌프(57) 및 가압펌프(61)는 저수된 물을 관로를 따라 목적지까지 공급하기 위한 가압펌프로서 가압식 공급시스템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장치가 된다.The
이와 함께 수격방지설비(54, 58, 62)는 고압의 대형펌프를 사용하여 생산된 물을 사용처까지 송수하는 설비에서 파이프 라인에 생길 수 있는 워터 햄머링(Water Hammering, 물이 역류하여 관벽이나 밸브 등을 강하게 때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완화 장치로서 가압펌프방식에 있어서 필수적인 장치가 된다.In addition, the water hammer prevention facilities (54, 58, 62) are water hammer (water hammer)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pipeline in a facility for sending water produced by using a high-pressure large- And the like), which is an essential device in the pressure pump system.
하지만, 종래의 상수도 급수 시스템에서는 취수원(51)에서 정수장(55) 또는 정수장(55)에서 저수조(59) 또는 저수조(59)에서 급수지역까지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가압펌프들(53, 57, 61)이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그 후단에는 수격방지를 위한 수격방지설비들(54, 58, 62)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이중의 설치 문제가 대두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ap water supply system, the pressurizing
또한, 수격방지설비들(54, 58, 62)은 가압탱크를 사용하게 되는 데, 가압탱크내에 공기를 보충할 수 있는 에어 컴프레서들이 연결된다.Also, the water
하지만, 컴프레서는 관로의 크기에 따른 수격 방지 설비에 따라 그 용량이 커질 수 밖에 없고, 특히 상수관로에서의 수격 방지 설비에 장착되는 컴프레서 구동모터는 3상 380V의 큰 동력이 필요하게 된다.However, the capacity of the compressor is inevitably increased by the water hammer prevention equipm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ipeline. In particular, the compressor driving motor mounted on the water hammer prevention equipment in the water line requires a large power of 380 V of three phases.
3상 전력의 공급이 가압장 현장까지 인입하는 것에 문제가 있으며 제어판넬의 크기도 커져야 하고, 컴프레서의 설치 및 대형 제어판넬의 설치에 따른 공간이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3상 380V 동력의 컴프레서 작동에 따른 에너지 과소비가 문제가 되며, 또한 컴프레서 작동에 따른 소음이 크고 무인가압장 임을 고려할 때 유지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수비가 많이 소요되어 전반적으로 문제가 된다.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pply of the three-phase power reaches the site of the pressure field, the size of the control panel must be large, and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compressor and installation of the large control panel must be increased.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of energy over consumption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of the 3-phase 380V power. Also, considering that the nois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large and the unmanned pumping station, maintenance is difficult and maintenance cost is high.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급수시스템에 있어서 가압펌프와 수격방지설비의 별개 구성을 하나의 설비로 형성시켜 시공상의 간편화와 설치비용의 저렴화를 꾀할 수 있는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hammer prevention system which can simplify construction and reduce installation cost by forming a separate constitution of a pressure pump and a water hammer prevention facility in a water supply system Pressure pump.
또한, 컴프레서의 사용없이 단상전원으로 작동이 가능하고 단순화된 무동력 공기보충장치를 압력탱크에 연결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고 소음이 없으며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설치 필요공간이 적은 에너지 절약형 수격 방지 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 a single phase power without using a compressor and connect a simple non-powered air replenishment device to a pressure tank to provide an energy-saving water hammer prevention facility that can save energy, have no noise, I want to.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는, 관로와 연결되어 저수조의 물을 가압하여 상기 관로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펌프가 구비된 가압펌프부와, 내부에 물과 공기가 채워진 가압탱크로서,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관로 내에서 발생되는 수격을 흡수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의 적절한 수위를 유지시키기 위해 공기의 보충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부로는 공기보충배관을 매개로 흡배기밸브와 연결되며, 하부 일측으로는 관로와 연결되고, 하부 타측으로는 저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관로와의 개폐에 따른 압력제어를 통해 상기 가압탱크 내로 공기를 보충하는 공기보충장치와, 흡기부와 배기부로 구분되어 서로 연통되며, 상기 흡기부는 외부 대기와 공기보충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보충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공기보충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보충장치와 상기 가압탱크를 연결하는 흡배기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for a water hammer prevention system, comprising: a pressurizing pump unit connected to a conduit and having at least one pressurizing pump for pressurizing water in a water reservoir to supply the water to the conduit; A pressurizing tank filled with air and connected to the pipe to absorb a water hammer generated in the pipe; an apparatus for replenishing air to maintain a proper water level of the pressurizing tank, And an air replenishing devic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and connected to the water reservoir to supplement air into the pressure tank through pressure control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annel, And the air intake part is connected to the air replenishing device through the outside air and the air replenishment pipe, Vent portion comprises an intake and exhaust valve for connecting the air replacement device and the pressure tank through the air replenishment pipe.
여기서, 상기 공기보충장치는 상기 관로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가지며,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연결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가압탱크의 수위에 따른 제어신호를 받아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ir replenishing device has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pipe,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solenoid valve is mounted to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solenoid valve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of the pressure tank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signal is opened and closed.
여기서, 상기 가압탱크의 상단측에는 상기 관로 내에서 수격이 발생할 때 고압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전자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밸브는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는 발생된 고압기체의 압력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이 단계적 또는 동시에 열리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 solenoid valve for discharging the high-pressure gas to the outsid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tank, and the solenoid valve is composed of first to third solenoid valves,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way valve is set so that one or more of them are opened stepwise or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pressure reference of the generated high-pressure gas.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급수시스템에 있어서 가압펌프와 수격방지설비의 별개 구성을 하나의 설비로 형성시켜 시공상의 간편화와 설치비용의 저렴화를 꾀할 수 있고, 큰 동력의 모터 구동을 필요로 하는 컴프레서 대신에 무동력 공기보충장치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공간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압펌프가 구비된 수격방지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water supply system, the separate constitution of the pressure pump and the water hammer prevention facility can be formed by one facility, thereby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and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hammer prevention facility equipped with a pressurizing pump that can save energy and space efficiency by using a non-powered air replenish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에 사용된 흡배기밸브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의 공기보충장치의 구성 및 흡배기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를 이용한 압력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급수구역의 상수도 공급 시스템이다.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pressure pump combined with a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and discharge valve used in a pressure pump combined with a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replenishing device of the pressure pump combined with the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cess of the intake and exhaust device.
4 is a flow chart of pressure control using a pressure pump combined with a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rior art water supply system for a water supply z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의 구성, 압력 제어 흐름 공정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ressure pump combined with the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control flow process, and effec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의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pressure pump combined with a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는 가압펌프부(1), 수격방지설비(2) 및 제어판넬(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he pressure pump combined with the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가압펌프부(1)는 관로(11)의 물을 가압하여 목적지까지 이송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가압펌프(12a, 12b, 12c)가 관로(11)에 연결된다.One or more pressurizing
수격방지설비(2)는 가압탱크(13), 공기보충장치(14) 및 흡배기밸브(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ater
가압탱크(13)는 수격 방지를 위해 관로(11)와 연결되며, 압력용기의 하부에 물이 들어 있고 그 상부에 가압 공기 공기가 형성되는 압력탱크이다.The pressurizing
가압탱크(13)는 관로 내에서 워터해머링(Water Hammering)이 발생하면 물의 압력이 상승하고 공기는 압축성 기체이므로 상승하는 배관 내의 압력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탱크(13) 내에는 공기가 물에 용존되어 공기층이 소모되므로 공기층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공기의 보충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게 된다.When the water hamming in the pressurizing
가압탱크(13)의 상단부는 연결관을 통해 흡배기밸브(15)와 연결되며, 하단부는 연결관을 통해 관로(11)와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pressurizing
공기보충장치(14)는 가압탱크(13)내로 공기의 보충을 수행하는 용기로서, 종래의 3상 380V의 큰 동력이 필요한 컴프레서를 대신하게 된다.The air replenishing
공기보충장치(14)는 상부로는 공기보충배관(16)을 매개로 흡배기밸브(15)와 연결되며, 하단부 일측으로는 연결관을 통해 관로(11)와 연결되고, 하단부 타측으로는 솔레노이드 밸브(17) 및 연결관을 통해 가압 탱크(미도시)와 연결된다.The air replenishing
흡배기밸브(15)는 흡기부와 배기부로 구분되어 서로 연통된 구성을 갖는 3방 밸브의 구조를 가지며, 흡기로, 배기로, 흡배기전환로를 갖는다.The intake an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에 사용된 흡배기밸브의 단면 구성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and discharge valve used in a pressure pump combined with a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8)의 내부는 흡기부(19a)와 배기부(19b)로 양분되며, 하부는 상호 연통되고 배기부(19b)의 좌측과 하단에는 각각 가압탱크 연결관(20a)과 공기보충장치 연결구(20b)가 형성된다.The inside of the
본체(18)에 형성된 흡기부(19a) 내에는 흡기밸브 덮개(24)와 스프링(23), 흡기개폐문(29) 및 흡기밸브시트(28)를 차례로 설치한 다음 흡기밸브 덮개(24) 상부로는 다수개의 공기 흡입구가 외측면에 마련된 필터(26)를 설치하고, 캡(27)을 덮어 흡기부분을 구성한다. 흡기개폐문(29)의 상단은 오링(25, O-Ring)을 씌운 원추형 개폐문이 되고 그 하단 안내봉(21)은 흡기밸브 덮개(24)의 중심홀(22)에 삽입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스프링(23)의 탄성에 의해 흡기개폐문(29)이 상측의 흡기밸브시트(28)와 맞닿으면서 상측으로 닫힌 상태가 된다.An
본체(18)에 형성된 배기부(19b) 내에는 배기밸브시트(34)와 배기개폐문(32)을 설치한 다음 본체(18) 암나사에 배기 밸브덮개(31)를 나사조립시켜 배기부분을 구성한다. The
배기밸브시트(34)와 본체(18) 사이, 배기밸브시트(34)와 배기개폐문(32) 사이, 배기 밸브덮개(31)와 본체(18) 사이에는 실링을 위해 각각 오링(33a, 33b, 33c)이 설치된다.
배기밸브시트(34)는 안내홈(34a)이 형성되고, 배기개폐문(32)은 안내봉(32a)이 형성되어, 안내봉(32a)이 안내홈(34a)에 가이드되어 상하 개폐 작용을 하게 되어, 평상시에는 배기개폐문(32)의 무게에 의해 배기밸브시트(34)에 맞닿아 닫힌 상태에 있게 된다.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의 공기보충장치의 구성 및 흡배기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replenishing device of the pressure pump combined with the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cess of the intake and exhaust device.
도 3의 (A)는 흡기 공정 흐름도이고, (B)는 배기 공정 흐름도이다.Fig. 3 (A) is a flow chart of the intake process, and Fig. 3 (B) is a flow chart of the exhaust process.
먼저, (A)의 흡기 공정을 살펴보면 솔레노이드(17)가 신호에 따라 개방된다.First, when looking at the intake process of (A), the
솔레노이드(17) 개방에 따라 관로의 물이 오리피스 노즐(37)을 따라 압력차에 의해 제1 및 제2 연결구(39a, 39b)를 통해 저수조 측으로 급격히 빠져나간다.
오리피스 노즐(37)은 관로(11)와 연결되는 제1 연결구(39a)와 결합되어 공기보충장치(14) 일측면에 체결되고, 압력제어금구(38)는 저수조 관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39b)와 결합되어 오리피스 노즐(27)이 결합된 반대측 공기보충장치(14) 타측면에 체결된다.
공기보충장치(14) 내부에서 오리피스 노즐(27)의 선단부는 압력제어금구(38)의 선단부 내측에 위치된다. 오리피스 노즐(27)의 내경은 선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압력제어금구(38)의 내경은 선단부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일지점에서 다시 내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태를 취한다.As the
The
The tip end of the
이러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오리피스 노즐(37)과 압력제어금구(38) 간에는 압력차에 의한 제트 기류가 형성되면서 공기보충장치(14) 내부 수압이 낮아져 부압이 발생되어 흡배기밸브(15)의 흡기부(19a)가 압력차에 의해 열리면서 외부의 공기가 인입된다.A jet flow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the
이어서, 배기공정(B)를 참조하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0초)이 경과되면 솔레노이드 밸브(17)는 닫히게 되고, 닫힘과 동시에 부압 발생으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흡기시의 경로와 반대로 역류하게 된다.Then, referring to the exhausting process (B), the
역류된 공기는 배기부(19b)의 가압탱크 연결관(20a)을 통해 가압탱크(13)로 배기되면서 가압탱크(13) 내에 공기가 보충된다. 이때 흡기부(19a)는 하방향의 기압에 의해 닫힌 상태가 된다.The refluxed air is exhausted to the pressurizing
공기보충장치(14)는 별도의 모터 작동없이 솔레노이드 밸브(17)의 개폐를 통해 가압탱크(13) 내부로 공기의 보충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보충은 가압탱크내 수위 상승 및 수격 발생시 등 가압탱크(13) 내부의 물의 양에 따라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The air replenish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를 이용한 제어 흐름도이다.FIG. 4 is a control flowchart using a pressure pump combined with a water hammer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판넬(3)은 기존과 달리 단상 220V 용량을 구비하여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는 기존의 컴프레사를 사용할 때 3상 5.5kW 380V 제어판넬을 사용할 때 보다 현저히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panel (3)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with a single-phase 220V capacity unlike the conventional one, which saves considerably more energy when using a conventional compressor than when using a 3-phase 5.5kW 380V control panel .
가압펌프부(1)의 3대 가압펌프(12a, 12b, 12c)는 저수조(또는 정수장, 또는 취수원이 될 수 있음)의 물을 가압하여 관로(11) 내로 공급하게 된다.The three
가압탱크(13)의 상단으로는 흡배기밸브(15)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관이 형성되고, 또한 고압기체배출용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46a, 46b, 46c)가 연결된다.A connection pipe for connection with the intake and
가압탱크(13)의 측면으로는 가압탱크(13) 내의 수위를 유지하는 수위유지레벨게이지센서(47)가 장착될 수 있다.A level maintenance
가압탱크(13)의 하단으로는 관로(11)와의 연결 및 수격 발생시 유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축밸브(43), 전동밸브(44) 및 체크밸브(45)가 형성된다.The
교축밸브(43)는 통로의 단면적을 바꿔 교축 작용으로 감압과 유량 조절을 하는 밸브를 의미한다.The throttling
연결관은 밸브를 통해 흡배기밸브(15)와 연결되고, 흡배기밸브(15)는 다시 공기보충배관(16)을 통해 공기보충장치(14)와 연결된다.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intake and
공기보충장치(14)는 일측으로 솔레노이드 밸브(17)를 매개로 하여 집수정과 연결되고, 타측(반대방향)으로 밸브를 통해 관로(11)와 연결된다.The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46a, 46b, 46c)는 관로(11)에 수격이 발생할 시 유입된 물에 따른 고압기체를 배출할 때 사용된다.The first to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46a, 46b, 46c)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외부의 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메카니즘에 따라 작동을 하게 된다.The first to
본 발명의 수격 방지 설비에서는 3개의 전자밸브를 사용하게 되며, 압력의 설정값에 따라 3개의 전자밸브 중 하나 이상을 작동시켜 이상 고압 배출을 효율적으로 한다.In the water hammer preven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solenoid valves are used, and at least one of the three solenoid valves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et value of the pressure to efficiently discharge abnormal high pressure.
워터 햄머링의 발생 압력에 따라 작은 압력의 발생인 경우 제1 전자밸브(46a)만을 작동시켜 고압기체를 배출할 수 있고, 그 보다 높은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자밸브(46a, 46b)를 작동시켜 고압기체를 배출할 수 있으며, 그 보다 더 높은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46a, 46b, 46c)를 작동시켜 고압기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When a small pressur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water hammer ring, only the
예를 들면, 제1 전자밸브(46a)는 15A용, 제2 전자밸브(46b)는 25A용, 제3 전자밸브(46c)는 40A용으로 채택하여, 발생 고압기체의 기준압력이 5kg/㎠라 하면 7kg/㎠ 압력이 발생하면 제1 전자밸브(46a)만을 작동시키고 8kg/㎠ 압력이 발생하면 제1 및 제2 전자밸브(46a, 46b)를 작동, 10kg/㎠ 압력이 발생하면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46a, 46b, 46c)를 작동시켜 고압기체의 효율적 배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이렇게 구성된 수격 방지 시스템에서, 수격(워터 햄머링)이 발생하게 되면 밸브들(43, 44, 45)의 작동에 따라 관로(11)내의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압력수는 가압탱크(13) 내의 기체를 고압으로 전환시키며 이 고압기체는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46a, 46b, 46c)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관로(11)의 워터 햄머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thus constructed water hammer prevention system, when a water hammer occurs, the water in the
가압탱크(13) 내의 수위는 수격 방지(워터 햄머링 흡수)를 위해 일정 수위를 유지해야 한다. 그 기준 수위는 수위레벨 L과 수위레벨 H 사이에서 유지되며 수위레벨 H에서 공기의 유입을 시켜 수위레벨 L 위치까지 수위를 조절한다.The water level in the pressurizing
수위레벨 H에서 수위 감지가 이루어지면, 먼저 솔레노이드 밸브(17)가 작동되어 열리게 되고, 이때 오리피스 노즐(37)과 압력제어금구(38)에 의해 관로(11)의 물이 집수정으로 배출되면서 공기보충장치(14) 내는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water level is detected at the water level H, the
부압 발생에 따라 흡배기밸브(15)의 흡기부(19a)가 열리면서 공기가 공기보충배관(16)을 통해 공기보충장치(14)로 유입되고(흡기로 ⓐ), 이후 솔레노이드 밸브(17)가 소정시간 경과후(대략 50초 정도) 신호에 따라 닫히면서 흡입된 공기는 반대방향으로 역류하게 된다(흡배기 전환로 ⓒ).The
역류된 공기는 흡배기밸브(15)의 배기부(19b)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연결관을 통해 가압탱크(13)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배기로 ⓑ).The refluxed air exits through the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가압탱크(13) 내의 유량의 수위는 낮아지게 되며, 수위레벨 L에 도달시까지 공기의 유입은 지속적으로 진행되게 된다.The inflow air pressure lowers the level of the flow rate in the pressuriz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격방지 설비는 무동력의 공기보충장치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단상 제어판넬을 사용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하고 전체 에너지 사용량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에너지 절약형 수격방지 설비의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 컴프레서의 설치(보통 2대 이상 설치)에 따른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되며, 에어 컴프레서의 잦은 작동에 따른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이 없게 되어 매우 친환경적 수격 방지 설비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hammer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non-powered air replenishing device, the use of the single phase control panel makes it possible to downsize the water hammer, and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is remarkably reduced, .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air compressor (usually two or more units), and vibration and noise are not generated due to frequent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or, thus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highly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hammer prevention facility.
뿐만아니라, 기존의 컴프레사를 대신하여 공기보충장치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기존에 관로내의 수압을 높여 물을 공급하기 위한 가압펌프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나 이를 수격방지설비와 함께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압펌부와 수격방비설비를 별개로 설치해야 하는 공간적 문제, 설치비 증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replenishing device is used in place of the existing compressor, a pressure pump for supplying water by raising the water pressure in the pipeline has to be separately installed. Howev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a space problem in which the pressurized pump and the water hammer protection facility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and an increase in the installation cos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가압펌프부 2 : 수격방지설비
3 : 제어판넬 11 : 관로
12a, 12b, 12c : 가압펌프 13 : 가압탱크
14 : 공기보충장치 15 : 흡배기밸브
16 : 공기보충배관 17 : 솔레노이드 밸브
18 : 본체 19a : 흡기부
19b : 배기부 20a : 가압탱크 연결관
20b : 공기보충장치 연결구 21 : 안내봉
22, 36 : 중심홀 23 : 스프링
24 : 흡기밸브 덮개 25, 33a, 33b, 33c : 오링
26 : 필터 27, 35 : 캡
28 : 흡기밸브시트 29 : 흡기개폐문
31 : 배기밸브 덮개 32 : 배기개폐문
34 : 배기밸브시트 32a : 상부안내봉
32b : 하부안내봉 32c : 배기홈
32d : 날개 플랜지 32e : 오링홈
37 : 오리피스 노즐 38 : 압력제어금구
43 : 교축밸브 44 : 전동밸브
45 : 체크밸브 46a, 46b, 46c : 전자밸브
47 : 수위유지레벨게이지 센서 1: Pressurizing pump part 2: Water hammer prevention equipment
3: control panel 11: conduit
12a, 12b, 12c: pressure pump 13: pressure tank
14: air refill device 15: intake and exhaust valve
16: air replenishment piping 17: solenoid valve
18:
19b:
20b: air replenishing device connection port 21: guide rod
22, 36: center hole 23: spring
24:
26:
28: intake valve seat 29: intake opening door
31: exhaust valve cover 32: exhaust opening door
34: exhaust valve seat 32a: upper guide rod
32b: lower guide rod 32c: exhaust groove
32d: wing flange 32e: O-ring groove
37: Orifice nozzle 38: Pressure control bracket
43: Throttle valve 44: Electric valve
45:
47: Level maintenance level gauge sensor
Claims (4)
내부에 물과 공기가 채워진 압력탱크로서,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관로 내에서 발생되는 수격을 흡수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의 수위를 유지시키기 위해 공기의 보충을 수행하는 용기로서, 상부로는 공기보충배관을 매개로 흡배기밸브와 연결되며, 하부 일측으로는 관로와 연결되고, 하부 타측으로는 저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관로와의 개폐에 따른 제어를 통해 상기 가압탱크 내로 공기를 보충하는 공기보충장치와;
흡기부와 배기부로 구분되어 서로 연통되며, 상기 흡기부는 외부 대기와 공기보충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보충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공기보충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보충장치와 상기 가압탱크를 연결하는 흡배기밸브;를 포함하는,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A pressurizing pump unit having at least one pressurizing pump connected to a conduit for pressurizing the water in the reservoir and supplying the pressurized water to the conduit;
A pressure tank filled with water and air, the pressure tank being connected to the conduit and absorbing a water hammer generated in the conduit;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intake / exhaust valve through an air replenishing pipe,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pipe,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water reservoir for maintaining the water level of the pressurizing tank. An air replenishing device for replenishing air into the pressurizing tank through control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pipe;
And the air intake part is connected to the air replenishing device through an outside air and an air replenishing pipe, and the exhaust part connects the air replenishing device and the pressure tank through the air replenishing pipe And an intake and exhaust valve.
상기 공기보충장치의 일측면에는 상기 관로와 연결되는 제1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저수조의 관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구에 연결되는 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가압탱크의 수위에 따른 제어신호를 받아 개폐되는,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replenishing device has a first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pipeline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pipe of the reservoir at the other side.
Wherein a solenoid valve is mounted on the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and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ressure tank.
상기 제1 연결구의 내측으로 오리피스 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내측으로 압력제어금구가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 노즐과 압력제어금구는 상기 공기보충장치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오리피스 노즐의 선단부는 상기 압력제어금구의 선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3. The method of claim 2,
An orifice nozzle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port, a pressure control metal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ort,
Wherein the orifice nozzle and the pressure control bracket are positioned through the air replenishing device,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orifice nozzle is located inside the tip end portion of the pressure control member.
상기 가압탱크의 상단측에는 상기 관로 내에서 수격이 발생할 때 고압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전자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밸브는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는 발생된 고압기체의 압력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이 단계적 또는 동시에 열리도록 설정되는,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omagnetic valve for discharging the high-pressure gas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hammer occurs in the condui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essure tank,
Wherein the solenoid valve comprises first to third solenoid valves,
Wherein the first to third solenoid valves are set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m is opened stepwise or simultaneously according to a pressure reference of the generated high-pressure ga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589A KR101392847B1 (en) | 2012-09-11 | 2012-09-11 | Booster pump combined with water hammer preventive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589A KR101392847B1 (en) | 2012-09-11 | 2012-09-11 | Booster pump combined with water hammer preventive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3960A KR20140033960A (en) | 2014-03-19 |
KR101392847B1 true KR101392847B1 (en) | 2014-05-27 |
Family
ID=5064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0589A Active KR101392847B1 (en) | 2012-09-11 | 2012-09-11 | Booster pump combined with water hammer preventive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284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7245B1 (en) | 2018-06-08 | 2019-01-31 | 금덕펌프산업(주) | Centrifugal pump having water hammering damper |
KR102408738B1 (en) | 2021-08-27 | 2022-06-14 | 박희수 | A water pipe system that can reliably provide water with a constant pressure to a building |
KR102535509B1 (en) | 2022-05-24 | 2023-05-26 | 박희수 | A water pipe system that can reliably provide water with a constant pressure to a build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19363B (en) * | 2014-06-12 | 2016-08-24 | 云南大红山管道有限公司 | High aititude high-lift high pressure Long-distance Pipeline for Water Conveyance emergency set and emergency method |
KR101609591B1 (en) * | 2015-08-24 | 2016-04-06 |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 Water pip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alleviating water hammer using ejector effect |
KR101722078B1 (en) * | 2015-09-18 | 2017-03-31 |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 Water pip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722073B1 (en) * | 2015-09-18 | 2017-03-31 |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 Water pip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alleviating slaming of check valve |
KR102498854B1 (en) * | 2017-09-21 | 2023-02-10 |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 Resource saving water piping system using ejector effect |
CN110081313B (en) * | 2019-03-12 | 2020-09-01 | 合肥通用机械研究院有限公司 | Compensation system for preventing failure of starting of backup pump of process pump and control method |
CN111473004B (en) * | 2020-04-21 | 2024-06-11 | 淼汇能源科技(上海)有限公司 | High-lift pump |
CN116019659B (en) * | 2022-12-16 | 2024-06-18 | 烟台宏远氧业股份有限公司 | Large combined high-low pressure composite pressurizing cabi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9185A (en) * | 2000-07-20 | 2000-10-05 | 정용복 | A water-knocking preventive apparatus of water supply and drain pump |
JP2006132306A (en) * | 2004-10-05 | 2006-05-2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Water service system |
KR20120085995A (en) * | 2011-01-25 | 2012-08-02 | 정용복 | Water supply device for groundwater recycling |
-
2012
- 2012-09-11 KR KR1020120100589A patent/KR1013928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9185A (en) * | 2000-07-20 | 2000-10-05 | 정용복 | A water-knocking preventive apparatus of water supply and drain pump |
JP2006132306A (en) * | 2004-10-05 | 2006-05-2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Water service system |
KR20120085995A (en) * | 2011-01-25 | 2012-08-02 | 정용복 | Water supply device for groundwater recycling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7245B1 (en) | 2018-06-08 | 2019-01-31 | 금덕펌프산업(주) | Centrifugal pump having water hammering damper |
KR102408738B1 (en) | 2021-08-27 | 2022-06-14 | 박희수 | A water pipe system that can reliably provide water with a constant pressure to a building |
KR102535509B1 (en) | 2022-05-24 | 2023-05-26 | 박희수 | A water pipe system that can reliably provide water with a constant pressure to a bui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3960A (en) | 2014-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2847B1 (en) | Booster pump combined with water hammer preventive equipment | |
CN103061384B (en) | Secondary-pressurizing energy-saving water-supply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and energy-saving water supply method | |
KR101344479B1 (en) | Energy saving type water hammer preventive equipment | |
CN201424371Y (en) | Non-stop automatic pressure liquid supplying device | |
CN101509268A (en) | Water storage apparatus | |
CN102121260A (en) | Multi-water-source multi-way non-negative-pressure water supplying method and device | |
CN201801948U (en) | Normally-hung vacuum water guide starting device of centrifugal pump | |
CN114215154A (en) | A kind of negative pressure well and drainage system of single-phase flow and dual-phase flow arbitrary switching | |
CN222557741U (en) | Water tank water inlet device | |
CN201443094U (en) | Water supply apparatus without negative pressure | |
CN107700584A (en) | A kind of non-negative pressure frequency-changing water supply device | |
CN204510363U (en) | A kind of gaseous prepressing water supplying equipment | |
CN104594458B (en) | Non-negative pressure water-supply installation | |
CN207277418U (en) | A kind of new subregion intelligent water supply system and water supply installation | |
CN216339828U (en) | Vacuum water diversion equipment capable of assisting water supply | |
CN205917782U (en) | Water supply system and container and booster water pump thereof | |
CN205577026U (en) | Box integrated silence does not have negative pressure variable frequency water supply device | |
KR100831999B1 (en) | Non-depth pressure tank device | |
CN107700585A (en) | A kind of tap water flow control system | |
US6047721A (en) | Air introduction device for a hydro-pneumatic reservoir | |
CN2687186Y (en) | Energy-storage type energy-saving water supply equipment | |
CN102759098B (en) | Non-kinetic energy water supplying system | |
CN111196625A (en) | Air source type vacuumizing device for MBR sewage treatment system | |
CN206521787U (en) | A kind of non-negative pressure stabilized tank with piston cylinder | |
CN104846931A (en) | Intelligent pipe network pressure-superposed non-negative pressure variable frequency water suppl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