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7993B1 - Cosmetic applicator - Google Patents

Cosmetic appl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993B1
KR101387993B1 KR1020120097096A KR20120097096A KR101387993B1 KR 101387993 B1 KR101387993 B1 KR 101387993B1 KR 1020120097096 A KR1020120097096 A KR 1020120097096A KR 20120097096 A KR20120097096 A KR 20120097096A KR 101387993 B1 KR101387993 B1 KR 101387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ll container
puff
housing
outlet pipe
out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0656A (en
Inventor
김기현
정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2009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993B1/en
Publication of KR2014003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6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99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7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piston
    • B65D83/76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piston the piston being actuat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출관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리필 용기 홀더와, 상기 리필 용기 홀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토출구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리필 용기 홀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내용물을 상기 유출관으로 토출하는 펌프식 리필 용기와, 상기 유출관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퍼프 안착부와, 상기 퍼프 안착부에 탈부착 되게 안착되고 적어도 둘의 유출공이 형성되어 내용물의 펴 바름 영역을 형성하는 퍼프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푸쉬동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손에 묻히지 않고 원하는 국소부위에 펴 바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an outlet pip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including an inlet, a refillable container holder slid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refillable container holder, and a discharge outlet coupled to the inlet. A puff seat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pipe,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outlet pip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efill container holder, and an outlet formed at the end of the outlet pi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pipe And a cosmetics applicator comprising a puff seat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uff seat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two outlet holes formed therein to form a spreading area of the contents, by a simple push operation of the user, the cosmetic contents into a hand. Provides a beneficial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sired topical area without getting buried.

Description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Cosmetic applicator}Cosmetic applicator {Cosmetic applicator}

본 발명은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퍼프의 펴 바름 영역으로 내용물이 토출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applicator, and relates to a cosmetic applicator in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spread area of the puff.

화장품 중 피부의 국소부위에 적용되는 화장품 들이 있다. 예를 들어, 눈 주위에 도포되어 눈가의 주름을 예방하고, 눈 주위의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아이 세럼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화장품들은 손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용기에서 내용물을 정량으로 덜어내고, 이를 손가락 등으로 피부의 국소부위에 펴 바르는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에 화장품 사용 과정 중에 화장품이 손에 묻게 되어, 잔존 화장품의 끈적임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으며, 손을 세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고기능 성 화장품은 소량으로 공급되는 것일 일반적인 점을 고려할 때, 손에 잔존하는 고가의 화장품을 씻어 버리는 것은 매우 비 경제적인 일이다.Among cosmetics, there are cosmetics applied to topical areas of the skin. For example, the eye serum which is applied around the eyes to prevent wrinkles around the eyes and prevents aging of the skin around the eyes is exemplified. Typically, these cosmetics are used in the form of using a hand or other tools to quantitatively remove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and spread it on the localized area of the skin with a finger or the like. In this process, the cosmetics are put on the hands during the process of using the cosmetics, and there is a problem of discomfort to the user due to the stickiness of the remaining cosmetics,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wash the hands. In addition, given the general fact that this kind of high-performance cosmetics are supplied in small quantities, it is very uneconomical to wash away the expensive cosmetics remaining in the hands.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퍼프에 화장품을 묻혀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별도의 퍼프를 사용할 경우, 한 손으로 퍼프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화장품을 토출시켜야하기 때문에, 화장품을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62603호(2012.06.28 공고)인 전동퍼프가 있다.
상기 전동퍼프는, 파운데이션을 공급받는 퍼프부와 상기 퍼프부를 진동하게 하는 작동축을 구비하여 화장품이 화장부위에 고르게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상기 파운데이션을 리필하는데 있어서 편리하지 않은 단점이 있기 때문에 유통기간이 짧은 화장품에는 사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cosmetics may be applied to a puff prepared separately. However, when a separate puff is used, it is very troublesome to use cosmetics because it is necessary to hold the puff with one hand and discharge the cosmetic with the other hand.
The related art is related to the electric puff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62603 (2012.06.28 announcement).
The electric puff has a puff portion supplied with a foundation and an actuating shaft for vibrating the puff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smetics are evenly fixed on the makeup part, but it is not convenient for refilling the found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a short cosmetic period.

한편, 소비자들이 피부노화 방지, 잔주름 제거 등을 개선하는 고기능 제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방부제나 첨가제를 넣지 않는 천연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짧은 유통기간에 맞게 소량으로 포장된 화장품들을 공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가 필요한 상황이다.Meanwhile, as consumers demand high-performance products that improve skin aging prevention and fine wrinkle removal,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natural cosmetics that do not contain preservatives or additives. Thus, there is a need for an applicator capable of supplying cosmetics packaged in small quantities for a short shelf lif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품을 손에 묻히지 않고 피부의 국소부위에 직접 펴 바를 수 있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applicator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topical area of the skin without getting on the hands.

또한, 본 발명은 짧은 유통기간에 맞게 소량으로 공급되는 화장품에 대응하기 위하여 해당 화장품을 수용한 용기를 용이하게 리필 제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applicator that can be used to easily replace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cosmetics with a refilled product in order to cope with the cosmetics supplied in a small amount in accordance with a short distribution peri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출관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리필 용기 홀더와, 상기 리필 용기 홀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토출구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리필 용기 홀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내용물을 상기 유출관으로 토출하는 펌프식 리필 용기와, 상기 유출관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퍼프 안착부와, 상기 퍼프 안착부에 탈부착 되게 안착되고 적어도 둘의 유출공이 형성되어 내용물의 펴 바름 영역을 형성하는 퍼프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an outlet pip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including an inlet port, a refill container holder slidably coupled to the hous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refill container holder And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port, and a pump type refill container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outlet pipe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refill container holder, and formed at an end of the outlet pip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applicator comprising a puff seating portion having a communication port formed thereon, and a puff seat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uff seat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two outlet holes formed therein to form a spreading region of the contents.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출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이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let pip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outlet pipe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필 용기 홀더는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efill container holder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that wraps around the pumped refill contai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둘레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를 길이 방향으로 구속하는 걸림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body to form a locking groove part for restraining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 홈부는,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를 안내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를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속하는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mp refilling container to guide the locking projections, and the first groove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ump refilling container and the 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It may include a second groove portion for restrai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mp refill contai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홈부의 입구에는 걸림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ngaging step may be formed at the inlet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slide rail protrudes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lide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lide rail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에는 사용자의 푸쉬(push)동작을 수용하는 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ody may be formed with a button portion for receiving a push (push) operation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부는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 되게 경사진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utton unit may have a curved surface asymmetrically asymmetric with respect to a vertical center lin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버튼부를 상기 하우징 밖으로 노출시키는 버튼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cutout portion for exposing the button portion out of th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프 안착부는, 가로변과 세로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uff seating portion, any one of the horizontal side and the vertical side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프는 상기 유출공이 가로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uff may be formed by aligning the outlet hol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펴 바름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퍼프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preading area may be formed concave based on a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uf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프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puff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버튼부를 상기 하우징 밖으로 노출시키는 버튼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cutout that exposes the button portion out of th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프 안착부는, 상기 퍼프 안착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uff seating portion, one of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uff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프는 상기 유출공이 가로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uff may be formed by aligning the outlet hol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펴 바름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퍼프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preading area may be formed concave based on a horizont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uf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탈착 시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를 외부로 개방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end to open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to the outside when detachable.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에 따르면, 사용자의 간단한 푸쉬동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손에 묻히지 않고 원하는 국소부위에 펴 바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cosmetic appl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simple push operation of the user,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sired topical area without getting the cosmetic contents on the hand.

또한, 화장품 내용물이 포함된 용기를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품이 소진되어 어플리케이터 전체가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유통기간이 짧은 천연 화장품을 사용하는 경우, 새로운 화장품 내용물을 담은 용기로 바로 교체하여 사용을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천연 성분의 화장품을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a replaceable container containing the cosmetic contents,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preventing the cosmetic from being exhausted and discarding the entire applicat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natural cosmetics with a short shelf life, it is possible to continue using by immediately replacing with a container containing the new cosmetic cont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s very suitable for using cosmetics of natural ingredi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하우징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유출관과 펌프식 리필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서 도시한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서 도시한 퍼프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서 도시한 퍼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applicato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smetic applicator shown in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housing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outlet pipe and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shown i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shown i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puff seating portion shown i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puff shown in FIG.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smetic applicator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10)는, 하우징(100)과, 유출관(200)과, 리필 용기 홀더(300)와, 내용물이 담긴 펌프식 리필 용기(400)와, 퍼프 안착부(500)와, 퍼프(600)와, 받침부(700)를 포함한다.
1 and 2 together, the cosmetic applicator 10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00, the outlet pipe 200,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and the contents A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a puff seating part 500, a puff 600, and a support part 700 are included.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관(200)과, 리필 용기 홀더(300)와, 내용물이 담긴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내부에 포함하고,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10)의 주된 외형을 이룬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00)은 상단면과 하단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개방된 상단면에는 퍼프 안착부(500)가 위치하며, 개방된 하단면에는 받침부(7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using 100 includes an outlet pipe 200, a refill container holder 300, and a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nd for cosmetics. The main appearance of the applicator 10 is achieved. 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100 may be configured in an open top and bottom surfaces. Puff seating portion 500 is located on the open top surface, the support portion 70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bottom surface.

하우징(100)은 그 횡 단면을 기준으로, 장변이 단변보다 상대적으로 긴 대략적인 타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크기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상부는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하우징(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퍼프(600)와 피부의 접촉성을 높이기 위함이다.The housing 100 may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n approximately ellipse whose long side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short sid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thereof. The size of the housing 100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easy for the user to hold.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may be bent. This is to increase the contact between the puff 600 and the ski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he housing 100.

한편,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리필 용기 홀더(300)의 버튼부(320)가 하우징(100) 밖으로 노출되도록 버튼 절개부(120)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하우징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슬라이드 레일(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슬라이드 레일(110)은 리필 용기 홀더(300)의 슬라이드 홈부(312)에 끼워진다.
Meanwhile, the button cutout 12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button portion 320 of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3 is a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housing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3, a slide rail 11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e slide rail 110 is fitted into the slide groove 312 of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유출관(200)은 리필 용기 홀더(300)의 내용물을 퍼프(600)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유출관과 펌프식 리필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outlet pipe 200 serves to guide the contents of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toward the puff 600. 4 is a view showing the outlet pipe and the pump refill container shown in FIG.

도 2 및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유출관(200)에는 유입구(210)가 형성된다. 유출관(200)은 유입구(210)가 아래를 향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된다. 유입구(210)는 펌프식 리필 용기(400)의 토출구(410)와 연결된다. 유출관(200)의 상단은 퍼프 안착부(500)에 연결된다. 한편, 유출관(200)의 길이 방향 중심선(C2)은 펌프식 리필 용기(400)의 길이 방향 중심선(C1)과 둔각(R)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출관(200)은 펌프식 리필 용기(4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꺾여 형성될 수 있다.
2 and 4, the inlet 210 is formed in the outlet pipe 200. The outlet pipe 2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such that the inlet 210 faces downward. The inlet 210 is connected to the outlet 410 of the pump refill container 400. An upper end of the outlet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puff seating part 500. Meanwhile,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2 of the outlet pipe 200 may be formed to form an obtuse angle R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1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that is, the outlet pipe 200 may be a pump.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bent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ula refill container 400.

리필 용기 홀더(300)는 사용자의 푸쉬동작을 수용하고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고정하여,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밀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리필 용기 홀더(300)는 원통형의 몸체(310)를 포함한다, 몸체(310) 안에는 펌프식 리필 용기(400)가 위치한다. 몸체(310)에는 걸림 홈부(311)가 형성된다. 걸림 홈부(311)는 펌프식 리필 용기(400)에 형성된 걸림 돌기(420)가 삽입되어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길이 방향으로 구속한다. 이러한, 걸림 홈부(311)는 제1 홈부(311a)와 제2 홈부(311b)를 포함한다. 제1 홈부(311a)는 리필 용기 홀더(300)의 후단면이 절개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311b)는 제1 홈부(311a)에서 수직하게 리필 용기 홀더(300)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된다. 펌프식 리필 용기(400)가 몸체(310)에 끼워지면 펌프식 리필 용기(400)의 걸림 돌기(420)는 제1 홈부(311a)로 안내되고,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 돌기(420)는 제2 홈부(311b)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구속된다. 이때, 제2 홈부(311b)의 입구에는 걸림 단턱(311c)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단턱(311c)은 제2 홈부(311b)에 삽입된 걸림 돌기(420)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accommodates the push operation of the user and fixes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to serve to push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In one embodiment,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310, within which a pumped refill container 400 is located. The engaging groove 311 is formed in the body 310. The locking groove 31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 420 formed in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to restrain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cking groove 311 includes a first groove 311a and a second groove 311b. The first groove 311a may be formed to have a rear end surface of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cut out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groove 311b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groove 311a. When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is fitted to the body 310, the locking protrusion 420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is guided to the first groove 311a, and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is circumferentially directed. When rotated, the locking protrusion 4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311b and restra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engaging step 311c may be formed at the inlet of the second groove 311b. The locking step 311c serves to restrain the locking protrusion 420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311b from being separated.

펌프식 리필 용기(400)는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한다. 도 5는 도 2에서 도시한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도 4 및 도 5를 병행 참조하면, 펌프식 리필 용기(400)는, 토출구(410)를 포함하는 상부에 펌프 조립체가 마련된다, 펌프 조립체는 토출구(410) 쪽 선단이 눌리면 펌프식 리필 용기(400)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구(410)로 토출되도록 내압을 형성한다. 토출구(410)는 유출관(200)의 유입구(210)와 연통된다. 그리고, 펌프 조립체가 눌리도록, 토출구(410) 하단에는 유입구(210)에 맞닿는 플랜지부(411)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411) 아래에는 탄성부재(413)가 설치된다. 탄성부재(413)는 토출구(410)가 아래 방향으로 밀린 후, 다시 복원 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The pump refill container 400 accommodates cosmetic contents therei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shown in FIG. 2. 2, 4 and 5,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is provided with a pump assembly at an upper portion including a discharge port 410, and the pump assembly has a discharge port 410. When the front end is pressed, the internal pressure is formed to discharge the contents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to the discharge port 410. The discharge port 4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210 of the outlet pipe 200. In addition, a flange portion 411 contacting the inlet 210 may be extended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outlet 410 so that the pump assembly is pressed. An elastic member 413 is installed below the flange portion 411. The elastic member 413 provides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outlet 410 is pushed downward, and then restored.

한편, 펌프식 리필 용기(400)의 둘레에는 걸림 돌기(4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420)는 리필 용기 홀더(300)의 걸림 홈부(311)에 삽입되어, 리필 용기 홀더(300)와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길이 방향으로 구속한다. 펌프식 리필 용기(400)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리필 용기 홀더(30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리필 용기 홀더(300)를 걸림 돌기(420)가 걸림 홈부(311)에 삽입되도록 밀고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리필 용기 홀더(30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해당 펌프식 리필 용기(400)의 내용물이 소진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새로운 내용물이 충진된 펌프식 리필 용기(400)로 교체가 용이하다.
Meanwhile, a locking protrusion 420 may protrude from the periphery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The locking protrusion 4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11 of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to restrain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and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pump-type refill container 400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n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ump refill container 400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On the contrary, by pushing the refilling container holder 300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11 and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ix the pump type refilling container 400 to the refilling container holder 300. Therefore. Even when the contents of the pump type refilling container 400 are exhausted, it is easy to replace the pump type refilling container 400 filled with new contents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퍼프 안착부(500)에는 퍼프(600)가 탈부착 가능하게 안착된다. 도 6은 도 2에서 도시한 퍼프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6을 병행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있어서, 퍼프 안착부(500)는 유출관(200) 상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유출관(200)과 연통되는 유출구(510)가 형성된다. 유출구(510)는 퍼프 안착부(50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510)는 유출관(200)에서 공급되는 내용물을 퍼프(600)의 유출공(610)으로 안내한다. 한편, 퍼프 안착부(500)의 가로변(L1)은 세로변(L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퍼프 안착부(500)는 대략적으로 장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퍼프 안착부(5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퍼프(600)의 형상도 가로변이 세로변보다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uff 600 is detachably seated on the puff seating part 500. 6 is a view showing the puff seating portion shown in FIG. 2 and 6, in one embodiment, the puff seating portion 50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outlet pipe 200. In addition, an outlet 510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pipe 200 is formed. The outlet 51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uff seating part 500. The outlet 510 guides the contents supplied from the outlet pipe 200 to the outlet hole 610 of the puff 600.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side (L1) of the puff seating portion 500 may be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vertical side (L2). Puff seating portion 50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puff seating part 500, the shape of the puff 60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rectangle having a horizontal side longer than a vertical side.

퍼프(600)는, 피부에 접촉하여 유출공(610)을 통해 피부에 내용물을 전달한다. 도 7은 도 2에서 도시한 퍼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퍼프(600)에는 펴 바름 영역(620)이 형성된다. 펴 바름 영역(620)은 퍼프(6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피부에 접촉하는 곳이다. 펴 바름 영역(620)은 퍼프(60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중심선(C4)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피부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펴 바름 영역(620)에는 적어도 둘의 유출공(610)이 형성된다. 유출공(610)은 가로방향으로 정렬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공(610)을 통해 퍼프 안착부(500)의 유출구(510)에서 유출된 내용물이 피부로 전달된다. 이러한, 퍼프(600)는 탄성을 갖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퍼프(600)는 중간부재(12)를 통해 하우징(100)에 견고히 결합하며, 중간부재(12)에는 덮개(11)가 씌어져 퍼프(600)를 보호한다.
The puff 600 contacts the skin and delivers the contents to the skin through the outlet hole 610.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the puff shown in FIG. 2. 2 and 7, the puff 600 is provided with a spreading region 620. The spread area 620 is formed on top of the puff 600 and is in contact with the skin. The spread area 620 is formed concav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C4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uff 600. This is a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skin adhesion. At least two outlet holes 610 are formed in the straightening region 620. Outflow hole 61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horizontally aligned. The contents leaked from the outlet 510 of the puff seating part 500 are transmitted to the skin through the outlet hole 610. Such a puff 600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having elasticity. Referring to FIG. 2, the puff 600 is firm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12, and the cover 11 is covered with the intermediate member 12 to protect the puff 600.

받침부(700)는. 하우징(100)의 하단에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받침부(700)는 개방된 하우징(100) 하단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받침부(700)의 외형은 하우징(100)의 형상과 연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교체 시에는 먼저, 받침부(70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회전시킨 다음 잡아 당김으로써, 리필 용기 홀더(300)로부터 펌프식 리필 용기(400)를 분리한다.
Support 70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100 serves to selectively open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to the outside. In one embodiment, the base 7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outer shape of the base 7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ontinuous with the shap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is replaced, first, the support part 70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and then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400 is rotated and pulled, thereby pulling the pump from the refill container holder 300. Separate the food refill container (400).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320)를 밀어 올리면, 퍼프(600)의 유출공(610)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된다.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smetic applicator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pushes up the button unit 320,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ole 610 of the puff 60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하우징
110 : 슬라이드 레일
120 : 버튼 절개부
200 : 유출관
210 : 유입구
300 : 리필 용기 홀더
310 : 몸체
311 : 걸림 홈부
311a : 제1 홈부
311b : 제2 홈부
311c : 걸림 단턱
312 : 슬라이드 홈부
320 : 버튼부
400 : 펌프식 리필 용기
410 : 토출구
420 : 걸림 돌기
500 : 퍼프 안착부
510 : 유출구
600 : 퍼프
610 : 유출공
620 : 펴 바름 영역
700 : 받침부
100: Housing
110: slide rail
120: button incision
200: outflow pipe
210: inlet
300: Refill Container Holder
310: body
311: jamming groove
311a: first groove part
311b: second groove portion
311c: hang step
312: slide groove
320: button portion
400: Pump Type Refill Container
410 discharge port
420: jamming projection
500: puff seat
510: outlet
600: Puff
610: outflow hole
620: spreading area
700: support

Claims (15)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출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리필 용기 홀더;
상기 리필 용기 홀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토출구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리필 용기 홀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내용물을 상기 유출관으로 토출하는 펌프식 리필 용기;
상기 유출관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퍼프 안착부;
상기 퍼프 안착부에 탈부착 되게 안착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둘의 유출공이 이격 형성되어 내용물의 펴 바름 영역을 형성하는 퍼프를 포함하며,
상기 리필 용기 홀더는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사용자의 푸쉬(push)동작을 수용하는 버튼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버튼부를 상기 하우징 밖으로 노출시키는 버튼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푸쉬 동작에 따라, 상기 리필 용기 홀더는 상기 버튼 절개부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housing;
An outlet tu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including an inlet;
A refill container holder slidably coupled to the housing;
A pump type refill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refill container holder, the discharge port being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port,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outlet pip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efill container holder;
A puff seat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outlet pipe and having an outle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pipe;
It is mount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uff seating portion, and includes a puff formed at least two outlet hole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to form a spread area of the contents,
The refill container holder includes a cylindrical body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the sid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for receiving a push operation of the user,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button incision to expose the button portion out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ush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the refill container holder is guided by the button incision portion cosme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출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이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pipe,
Cosmetics applic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outlet pipe is form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pump-type refill containe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둘레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를 길이 방향으로 구속하는 걸림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The cylindrical body is a cosmetic applic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to restrain the pump refill contain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부는,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를 안내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를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속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cking groove portion,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and guiding the locking projections, and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in the first groove portion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mp type refill container; Cosmetics applicator comprising a second groove to restrain with.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의 입구에는 걸림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6. The method of claim 5,
Cosmetics applic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step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second groo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lide rail protrudes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body is a cosmetic applic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slide rail is inserte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 되게 경사진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tton unit cosmetic applic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curved surface is formed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mp refill containe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안착부는, 가로변과 세로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ff seating portion, cosmetic applicato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horizontal side and the longitudinal side is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는 상기 유출공이 가로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uff is a cosmetic applic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hole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펴 바름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퍼프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preading region is a cosmetic applic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uff.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The puff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smetic applica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탈착 시 상기 펌프식 리필 용기를 외부로 개방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end, the cosmetic applicator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or opening the pump-type refill container when detachable.

KR1020120097096A 2012-09-03 2012-09-03 Cosmetic applicator Active KR1013879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96A KR101387993B1 (en) 2012-09-03 2012-09-03 Cosmetic appl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96A KR101387993B1 (en) 2012-09-03 2012-09-03 Cosmetic appl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56A KR20140030656A (en) 2014-03-12
KR101387993B1 true KR101387993B1 (en) 2014-04-22

Family

ID=5064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096A Active KR101387993B1 (en) 2012-09-03 2012-09-03 Cosmetic appl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9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45B1 (en) * 2015-06-16 2017-07-11 주식회사 에스엔코리아 Silicone puf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267B1 (en) * 2016-09-06 2018-06-15 주식회사 종우실업 Dispenser Comprising Massage Por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21A (en) * 1995-08-30 1997-03-11 Nishikawa Rubber Co Ltd Makeup sponge puff
KR101071542B1 (en) * 2009-11-30 2011-10-11 주식회사 엘코스 Cosmetic case
KR200461267Y1 (en) 2012-02-27 2012-07-04 주식회사 웰컴엠에스 Vibration Foundation With a Massage Plate
KR101162603B1 (en) * 2010-08-27 2012-07-04 한경희 Electric Puf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21A (en) * 1995-08-30 1997-03-11 Nishikawa Rubber Co Ltd Makeup sponge puff
KR101071542B1 (en) * 2009-11-30 2011-10-11 주식회사 엘코스 Cosmetic case
KR101162603B1 (en) * 2010-08-27 2012-07-04 한경희 Electric Puff
KR200461267Y1 (en) 2012-02-27 2012-07-04 주식회사 웰컴엠에스 Vibration Foundation With a Massage P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45B1 (en) * 2015-06-16 2017-07-11 주식회사 에스엔코리아 Silicone pu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56A (en)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30534T3 (en) DOSING COVER FOR A SPRAY DEVICE.
US11602212B2 (en) Cosmetic case
JP2005230563A (en) Lubricating shaving assembly
US20150273503A1 (en) Protective and casing device for a cosmetic product dispensing head, associated head, set and method
JP5483414B2 (en) Dispenser with pressing head
KR20170079303A (en) Pumping type cosmetic vessel with applicator
KR101387993B1 (en) Cosmetic applicator
KR200471795Y1 (en) Pump receptacle with a plural of storages
EP3723541B1 (en) Dispensing and application head for a liquid cosmetic product, in particular a hair product
JP6385203B2 (en) Application container
KR101322750B1 (en) Spout and spr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792360B1 (en) Cosmetic vessel
KR200385928Y1 (en) Powder vessel for makeup
KR200491184Y1 (en) Cosmetic vessel
KR101534603B1 (en) A stamp type of Cosmetic vessel
KR20110051941A (en) Double tube container with vacuum pump
KR200487397Y1 (en) Cosmetic container
KR101770553B1 (en) Dispenser with a dual pump
KR200409747Y1 (en) Packing Structure of Lip Cosmetic Containers
FR2981555A1 (en) Distribution head for e.g. flexible bottle in cosmetic product conditioning device, has obturator that is movable between obturation position and distribution position, where obturator is elastically urged toward position of obturation
KR101221729B1 (en) Tray for receiving counteragent
JP7013229B2 (en) Discharge members and aerosol products
KR102186826B1 (en) Liquid container for beauty treatment combined with diffuser
RU2806376C1 (en) Cosmetic product container
AU2022358642B2 (en) Cosmetic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