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1195B1 - 마찰 계수 추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마찰 계수 추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195B1
KR101391195B1 KR1020097012995A KR20097012995A KR101391195B1 KR 101391195 B1 KR101391195 B1 KR 101391195B1 KR 1020097012995 A KR1020097012995 A KR 1020097012995A KR 20097012995 A KR20097012995 A KR 20097012995A KR 101391195 B1 KR101391195 B1 KR 10139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estimate
degree
vehicle
late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691A (ko
Inventor
닌그 비안
셀린느 가물에슈
안드레아스 마이어
옌스 피들러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8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1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68Road friction coeffic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1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conditions
    • B60T2210/12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30/00Monitoring, detecting special vehicle behaviour;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30/02Side slip angle, attitude angle, floating angle, drif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자동차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와 도로길 사이의 마찰 계수를 반복적으로 추정한다. 킹핀 경사각(kingpin inclination angle)을 탐지하거나 측정한다. 킹핀 경사각에 대한 횡 마찰값의 비선형 경로(course)가 킹핀 경사각에 대한 횡 마찰값의 초기 증가 및 반복적으로 결정된 마찰 계수의 추정치에 의존하도록, 횡 마찰값과 킹핀 경사각 사이의 함수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모델이 횡 마찰값을 결정한다. 초기 증가는 상기 반복적으로 결정되는 마찰 계수의 추정치와 실질적으로 무관하게 정의된다. 또한, 차량의 드라이빙 다이나믹스 측정 변수를 탐지한다. 횡 마찰값에 의존하여, 드라이빙 다이나믹스 측정 변수에 대응하는 드라이빙 다이나믹스 모델 변수가 결정된다. 또한, 드라이빙 다이나믹스 측정 변수와 드라이빙 다이나믹스 모델 변수 사이의 상위를 결정한다. 마찰 계수의 추정치를 취득할 때, 상기 반복은 결정된 상위에 따라서 추정치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찰 계수 추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A FRICTION COEFFICIENT}
본 발명은 차량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의 정도(measure)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39 120 14 Al은 차량의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에 대한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차량이 횡 방향으로 동적으로 임계적인(dynamically critical) 운전 조건에 접근하면, 스티어링 각, 이동 속도(travel speed), 각 요우 속도(velocity of angular yaw) 및 횡 가속도에 대한 값들이 감지되거나 계산된다. 차량의 수학적인 기준 모델을 사용하여, 스티어링 각 및 이동 거리에 따라서 각 요우의 기준 또는 의도되는 속도를 결정한다. 나아가, 차량의 각 요우의 실제 속도와 각 요소의 기준 또는 의도되는 속도 사이의 차를 결정한다. 도로면과 차량의 타이어들 사이의 마찰의 정도로서, 각 요우의 기준 또는 의도되는 속도와 각 요우의 실제 속도 사이의 차이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시작하는, 횡 가속도의 값을 결정한다.
EP 1 627 790 Al는 마찰 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스티어링 각과 횡 가속도를 감지한다. 표를 사용하여 마찰 계수의 추정치를 결정한다. 이 테이블은 서로 다른 스티어링 각들과 횡 가속도들에 대하여 몇몇 범위들을 제공하는데, 이들에 대하여 몇몇 마찰 계수들이 할당된다. 감지된 스티어링 각과 감지된 횡 가속도에 의존하여, 테이블에서 해당하는 범위를 선택하고 할당된 마찰 계수를 마찰 계수의 추정치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 있게 마찰의 정도(measure)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항들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이로운 개선들이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의 정도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장치로서 구별된다.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을 감지하거나 결정한다. 상기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에 대한 횡 마찰값의 비선형 그래프가 상기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에 대한 상기 횡 마찰값의 초기 기울기 및 반복적으로(recursively) 결정된 상기 마찰의 정도의 추정치의 함수가 되도록, 상기 횡 마찰값과 상기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 사이의 함수 관계를 정의하는 모델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와 상기 도로면 사이의 횡 마찰값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함수 관계는, 상기 초기 기울기가 상기 반복적으로 결정된 마찰의 정도의 추정치와는 무관하도록, 정의된다. 나아가 상기 차량에서 차량 동역학에 대한 측정 변수를 감지한다. 차량 동역학 모델에서, 상기 측정된 차량 동역학 변수에 대응하는 변수 값을 상기 횡 마찰값에 따라서 결정한다. 상기 측정된 차량 동역학 변수와 상기 차량 동역학 모델 변수 사이의 상위(相違)를 결정한다. 마찰의 정도의 추정치를 결정할 때, 상기 반복이, 결정된 상기 상위에 따르는 변경(modification)을 포함한다.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off-line steering angle)은 바퀴를 지나가고 상기 바퀴의 축에 수직한 평면과 타이어와 도로면이 접촉하는 접촉면의 움직임 방향의 사이각으로서 정의된다. 횡 마찰값은 타이어가 도로면 상에 가하는 하향 힘(downforce)과 타이어에 가해지는 횡 방향 힘의 몫으로서 정의된다. 마찰의 정도는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을 특징 지우고, 하향 힘과, 타이어가 도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도로면 상에 가할 수 있는 최대 힘의 몫으로서 정의되거나 큰 미끄러짐 값들(large slippage values)에 대한 이러한 몫의 제한값으로서 정의된다.
용어 초기 기울기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들에 대하여 오프 라인 스티어링 각에 대한 횡 마찰값의 그래프의 기울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이 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초기 기울기는 그래프의 기울기의 값 제한(value limit)에 대응한다.
차량 동역학 측정 변수 및 차량 동역학 모델에서 변수의 값은 예를 들어, 차량의 횡 가속도 또는 요율에 관련되거나, 또는 센서들에 의해 감지될 수 있거나 또는 감지된 측정치들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그리고 횡 마찰값에 따라서 모델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다른 몇몇 변수에 관련된다.
횡 마찰값 결정에 사용되는 모델이,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에 대한 횡 마찰값의 그래프의 초기 기울기가 반복적으로 결정되는 마찰의 정도의 추정치와 실질적으로 무관하게 정의되도록 한다면, 및 특히 상기 초기 기울기가 일정하도록 정의되도록 한다면, 특히 견실하고 신뢰성 있게 마찰의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는 인식에 본 발명이 기초한다. 이로써 상기 모델에서 횡 마찰값과 오프-라인 스티어링 값 사이의 함수 관계 때문에,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에 대한 횡 마찰값의 비선형 그래프가 넓게 정의되고, 그러면 실질적으로 마찰의 정도의 추정치에만 의존한다. 그 결과 마찰의 정도의 변화들을 용이하게 및 신뢰성 있게 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모델에서 상기 함수 관계는 수학식
Figure 112009037662984-pct00001
, 여기서,
Figure 112009037662984-pct00002
이고,
Figure 112009037662984-pct00003
이고,
Figure 112009037662984-pct00004
(단, C1_0은 제1 상수이고 C2_0는 제2 상수)에 의하여 정의된다. 횡 마찰값 결정에 있어서 이러한 함수 관계를 사용하는 것은, 이런 방식으로 횡 마찰값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고,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에 대한 횡 마찰값의 그래프의 초기 기울기가 반복적으로 결정된 마찰의 정도의 추정치와 무관하며, 나아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는 잇점이 있다. 이로써 마찰의 정도를 신뢰성 있고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하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차량을 나타내고,
도 2는 마찰의 정도를 추정하는 장치를 나타내고,
도 3은 횡 마찰(lateral friction) 값의 제1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다이어그램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횡 마찰 값의 제2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도 5는 마찰의 정도를 추정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동일한 설계 또는 기능을 가지는 요소들을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냈다.
차량은 평가 장치(1)와 센서들을 구비한다(도 1). 센서들은 평가 장치(1)에 연결된다. 센서들은 특히 차량 동역학(vehicle dynamics) 목적으로 측정된 변수들을 감지하는 용도로 설계된다. 이러한 센서들은 특히 감지된 횡 가속도(a_y)를 감지하는 횡 가속도 센서(2)와 및/또는 감지된 요율(w_z)을 감지하는 요율 센서(yaw rate sensor)(3) 및/또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각을 감지하는 스티어링 휠 각 센서(4)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각 바퀴에, 각각이 해당 바퀴 회전 속도(rd)를 측정하는 바퀴 회전 속도 센서(5)가 배치된다. 센서들 각각은 평가 장치(1)에 연결되어, 감지한 측정치들을 상기 평가 장치(1)에 제공한다. 또한 예를 들어 종 가속도 센서(longitudinal acceleration sensor)와 같은 다른 센서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센서들로부터 평가 장치(1)에 제공된 측정치들을 처리하는 신호 처리 유닛(SIG)이 평가 장치(1)에 제공된다(도 2). 또한 추정 유닛(EST)이 제공되는데, 상기 추정 유닛의 입력 측은 신호 처리 유닛(SIG)으로부터의 출력과 연결된다. 신호 처리 유닛(SIG)에는 특히, 감지된 바퀴 회전 속도(rd), 감지된 횡 가속도(a_y) 및 감지된 요율(w_z)가 제공된다. 그러나, 다른 측정 변수들에 대한 다른 측정치들이 또한 신호 처리 유닛(SIG)에 제공될 수 있다.
측정치들의 처리는 예를 들어, 필터링 특히 저대역 필터링 및/또는 감지된 측정치들의 보정 또는 변환(convers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유닛(SIG)은 신호 처리 유닛(SIG)에 제공된 측정치들에 따라서, 파생 측정치들을 결정하도록, 예를 들어 차량에 대한 차량 동역학 모델들을 고려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측정 변수들에 대하여 감지된 둘 이상의 측정치들의 단순 연산 조합(simple computational combination)에 의해서 그들로부터 파생된 측정 변수에 대한 하나의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파생 측정 변수는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v)인데, 이것은 감지된 바퀴 회전 속도들(rd) 또는 바퀴가 도로면 상에 수직 아래로 작용하는 하향힘(downforce)(F_z)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요율(w_z)에 따라서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off-line steering angle)(α)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언급된 파생 측정 변수들은 다른 방식으로도 결정되거나 감지될 수 있다.
감지되거나 결정되어 추정 유닛에 제공된 측정치들에 따라서,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의 정도(μ_R)에 대한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추정 유닛(EST)이 설계된다. 마찰의 정도(μ_R)를 추정하기 위해, 감지되거나 결정된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따라서 모델에 의해서 횡 마찰값(μ_T)을 결정한다. 상기 모델에는 횡 마찰값(μ_T)과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 사이의 비선형 함수 관계가 존재하는데, 이것을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4의 마찰의 정도(μ_R) 의 서로 다른 추정치들에 대한 제1 곡선(k1)과 제2 곡선(k2)으로 도시하였다.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는 제1 곡선(k1)에서는 0.5이고 제2 곡선(k2)에서는 1이다.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대한 횡 마찰값(μ_T)의 초기 기울기는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와 실질적으로 무관하고 바람직하게는 일정하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에서, 횡 마찰값(μ_T) 및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 사이의 비선형 함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9037662984-pct00005
여기서
Figure 112009037662984-pct00006
수학식 1에서, exp은 지수 함수(exponential function)를 나타내고, sqrt는 제곱근(square root)을 나타낸다. 또한, 제1 파라미터(C1)는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와 제1 상수(C1_0)의 곱으로서 정의되고, 제2 파라미터(C2)는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와 제1 상수(C1_0)의 곱으로서 정의되고, 제2 상수(C2_0)와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의 몫(quotient)으로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상수(C1_0)는 약 1의 값을 가지고 제2 상수(C2_0)는 약 25의 값을 가진다. 그러나 제1 상수 및 제2 상수(C1_0, C2_0)는 이와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제3 파라미 터(C3)는 바람직하게는 작은 값, 예를 들어 약 0.2의 값을 가진다. 작은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대하여 그리고 특히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대한 횡 마찰값(μ_T)의 초기 기울기와 연관하여
Figure 112009037662984-pct00007
항은 무시할 만하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에서, 제3 파라미터의 값은 0이다. 이로써 횡 마찰값(μ_T)의 결정이 특히 간단해진다.
지수 함수의 급수 전개(series expansion)을 행하고 처음 항 후에 이를 종료하면, 인자(argument)
Figure 112009037662984-pct00008
를 가지는 지수 함수에 대하여 간단한 표현
Figure 112009037662984-pct00009
이 얻어진다. 그러면 작은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있어서, 횡 마찰값(μ_T)은, 대략
Figure 112009037662984-pct00010
Figure 112009037662984-pct00011
와 같다. 이렇게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대한 횡 마찰값(μ_T)의 초기 기울기는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와 실질적으로 무관하고 나아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횡 마찰값(μ_T) 및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 사이의 이러한 관계는 마찰의 정도(μ_R)를 특히 신뢰성 있고 견실하게 추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횡 마찰값(μ_T) 및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 사이의 비선형 함수 관계가 정의될 수도 있다.
도 5는 마찰의 정도(μ_R)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 프로그램은 단계 Sl으로 시작한다. 단계 S2에서, 마찰의 정도(μ_R)에 대한 추정 치가 시점(t-1)에 대하여 예를 들어 1과 같은 기설정치로 설정된다.
단계 S3에서, 시간 t-1에서 마찰의 정도(μ_R)에 대한 추정치와 제1 상수(C1_0)의 곱이 제1 파라미터(C1)에 할당된다. 또한 시간 t-1에서 마찰의 정도(μ_R)에 대한 추정치와 제2 상수(C2_0)의 몫이 제2 파라미터(C2)에 할당된다. 단계 S4에서, 감지된 횡 가속도(a_y),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 하향 힘(F_z), 및 차량 속도(v)가 감지되거나 결정된다. 단계 S5에서 바람직하게는 감지된 횡 가속도(a_y) 값이 기결정된 횡 가속도 저(lower) 임계치(a_th)보다 작은지를 점검한다. 기결정된 횡 가속도 저(lower) 임계치(a_th)의 값은 예를 들어 약 0.5 m/s2이지만, 0.5 m/s2보다 크거나 작은 값으로서도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5에서 바람직하게는 차량 속도(v)가 기결정된 속도 저(lower) 임계치(v_th)보다 작은지를 점검한다. 기결정된 속도 저(lower) 임계치(v_th)의 값은 예를 들어 약 5 m/s이지만, 5 m/s보다 크거나 작은 값으로서도 정의될 수 있다. 단계 S5에서 조건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단계 S3로 계속된다.
이와 달리, 단계 S5에서 조건이 충족되지 아니하면, 단계 S6에서,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따라서 횡 마찰값(μ_T)이 결정된다. 단계 S7에서, 계산된 횡 가속도(a_y_c)가, 횡 마찰값(μ_T)의 함수인 변수로서 차량 동역학 모델에서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저역 통과 필터링에 의해서 매끄러워진다. 예를 들어, 하향 힘(F_z)과 결정된 횡 마찰값(μ_T)의 곱으로서 횡 방향 힘(lateral force)(F_y)이 결정된다. 그러면, 계산된 횡 가속도(a_y_c)는 결정된 횡 방향 힘(F_y)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8에서 바람직하게는 감지된 횡 가속도(a_y)가, 계산된 횡 가속도(a_y_c)을 중심으로 하여 기결정된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를 점검한다. 기결정된 허용 범위의 하한치는, 계산된 횡 가속도(a_y_c)의 크기와 가속도 허용 저(lower) 제한값(a_min)의 크기의 차에 의해서 주어진다. 이에 상응하여, 기결정된 허용 범위의 상한치는, 계산된 횡 가속도(a_y_c)의 크기와 가속도 허용 고(upper) 제한값(a_max)의 크기의 합에 의해서 정의된다. 결정된 횡 가속도(a_y)의 크기가 기결정된 허용 범위 내에 있으면, 프로그램은 단계 S3로 계속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S9에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가 조정된다. 시간 t의(in) 시점에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로서 할당되는 값이, 계산된 횡 가속도(a_y_c)의 크기 및 감지된 횡 가속도(a_y)의 크기의 차에 계수(factor)(K)를 곱한 값과, 시간 t-1의 시점에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 사이의 차가 되도록,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의 조정이 행해진다. 이어서 단계 S3 내지 단계 S9과 연계되는 후속 조정 단계에 대하여, 단계 Sl0에서 시간 t에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가 시간 t-1에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로서 할당된다. 프로그램은 단계 S3에서 계속된다. 이런 방식으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가 되풀이되어(recursively) 결정된다.
프로그램은 바람직하게는 단지 시구간(T_W)을 가지는 대기 시간이 만료된 후에야 계속될 것이다. 대기 시간의 시구간(T_W)은 예를 들어, 측정치들이 감지되거나 결정되는 샘플링 간격에 대응되거나 조정에 대한 기결정된 시간 간격에 대응될 것이고 이로써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가 업데이트된다. 계수(K)는 예를 들어 약 1.5
Figure 112009037662984-pct00012
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계수(K)는 이와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에 대하여 감지된 횡 가속도(a_y) 및 계산된 횡 가속도(a_y_c) 대신에 감지된 요율(w_z) 및 계산된 요율(w_z_c)이 사용된다면, 프로그램이 또한 적절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계 S4는 예를 들어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 하향 힘(F_z), 차량 속도(v) 및 감지된 요율(w_z)이 감지되거나 결정되는 단계 S11로 대체된다. 단계 S5를 대체하는 단계 S12에서, 감지된 요율(w_z)의 크기가 기결정된 요율 저(lower) 임계치(w_th)보다 작은지를 그리고 차량 속도(v)가 기결정된 속도 저(lower) 임계치(v_th)보다 작은지를 점검한다. 단계 S7를 대체하는 단계 S13에서, 계산된 요율(w_z_c)이, 결정된 횡 마찰값(μ_T)의 함수인 변수로서 차량 동역학 모델에서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저역 통과 필터링에 의해서 매끄러워진다. 단계 S8를 대체하는 단계 S14에서, 감지된 요율(w_z)의 크기가, 계산된 요율(w_z_c)을 중심으로 하여 기결정된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를 점검한다. 기결정된 허용 범위의 하한치는, 계산된 요율(w_z_c)의 크기와 요율 허용 저(lower) 제한값(w_min)의 크기의 차에 의해서 정의된다. 기결정된 허용 범위의 상한치는, 계산된 요율(w_z_c)의 크기와 요율 허용 고(upper) 제한값(w_max)의 크기의 합에 의해서 정의된다. 단계 S9이 아닌 단계 S15에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가 조정된다. 단계 S15에서, 시간 t의 시점에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로서 할당되는 값은, 계산된 요율(w_z_c)의 크기 및 감지된 요율(w_z)의 크기의 차에 계수(K)를 곱한 값과, 시간 t-1의 시점에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 사이의 차이다.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에 대하여 감지된 횡 가속도(a_y) 및 계산된 횡 가속도(a_y_c) 또는 감지된 요율(w_z) 및 계산된 요율(w_z_c)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측정 변수들로서 감지될 수 있고 모델 변수들로서 결정될 수 있는 다른 차량 동역학 변수들을 사용한다면, 프로그램이 또한 적절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차량 동역학 변수들의 예들은 요잉 모멘트(yawing moment) 또는 요율의 가속도이다.

Claims (3)

  1. 차량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의 정도(μ_R)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을 감지하거나 결정하고,
    - 상기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대한 횡 마찰값(μ_T)의 비선형 그래프가 상기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대한 상기 횡 마찰값(μ_T)의 초기 기울기 및 반복적으로(recursively) 결정된 상기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의 함수가 되되, 상기 초기 기울기와 상기 반복적으로 결정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는 서로 무관하도록, 상기 횡 마찰값(μ_T)과 상기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 사이의 함수 관계를 정의하는 모델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와 상기 도로면 사이의 횡 마찰값(μ_T)을 결정하고
    - 상기 차량에 대하여 측정된 차량 동역학 변수를 감지하고,
    - 상기 측정된 차량 동역학 변수에 대응하는 차량 동역학 모델 변수를 상기 횡 마찰값(μ_T)에 따라서 결정하고, 상기 측정된 차량 동역학 변수와 상기 차량 동역학 모델 변수 사이의 상위(相違)를 결정하고, 그리고
    - 상기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를 결정할 때의 반복(recursion)이, 결정된 상기 상위에 따르는 상기 추정치의 변경(modification)을 포함하는,
    마찰 계수 추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에서 상기 함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Figure 112009037662984-pct00013
    여기서,
    Figure 112009037662984-pct00014
    이고,
    Figure 112009037662984-pct00015
    이고,
    Figure 112009037662984-pct00016
    (단, C1_0은 제1 상수이고 C2_0는 제2 상수)에 의하여 정의되는,
    마찰 계수 추정 방법.
  3. 차량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의 정도(μ_R)를 추정하는 장치로서,
    -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을 감지하거나 결정하고,
    - 상기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대한 횡 마찰값(μ_T)의 비선형 그래프가 상기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에 대한 상기 횡 마찰값(μ_T)의 초기 기울기 및 반복적으로(recursively) 결정된 상기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의 함수가 되되, 상기 초기 기울기와 상기 반복적으로 결정된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는 서로 무관하도록, 상기 횡 마찰값(μ_T)과 상기 오프-라인 스티어링 각(α) 사이의 함수 관계를 정의하는 모델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와 상기 도로면 사이의 횡 마찰값(μ_T)을 결정하고
    - 상기 차량에 대하여 측정된 차량 동역학 변수를 감지하고,
    - 상기 측정된 차량 동역학 변수에 대응하는 차량 동역학 모델 변수를 상기 횡 마찰값(μ_T)에 따라서 결정하고, 상기 측정된 차량 동역학 변수와 상기 차량 동역학 모델 변수 사이의 상위(相違)를 결정하고, 그리고
    - 상기 마찰의 정도(μ_R)의 추정치를 반복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반복이 결정된 상기 상위에 따르는 마찰값의 정도의 추정치의 변경(modification)을 포함하는,
    마찰 계수 추정 장치.
KR1020097012995A 2006-11-21 2007-10-22 마찰 계수 추정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91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4805.1 2006-11-21
DE102006054805A DE102006054805B4 (de) 2006-11-21 2006-11-2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ätzen einer Reibkennzah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691A KR20090085691A (ko) 2009-08-07
KR101391195B1 true KR101391195B1 (ko) 2014-05-02

Family

ID=3891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9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1195B1 (ko) 2006-11-21 2007-10-22 마찰 계수 추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70019B2 (ko)
EP (1) EP2094545B1 (ko)
JP (1) JP5039143B2 (ko)
KR (1) KR101391195B1 (ko)
CN (1) CN101636299B (ko)
AT (1) ATE462624T1 (ko)
DE (2) DE102006054805B4 (ko)
WO (1) WO2008061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1439B2 (en) * 2009-02-16 2015-12-29 Honda Motor Co., Ltd. Road surface frictional coefficient estimating apparatus
JP5396116B2 (ja) * 2009-03-25 2014-0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摩擦状態推定装置
DE102015005018B4 (de) 2015-04-20 2021-06-10 Audi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lateralen Reibwerts zwischen mindestens einem Reifen eines Fahrzeugs und einer Fahrbahn
KR101876063B1 (ko) * 2016-10-04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데이터 기반의 노면 판단 방법
DE102016221932A1 (de) * 2016-11-09 2018-05-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Fahrerassistenzsystem
US10093321B1 (en) * 2017-03-23 2018-10-09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parameters of tires
US11062538B2 (en) 2018-06-05 2021-07-13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Llc Steering rack corrosion detection using steering data
KR102689881B1 (ko) * 2019-11-12 2024-08-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 및 그 모터 토크 제어 방법
CN113978470B (zh) * 2021-12-13 2024-01-12 郑州轻工业大学 轮胎与路面摩擦力在线快速估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160A (ja) 2000-06-29 2002-01-15 Fuji Heavy Ind Ltd 車両の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2014C2 (de) * 1989-04-12 1998-07-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Ermittlung des Reibwertes zwischen der Fahrbahn und den Reifen eines Fahrzeuges
JP3119010B2 (ja) * 1993-03-03 2000-12-18 株式会社デンソー 路面摩擦係数検出装置
DE19549715B4 (de) * 1994-06-27 2004-09-16 Fuji Jukogyo K.K.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Fahrbahnreibwertes für ein Steuersystem in einem Kraftfahrzeug
JP3268124B2 (ja) * 1994-06-27 2002-03-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トルク配分制御装置
DE19515047B4 (de) * 1994-11-25 2008-07-0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für eine Bremsanlage für ein vierrädriges Kraftfahrzeug
US5774821A (en) * 1994-11-25 1998-06-30 Itt Automotive Europe Gmbh System for driving stability control
US5576959A (en) * 1995-03-03 1996-11-19 Ford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yaw of a wheeled vehicle based on under-steer and over-steer containment routines
US5869753A (en) * 1995-08-25 1999-02-0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ystem for estimating the road surface friction
JP3060923B2 (ja) 1995-11-24 2000-07-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状態推定装置
US5899952A (en) * 1995-12-27 1999-05-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evice for estimating slip angle of vehicle body through interrelation thereof with yaw rate
JP2000025594A (ja) * 1998-05-07 2000-01-25 Unisia Jecs Corp 車両のヨ―運動制御装置
JP3539722B2 (ja) * 2000-11-16 2004-07-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JP3702779B2 (ja) * 2000-12-05 2005-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挙動制御装置
JP3798668B2 (ja) * 2001-10-11 2006-07-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路面摩擦係数の算出装置
JP3860518B2 (ja) * 2002-08-12 2006-12-2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路面摩擦状態推定装置
JP3997864B2 (ja) * 2002-08-14 2007-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輪状態取得装置および車両状態取得装置
JP4127062B2 (ja) * 2003-01-22 2008-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横加速度センサのドリフト量推定装置、横加速度センサの出力補正装置及び路面摩擦状態推定装置
JP4703953B2 (ja) * 2003-08-26 2011-06-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JP4397760B2 (ja) * 2004-08-20 2010-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路面摩擦係数の推定方法
DE602005004847T2 (de) * 2004-08-19 2009-02-19 Honda Motor Co., Ltd.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Reibwerts einer Strassenoberfläche und des Rutschwinkels eines Kraftfahrzeu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160A (ja) 2000-06-29 2002-01-15 Fuji Heavy Ind Ltd 車両の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45566A1 (en) 2010-06-10
ATE462624T1 (de) 2010-04-15
JP2010510130A (ja) 2010-04-02
US8370019B2 (en) 2013-02-05
KR20090085691A (ko) 2009-08-07
JP5039143B2 (ja) 2012-10-03
CN101636299B (zh) 2013-02-06
DE102006054805B4 (de) 2009-11-26
EP2094545B1 (de) 2010-03-31
EP2094545A1 (de) 2009-09-02
CN101636299A (zh) 2010-01-27
DE102006054805A1 (de) 2008-05-29
DE502007003359D1 (de) 2010-05-12
WO2008061852A1 (de)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195B1 (ko) 마찰 계수 추정 방법 및 장치
JP5103066B2 (ja) 車両の路面状態推定装置
EP0808731B1 (en) Apparatus for estimating vehicle tire air pressure from not only tired wheel motion but also tire temperature
EP17674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 cornering stability of a wheel
US620202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dition of road
US6374172B1 (en) Vehicle driving condition detection device
US7542837B2 (en) Determining the moment of activation of an automatic hold function
EP1906165B1 (en)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magnitude of cornering force generated in wheel
JP3769459B2 (ja) タイヤバースト予測装置
CN110920626A (zh) 一种数据驱动的电驱动车辆附着稳定识别方法及装置
JP3948678B2 (ja) 車輪の旋回安定性評価方法および車輪の旋回安定性評価装置
JP2005088726A (ja) タイヤ空気圧警報装置、この装置によって監視されるタイヤ、およびタイヤの特性値の管理方法
US6175781B1 (en) Method for detecting laterally inclined bends
EP1512597B1 (en) Road surface condition determination apparatus
JP4354607B2 (ja) ドリフト除去装置及びドリフト除去方法、移動体の挙動検出センサ。
US20040117100A1 (en) Hydroplaning detection apparatus
KR101315777B1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의 상대 조향각 센서 오프셋 보정 방법
JP2002131077A (ja) 移動体の停止判定方法及び停止判定装置ならびに停止判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2006273108A (ja) 車両状態検出装置
CN118742787A (zh) 基于车辆的惯性传感器系统的测量数据识别道路状态
JPH09282598A (ja) 車間距離制御装置および車間距離警報装置
JP4216150B2 (ja) 車両のタイヤ種別判定装置
JPH01267463A (ja) 車体加速度の検出装置
KR101179105B1 (ko) 휠 스피드센서의 크립 노이즈 검출 방법
KR100769525B1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