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218B1 - 반도체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2218B1 KR101392218B1 KR1020130016235A KR20130016235A KR101392218B1 KR 101392218 B1 KR101392218 B1 KR 101392218B1 KR 1020130016235 A KR1020130016235 A KR 1020130016235A KR 20130016235 A KR20130016235 A KR 20130016235A KR 101392218 B1 KR101392218 B1 KR 1013922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semiconductor
- type
- zinc oxide
- electr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1—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 H10H20/812—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within the light-emitting regions, e.g. havin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15—Bodies characterised by crystalline imperfections, e.g. dislocations; characterised by the distribution of dopants, e.g. delta-doping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 H10H20/823—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VI materials, e.g. ZnO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 H10H20/824—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 H10H20/825—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containing nitrogen, e.g. Ga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반도체 발광소자 중 활성층에서의 에너지 밴드갭의 변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반도체 발광소자 중 활성층에서의 에너지 밴드갭의 변화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반도체 발광소자 중 활성층에서의 에너지 밴드갭의 변화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반도체 발광소자 중 전자 장벽층에서의 에너지 밴드갭의 변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반도체 발광소자 중 전자 장벽층에서의 에너지 밴드갭의 변화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0 : 전류 확산층 40 : p측 전극
100 : n형 산화아연계 반도체층 110 : 산화아연계 전극접촉층
120 : 산화아연계 전자주입층 200 : 활성층
210 : 양자 우물층 220 : 양자 장벽층
300 : 전자 장벽층 400 : p형 질화갈륨계 반도체층
Claims (14)
- 전자와 전공의 재결합에 의해 빛을 생성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의 일측에 위치하고, 전자가 주입되는 n형 산화아연(ZnO)계 반도체층;
상기 활성층의 타측에 위치하고, 정공이 주입되는 p형 질화갈륨(GaN)계 반도체층; 및
상기 활성층 및 상기 p형 질화갈륨계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고, 질화갈륨(GaN)계 반도체를 포함하여 타입-2의 밴드 배치(Type-Ⅱ band alignment)를 갖는 전자 장벽층(electron blocking layer; EBL)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전자 및 정공의 재결합이 일어나고, 질화갈륨(GaN)계 반도체를 포함하는 양자 우물층; 및
상기 양자 우물층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산화아연(ZnO)계 반도체를 포함하는 양자 장벽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 우물층은
질화인갈륨(INGaN)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 장벽층은
산화마그네슘아연(MgZnO)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 장벽층들 각각은
상기 양자 우물층과 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양자 우물층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1차 양자 장벽층; 및
상기 1차 양자 장벽층과 접하여 위치하는 2차 양자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양자 장벽층은
상기 1차 양자 장벽층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양자 장벽층은
상기 양자 우물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에너지 밴드갭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양자 장벽층은
상기 1차 양자 장벽층의 에너지 밴드갭과 동일한 에너지 밴드갭을 갖되, 다중 양자 장벽(muti-quantum barrier)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전자와 전공의 재결합에 의해 빛을 생성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의 일측에 위치하고, 전자가 주입되는 n형 산화아연(ZnO)계 반도체층;
상기 활성층의 타측에 위치하고, 정공이 주입되는 p형 질화갈륨(GaN)계 반도체층; 및
상기 활성층 및 상기 p형 질화갈륨계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고, 질화갈륨(GaN)계 반도체를 포함하여 타입-2의 밴드 배치(Type-Ⅱ band alignment)를 갖는 전자 장벽층(electron blocking layer; EBL)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벽층은
질화갈륨(GaN) 반도체 기반에 안티몬질화알루미늄갈륨(AlGaNSb) 또는 비소질화알루미늄갈륨(AlGaNAs) 반도체를 포함하는 타입-2 이종 접합 구조를 갖고, 공명 터널 구조(resonant tunneling structur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삭제
-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산화아연계 반도체층으로 전자를 제공하는 n측 전극; 및
상기 p형 질화갈륨계 반도체층으로 전공을 제공하는 p측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산화아연계 반도체층은
상기 n측 전극과 접촉되어 전자를 제공받는 산화아연계 전극접촉층; 및
상기 활성층과 상기 산화아연계 전극접촉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산화아연계 전극접촉층으로부터 전자를 제공받아 상기 활성층으로 전달하는 산화아연계 전자주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계 전자주입층은
산화아연(ZnO) 및 산화마그네슘아연(MgZn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n형 불순물이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계 전극접촉층은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산화아연(N-ZnO) 및 n형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산화아연(I-Zn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6235A KR101392218B1 (ko) | 2013-02-15 | 2013-02-15 | 반도체 발광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6235A KR101392218B1 (ko) | 2013-02-15 | 2013-02-15 | 반도체 발광소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2218B1 true KR101392218B1 (ko) | 2014-05-08 |
Family
ID=5089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6235A Active KR101392218B1 (ko) | 2013-02-15 | 2013-02-15 | 반도체 발광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221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43863A1 (en) * | 2022-09-20 | 2024-03-27 | Samsung Display Co., Ltd. | Light emitting element, method for fabricating light 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 emitting element |
WO2024125333A1 (zh) * | 2022-12-16 | 2024-06-20 | 厦门三安光电有限公司 | 发光二极管及发光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4810B1 (ko) * | 2006-05-30 | 2007-07-04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산화아연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산화아연계 발광 소자 |
KR101007078B1 (ko) | 2009-11-02 | 2011-01-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2013
- 2013-02-15 KR KR1020130016235A patent/KR10139221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4810B1 (ko) * | 2006-05-30 | 2007-07-04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산화아연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산화아연계 발광 소자 |
KR101007078B1 (ko) | 2009-11-02 | 2011-01-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43863A1 (en) * | 2022-09-20 | 2024-03-27 | Samsung Display Co., Ltd. | Light emitting element, method for fabricating light 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 emitting element |
WO2024125333A1 (zh) * | 2022-12-16 | 2024-06-20 | 厦门三安光电有限公司 | 发光二极管及发光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59705B2 (ja) | 発光デバイス | |
CN103489975B (zh) | 一种具有隧道结结构的氮极性面发光二极管 | |
US10535796B2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20090002214A (ko) |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JP4503570B2 (ja) | 窒化物半導体素子 | |
TWI590489B (zh) | 發光裝置 | |
TW201338197A (zh) | 具有漸變含量之電洞穿隧層之發光元件 | |
KR102224116B1 (ko) |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 |
US10069035B2 (en) |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 |
KR20130096991A (ko) | 자외선 발광소자 | |
KR100946034B1 (ko) |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1392218B1 (ko) |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1928479B1 (ko) |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
US10535795B2 (en) | Ultraviolet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ing system having a quantum barrier structure for improved light emission efficiency | |
KR101357254B1 (ko) |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2131697B1 (ko) | 정전기 방전 특성이 향상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TW201316548A (zh) | 半導體發光裝置 | |
JP2014003121A (ja) |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 |
KR102444467B1 (ko) | 발광 다이오드 | |
KR102237120B1 (ko) |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 |
KR101250251B1 (ko) | 전위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US20140054544A1 (en) | Light emitting device | |
KR101140659B1 (ko) | 화합물 반도체 발광소자 | |
KR20110100569A (ko) | 질화물 반도체 소자 | |
Singh et al. | Effect of electron blocking layer on efficiency droop in blue InGaN/GaN based light-emitting diod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