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1747B1 - 가구용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747B1
KR101391747B1 KR1020120075162A KR20120075162A KR101391747B1 KR 101391747 B1 KR101391747 B1 KR 101391747B1 KR 1020120075162 A KR1020120075162 A KR 1020120075162A KR 20120075162 A KR20120075162 A KR 20120075162A KR 101391747 B1 KR101391747 B1 KR 10139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astening member
furniture
door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095A (ko
Inventor
이희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주)다보스티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주)다보스티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102012007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7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7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힌지를 가구의 상하단부로 최대한 위치되게 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도어 힌지를 설치하기 위한 자리파기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도어의 두께가 얇아도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할 수 있고, 또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체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재를 가구의 벽체에 고정되는 가구체결부재에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가구용 도어 힌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 힌지{door hing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수납장, 진열장, 책장 등)의 벽체와 도어를 상호 결합하여 도어를 회동 개폐할 수 있게 한 가구용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도어 힌지를 설치하기 위한 자리파기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도어의 두께가 얇아도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체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재를 가구의 벽체에 고정되는 가구체결부재에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가구용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형태의 도어가 적용되는 가구(수납장, 진열장, 책장 등)에는, 도어의 내측 상하부에 도어 힌지를 설치하여 도어를 회동시켜 개폐되게 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도어 힌지는 가구의 벽체와 도어를 상호 결합하여 도어를 회동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으로, 국내 특허번호 제10-0763767호(가구의 힌지부 보강구조)와 국내 특허번호 제10-0873922호(가구 힌지용 도어 완충기의 고정장치)와 국내 특허번호 제10-0882472호(기어 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및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86032호(가구용 도어 힌지)와 같이 여러 개의 특허들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공개된 특허들에 개시된 도어 힌지는, 그 힌지를 가구의 벽체 및 도어에 고정하는 체결부위가 힌지의 상하부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구의 상하단으로 밀착하여 고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개된 특허들에 개시된 도어 힌지는, 그 힌지를 고정하기 위한 자리파기 홈이 형성되어야 함으로서, 그 만큼 두꺼운 소재의 도어를 사용해야 하며, 이는 비용 및 디자인에 문제가 있다.
특히, 공개된 특허들에 개시된 도어 힌지는, 도어의 전단부터 체결부위 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주로 견고한 판재에 사용되며, 허니콤재의 경우 심재가 커야 적용 가능한 단점이 있다.
국내 특허번호 제10-0763767호, 가구의 힌지부 보강구조 국내 특허번호 제10-0873922호, 가구 힌지용 도어 완충기의 고정장치. 국내 특허번호 제10-0882472호, 기어 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86032호, 가구용 도어 힌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힌지를 가구의 상하단부로 최대한 위치되게 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도어 힌지를 설치하기 위한 자리파기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도어의 두께가 얇아도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할 수 있고, 또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체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재를 가구의 벽체에 고정되는 가구체결부재에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가구용 도어 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구의 벽체와 도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도어를 회동시켜 개폐할 수 있게 한 가구용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에 밀착 고정할 수 있게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도어체결부재; 상기 도어체결부재의 수평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체결부재가 고정된 도어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힌지체결부재; 상기 힌지체결부재와 도어체결부재의 상호 대응면에 각각 제1,제2열림각도 제한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제1,제2열림각도 제한돌기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지점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한 각도제한수단; 상기 각도제한수단이 구비되는 힌지체결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가구의 벽체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게 수직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고정홀이 형성된 가구체결부재; 상기 가구체결부재에 암나선부를 갖는 제1체결홀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체결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힌지체결부재에 수평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지지홀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홀을 통해 상기 제1체결홀에 결합되도록 고정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힌지체결부재를 상기 가구체결부재에 결합할 수 있게 한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가구체결부재에 수평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가이드공에 대응하도록 상기 힌지체결부재에 암나선부를 갖는 제2체결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2체결홀에 결합되어 가이드공에 위치되게 조절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힌지체결부재를 상기 가구체결부재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구체결부재는 제1체결홀이 형성된 상하조절블록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상하조절블록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암나선부를 갖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상하조절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가구체결부재에 상하조절블록을 설치함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가 지지홀을 통해 제1체결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체결부재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상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구체결부재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상하조절블록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상하조절블록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암나선부를 갖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상하조절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가구체결부재에 상하조절블록을 설치함에 의해 상기 조절볼트가 제2체결홀에 결합되어 가이드공에 위치되어 상기 힌지체결부재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상하부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구체결부재의 일측단에는 가구의 벽체에 체결 위치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지지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체결부재는 고정볼트를 풀은 상태에서 전후 위치 조절할 때 상기 가구체결부재로부터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내될 수 있게 하는 가이드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도어체결부재와 힌지체결부재의 사이에는 디스크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 힌지를 가구의 상하단부로 최대한 위치되게 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도어 힌지를 설치하기 위한 자리파기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도어의 두께가 얇아도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체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재를 가구의 벽체에 고정되는 가구체결부재에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는 도어체결부재(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도어체결부재(110)는 도어(12)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에 밀착 고정할 수 있게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면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가구에 밀착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면에는 힌지축(122)이 결합될 수 있게 하는 힌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체결부재(110)는 상기 도어(12)의 상단면 혹은 하단면에 상기 수평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면이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한 후, 상기 고정구멍을 통해 상태에서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도 1 ~도 3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는 힌지체결부재(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힌지체결부재(120)는 상기 도어체결부재(110)의 수평면에 힌지축(122)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체결부재(110)가 고정된 도어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하며, 이러한 힌지체결부재(120)는 도어체결부재(110)의 수평면에 대면하는 수평면을 구비하고, 그 수평면에 힌지공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122)으로 결합함으로서 회동되게 한다. 즉, 상기 힌지축(122)을 리벳팅하여 결합함이 좋다.
또한, 상기 도어체결부재(110)에 구비되는 수평면과 힌지체결부재(120)에 구비되는 수평면의 사이에는 1개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124)을 조합하여 설치하거나 혹은 와셔(124)를 설치함이 좋으며, 이와 같이 디스크 스프링(124)을 설치하는 경우 힌지축(122)에 의한 동작시 마찰을 부여함으로서, 힌지축(122)이 동작시 감성적으로 적절한 힘을 가하였을때 동작되도록 하거나, 열림 닫힘시 정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122)이 결합되는 힌지공에 벤딩을 하여 회전축(122)의 돌출을 없게 함으로서, 도어에 체결을 원활히 하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게 함이 좋다. 즉, 도어체결부재(110)에 구비되는 힌지공 주위를 하부로 벤딩하여 결합시 외관미를 향상시킴이 좋다.
도 1 ~도 3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는 각도제한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각도제한수단(130)은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와 도어체결부재(110)의 상호 대응면에 각각 제1,제2열림각도 제한돌기(132,134)를 형성하여, 상기 제1,제2열림각도 제한돌기(132,134)에 의해 상기 힌지축(122)을 지점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각도제한수단(130)의 상기 제1,제2열림각도 제한돌기(132,134)는 도어체결부재(120)에 구비되는 수평면과 힌지체결부재(120)에 구비되는 수평면에 각각 형성되어 일정각도만큼 회동되면 상기 제1,제2열림각도 제한돌기(132,134)에 의해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한다.
도 1 ~도 3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가구용 도어 힌지는 가구체결부재(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구체결부재(140)는 상기 힌지체결부재(120)가 결합되며, 상기 가구의 벽체(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구체결부재(140)를 가구의 벽체(10)에 고정할 때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가구체결부재(140)에는 수직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고정홀(142)이 형성되며, 이 고정홀(142)을 통해 볼트 등을 이용하여 가구체결부재(140)를 가구의 벽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체결부재(140)의 일측단에는 가구의 벽체(10)에 체결 위치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고자 지지턱부(144)가 형성됨이 좋다. 이 지지턱부(144)를 가구의 벽체(10)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가구체결부재(140)를 용이하게 가구의 벽체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 ~도 3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는 결합수단(1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합수단(150)은 가구의 벽체(10)에 고정되는 가구체결부재(140)와 도어(12)에 고정된 도어체결부재(110)에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재(120)를 상호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수단(150)은 상기 가구체결부재(140)에 암나선부를 갖는 제1체결홀(154)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체결홀(154)에 대응하도록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에 수평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지지홀(156)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홀(156)을 통해 상기 제1체결홀(154)에 결합되도록 고정볼트(152)를 설치함에 의해, 상기 힌지체결부재(120)를 상기 가구체결부재(14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 ~도 3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는 위치조절수단(16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조절수단(160)은 상기 결합수단(150)에 의해 가구체결부재(140)에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재(120)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위치조절수단(160)은 상기 결합수단(150)에 의해 힌지체결부재(120)가 결합되는 가구체결부재(140)에 수평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공(166)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가이드공(166)에 대응하도록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에 암나선부를 갖는 제2체결홀(164)을 형성하여, 상기 제2체결홀(164)에 결합되어 가이드공(166)에 위치되게 조절볼트(162)를 설치함에 의해 상기 힌지체결부재(120)를 상기 가구체결부재(140)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조절수단(160)에 의해 상기 가구체결부재(140)에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재(12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수단(150)의 고정볼트(152)를 풀은 다음 위치를 조절한다. 즉, 고정볼트(152)를 풀은 상태에서 전후 위치 조절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가구체결부재(140)로부터 힌지체결부재(120)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안내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에는 가이드턱부(126)가 형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수단(160)에 의해 힌지체결부재(120)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상기 고정볼트(152)가 체결되는 부위에 지지홀(156)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조절볼트(162)가 체결되는 부위 역시 가이드공(166)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위치조절수단(160)에 의해 가구체결부재(140)에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재(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상하조절수단(17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하조절수단(170)은 가구체결부재(140)에 형성되는 제1체결홀(154)을 상하조절블록(172a)에 형성하여 상기 가구체결부재(140)의 결합수단(150)이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상하조절블록(172a)을 상하로 위치 이동되게 결합함으로서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하조절수단(170)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제1체결홀(154)이 형성된 상하조절블록(172a)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상하조절블록(172a)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암나선부를 갖는 관통홀(174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74a)에 상하조절볼트(176a)를 결합하여 상기 가구체결부재(140)에 상하조절블록(172a)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조절볼트(176a)는 가구체결부재(140)에 제자리 회전되게 결합되어야 상기 상하조절볼트(176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조절블록(172a)이 상하로 위치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하부조절수단(170)은 상기 고정볼트(152)가 힌지체결부재(120)에 형성되는 지지홀(156)을 통해 제1체결홀(154)에 결합되므로, 상기 힌지체결부재(120)는 상하조절블록(172a)에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상하조절블록(172a)은 상하조절볼트(176a)에 의해 가구체결부재(14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상하조절볼트(176a)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호조절블록(172a)이 상하로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도어 힌지 역시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상하조절수단(17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하조절수단(170)은 가구체결부재(140)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66)을 상하조절블록(172b)에 형성하여 상기 가구체결부재(140)의 위치조절수단(160)이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상하조절블록(172b)을 상하로 위치 이동되게 결합함으로서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하조절수단(170)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가이드공(166)이 형성된 상하조절블록(172b)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상하조절블록(172b)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암나선부를 갖는 관통홀(174b)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74b)에 상하조절볼트(176b)를 결합하여 상기 가구체결부재(140)의 위치조절부재(160)가 위치하는 부위에 상하조절블록(172b)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조절볼트(176b)는 가구체결부재(140)에 제자리 회전되게 결합되어야 상기 상하조절볼트(176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조절블록(172b)이 상하로 위치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하부조절수단(170)은 상기 조절볼트(176b)가 가구체결부재(140)에 형성되는 제2체결홀(164)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조절블록(172b)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66)에 위치되므로, 상기 힌지체결부재(120)는 상하조절블록(172b)에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상하조절블록(172b)은 상하조절볼트(176b)에 의해 가구체결부재(14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상하조절볼트(176b)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하조절블록(172b)이 상하로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힌지체결부재(120)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제3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가구용 도어 힌지는, 도어(12)를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가구의 상하단부에 거의 밀착되게 도어 힌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의 심재 외에는 강도가 약한 합판구조로 이루어지는 허니콤합판(honeycomb board)재로 가구(도어)를 구성할 경우에도, 심재가 들어 있는 가구의 앞쪽부에 힌지 체결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도어의 두께가 얇아도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구체결부재에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재를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서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0 - 도어체결부재 120 - 힌지체결부재
130 - 각도제한수단 140 - 가구체결부재
150 - 결합수단 160 - 위치조절수단

Claims (6)

  1. 가구의 벽체와 도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도어를 회동시켜 개폐할 수 있게 한 가구용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에 밀착 고정할 수 있게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도어체결부재;
    상기 도어체결부재의 수평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체결부재가 고정된 도어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힌지체결부재;
    상기 힌지체결부재와 도어체결부재의 상호 대응면에 각각 제1,제2열림각도 제한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제1,제2열림각도 제한돌기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지점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한 각도제한수단;
    상기 각도제한수단이 구비되는 힌지체결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가구의 벽체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게 수직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고정홀이 형성된 가구체결부재;
    상기 가구체결부재에 암나선부를 갖는 제1체결홀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체결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힌지체결부재에 수평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지지홀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홀을 통해 상기 제1체결홀에 결합되도록 고정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힌지체결부재를 상기 가구체결부재에 결합할 수 있게 한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힌지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가구체결부재에 수평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가이드공에 대응하도록 상기 힌지체결부재에 암나선부를 갖는 제2체결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2체결홀에 결합되어 가이드공에 위치되게 조절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힌지체결부재를 상기 가구체결부재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체결부재는 제1체결홀이 형성된 상하조절블록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상하조절블록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암나선부를 갖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상하조절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가구체결부재에 상하조절블록을 설치함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가 지지홀을 통해 제1체결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체결부재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상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체결부재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상하조절블록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상하조절블록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암나선부를 갖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상하조절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가구체결부재에 상하조절블록을 설치함에 의해 상기 조절볼트가 제2체결홀에 결합되어 가이드공에 위치되어 상기 힌지체결부재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상하부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힌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체결부재의 일측단에는 가구의 벽체에 체결 위치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지지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힌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체결부재는 고정볼트를 풀은 상태에서 전후 위치 조절할 때 상기 가구체결부재로부터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내될 수 있게 하는 가이드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힌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도어체결부재와 힌지체결부재의 사이에는 디스크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힌지.
KR1020120075162A 2012-07-10 2012-07-10 가구용 도어 힌지 Active KR10139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62A KR101391747B1 (ko) 2012-07-10 2012-07-10 가구용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62A KR101391747B1 (ko) 2012-07-10 2012-07-10 가구용 도어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095A KR20140008095A (ko) 2014-01-21
KR101391747B1 true KR101391747B1 (ko) 2014-05-20

Family

ID=5014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162A Active KR101391747B1 (ko) 2012-07-10 2012-07-10 가구용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7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9169U (ko) * 1986-04-15 1987-10-27
JP2005139783A (ja) * 2003-11-07 2005-06-02 Eita Kigyo Yugenkoshi ドアのヒンジ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9169U (ko) * 1986-04-15 1987-10-27
JP2005139783A (ja) * 2003-11-07 2005-06-02 Eita Kigyo Yugenkoshi ドアのヒン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095A (ko)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5246B2 (ja) スライドドア取付具
EP2924212B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10612377B (zh) 门用装置
JP4071262B2 (ja) 隠し丁番
RU2416062C2 (ru) Дверь для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KR101402822B1 (ko)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고,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경첩 및 이를 이용한 도어시스템
RU2474664C2 (ru) Шарнир
KR101968628B1 (ko) 피봇 힌지 장치
CN101886504A (zh) 带位置调节功能的杯状埋入式铰链装置
JP2015521701A (ja) フレーム付家具用ヒンジ
KR102627178B1 (ko) 힌지를 가지는 가구 보드 및 가구 보드를 가지는 가구 아이템
KR200410197Y1 (ko) 댐퍼가 구비된 도어힌지
CN107923202B (zh) 合叶及合叶用托架
JP5870390B2 (ja) 案内金具
KR101391747B1 (ko) 가구용 도어 힌지
US6079164A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panels together and for adjusting their spatial arrangement
KR20120041388A (ko) 상하 개폐식 가구 도어용 경첩
JP5358042B2 (ja) 隠し丁番
JP6570560B2 (ja) 丁番
JP2012021277A (ja) 調整蝶番
CN215565242U (zh) 一种三维调节阻尼铰链
CN108204180A (zh) 嵌入式铰链装置
KR101489905B1 (ko) 경첩용 장착위치 조절장치
JP2018204209A (ja) 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キャビネット
KR20130084560A (ko) 문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