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553B1 - Ventilator - Google Patents
Ventil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0553B1 KR101390553B1 KR1020127031864A KR20127031864A KR101390553B1 KR 101390553 B1 KR101390553 B1 KR 101390553B1 KR 1020127031864 A KR1020127031864 A KR 1020127031864A KR 20127031864 A KR20127031864 A KR 20127031864A KR 101390553 B1 KR101390553 B1 KR 1013905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member
- cam
- plate
- cont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2 deficie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장치 본체(2)에는 캠 블럭(10)이 설치된다. 캠 블럭(10)에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12), 및 금속성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제1 판재(31)가 설치된다. 제1 판재(31)는 그 제1 판부(31a)가 제1 경사면(12)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1 판재(31)의 우하측의 단부에는 제3 판부(31c)가 원호부(31e)를 통하여 연결 설치된다. 제3 판부(31c)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한다. 개폐 부재(6)에는 제1 접촉부(51)가 설치된다. 제1 접촉부(51)는 제3 판부(31c)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고, 그에 의해 개폐 부재(6)가 하방으로 압박된다. 하방으로 압박된 개폐 부재(6)는, 장치 본체(2)의 바닥벽부(2d)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압박된다.The apparatus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a cam block 10. The cam block 10 is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face 12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first plate 31 made of a metallic plate. The first plate 31 is disposed so that the first plate portion 31a contacts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 The third plate portion 31c is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end of the first plate 31 through an arc portion 31e. The third plate portion 31c allows elastic de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portion (51). The first contact portion 51 is pressed downward by the third plate portion 31c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is pressed downwar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pressed downward is pressed through the sealing member 61 to the bottom wall portion 2d of the apparatus main body 2. [
Description
본 발명은 옥외와 옥내의 사이에서 환기를 행할 때 사용되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or used for ventilation between outdoor and indoor.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환기 장치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 개폐 부재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는 건물의 벽이나 창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옥외와 옥내를 연통하는 환기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개폐 부재는 환기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며, 장치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this type of ventilator has an apparatus main body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as described in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른 일측부는, 장치 본체에 직선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개폐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직선 이동 가능하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다.The one side portion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while being linearly movabl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linearly movabl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is rotatable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장치 본체와 개폐 부재의 타측부와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 캠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캠 기구는, 장치 본체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고 함)으로 직선 이동하면,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폐쇄 위치측을 향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개폐 부재가 제1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부재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개폐 부재는 폐쇄 위치까지 회전하면, 장치 본체에 밀봉 부재를 통하여 맞닿아 환기 통로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실외와 실내의 사이의 환기가 정지된다.First and second cam mechanisms are provided between the apparatus main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en the apparatus body linearly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ward the first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cam mechanism rotates the opening / closing member from the open position side toward the closed position side. The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reaches the first pos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ed to the closing posi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pparatus body through the sealing member to close the ventilation passage. As a result, the ventilation between the outside of the room and the inside of the room is stopped.
제2 캠 기구는, 장치 본체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하, 제2 방향이라고 함)으로 직선 이동하면, 개폐 부재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개폐 부재가 제2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개폐 부재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면 환기 통로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실외와 실내의 사이에서 환기가 행해진다.When the apparatus body linearly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cam mechanism rotates the opening / closing member from the closed position toward the open position. The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reaches the second pos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rotates to the open position, the ventilation passage is opened. Thereby, ventil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room and the inside of the room.
제1 캠 기구는, 개폐 부재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과, 개폐 부재의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한 가압면을 갖고 있다. 경사면은, 개폐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개폐 부재에 접촉하여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부터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개폐 부재가 제1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제1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부재가 경사면을 넘어 가압면에 가압 접촉한다. 그 상태에서는 가압면이 개폐 부재의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하기 때문에, 개폐 부재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즉, 개폐 부재가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The first cam mechanism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near mov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 pressing surface parallel to the linear mov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inclined surface contact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linearly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urth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reaches the first pos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pressing surface over the inclined surface. In this state, since the pressing surface is parallel to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does not rotate and remains stationary.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held in the closed position.
장치 본체나 개폐 부재에는 불가피적인 제조 오차가 있다. 그 제조 오차는 가압면이나 폐쇄 위치로 회전한 개폐 부재가 맞닿는 장치 본체의 접촉면의 위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 결과, 개폐 부재가 폐쇄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개폐 부재가 장치 본체에 과대한 힘으로 가압 접촉하거나, 반대로 과소한 힘으로 가압 접촉하기도 한다. 개폐 부재의 장치 본체에의 접촉압이 과대하면, 개폐 부재를 직선 이동시키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밀봉 부재가 과대하게 압축되어 조기에 열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개폐 부재의 장치 본체에의 접촉압이 과소하면, 환기 통로에 대한 개폐 부재의 밀봉성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There is an unavoidable manufacturing error in the apparatus main body o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manufacturing error affects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apparatus main body to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rotated to the pressurized surface or the closed position abuts. As a resul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mes into pressure contact with the apparatus main body with an excessive force or vice versa. If the contact press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ith the apparatus main body is excessi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becomes difficult to linearly move or the sealing member is excessively compressed and deteriorates prematurely. Conversely, if the contact press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the apparatus main body is excessively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ventilation passage is lowered.
본 발명은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환기 통로가 형성된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개폐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개폐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환기 통로를 개방한 개방 위치부터 상기 환기 통로를 폐쇄한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1 캠 기구, 및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 캠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는, 상기 개폐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의 폐쇄 위치를 규정하는 제1 기준부가 설치된 환기 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pparatus main body having a ventila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room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movably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A first cam mechanism that mov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rom an open position where the ventilation path is opened to a closing position where the ventilation path is closed when the ventilation path is moved, and a second cam mechanism tha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ov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cam mechanism for mov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is provided, and the apparatus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portion defining a closed position of the opening / In the apparatus,
상기 장치 본체에 제1 압박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압박 수단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된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1 기준부에 압박하고, 그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ressing means is provid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the first pressing means press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oved to the closing position from the open position side to the closing position side and press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gainst the first reference por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held at the closed position b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이 경우, 상기 제1 캠 기구가,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개폐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제1 캠부와, 다른쪽에 설치된 제1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1 캠부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부터 상기 폐쇄 위치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2 캠 기구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2 캠부와, 상기 다른쪽에 설치된 제2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캠부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캠부의 전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가 설치되고, 이 제1 탄성부가, 상기 제1 접촉부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 기준부에 압박하는 상기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am mechanism has a first cam portion provided on one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 first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1 contact portion is slid on the first cam portion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ing position, and the second cam mechanism includes a second cam portion provided on the one side and a second cam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Closing member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by slid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on the second cam por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A first elastic portion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able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am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side, the first elastic portion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that the pressure toward the closed position from the side into the first pressure means for the first pressure to the first reference portion of the closing member are preferable.
상기 제1 캠부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1 지지부와, 금속제의 제1 판재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1 판재가 상기 제1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1 경사면에 상기 제1 판재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의 전단부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하여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며, 이 제1 판재의 전단부가 상기 제1 탄성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cam portion has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one side and a first plate member made of metal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he first contact portion slidably contacts the first slope through the first plate when the open / close memb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open / close member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plate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direction is moved in the direction from the open position toward the clos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ate member is the first elastic portion.
상기 제2 캠부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2 지지부와, 금속제의 제2 판재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2 판재가 상기 제2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경사면에 상기 제2 판재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cond cam portion has a second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one side and a second plate member made of metal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second slant face through the second plate when the open / close member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open / close member And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side to the open position side.
상기 제1 캠부가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후단부에 연속해서 설치된 제2 기준부를 갖고,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의 후단부에 상기 제2 기준부에 접촉된 연장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2 기준부에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 위치가 정해지고, 상기 제2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판재의 전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탄성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탄성부가 상기 제2 접촉부를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2 기준부에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am portion has a second reference portion continuously provided on a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located in the rear of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reference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end of the first plate, Wherein the open position of the open / close member is determined by abut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with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through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memb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plate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urges the second contact portion from the closed position side to the open position side and urges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through the extended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mber is held in the open position.
상기 장치 본체에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캠 블럭이 고정되고, 이 캠 블럭과 상기 개폐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캠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cam block made of a hard resin is fixed to the apparatus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cam mechanisms are provided between the cam block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상기 제1 캠 기구가,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된 제1 캠부와, 상기 개폐 부재에 설치된 제1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1 캠부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부터 상기 폐쇄 위치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2 캠 기구가,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된 제2 캠부와, 상기 개폐 부재에 설치된 제2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캠부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캠부의 전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가 설치되고, 이 제1 탄성부가, 상기 제1 접촉부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 기준부에 압박하는 상기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cam mechanism has a first cam portion provided on the cam block and a first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located on the first cam portion And the second cam mechanism has a second cam portion provided on the cam block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en the member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by slid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on the second cam portion, A first elastic portion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able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am portion, and the first elastic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open position side and the closed position And the first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gainst the first reference portion.
상기 제1 캠부가,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된 제1 지지부와, 금속제의 제1 판재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1 판재가 상기 제1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1 경사면에 상기 제1 판재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의 전단부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하여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 전방으로 이격되며, 이 전단부가 상기 제1 탄성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cam portion has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cam block and a first plate member made of metal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Whe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slidably contacts the first inclined surface with the first plate member,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plate memb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dir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forward from the open position toward the closed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portion is the first elastic portion.
상기 제2 캠부가,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된 제2 지지부와, 금속제의 제2 판재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2 판재가 상기 제2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경사면에 상기 제2 판재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cond cam portion has a second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cam block and a second plate member made of metal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Whe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slidably contact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with the second plate member,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ember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side to the open position side.
상기 제1 캠부가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후단부에 연속해서 설치된 제2 기준부를 갖고,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의 후단부에 상기 제2 기준부에 접촉된 연장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2 기준부에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 위치가 규정되고, 상기 제2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판재의 전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탄성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탄성부가 상기 제2 접촉부를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2 기준부에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am portion has a second reference portion continuously provided on a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located in the rear of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reference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end of the first plate, Wherein the open pos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defined by the first contact portion abutting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through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memb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plate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urges the second contact portion from the closed position side to the open position side and urges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through the extended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mber is held in the open position.
상기 제1 및 제2 판재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에 따르면, 개폐 부재가 제1 압박 수단에 의해 제1 기준부에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나 개폐 부재에 제작 오차가 있었다고 하여도, 그 제작 오차를 제1 압박 수단이 흡수한다. 따라서, 개폐 부재를 제1 기준부에 과부족이 없는 적절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reference portion by the first pressing means, even if there is a manufacturing error in the apparatus main body o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bsorbed. Therefore, the opening / closing member can be pressed to the first reference portion with an appropriate force without excess or de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가 사용된 건물의 일부를 실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를 덮개를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장치 본체, 개폐 부재 및 캠 블럭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X-X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 7의 (A)는 개폐 부재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의 Y-Y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레버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레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링크 바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7의 (A)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7의 (B)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캠 블럭, 제1 판재 및 제2 판재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캠 블럭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7의 (A)는 그 정면도, 도 17의 (B)는 그 배면도, 도 17의 (C)는 그 하면도, 도 17의 (D)는 그 측면도, 도 17의 (E)는 도 17의 (A)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제1 판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8의 (A)는 그 정면도, 도 18의 (B)는 그 측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building in which a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rom an indoor side.
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BB of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 the lid removed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aratus main assemb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cam block in the above embodiment.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4, Fig. 7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ed to the closing posi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7 (A).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YY in Fig. 7 (B).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lever supporting member used in the embodiment.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lever used in the above embodiment.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link bar used in the embodiment.
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used in the above embodiment. Fig.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7 (A).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7 (B).
16 is an enlarged front view showing the cam block,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used in the above embodiment.
17A is a front view of the cam block, FIG. 17B is a rear view thereof, and FIG. 17C is a bottom view thereof. FIG. 17A is a front view of the cam block, FIG. 17D is a side view thereof, and FIG. 17E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17A.
Fig. 18 is a view showing a first plate used in the above embodiment, wherein Fig. 18 (A) is a front view thereof and Fig. 18 (B) is a side view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FIG.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가 사용된 건물을 실내(I)로부터 실외(O)를 향하여 본 정면도이다. 이 건물에 있어서는, 바닥면(FL)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예를 들면, 30 내지 50cm 정도의 높이)를 갖고 구동하는 구동부(A)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A)의 상방에는 상부 가로대(B)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A)와 상부 가로대(B)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중간선대(C)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A), 상부 가로대(B) 및 좌우에 인접할 수 있는 2개의 중간선대(C, C)에 의해 창 유리(D)가 지지되어 있다.1 is a front view of a building in which a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rom the room I to the outdoor O. Fig. In this building, a driving unit A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example, a height of about 30 to 50 cm) is provided from the bottom surface FL. An upper cross bar (B) is provided above the drive portion (A). A plurality of intermediate wire rods C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ar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portion A and the upper crossbar portion B. The window glass D is supported by the driving section A, the upper crossbar B and the two intermediate line cates C and C which can be adjacent to the right and left.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A)에는 환기 덕트(E)가 설치되어 있다. 환기 덕트(E)의 일단부는 구동부(A)의 실외(O)를 향하는 외면에 개구되어 있다. 환기 덕트(E)의 타단부는 구동부(A)의 실내(I)를 향하는 상면에 개구되어 있다. 환기 덕트(E)의 실외(O)측의 단부에는, 환기 덕트(E) 내에 비교적 큰 먼지나 작은 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체(F)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덕트(E)의 실내(I)측의 단부에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1)가 실내(I)로부터 설치, 제거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rive unit A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duct E. One end of the ventilation duct E is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portion A facing the outdoor O. The other end of the ventilation duct E is ope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portion A facing the room I. A netting F for preventing relatively large dust or small animals from entering the ventilation duct E is detachably provided at an end of the ventilation duct E on the outdoor side (O) side. 2 and 3, the ventilating
환기 장치(1)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환기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건물의 실내외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환기 장치(1)는 이들 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1)는 장치 본체(2)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2)는 본체 부재(2a)와 한쌍의 단부재(2b, 2b)를 갖고 있다. 본체 부재(2a)는 알루미늄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단면이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재(2b)는 알루미늄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단면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재(2b)는 장치 본체(2)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본체 부재(2a)의 양단 개구부가 단부재(2b, 2b)에 의해 폐쇄되어, 장치 본체(2) 전체로서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상단부에는 화장 덮개(3)가 고정되어 있다. 화장 덮개(3)는, 그 좌우 방향의 길이 및 실내외 방향의 폭이 장치 본체(2)의 그것들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2)의 상단 개방부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화장 덮개(3)의 실내(I) 및 실외(O)측을 향하는 각 측면에는 결합부(3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2)의 실내(I)측 및 실외(O)측을 향하는 각 측면에는 로크 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부재(4)가 결합부(3a)에 결합/이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화장 덮개(3)가 장치 본체(2)의 상면에 압박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장 덮개(3)는 장치 본체(2)의 상면에 밀봉 부재(S1)를 통하여 접촉하고 있으며, 그에 의해 장치 본체(2)와 화장 덮개(3)의 사이가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8, and 9, a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는 환기 덕트(E)의 실내(I)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환기 덕트(E)를 향하는 내벽면에는 걸림부(A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A1)에 로크 부재(4)가 걸림/이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장치 본체(2)가 구동부(A)의 환기 덕트(E) 내에 실내(I)로부터 설치, 제거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2)가 구동부(A)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화장 덮개(3)의 상면이 구동부(A)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2)는 단부재(2b)에 형성된 구멍(2c)에 비스(도시하지 않음)를 삽입 관통시켜, 이 비스를 구동부(A)에 비틀어 체결함으로써, 구동부(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도 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apparatus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A)에는 환기 덕트(E)를 실외(O)측의 부분과 실내(I)측의 부분으로 구분하는 격벽부(A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격벽부(A2)에는 관통 구멍(A3)이 형성되어 있다. 환기 덕트(E)의 격벽부(A2)보다 실외(O)측의 부분과 실내(I)측의 부분이 관통 구멍(A3)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riving portion A is formed with a partition portion A2 that divides the ventilation duct E into a portion on the outdoor O side and a portion on the indoor I side. A through hole A3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2. The portion on the outdoor side (O) side and the portion on the indoor side (I) side of the partition wall A2 of the ventilation duct 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A3.
격벽부(A2)의 상면(A4)에는 장치 본체(2)의 바닥벽부(2d)의 하면이 밀봉 부재(S)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A3)이 폐쇄되어 있다. 단, 관통 구멍(A3)과 대향하는 바닥벽부(2d)에는 연통 구멍(2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2e)에 의해 관통 구멍(A3)과 장치 본체(2)의 내부가 연통되어 있고, 나아가 환기 덕트(E)의 실외(O)측의 부분이 장치 본체(2)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장치 본체(2)의 내부는 화장 덮개(3)에 형성된 환기 구멍(3b)(도 4 및 도 5 참조)을 통하여 실내(I)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실외(O)와 실내(I)는 환기 덕트(E)의 격벽부(A2)보다 실외(O)측의 부분, 관통 구멍(A3), 연통 구멍(2e), 장치 본체(2)의 내부 공간 및 환기 구멍(3b)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환기 덕트(E)의 실내(I)측의 부분은 실질적으로는 연통 구멍(2e), 장치 본체(2)의 내부 공간 및 환기 구멍(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 구멍(2e) 및 장치 본체(2)의 내부 공간 및 환기 구멍(3b)에 의해 장치 본체(2)의 내부에 환기 통로(5)가 구성되어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연통 구멍(2e)이 환기 통로(5)의 일부이고, 환기 덕트(E)의 일부이다. 따라서, 연통 구멍(2e)을 개폐함으로써, 환기 통로(5) 및 환기 덕트(E)를 개폐하고, 실외(O)와 실내(I)의 사이를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하며, 나아가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의 환기를 정지 상태와 환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연통 구멍(2e)의 개폐는 개폐 부재(6)에 의해 행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5,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부재(6)는 중공의 판형을 이루고 있으며, 장치 본체(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개폐 부재(6)는, 그 길이 방향을 장치 본체(2)의 길이 방향을 향한 상태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개폐 부재(6)는 장치 본체(2)의 길이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개폐 부재(6)는 좌우 방향으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제1 위치와 도 7의 (B)에 나타내는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는 도 7의 (A) 및 도 8에 나타내는 하부 위치(폐쇄 위치)와 도 7의 (B) 및 도 9에 나타내는 상부 위치(개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 부재(6)는 도 7의 (A), (B)의 좌측 방향(제1 방향)을 향하여 제2 위치부터 제1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1 캠 기구(8)에 의해 상부 위치부터 하부 위치까지 이동된다. 반대로, 도 7의 (A), (B)의 우측 방향(제2 방향)을 향하여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2 캠 기구(9)에 의해 하부 위치부터 상부 위치까지 이동된다.As shown in Figs. 5, 6, 8 and 9,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 부재(6)의 하면에는 비교적 경질의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밀봉 부재(61)는, 개폐 부재(6)가 하부 위치에 위치하면, 장치 본체(2)의 바닥벽부(2d)의 상면(제1 기준부)(2f)에 압박된다. 나아가, 밀봉 부재(61)는, 개폐 부재(6)가 하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연통 구멍(2e)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6)가 하부 위치에 위치하면, 연통 구멍(2e)이 개폐 부재(6)에 의해 폐쇄되고, 나아가 환기 통로(5)가 폐쇄된다. 그 결과, 실외(O)와 실내(I)의 사이가 환기 장치(1)에 의해 차단되어,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의 환기가 정지된다. 반대로, 개폐 부재(6)가 상부 위치에 위치하면, 개폐 부재(6) 및 밀봉 부재(61)가 바닥벽부(2d)의 상면(2f)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다. 이에 의해, 연통 구멍(2e)이 개방되고, 환기 통로(5)가 개방된다. 이 결과, 실외(O)와 실내(I)가 환기 덕트(E) 및 환기 통로(5)를 통하여 연통되어,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에서 환기가 행해진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 부재(6)는 이동 기구(7)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 기구(7)는, 도 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박스(71), 레버(72), 링크 바(73) 및 연결 부재(74)를 갖고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레버 박스(71)는 한쌍의 박스 절반체(71A, 7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박스 절반체(71A, 71B)는 장치 본체(2)의 내부의 좌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박스 절반체(71A)가 실외(O)측에 배치되고, 다른쪽의 박스 절반체(71B)가 실내(I)측에 배치되어 있다. 양쪽 박스(71A, 71B)는 장치 본체(2)의 실내외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어 있다. 또한, 박스(71A, 71B)는 장치 본체(2)를 실외(O)측과 실내(I)측으로 2등분하는 선에 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박스 절반체(71A, 71B)의 구성에 대해서는, 한쪽의 박스 절반체(71A)의 구성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다른쪽의 박스 절반체(71B)에 대해서는 박스 절반체(71A)의 구성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박스 절반체(71A)의 다른쪽의 박스 절반체(71B)와의 대향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홈(7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 홈(71a)은 원호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박스 절반체(71A, 71B)의 사이에는 레버(7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72)의 실외(O)측 및 실내(I)측을 향하는 각 측면에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72a, 7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가이드부(72a)가 박스 절반체(71A)의 제1 가이드 홈(71a)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고, 다른쪽의 가이드부(72a)가 박스 절반체(71B)의 제1 가이드 홈(71a)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버(72)가 레버 박스(7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On the surface of the
레버(72)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오프 위치와, 도 7의 (B)에 나타내는 온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다. 레버(72)의 오프 위치는, 레버(72)가 박스 본체(71A)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상단부면에 맞닿음으로써 정해져 있다. 레버(72)의 온 위치를 정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박스 절반체(71A)의 박스 절반체(71B)와의 대향면에는 제2 가이드 홈(71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 홈(71c)은 좌우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절반체(71A, 71B)에는 링크 바(73, 7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링크 바(73, 73)는 박스 절반체(71A, 71B)의 대향면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링크 바(73)의 박스 절반체(71A)와의 대향면에는 돌출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73a)는 제2 가이드 홈(71c)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링크 바(73)가 박스 절반체(71A)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다른쪽의 링크 바(73)가 박스 절반체(71B)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
링크 바(73)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1 긴 구멍(73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긴 구멍(73b)은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링크 바(73, 73)의 사이에는 레버(72)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레버(72)의 하단부의 링크 바(73, 73)와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돌출부(72b, 7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2b, 72b)는 링크 바(73, 73)의 제1 긴 구멍(73b, 73b)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나아가, 돌출부(72b)는 제1 긴 구멍(73b)에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 바(73)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따라 링크 바(7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A first
박스 절반체(71A)의 박스 절반체(71B)와의 대향면에는, 박스 본체(71B)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격벽부(71d)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부(71d)는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하단부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고, 박스 본체(71A)의 좌단벽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결과, 레버 박스(7)의 상면의 위치 결정 돌출부(71b)로부터 좌측의 부분에는 오목부(7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71C)의 우측 단부의 상부에는,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레버(72)의 좌측 단부가 들어가 있다. 따라서, 오목부(71C)의 좌측 단부로부터 손가락을 삽입하여 레버(72)의 좌측 단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고, 그에 따라 레버(72)를 오프 위치부터 온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레버(72)의 좌측 단부를 밀어내림으로써, 레버(72)를 온 위치부터 오프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On the surface of the
격벽부(71d)의 하측에는 링크 바(73)의 좌측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들어가 있다. 링크 바(73)의 좌측 단부에는 스프링 받침대(75)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대(75)에는 산 형상을 이루는 결합 용수철(76)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용수철(76)은 레버(72)가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결합 용수철(76)의 산부(76a)가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우측 단부면의 하단부(우측 단부면과 하면의 교차부)에 맞닿아 있고, 링크 바(73)를 스프링 받침대(75)를 통하여 우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그 결과, 레버(72)의 하단부가 링크 바(73)에 의해 우측으로 눌러지고, 나아가 레버(72)가 온 위치측으로부터 오프 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도 7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압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 압박력에 의해, 링크 바(73)가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상면에 압박되어 오프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On the lower side of the
레버(72)가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측으로 회전하면, 링크 바(73)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산부(76a)가 위치 결정 돌출부(71b)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진다. 그 결과, 산부(76a)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결합 용수철(76)이 탄성 변형된다. 레버(72)가 더 온 위치측으로 회전하면, 산부(76a)가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우측 단부면을 통과하여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하면에 압박된다. 그리고,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하면을 미끄럼 이동 상태로 통과하고, 그 후에는 해당 하면에 연속된 격벽부(71d)의 수평한 하면을 미끄럼 이동한다. 도 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부(71d)의 하면에는 결합 오목부(71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오목부(71e)는 레버(72)가 오프 위치측으로부터 온 위치측으로 회전하여 온 위치에 도달하면 결합 용수철(76)의 산부(76a)가 결합 용수철(76) 자체의 탄성에 의해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산부(76a)가 결합 오목부(71e)에 결합함으로써, 레버(72)의 오프 위치가 정해져 있다.When the
또한, 레버(72)는 산부(76a)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결합 용수철(76)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온 위치를 넘어 더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레버(72)가 온 위치를 넘으면 즉시 돌출부(72b)가 제1 긴 구멍(73b)의 내면의 상단부에 맞닿아 레버(72)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레버(72)는 실질적으로는 온 위치를 넘어 회전하는 일이 없다.Further, the
링크 바(73)의 우측 단부에는 제2 긴 구멍(7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긴 구멍(73c)은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개폐 부재(6)의 좌측 단부에는 연결 부재(74)의 우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74)의 좌측 단부는 링크 바(73, 73)의 우측 단부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링크 바(73, 73)와 대향하는 연결 부재(74)의 양측면에는 돌출부(74a, 74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4a, 74a)는 링크 바(73, 73)의 제2 긴 구멍(73c, 73c)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돌출부(74a)는 제2 긴 구멍(73c)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 바(7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 개폐 부재(6)가 링크 바(73)와 일체로 이동한다. 따라서, 레버(72)를 온 위치측으로부터 오프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우측 방향(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버(72)가 오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개폐 부재(6)의 위치가 제1 위치이다. 반대로, 레버(72)를 오프 위치측으로부터 온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개폐 부재(6)가 좌측 방향(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버(72)가 온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개폐 부재(6)의 위치가 제2 위치이다.A second
개폐 부재(6)는, 우측 방향을 향하여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1 캠 기구(8)에 의해 도 7의 (B)에 나타내는 상부 위치(개방 위치)부터 도 7의 (A)에 나타내는 하부 위치(폐쇄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개폐 부재(6)는, 좌측 방향을 향하여 제2 위치부터 제1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2 캠 기구(9)에 의해 하부 위치부터 상부 위치까지 상방으로 이동된다. 제1 및 제2 캠 기구(8, 9)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두 장치 본체(1)와 개폐 부재(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내부에는 2개 한쌍의 캠 블럭(10, 10')이 2쌍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캠 블럭(10, 10')은 좌우 방향으로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내외 방향으로는 실외(O)측과 실내(I)측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캠 블럭(10, 10')과 다른 한쌍의 캠 블럭(10, 10')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캠 블럭(10, 10')은 한쌍만 설치하여도 되고, 3쌍 이상 설치하여도 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wo pairs of two cam blocks 10 and 10 'are provided in the apparatus
캠 블럭(10, 10')은 장치 본체(1)를 거울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캠 블럭(10)에 대해서만 그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캠 블럭(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캠 블럭(10)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cam blocks 10 and 10 'are mirror-symmetrically formed in the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O)측에 배치된 캠 블럭(10)의 실내(I)측에 배치되고 캠 블럭(10')과의 대향면(캠 블럭(10)의 실내(I)측을 향하는 면)에는, 다른쪽의 캠 블럭(10')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4 to 17,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oom I of the
돌출부(11)의 좌측 단부에는 제1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12)은 좌측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고 있으며, 우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을 향하도록 우측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A first
돌출부(11)의 좌측 단부에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수평면(13)이 제1 경사면(12)의 상단부에 계속해서 형성되고, 또한 제1 수평면(13)의 좌측 단부로부터 작은 경사 각도를 갖고 좌측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스프링 받침면(제2 기준부)(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경사 각도는, 제1 경사면(12)의 경사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통상, 제1 경사면(12)의 경사 각도가 30°정도인 데 대하여,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경사 각도는 5°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수평면(13)은 제1 경사면(12)에 연결 설치되어 있지만, 약간의 양이라면 제1 경사면(12)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스프링 받침면(14)도 제1 수평면(13)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시켜도 된다.A first
돌출부(11)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릴리프면(1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릴리프면(15)은 제1 경사면(12)의 하단부에 단차부(16) 및 원호부(17)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제1 경사면(12)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릴리프면(15)은 단차부(16)를 형성하지 않고, 제1 경사면(12)에 원호부(17)를 통하여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A first relief surface (15) is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protrusion (11). The
돌출부(11)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및 제2 슬릿(18, 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릿(18)은 제1 경사면(12)의 중앙부를 따라 배치되며, 그 일부가 제1 경사면(12)에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제1 경사면(12)이 좌상측의 부분과 우하측의 부분으로 이분되어 있다. 제1 슬릿(18)은 제1 경사면(12)에 접하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경사면(12) 전체가 연속된 면이 된다. 제1 슬릿(18)의 제1 경사면(12)측을 향하는 측면, 즉 제1 경사면(12)으로부터 좌측 비스듬한 하측으로 이격된 측면에는, 제1 경사면(12)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 돌기(1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18a)의 돌출 높이는, 제1 슬릿(18)의 폭의 거의 절반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 슬릿(19)은 제1 경사면(12)의 상단부, 제1 수평면(13) 및 제1 스프링 받침면(14)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The first and
돌출부(11)의 우측 단부에는 제2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면(22)은 우측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고 있으며, 좌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좌측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2 경사면(22)의 경사 각도는, 즉 수평선에 대한 제2 경사면(22)의 경사 각도는, 제1 경사면(12)의 경사 각도와 동일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경사면(22)은 제1 경사면(12)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A second
돌출부(11)의 우측 단부에는 제2 경사면(22)의 하단부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23)이 형성되고, 또한 제2 수평면(23)의 우측 단부로부터 작은 경사 각도를 갖고 우측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스프링 받침면(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프링 받침면(24)의 경사 각도는,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수평면(23)은 제2 경사면(22)에 연결 설치되어 있지만, 약간의 양이라면 제2 경사면(22)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시켜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스프링 받침면(24)도 제2 수평면(23)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시켜도 된다.A second
돌출부(11)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릴리프면(2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릴리프면(25)은 제2 경사면(22)의 상단부에 단차부(26) 및 원호부(27)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제2 경사면(22)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릴리프면(25)은 단차부(26)를 형성하지 않고, 제2 경사면(22)에 원호부(27)를 통하여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A
돌출부(11)의 우측 단부에는 제3 및 제4 슬릿(28, 29)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슬릿(28)은 제2 경사면(22)의 중앙부를 따라 배치되고, 그 일부가 제2 경사면(22)에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제1 경사면(22)이 좌상측의 부분과 우하측의 부분으로 이분되어 있다. 제3 슬릿(28)은 제1 경사면(22)에 접하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경사면(22) 전체가 연속된 면이 된다. 제3 슬릿(28)의 제2 경사면(22)측을 향하는 측면, 즉 제2 경사면(22)으로부터 좌측 비스듬한 하측으로 이격된 측면에는, 제2 경사면(22)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 돌기(2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28a)의 돌출 높이는, 제3 슬릿(28)의 폭의 거의 절반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4 슬릿(29)은 제2 경사면(22)의 상단부, 제2 수평면(23) 및 제2 스프링 받침면(24)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The third and
또한, 제1 경사면(12), 제1 수평면(13), 제1 스프링 받침면(14) 및 제1 릴리프면(15)과, 제2 경사면(22), 제2 수평면(13), 제2 스프링 받침면(24) 및 제2 릴리프면(25)은, 다음의 상위점을 제외하고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위점은, 제2 수평면(23) 및 제2 스프링 받침면(24)을 180°회전시켰을 때, 제2 수평면(23) 및 제2 스프링 받침면(24)이 제1 수평면(13) 및 제1 스프링 받침면(14)보다 약간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제1 경사면(13)의 길이가 제2 경사면(22)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점이다.The first
캠 블럭(10)에는 금속제의 제1 및 제2 판재(31, 4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판재(31)는, 도 1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상을 이루는 제1 판부(31a)와, 이 제1 판부(31a)의 일단부에 연결 설치된 제2 판부(연장부)(31b)와, 제1 판부(31a)의 타단부에 연결 설치된 제3 판부(탄성부)(31c)를 갖고 있다. 제1 판부(31a)와 제2 판부(31b)의 사이에는 이것들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원호부(31d)가 형성되고, 제1 판부(31a)와 제3 판부(31c)의 사이에는 이것들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원호부(31e)가 형성되어 있다.The
제2 판부(31b) 및 제3 판부(31c)는 제1 판부(31a)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2 판부(31b)와 제3 판부(31c)는, 제1 판부(31a)에 대하여 그 두께 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다. 나아가, 제2 판부(31b)의 제1 판부(31a)에 대한 경사 각도와, 제3 판부(31c)의 제1 판부(31a)에 대한 경사 각도는 동일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및 제3 판부(31b, 31c)는 서로 평행하다. 단,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으며, 전자를 후자보다 작게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전자를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경사 각도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각도로 설정하여도 된다. 후자는 제1 경사면(12)의 경사 각도의 거의 절반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The
제1 판부(31a)의 일측면에는 제1 결합 돌출부(31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결합 돌출부(31f)의 중앙부에는, 해당 중앙부를 관통하는 결합 구멍(31g)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판부(31a)의 일단부로부터 제2 판부(31b)의 선단에 이르는 부위의 일측면에는 제2 결합 돌출부(31h)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 돌출부(31f)가 제1 슬릿(18)에 삽입되고, 제2 결합 돌출부(31h)가 제2 슬릿(19)에 삽입되어 있다. 나아가, 제2 결합 돌출부(31h)의 결합 구멍(31g)에는 걸림 돌기(18a)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판재(31)가 캠 블럭(10)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제1 판재(31)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제1 판부(31a)가 제1 경사면(12)에 압박됨과 함께, 제2 판부(31b)가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압박되어 있다. 한편, 제1 판부(31a)의 하단부와, 그것과 연속되는 원호부(31e) 및 제3 판부(31c)는, 제1 릴리프면(15)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원호부(31e) 및 제3 판부(31c)는, 그 선단부(우측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다.A first
제2 판재(41)는 제1 판재(31)와 동일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2 판재(41)는 제1 판재(31)의 제1 판부(31a), 제2 판부(31b), 제3 판부(31c) 및 원호부(31d, 31e)에 각각 대응한 제1 판부(41a), 제2 판부(41b), 제3 판부(41c) 및 원호부(41d, 41e)를 갖고 있다. 나아가, 제1 판재(31)가 제1 경사면(12), 제1 수평면, 제1 스프링 받침면 및 제1 릴리프면(15)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데 대응하여, 제2 판재(41)는 제2 경사면(22), 제2 수평면(23), 제2 스프링 받침면(24) 및 제2 릴리프면(25)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수평면(23) 및 제2 스프링 받침면(24)은 180°회전시킨 제1 수평면(13) 및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대하여 소정 거리만큼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판재(41)는 180°회전시킨 제1 판재(31)에 대하여 소정 거리만큼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판재(41)에는 제1 판재(31)의 제1 결합 돌출부(31f), 결합 구멍(31g) 및 제2 결합 돌출부(31h)에 대응하는 제1 결합 돌출부(41f), 결합 구멍(41g) 및 제2 결합 돌출부(41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결합 돌출부(41f, 41h)가 제3 및 제4 슬릿(28, 29)에 각각 삽입되고, 결합 구멍(41g)에 걸림 돌기(28a)가 끼워넣어져 있다.The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부재(6)의 실외(O)측을 향하는 측면에는,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가 2쌍 설치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상하 방향으로는 동일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1 및 제2 접촉부(51, 52)와 다른 한쌍의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캠 블럭(10)의 제1 및 제2 경사면(12, 22) 등과 제1 및 제2 캠 기구(8, 9)를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6, 8 and 9, two pairs of first and
개폐 부재(6)의 실내(I)측을 향하는 측면에는,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가 2쌍 설치되어 있다. 2쌍의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캠 블럭(10')의 제1 및 제2 경사면(12, 22) 등과 제1 및 제2 캠 기구(8, 9)를 구성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 및 제2 접촉부(51, 52)와 동일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제1 및 제2 접촉부(51', 52')의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side 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이들 사이의 거리, 즉 제1 접촉부(51)의 우측 단부면과 제2 접촉부(52)의 좌측 단부면의 사이의 거리는, 제1 판부(31a)의 좌측의 면과 제1 판부(41a)의 우측의 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부위간의 좌우 방향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긴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에 대하여 거의 접촉하거나, 우측으로 약간 이격되어 있다. 반대로,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에 대하여 거의 접촉하거나, 좌측으로 약간 이격되어 있다.14 and 16, the first and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또한 하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16(도 14 참조)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촉부(51)의 우측 단부가 제1 판재(31)의 제3 판부(31c)에 맞닿아, 제3 판부(31c)의 우측 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도록 제3 판부(31c) 및 원호부(31e)를 탄성 변형시키고 있다. 그 결과, 제1 접촉부(51)가 제3 판부(31c)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한편, 제2 접촉부(52)는,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2 판재(41)의 제3 판부(41c)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지만, 제3 판부(41c)의 어느 개소에 대해서도 이격되어 있다.The first and
이와 같이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제3 판부(31c)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는 한편, 제2 접촉부(52)가 제3 판부(41c)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부재(6)가 제3 판부(31c)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고, 바닥벽부(2d)의 상면(2f)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다. 따라서, 연통 구멍(2e), 나아가 환기 통로(5)가 개폐 부재(6)에 의해 폐쇄되고, 환기 덕트(E)가 환기 장치(1)에 의해 폐쇄된다. 이 결과,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의 환기가 정지된다. 개폐 부재(6)가 바닥벽부(2d)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을 때의 개폐 부재(6)의 위치가 하부 위치(폐쇄 위치)이며, 개폐 부재(6)는 제3 판부(31c)의 압박력에 의해 하부 위치로 유지된다.The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또한 하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16(도 15 참조)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촉부(52)의 좌측 단부가 제2 판재(41)의 제3 판부(41c)에 맞닿아, 제3 판부(41c)의 우측 단부가 하방으로 변위하도록 제3 판부(31c) 및 원호부(41e)를 탄성 변형시키고 있다. 그 결과, 제2 접촉부(52)가 제3 판부(41c)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상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한편, 제1 접촉부(51)는 제1 판재(31)의 제2 판부(31b)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 개폐 부재(6)를 상방으로 압박하는 제3 판부(41c)의 압박력에 의해 제2 판부(31b)에 압박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접촉부(51)는, 제2 판부(31b) 중 제1 수평면(13)과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교차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 압박되어 있지만, 제2 판부(31b) 중의 제1 스프링 받침대(14)하고만 대향하는 부분에 압박되어 있어도 되고, 제1 수평면(13)하고만 대향하는 부분에 압박되어 있어도 된다.The first and
이와 같이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제2 판부(31b)를 통하여 압박되고, 개폐 부재(6)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의 개폐 부재(6)의 위치가 상부 위치이다. 제1 접촉부(51)는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제1 수평면(13)에 제2 판부(31b)를 통하여 압박하도록 하여도 된다. 개폐 부재(6)가 상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밀봉 부재(61)가 바닥벽부(2d)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고, 연통 구멍(2e)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환기 덕트(E)의 실외(O)측 부분과 실내(I)측 부분이 환기 장치(1)의 환기 통로(5)를 통하여 연통되어,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에서 환기가 행해진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덮개(3)에는 조작 창 구멍(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창 구멍(3c)은 레버(72)의 상단부 및 레버 박스(71)의 오목부(71C)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72)는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조작 창 구멍(3c)으로부터 손가락을 삽입하여 레버(72)의 좌측 단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그에 의해 레버(72)를 오프 위치부터 온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레버(72)는, 레버(72)의 좌측 단부를 밀어내림으로써 오프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4 and 5, an
상기 구성의 환기 장치(1)에 있어서, 이제 레버(72)가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에는 개폐 부재(6)가 좌우 방향으로는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는 하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폐 부재(6)가 제1 판재(31)의 제3 판부(31c)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벽부(2d)의 상면(2f)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다. 따라서, 환기 통로(5)가 폐쇄되어 있어,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에서의 환기가 정지되어 있다. 또한, 개폐 부재(6)가 바닥벽부(2d)에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부재(6)가 덜컹거리는 일이 없다. 특히, 개폐 부재(6)의 상하 방향의 위치 정밀도에 관련된 장치 본체(2), 캠 블럭(10, 10') 및 개폐 부재(6)에 치수 오차가 있었다고 하여도, 그 치수 오차는 제1 판재(31)의 제3 판부(31c)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흡수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6)는 바닥벽부(2c)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확실하게 압박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6)가 덜컹거리거나, 개폐 부재(6)에 의한 연통 구멍(2e)의 밀봉 상태가 손상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밀봉 부재(61)가 과도하게 큰 힘으로 바닥벽부(2d)에 압박되지 않아, 밀봉 부재(61)가 조기에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레버(72)를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좌측으로 이동한다. 개폐 부재(6)가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제2 접촉부(52)가 제2 경사면(22)에 제1 판부(41a)를 통하여 맞닿는다. 한편, 제1 접촉부(51)가 제1 판재(31)로부터 좌측으로 약간 이격되거나, 단순히 접하는 것만으로 된다. 따라서, 레버(72)를 더 온 위치측으로 회전시켜 개폐 부재(6)를 더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 위를 미끄럼 이동한다. 이때, 제1 판부(41a)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접촉부(52)가 제2 경사면(22) 위를 직접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접촉부(52)를 매끄럽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2 경사면(2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 위를 미끄럼 이동하면, 제2 경사면(22)(제1 판부(41a))의 캠 작용에 의해 제2 접촉부(52)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2 경사면(22)과 제1 판부(41a)에 의해 제2 캠부가 구성되고, 제2 캠부와 제2 접촉부(52)에 의해 제2 캠 기구(9)가 구성되어 있다.When the
레버(72)가 온 위치측으로 더 회전하고, 그에 따라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측으로 더 이동하면,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를 통과하여 원호부(41e)에 맞닿는다. 그렇게 하면, 제2 접촉부(52)는, 개폐 부재(6)의 이동에 따라 제3 판부(41c)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원호부(41e)를 탄성 변형시킨다. 그 후,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측으로 더 이동하면, 제2 접촉부(52)가 제3 판부(41c)에 맞닿아 제3 판부(41c)를 계속해서 탄성 변형시킨다. 그 결과, 제2 접촉부(52)가 상방으로 압박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상방으로 압박된다. 또한, 제2 접촉부(52)가 원호부(41e) 및 제3 판부(41c)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원호부(31d)로부터 제2 판부(31b)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있다.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제1 접촉부(51)가 제3 판부(41c)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제2 판부(31b)를 통하여 압박된다. 이때의 개폐 부재(6)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상부 위치(개방 위치)이다. 개폐 부재(6)가 상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제2 판부(41b)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부재(6)는 덜컹거리지 않고 상부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된다.When the
상기의 내용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원호부(41e) 및 제3 판부(41c)가 개폐 부재(6)를 상방(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제3 판부(41c)만을 제2 압박 수단으로 하여도 된다. 또는, 제3 판부(41c)와 이것과 연속되는 원호부(41e)의 일부만을 제2 압박 수단으로 하여도 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원호부(41e) 전체가 제2 캠부의 일부가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원호부(41e)의 나머지 부분(제1 판부(41a)와 연속되는 부분)이 제2 캠부의 일부가 된다. 또한, 원호부(41e) 전체를 제2 캠부의 일부 및 제2 탄성부(제2 압박 수단)의 일부로서 겸용하여도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프링 받침면(14)이 개폐 부재의 상부 위치(개방 위치)를 정하기 위한 제2 기준부로 되어 있다. 제2 판부(31b)를 제1 수평면(13)에 접촉시켜,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상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1 접촉부(51)를 제1 수평면(13)에 제2 판부(31b)를 통하여 맞닿도록 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수평면(13)이 제2 기준부가 된다.As is clear from the above description, in this embodiment, the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레버(72)를 오프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제1 접촉부(51)가 제1 경사면(12)에 제1 판재(31)의 제1 판부(31a)를 통하여 맞닿는다. 한편, 제2 접촉부(52)가 제2 판재(41)로부터 우측으로 약간 이격되거나, 제2 판재(41)에 단순히 접한다. 따라서, 레버(72)를 더 오프 위치측으로 회전시켜 개폐 부재(6)를 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 위를 미끄럼 이동한다. 이때, 제1 판부(31a)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접촉부(51)가 제1 경사면(12) 위를 직접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접촉부(51)를 매끄럽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1 경사면(1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제1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 위를 미끄럼 이동하면, 제1 경사면(12)(제1 판부(31a))의 캠 작용에 의해 제1 접촉부(51)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12)과 제1 판부(31a)에 의해 제1 캠부가 구성되고, 제1 캠부와 제1 접촉부(51)에 의해 제1 캠 기구(8)가 구성되어 있다.When the
레버(72)가 오프 위치측으로 더 회전하고, 그에 따라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측으로 더 이동하면, 제1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를 통과하여 원호부(31e)에 맞닿는다. 그렇게 하면, 제1 접촉부(51)는, 개폐 부재(6)의 이동에 따라 제3 판부(31c)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원호부(31e)를 탄성 변형시킨다. 그 후,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측으로 더 이동하면, 제1 접촉부(51)가 제3 판부(31c)에 맞닿아 제3 판부(31c)를 계속해서 탄성 변형시킨다. 그 결과, 제2 접촉부(51)가 하방으로 압박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하방으로 압박된다. 또한, 제1 접촉부(51)가 원호부(31e) 및 제3 판부(31c)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2 접촉부(52)가 제2 판재(4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특히, 원호부(41d) 및 제2 판부(41b)에 대해서는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부재(6)가 상부 위치(개방 위치)까지 이동된다.When the
상기의 내용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원호부(31e) 및 제3 판부(31c)가 개폐 부재(6)를 하방(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제3 판부(41c)만을 제1 압박 수단으로 하여도 되고, 또는 제3 판부(31c)와 이것과 연속되는 원호부(41e)의 일부만을 제1 압박 수단으로 하여도 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원호부(31e) 전체가 제1 캠부의 일부가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원호부(31e)의 나머지 부분(제1 판부(41a)와 연속되는 부분)이 제1 캠부의 일부가 된다. 또한, 원호부(31e) 전체를 제1 캠부의 일부 및 제1 탄성부(제1 압박 수단)의 일부로서 겸용하여도 된다.As is clear from the above description,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예를 채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adop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부재(6)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개폐 부재(6)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환기 통로(5)의 방향에 따라서는 개폐 부재(6)가 좌우 방향으로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것은 상기 환기 장치(1)의 상면(화장 덮개(3)의 상면)이 실내(I)측에 향하여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장치 본체(2)를 배치하여도 되는 것으로부터 명확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부재(6)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 캠 블럭(10, 10')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캠 기구(8, 9)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마찬가지로 개폐 부재(6)의 일측부를 장치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개폐 부재(6)의 타측부와 장치 본체(2)의 사이에만 캠 기구를 설치하여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치 본체(2)에 캠 블럭(10, 10')이 설치되어 있지만, 개폐 부재(6)에 캠 블럭을 설치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장치 본체(2)에 제1 및 제2 접촉부가 설치된다. 캠 블럭(10, 10')에 대해서는 장치 본체(2)와 개폐 부재(6) 중 어느 것에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캠 블럭(10, 10')을 생략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캠부가 장치 본체(2)와 개폐 부재(6) 중 어느 한쪽에 직접 설치되고, 다른쪽에 제1 및 제2 접촉부(51, 52)가 설치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m blocks 10 and 10 'are provided on the apparatus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캠부를 제1 경사면(12)과 제1 판재(31)의 제1 판부(31a)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제1 캠부를 제1 경사면(12)만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판재(31)의 제3 판부(31c) 및 원호부(31e) 대신에 제1 압박 수단이 장치 본체에 설치된다. 이것은 제2 캠부 및 제2 압박 수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cam portion is constituted by the first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는 건물의 벽이나 창 등에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의 사이에서 환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The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pparatus for ventilation between the outside of the room and the inside of the room by being installed on a wall or a window of a building.
I: 실내
O: 실외
1: 환기 장치
2: 장치 본체
2e: 연통 구멍(환기 통로의 일부)
2f: 상면(제1 기준부)
5: 환기 통로
6: 개폐 부재
8: 제1 캠 기구
9: 제2 캠 기구
10: 캠 블럭
10': 캠 블럭
12: 제1 경사면(제1 지지부)
14: 제1 스프링 받침면(제2 기준부)
22: 제2 경사면(제2 지지부)
31: 제1 판재
31a: 제1 판부(제1 캠부)
31b: 제2 판부(연장부)
31c: 제3 판부(제1 탄성부)
31e: 원호부(제1 탄성부)
41: 제2 판재
41a: 제1 판부(제2 캠부)
41c: 제3 판부(제2 탄성부)
41e: 원호부(제2 탄성부)I: Indoor
O: Outdoor
1: Ventilation device
2:
2e: communicating hole (part of the ventilation passage)
2f: upper surface (first reference portion)
5: Ventilation passage
6:
8: First cam mechanism
9: Second cam mechanism
10: Cam block
10 ': cam block
12: first inclined surface (first supporting portion)
14: first spring receiving surface (second reference portion)
22: second inclined surface (second supporting portion)
31: First plate
31a: first plate portion (first cam portion)
31b: second plate portion (extended portion)
31c: third plate portion (first elastic portion)
31e: arc portion (first elastic portion)
41: Second plate
41a: first plate portion (second cam portion)
41c: third plate portion (second elastic portion)
41e: arc portion (second elastic portion)
Claims (11)
상기 장치 본체(2)에 제1 압박 수단(31c, 31e)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압박 수단(31c, 31e)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된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1 기준부(2f)에 압박하고, 그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제1 캠 기구(8)가, 상기 장치 본체(2)와 상기 개폐 부재(6)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제1 캠부(12, 31a)와, 다른쪽에 설치된 제1 접촉부(51)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접촉부(51)가 상기 제1 캠부(12, 31a)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개방 위치부터 상기 폐쇄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제2 캠 기구(9)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2 캠부(22, 41a)와, 상기 다른쪽에 설치된 제2 접촉부(52)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 접촉부(52)가 상기 제2 캠부(12, 31a)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캠부(12, 31a)의 전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31c, 31e)가 설치되고, 이 제1 탄성부(31c, 31e)가, 상기 제1 접촉부(51)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제1 기준부(2f)에 압박하는 상기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2) having a ventilation passage (5) for communicating an outdoor space (O) with a room (I)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movably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 Closing member 6 is moved between an open position where the ventilation passage 5 is opened from the open position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6) to the closing posi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mov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cam mechanism And a second cam mechanism (9)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is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 In the ventila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reference portion (2f)
The first pressing means 31c and 31e are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 and the first pressing means 31c and 31e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side (6f) to the closed position and presses the first reference portion (2f), thereby hold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6) at the closed position,
The first cam mechanism 8 has a first cam portion 12 and 31a provided on either the apparatus main body 2 o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and a first contact portion 51 provided on the other sid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51 slides on the first cam portion 12 and 31a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Is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cam mechanism 9 has the second cam portion 22 and 41a provided on the one sid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 provid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by slid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 on the second cam portion 12 and 31a,
A first elastic portion (31c, 31e) capable of elastically deforming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am portion (12, 31a)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elastic portion (31c, 31e) And the first pushing means for urg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51) from the open position side to the closed position side and urg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6) against the first reference portion (2f) .
상기 제2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판재(41)의 전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탄성부(41c, 41e)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탄성부(41c, 41e)가 상기 제2 접촉부(52)를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2 기준부(14)에 상기 연장부(31b)를 통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cam portion (12, 31a) has a second reference portion (14) provided continuously to a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 An extension portion 31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14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plate 31 located in the rear of the first direction 31, The opening pos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is determined by abutting the opening portion 14 through the extended portion 31b,
(41c, 41e) elastically deformable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plate member (41) position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s (41c, 41e) (6) is held at the open position by urging the first reference portion (52) from the closed position side to the open position side and pressing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14) through the extended portion (31b) .
상기 제2 캠 기구(9)가, 상기 캠 블럭(10, 10')에 설치된 제2 캠부(22, 41a)와, 상기 개폐 부재(6)에 설치된 제2 접촉부(52)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 접촉부(52)가 상기 제2 캠부(22, 41a)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캠부(12, 31a)의 전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31c, 31e)가 설치되고, 이 제1 탄성부(31c, 31e)가, 상기 제1 접촉부(51)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제1 기준부(2f)에 압박하는 상기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The slide faste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cam mechanism (8) comprises a first cam portion (12, 31a) provided on the cam block (10, 10 ' The first contact portion 51 slides on the first cam portion 12 and 31a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cam mechanism 9 has a second cam portion 22 and 41a provided on the cam block 10 and 10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52 provid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When the member 6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 slides on the second cam portion 22, 41a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Lt; / RTI >
A first elastic portion (31c, 31e) capable of elastically deforming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am portion (12, 31a)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elastic portion (31c, 31e) And the first pushing means for urg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51) from the open position side to the closed position side and urg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6) against the first reference portion (2f) .
상기 제2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판재(41)의 전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탄성부(41c, 41e)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탄성부(41c, 41e)가 상기 제2 접촉부(52)를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2 기준부(14)에 상기 연장부(31b)를 통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rst cam portion (12, 31a) has a second reference portion (14)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 An extension portion 31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plate 31 located in the rear of the first plate 31 in the one direc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51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14, The opening pos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 is defined,
(41c, 41e) elastically deformable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plate member (41) position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s (41c, 41e) (6) is held at the open position by urging the first reference portion (52) from the closed position side to the open position side and pressing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14) through the extended portion (31b)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2/054534 WO2013125025A1 (en) | 2012-02-24 | 2012-02-24 | Ventilat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8205A KR20130118205A (en) | 2013-10-29 |
KR101390553B1 true KR101390553B1 (en) | 2014-05-27 |
Family
ID=4900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31864A Active KR101390553B1 (en) | 2012-02-24 | 2012-02-24 | Ventilato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714171B2 (en) |
KR (1) | KR101390553B1 (en) |
CN (1) | CN103384798B (en) |
AU (1) | AU2012370775B9 (en) |
WO (1) | WO2013125025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42276B2 (en) | 1998-02-02 | 2003-09-02 |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 Drawer drive |
JP6653880B2 (en) * | 2016-06-30 | 2020-02-26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Ventilation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6591U (en) * | 1993-04-02 | 1994-10-28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Ventilation |
JP2001262952A (en) | 2000-03-22 | 2001-09-26 | Fujisash Co | Vent window system |
JP2004170040A (en) | 2002-11-22 | 2004-06-17 | Sahara Buresu Kogyo Kk | Ventilator |
JP2011112240A (en) | 2009-11-25 | 2011-06-09 | Sahara:Kk | Ventilato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315653D0 (en) * | 1983-06-07 | 1983-07-13 | Dixon International Ltd | Ventilator device |
GB8901473D0 (en) * | 1989-01-24 | 1989-03-15 | Titon Hardware | Ventilator |
CN1356505A (en) * | 2001-12-20 | 2002-07-03 | 任春严 | Centralized air conditioner with extendible functions for near-distance supply of separated different kinds of air |
-
2012
- 2012-02-24 JP JP2014500829A patent/JP5714171B2/en active Active
- 2012-02-24 AU AU2012370775A patent/AU2012370775B9/en active Active
- 2012-02-24 CN CN201280001658.3A patent/CN103384798B/en active Active
- 2012-02-24 WO PCT/JP2012/054534 patent/WO201312502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2-24 KR KR1020127031864A patent/KR1013905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6591U (en) * | 1993-04-02 | 1994-10-28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Ventilation |
JP2001262952A (en) | 2000-03-22 | 2001-09-26 | Fujisash Co | Vent window system |
JP2004170040A (en) | 2002-11-22 | 2004-06-17 | Sahara Buresu Kogyo Kk | Ventilator |
JP2011112240A (en) | 2009-11-25 | 2011-06-09 | Sahara:Kk | Ventil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13125025A1 (en) | 2015-07-30 |
CN103384798B (en) | 2015-12-23 |
CN103384798A (en) | 2013-11-06 |
KR20130118205A (en) | 2013-10-29 |
WO2013125025A1 (en) | 2013-08-29 |
AU2012370775B9 (en) | 2015-08-06 |
JP5714171B2 (en) | 2015-05-07 |
AU2012370775B2 (en) | 2015-07-16 |
AU2012370775A1 (en) | 2014-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248911A1 (en) | Window air conditioner | |
JP4489745B2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lide module | |
US20130221055A1 (en) | Nail guiding device for nailers | |
US20120056520A1 (en) | Front panel assembly having a sliding door mechanism | |
KR101390553B1 (en) | Ventilator | |
US8678185B1 (en) | Tool box | |
KR20170067320A (en) | Gap preventing device of sliding fittings | |
KR200480629Y1 (en) | Movement apparatus for horizontal adhere type sliding windows | |
KR101163138B1 (en) | Ventilation device | |
US7969724B2 (en) | Data storage assembly | |
JP6414932B2 (en) | Sliding door assist puller | |
KR101441071B1 (en) | heat insulated structure of moving frame and fixing frame provided with window | |
JP4594192B2 (en) | Opening and closing body locking device | |
JP2012007464A (en) | Indoor-outdoor differential pressure dissolution device | |
JP5802063B2 (en) | Contact member mounting structure | |
JP4941105B2 (en) | Movable partition device | |
JP4216542B2 (en) | Moving partition device | |
US6054660A (en) | Control or signaling device such as a push-button | |
US7438495B2 (en) | Sideward clipping apparatus | |
JP2016121507A (en) | Joiner slider and slider mechanism | |
JP5507716B1 (en) | Ventilation equipment | |
KR101571671B1 (en) | Mechanism-cover for sun roof | |
JP2015178309A (en) | Sunshade device for vehicle | |
JPH0893348A (en) | Ventilation | |
JP6964455B2 (en) | Scree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2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