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0893B1 -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893B1
KR101390893B1 KR1020130049043A KR20130049043A KR101390893B1 KR 101390893 B1 KR101390893 B1 KR 101390893B1 KR 1020130049043 A KR1020130049043 A KR 1020130049043A KR 20130049043 A KR20130049043 A KR 20130049043A KR 101390893 B1 KR101390893 B1 KR 101390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ssenger car
passenger
connecting member
main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배
이병송
김재희
이준호
이수길
정신명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4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8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60D1/187Tow ropes, chain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to the towing vehicle or to the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용차로 하단과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0); 다수의 승용차 견인을 위해 견인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기(200); 다수의 승용차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승용차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0); 연결부재(300)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메인 휠(400); 및 메인 휠(400) 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휠(50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다수의 승용차간에 연결기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장거리를 이동하는 승용차를 대량으로 운송함으로써, 장거리 운전자에게 안전함과 편안함을 제공하고, 환경적 측면에서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을 저감시키며, 경제적 측면에서 연료 사용 및 고속도로 이용 요금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TRANSPORTING LARGE QUANTITY OF CAR LONG DISTANCE AND METHOD TERERFOR}
본 발명은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고속도로 상의 전용도로를 이용한 개인 승용차의 대량 운송을 위해 메인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다수의 승용차간에 연결기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인승용차를 이용하여 고속도로를 통한 장거리 이동을 할 경우, 운전자 입장에서는 피로 누적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며, 환경적 측면에서는 많은 자동차에서의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 증가가 문제가 되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과다한 연료 사용 및 고속도로 이용료에 의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속도로는 상하행 중앙에 버스전용차로가 있으며, 개인 승용차의 경우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나머지 차로를 이용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출퇴근 시간이나 주말, 명절의 경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인 승용차가 이용하는 차로는 수많은 차들로 붐벼 정체를 이루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 입장에서는 피로 누적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늘 존재하고, 고속도로의 버스전용차로를 제외한 나머지 차로의 경우, 출퇴근 시간, 주말이나 공휴일, 명절에는 항상 개인승용차로 인해 차량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경적 측면에서는 많은 자동차에서의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 증가가 문제가 되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개인 승용차들의 과다한 연료 사용 및 고속도로 이용료에 의한 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44623호(공중부양 운송장치)에는, 공기보다 가벼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양부와; 지상에서 이동추진력과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와 상기 부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부양부에 결합되어 운송대상물을 수용하는 탑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부는 운송장치를 선도하고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과, 이를 추종하며 역방향 제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제동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운송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를 지지하는 레일과 레일 지지를 위한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기상 악화시 부양부를 구동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메인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다수의 승용차간에 연결기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장거리를 이동하는 승용차를 대량으로 운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안전함과 편안함, 경제적인 시스템 제공이 가능하며, 환경적으로 환경친화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용차간 연결기를 기계식 또는 전자석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연결기를 용도별로 기계식 또는 전자석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은, 전용차로 하단과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0); 다수의 승용차 견인을 위해 견인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기(200); 다수의 승용차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승용차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0); 연결부재(300)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메인 휠(400); 및 메인 휠(400) 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휠(5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방법은, 가이드레일이 전용차로 하단과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되는 (a) 단계; 연결기가 다수의 승용차 견인을 위해 견인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b) 단계; 연결부재가 다수의 승용차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승용차 각각을 연결하는 (c) 단계; 메인 휠이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d) 단계; 및 가이드 휠이 메인 휠 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다수의 승용차간에 연결기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장거리를 이동하는 승용차를 대량으로 운송함으로써, 장거리 운전자에게 안전함과 편안함을 제공하고, 환경적 측면에서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을 저감시키며, 경제적 측면에서 연료 사용 및 고속도로 이용 요금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인 승용차를 이요한 장거리 이동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공중부양 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의 승용차간 기계식 연결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의 승용차간 연결기 운용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을 Station에서 고가 구조물을 통해 승용차간 연결기를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의 전자석식 연결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S)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S)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S)은 전용차로 하단과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0), 다수의 승용차 견인을 위해 견인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기(200), 다수의 승용차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승용차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0), 연결부재(300)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메인 휠(400), 및 메인 휠(400) 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휠(5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S)의 세부구성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가이드레일(100)은 전용차로 하단과 전용차로 양 측벽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부재(300)에 구비된 메인 휠(400) 및 가이드 휠(500)의 바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기(200)는 견인차량 후면에 구비되어 선두에 위치한 승용차의 연결부재(300)와 연결/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부재(300)는 다수의 승용차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승용차 전면에 설치된 연결부재 또는 승용차 후면에 설치된 연결부재와 고정되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차량 연결부(310) 및 뒤차량 연결부(320)로 구성되며, 기계식 또는 전자석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승용차의 앞 범퍼 또는 뒤 범퍼에는 연결부재(300) 고정을 위한 연결장치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휠(400)은 연결부재(300)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되, 다수의 승용차가 견인차량에 연결되어 전용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각 승용차가 전용도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휠(500)은 메인 휠(400) 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되, 다수의 승용차가 견인차량에 연결되어 전용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각 승용차가 전용도로의 양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S)은 Station을 구성하여 승용차들을 운송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점 도시별로 고속도로 톨게이트 진입 전에 Station을 구성하고, Station에서 목적지가 동일한 승용차들을 편성하여 운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Station에는 승용차간 연결기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승용차간 연결기 시스템은 고가의 구조물 사이로 승용차가 진입하는 경우, 고가의 구조물을 통하여 앞차와 뒤차 사이에 승용차간 연결기를 하강하여 승용차 전면과 후면에 구비된 연결부재와 고정시켜 운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S)은 연결부재(300)를 전자석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석식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300)는, 메인 휠(400) 축에 설치된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승용차 전면 및 승용차 후면을 고정하는 전자석 연결부(330)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가이드레일(100)이 전용차로 하단과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된다(S10).
이어서, 연결기(200)가 다수의 승용차 견인을 위해 견인차량 후면에 설치된다(S20).
뒤이어, 연결부재(300)가 다수의 승용차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승용차 각각을 연결한다(S30).
이어서, 메인 휠(400)이 연결부재(300)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한다(S40).
그리고, 가이드 휠(500)이 메인 휠(400) 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한다(S5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100: 가이드레일 200: 연결기
300: 연결부재 310: 앞차량 연결부
320: 뒤차량 연결부 330: 전자석 연결부
400: 메인 휠 500: 가이드 휠

Claims (7)

  1.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에 있어서,
    전용차로 하단과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0);
    다수의 승용차 견인을 위해 견인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기(200);
    다수의 승용차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승용차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0);
    상기 연결부재(300)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메인 휠(400); 및
    상기 메인 휠(400) 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휠(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전용차로 하단과 전용차로 양 측벽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300)에 구비된 메인 휠(400) 및 가이드 휠(500)의 바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다수의 승용차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승용차 전면에 설치된 연결부재 또는 승용차 후면에 설치된 연결부재와 고정되되,
    기계식 또는 전자석식으로 구성되는 앞차량 연결부(310) 및 뒤차량 연결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휠(400)은,
    상기 연결부재(300)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되,
    다수의 승용차가 견인차량에 연결되어 전용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각 승용차가 전용도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500)은,
    상기 메인 휠(400) 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00)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되,
    다수의 승용차가 견인차량에 연결되어 전용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각 승용차가 전용도로의 양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메인 휠(400) 축에 설치된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승용차 전면 및 승용차 후면을 고정하는 전자석 연결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7.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방법에 있어서,
    (a) 가이드레일이 전용차로 하단과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되는 단계;
    (b) 연결기가 다수의 승용차 견인을 위해 견인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단계;
    (c) 연결부재가 다수의 승용차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승용차 각각을 연결하는 단계;
    (d) 메인 휠이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단계; 및
    (e) 가이드 휠이 메인 휠 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전용차로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승용차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방법.
KR1020130049043A 2013-05-01 2013-05-01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ctive KR10139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043A KR101390893B1 (ko) 2013-05-01 2013-05-01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043A KR101390893B1 (ko) 2013-05-01 2013-05-01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893B1 true KR101390893B1 (ko) 2014-05-30

Family

ID=5089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043A Active KR101390893B1 (ko) 2013-05-01 2013-05-01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596B1 (ko) * 2017-10-25 2019-01-11 김현국 트레일러 주행 시스템
KR101937595B1 (ko) * 2017-10-25 2019-01-11 김현국 자율주행차량 주행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4015B1 (en) * 1997-06-11 2001-05-01 Prospective Concepts Ag Aerial cableway leading to an aerostatic airborne body
KR20050078955A (ko) * 2004-02-03 2005-08-08 주식회사 로템 모노레일 시스템
KR100544623B1 (ko) 2003-10-28 2006-01-23 광주과학기술원 공중부양운송장치
KR101200441B1 (ko) 2010-12-28 2012-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물류 운송용 차량 연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4015B1 (en) * 1997-06-11 2001-05-01 Prospective Concepts Ag Aerial cableway leading to an aerostatic airborne body
KR100544623B1 (ko) 2003-10-28 2006-01-23 광주과학기술원 공중부양운송장치
KR20050078955A (ko) * 2004-02-03 2005-08-08 주식회사 로템 모노레일 시스템
KR101200441B1 (ko) 2010-12-28 2012-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물류 운송용 차량 연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596B1 (ko) * 2017-10-25 2019-01-11 김현국 트레일러 주행 시스템
KR101937595B1 (ko) * 2017-10-25 2019-01-11 김현국 자율주행차량 주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4818C2 (ru)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людей
KR101497479B1 (ko) 멀티라인 모노레일 차량의 절첩 구조
US9415783B2 (en) Transitional mode high speed rail systems
RU2480345C2 (ru) Система буксиров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на автостраде
CN105398352A (zh) 陆路运输车辆及其控制方法、地面设备及运输系统
US2016030393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tractive effort of a vehicle
KR101485407B1 (ko)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
KR101390893B1 (ko) 승용차 장거리 대량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5990135B2 (ja) 無人搬送車用非接触充電システム
CN108382402B (zh) 一种智轨电车首末端充电站台系统构造
JP4911520B2 (ja) 車両に対する電力伝送システム
US6490980B1 (en) Mass transit vehicle system
KR102230791B1 (ko) 대형 트럭 탑재용 피기백 화차 저상 프레임 구조 및 결박구조 일체형 구조 기술
CN1324313A (zh) 列车定位的方法和装置
SK17822000A3 (sk) Usporiadanie vozidiel
CN103832442A (zh) 轨道车辆和列车
CN203727380U (zh) 轨道车辆和列车
CN102700370A (zh) 一种公路铁路两用挂车
KR101314856B1 (ko) 자기부상열차의 일반 철도 운행용 결합 차량
CN203157625U (zh) 一种公铁二用牵引车
CN105846260A (zh) 公铁联运货车通电装置及通电方法
CN201427505Y (zh) 一种能在火车道上行驶的汽车
CN201058626Y (zh) 一种新型公路货物运输卡车
CN220518265U (zh) 货运车组及列车
CN219312702U (zh) 故障、事故车辆应急推车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