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7505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505B1
KR101387505B1 KR1020070088272A KR20070088272A KR101387505B1 KR 101387505 B1 KR101387505 B1 KR 101387505B1 KR 1020070088272 A KR1020070088272 A KR 1020070088272A KR 20070088272 A KR20070088272 A KR 20070088272A KR 101387505 B1 KR101387505 B1 KR 10138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er
hole
supporter
housing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695A (ko
Inventor
강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5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5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를 개선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회전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를 개선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회전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 및 3D displaly 등에 의해 구현되는 TV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화면의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본체를 그 지지부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본체가 지지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하는 것을 틸팅(Tilting)이라고 하기로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운송 또는 운반의 편의성과 운송 물량 확대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부재에 대해 완전히 접을 수 있도록, 즉 폴딩(Folding)되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틸팅과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틸팅과 폴딩의 전환이 용이하지 않으며, 그 부품수가 많아서 제조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틸팅과 폴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 말미암아 틸팅과 폴딩을 전환하는 부품의 수명 때문에 그 재질 강도를 상당히 높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팅 및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틸팅과 폴딩의 전환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그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되도록 하는 힌지장치; 상기 힌지장치가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리미터; 및 상기 리미터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틸팅 또는 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러칭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며, 양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장치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는, 양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며 함께 회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미터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서포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칭 장치는, 틸팅 시에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리미터에 결합하며, 폴딩 시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미터에 결합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미터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리미터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소정 각도 범위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홀과, 상기 리미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홀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홈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는 틸팅 시에 상기 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폴딩 시에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칭 장치는,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며 그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칭 장치는,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몸통부와, 상기 연결부의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가 선택적으로 관통하도록 홀이 마련되는 제1서포터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지지하며, 지지홀이 마련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미터는 상기 제1서포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그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연결홈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는 틸팅 시에 상기 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폴딩 시에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칭 장치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슬라이딩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지지홀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팅 및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틸팅과 폴딩의 동작이 간단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간단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팅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본체(100)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 및 베이스(500), 그리고 힌지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는 전체 외장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소정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 그리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회로기판 및 전기장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400)와 결합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힌지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4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틸팅(Tilting) 및 폴딩(Folding)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장치(200)는 회전장치(210)와 브라켓(2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브라켓(220)은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장치(2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브라켓(220)은 디스플레이 본체(10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223)와, 상기 플레이트(223)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회전장치(2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서포터(221) 및 제2서포터(224)를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400)는 베이스(5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베이스(500)는 바닥면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부재(400)가 상기 베이스(5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회동부(420)가 구비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회전장치(210)의 회전이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리미터(230)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팅 또는 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러칭 장치(3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리미터(230)는 제1서포터(221)와 회전장치(210) 사이에 구비되는데, 이때 클러칭 장치(300)가 상기 리미터(210)를 제1서포터(221)에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고정된 리미터(230)가 회전장치(210)의 회전을 소정의 각도 범위로 제한한다.
상기 클러칭 장치(300)는 상기 제1서포터(221)와 제2서포터(224)에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 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서포터(221)와 리미터(230)를 연결하거나 상기 회전장치(210)와 상기 리미터(230)를 연결한다.
즉 클러칭 장치(300)는 상기 제1서포터(221)와 리미터(230)를 연결하여 리미터(230)가 상기 제1서포터(221)에 고정되도록 하며, 이렇게 고정된 리미터(230)는 회전장치(210)가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만 회전하도록 제한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본체(100)가 틸팅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칭 장치(300)는 상기 제1서포터(221)를 이탈하여 상기 리미터(230)와 회전장치(21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리미터(230)가 상기 회전장치(210)에 고정되도록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리미터(230)는 회전장치(210)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회전장치(21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본체(100)가 폴딩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리미터(230)는 제1서포터(221)와 회전장치(210)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리미터(230)는 제2서포터(224)와 회전장치(210)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0)에는 개구부(410)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틸팅 시에나 폴딩 시에 클러칭 장치(300)가 상기 개구부(4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 리미터, 그리고 클러칭 장치 등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장치는 브라켓(220)과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양 단부가 지지부재(400, 도 1 참조)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11)과, 상기 회전축(211)을 감싸며 함께 회전하는 하우징(212)을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211)은 제1서포터(221)에 형성되는 제1 축지지홀(222)과 제2서포터(224)에 형성되는 제2 축지지홀(225)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서포터(221)와 제2서포터(224) 사이에는 하우징(212)이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212)에는 그 중심을 관통하는 축고정홀(213)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11)이 상기 축고정홀(213)에 끼워져서 고정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211)이 상기 축고정홀(213)에 끼워져서 고정됨으로써 하우징(212)은 회전축(211)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축(211)은 제1 축지지홀(222) 및 제2 축지지홀(225)에서는 회전가능하도록 지지 되고, 하우징(212)의 축고정홀(213)에는 고정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축지지홀(222), 제2 축지지홀(225), 그리고 하우징(212)을 관통한 회전축(211)은 결합부(216) 및 너트(217)와 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16)는 지지부재(40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회전축(211)에 고정되어 회전축(211)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제1서포터(221)와 하우징(212) 사이에는 리미터(230)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리미터(230)는 상기 회전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미터(230)와 상기 하우징(212)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240)가 형성되고, 상기 리미터(230)와 상기 하우징(212)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240)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홈(250)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리미터(230)에 걸림돌기(240)가 형성되고, 하우징(212)의 단부 쪽에 걸림홈(250)이 형성된 것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반대로 리미터(230)에 걸림홈(250)이 형성되고 하우징(212)에 걸림돌기(24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250)은 일단에 제1스토퍼(251)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스토퍼(25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40)는 상기 걸림홈(250)의 제1스토퍼(251) 및 제2스토퍼(252) 사이에서 움직인다.
걸림돌기(240)와 걸림홈(250)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2)과 제2서포터(224) 사이에는 와셔(260)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와셔(260)는 회전축(211)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하우징(212)의 회전을 안내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 리미터, 하우징, 그리고 와셔에는 클러칭 장치(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홀 내지 홈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서포터(221)에는 홀(223)이 형성되고, 리미터(230)에는 관통홀(231)이 형성되며, 하우징(212)에는 연결홈(2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와셔(260)에는 안내홀(261)이 형성되며, 제2서포터(224)에는 지지홀(22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클러칭 장치(300)는 연결부(310), 몸통부(320), 그리고 지지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10)는 상기 홀(223)과 관통홀(231)에 삽입되는 경우 및 상기 관통홀(231)과 연결홈(214)에 삽입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한다. 즉 디스플레이 본체가 틸팅하는 경우에는 상기 홀(223)과 관통홀(231)에 삽입되고, 디스플레이 본체가 폴딩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통홀(231)과 연결홈(214)에 삽입된다.
이러한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330)는 안내홀(261)과 지지홀(226)에 삽입되는데, 상기 지지부(330)에는 탄성부재(340)가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클러칭 장치(300)의 작동 방식에 따라 구비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도 후술한다.
상기 하우징(212)에 형성되는 연결홈(2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2)의 단부 쪽에 마련되는 플랜지(214)의 일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등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본체가 틸팅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본체가 폴딩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클러칭 장치(300)의 연결부(310)는 제1서포터(221)의 홀(223)과 리미터(230)의 관통홀(231)에 삽입되고 하우징(212)의 연결홈(215)으로부터는 소정 간격 이격된다.
이때 클러칭 장치(300)의 지지부(330)는 안내홀(261)과 지지홀(226)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거나, 또는 안내홀(261)에만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0)가 홀(223)과 관통홀(231)에 삽입됨으로써 리미터(230)는 제1서포터(221)에 고정이 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축(211)이 회전하면 하우징(212)이 회전하고, 어느 정도 회전하다가 걸림돌기(240)가 걸림홈(250)의 일단(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 회전축(211)이 반대로 회전하는 경우 하우징(212)도 반대로 회전하다가 걸림돌기(240)가 걸림홈(250)의 타단(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 중 다른 하나)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이를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본체(100)를 아래로 내리는 경우 지지부재(400)는 그대로 있고 디스플레이 본체(100)만 아래로 회전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회전축(211)과 하우징(212)이 그대로 있고 브라켓, 즉 플레이트(223)와 서포터(221, 224)가 회전하는데, 제1서포터(221)에 고정된 리미터(230)도 함께 회전한다.
브라켓과 리미터(230)가 디스플레이 본체와 함께 회전하다가 상기 리미터(230)에 구비된 걸림돌기(240)는 걸림홈(250)의 제1스토퍼(251)에 걸려서 더 이 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00)를 위로 올리는 경우, 지지부재(400)는 그대로 있고 디스플레이 본체(100)만 위로 회전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회전축(211)과 하우징(212)이 그대로 있고 브라켓(223, 221, 224)이 회전하는데, 제1서포터(221)에 고정된 리미터(230)도 함께 회전한다.
브라켓과 리미터(230)가 디스플레이 본체와 함께 회전하다가 상기 리미터(230)에 구비된 걸림돌기(240)는 걸림홈(250)의 제2스토퍼(252)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본체의 틸팅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상태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클러칭 장치(300)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한다.
즉 연결부(310)는 하우징(212)의 연결홈(215)으로 끼워지면서 제1서포터(221)의 홀(223)로부터는 이탈하며, 리미터(230)의 관통홀(231)에는 삽입된 상태가 되고, 지지부(330)는 안내홀(261)과 지지홀(226)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30)에는 탄성부재(340)가 구비되어 있어 클러칭 장치(300)가 쉬프팅하면 상기 탄성부재(340)가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고, 상기 클러칭 장치(30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340)에 의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된다.
도 6에서는 클러칭 장치(230)를 옆으로 그대로 이동시킴으로써(이하 이를 "쉬프팅(Shifting)"이라고 한다) 연결부(310)를 작동시키는 것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연결부(310)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지지부(330)가 제2서포터(224)의 지지홀(226)에 고정되어 있고, 몸통부(32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몸통부(320)에 소정의 힘을 가해서 연결부(310)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몸통부(32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부(310)에는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클러칭 장치(300)도 반드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될 필요가 없고, 어떠한 형상이든 상기 연결부(310)가 쉬프팅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클러칭 장치(300)가 쉬프팅 하면서 연결부(310)가 홀(223)을 이탈하여 관통홀(231)과 연결홈(215)에 연결되면, 리미터(230)는 제1서포터(221)와의 고정에서 해제되는 대신 하우징(212)에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축(211)이 회전하면서 하우징(212)이 회전하면 리미터(230)의 걸림돌기(240)가 걸림홈(250)에 걸리고, 이때 상기 리미터(230)는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212)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연결하여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서 사용자가 클러칭 장치(300)를 쉬프팅 한다.
이때 클러칭 장치(300)의 연결부(310)는 홀(223)을 이탈하여 관통홀(231)과 연결홈(215)을 연결한다(도 6 참조).
그리고 디스플레이 본체(100)를 지지부재(400)에 대해 위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400)는 그대로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 및 이에 고정된 브라켓(223, 221, 224)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리미터(230)는 제1서포터(221)에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디스플레이 본체(100)는 제한 없이 계속 회전하게 되고, 결국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폴딩된 상태가 된다.
만약 클러칭 장치(300)의 연결부(310)가 탄성복원력을 받고 있는 경우(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40)가 구비된 경우나 몸통부(320) 자체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경우 등), 폴딩이 진행되면서 상기 연결부(310)의 단부는 제1서포터(221)에 밀착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한 바와 같이 폴딩된 상태에서 다시 틸팅 가능한 상태(도 1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00)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면, 브라켓이 회전하면서 클러칭 장치(300)의 연결부(310)가 제1서포터(221)의 홀(223)에 끼워지고 동시에 상기 연결부(310)가 하우징(212)의 연결홈(215)을 이탈하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틸팅과 폴딩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클러칭 장치가 간단하게 구비됨으로써 가능하게 되고, 또한 클러칭 장치에 소정의 외력만 가하면 되므로 틸팅과 폴딩의 전환이 매우 쉽다.
또한 틸팅과 폴딩의 전환을 위해 복잡한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클러칭 장치를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전체적으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팅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부분에 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품들을 모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는 틸팅 상태를, 도 6은 폴딩 가능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4)

  1. 디스플레이 본체가 그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회전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장치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힌지장치;
    상기 힌지장치가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리미터; 및
    상기 리미터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틸팅 또는 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러칭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칭 장치는 틸팅 시에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미터를 결합시키고, 폴딩 시에 상기 회전장치와 리미터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장치와 상기 리미터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양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며 함께 회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브라켓은,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리미터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서포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클러칭 장치는,
    틸팅 시에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리미터에 결합하며, 폴딩 시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미터에 결합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리미터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소정 각도 범위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홀과,
    상기 리미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홀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홈을 포함하여,
    연결부는 틸팅 시에 상기 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폴딩 시에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클러칭 장치는,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며 그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칭 장치는,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몸통부와,
    상기 연결부의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서포터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지지하며, 연결부가 선택적으로 관통하도록 홀이 마련되는 제1서포터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지지하며, 지지홀이 마련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는 상기 제1서포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그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연결홈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는 틸팅 시에 상기 제1 서포터의 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폴딩 시에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클러칭 장치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되며, 지지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슬라이딩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지지홀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88272A 2007-08-31 2007-08-31 디스플레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8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272A KR101387505B1 (ko) 2007-08-31 2007-08-3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272A KR101387505B1 (ko) 2007-08-31 2007-08-3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695A KR20090022695A (ko) 2009-03-04
KR101387505B1 true KR101387505B1 (ko) 2014-04-21

Family

ID=4069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2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7505B1 (ko) 2007-08-31 2007-08-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9822B (zh) * 2019-09-20 2024-08-23 利亚德智慧显示(深圳)有限公司 手举屏
KR102268477B1 (ko) * 2019-09-27 2021-06-23 주식회사 아임유 모니터용 듀얼 힌지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448A (ko) * 1999-10-08 2001-05-07 구자홍 평판 모니터
KR20050011368A (ko) * 2003-07-23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16235A (ko) * 2004-08-17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모니터
KR20060097961A (ko) * 2005-03-08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448A (ko) * 1999-10-08 2001-05-07 구자홍 평판 모니터
KR20050011368A (ko) * 2003-07-23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16235A (ko) * 2004-08-17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모니터
KR20060097961A (ko) * 2005-03-08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695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581B2 (en) Display apparatus
KR100846898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70506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US7681848B2 (en) Stand for image display device
US9161474B2 (en) Display device
US641127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10098252B2 (en)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hinge device using a sliding position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CN1294309A (zh) 具有多级结构的lcd监视器支座
JP2011139017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US11174984B2 (en) Display apparatus
KR1013875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39420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US20070102608A1 (en) Wall mounted display apparatus
US20130148279A1 (en) Display apparatus
KR101448848B1 (ko)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KR201700260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26307A1 (en) Display apparatus
KR10135348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300659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076857A1 (en) Display device
CN103677280A (zh) 键盘组件和电子设备
JP5131043B2 (ja) 表示ユニットの可動組付構造、及び電子機器
US20110095145A1 (en) Support mechanism
KR200231013Y1 (ko) 평판영상표시기기의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