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5845B1 - 축사 구조물 - Google Patents

축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845B1
KR101385845B1 KR1020120059132A KR20120059132A KR101385845B1 KR 101385845 B1 KR101385845 B1 KR 101385845B1 KR 1020120059132 A KR1020120059132 A KR 1020120059132A KR 20120059132 A KR20120059132 A KR 20120059132A KR 101385845 B1 KR101385845 B1 KR 10138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tube
pipe
opening
livest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514A (ko
Inventor
주영길
Original Assignee
합천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천축산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합천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20059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8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8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2Storage places for manure, e.g. cisterns for liquid manure; Installations for fermenting man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8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은,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의 외부를 둘러싸는 벽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제1 환기구와 축사 바닥에 격자구조로 형성되며, 가축의 분뇨가 격자구조 하방으로 배출되는 바닥구조물과 상기 바닥구조물 하단에 위치하며, 가축의 분뇨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분뇨관과 상기 제1 분뇨관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분뇨관에서 이동된 가축의 분뇨를 분뇨 처리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분뇨관과 상기 제1 분뇨관과 제2 분뇨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분뇨관과 제2 분뇨관을 연결하는 분뇨관 연결구 및 상기 제1 분뇨관을 이동하는 분뇨를 상기 제2 분뇨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사 구조물에 관한 것.

Description

축사 구조물{STRUCTURE FOR CATTLE SHED}
본 발명은 축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 분뇨에 의한 악취를 최소화 하고, 분뇨관의 구조에 의해 분뇨가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하는 축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축을 사육함에 있어 사육환경을 가축 중심으로 축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경제성 및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사육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축의 축산폐수의 다량발생, 환경오염, 하천오염, 악취발생 등 수많은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축사의 환경오염 및 악취 등으로 인해 도심권이나 상수원 보호지역에서는 축사의 건축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축사구조는, 측벽과 지붕을 가지는 밀폐된 공간이거나, 측벽이 개방되고 지붕만을 가지는 구조로 건축되었다.
이에 관련하여, 축사 구조물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5362호와 같이 개시되어 있으나, 가축의 분뇨를 작업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축의 분뇨를 일정시간 축사 외부로 배출하지 못함으로 환기에 의한 악취제거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95362호 (2008.01.1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격자구조를 가지는 바닥구조물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축사 내부에 가축의 분뇨가 쌓이지 않는 축사를 체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배를 가지는 분뇨관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가축의 분뇨가 분뇨처리장으로 배출되는 축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연대류에 의한 환기로 인해 축사 내부에 분뇨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를 최소화하는 축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축 급수통 하단에 급수관 및 배수관을 마련하여 가축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급수하는 축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은,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의 외부를 둘러싸는 벽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제1 환기구와 축사 바닥에 격자구조로 형성되며, 가축의 분뇨가 격자구조 하방으로 배출되는 바닥구조물과 상기 바닥구조물 하단에 위치하며, 가축의 분뇨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분뇨관과 상기 제1 분뇨관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분뇨관에서 이동된 가축의 분뇨를 분뇨 처리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분뇨관과 상기 제1 분뇨관과 제2 분뇨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분뇨관과 제2 분뇨관을 연결하는 분뇨관 연결구 및 상기 제1 분뇨관을 이동하는 분뇨를 상기 제2 분뇨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분뇨관의 하부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 중심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1 분뇨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축분뇨가 용이하게 흘러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구의 상단은 축사 내부의 작업통로 바닥면에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제2 분뇨관에 연결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분뇨관 일측을 막고 있는 상기 개폐구가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분뇨관의 분뇨가 상기 분뇨관 연결구를 통해 하부의 제2 분뇨관으로 분뇨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환기구 상단에는, 일측 벽체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제1 지붕과 타측 벽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지붕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지붕은 상기 제2 지붕보다 길게 형성되어 중첩되며, 상기 제2 지붕 일측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제2 환기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환기구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2 환기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덮개판이 더 마련되며, 상기 덮개판은, 상기 제2 지붕 상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타고 구르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가이드레일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시스템은, 격자구조를 가지는 바닥구조물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축사 내부에 분뇨가 쌓이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대류에 의한 환기로 인해 축사 내부에 악취발생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배를 가지는 분뇨관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가축의 분뇨가 분뇨처리장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축 급수통 하단에 급수관 및 배수관을 마련하여 가축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여 쾌적한 숙사내부를 조성하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의 바닥구조물 및 제1 분뇨관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의 분뇨관 및 개폐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의 분뇨관 및 개폐구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의 제2 환기구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의 덮개판 단면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의 급수통 단면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사 구조물은, 축사 벽체 상단에 형성되는 제1 환기구(10)와, 축사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구조물(20)과, 상기 바닥구조물(20) 하부에 형성되는 제1 분뇨관(30)과, 상기 제1 분뇨관(30)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분뇨관(40)과, 상기 제1 분뇨관(30)과 상기 제2 분뇨관(40)을 연결하는 분뇨관 연결구(50) 및 상기 제1 분뇨관(30)과 상기 제2 분뇨관(40)을 이동하는 가축 분뇨의 이동을 제어하는 개폐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축사 구조물에는, 제1 환기구(10)가 마련된다. 상기 제1 환기구(10)는,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의 외부를 둘러싸는 벽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축사 내부 공기 및 축사 외부 공기가 상기 제1 환기구(10)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환기구(10)는, 축사 측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유입시키거나 축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축사 내부의 온도조절, 악취해소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축사 구조물에는, 바닥구조물(20)이 마련된다. 상기 바닥구조물(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구조로 형성되며, 가축의 분뇨가 격자구조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바닥구조물(20)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가축의 분뇨를 축사 내부에 두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제1 분뇨관(30)과 제2 분뇨관(40)을 통해 분뇨 처리장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바닥구조물(20) 하단에는, 제1 분뇨관(30)이 마련된다. 상기 제1 분뇨관(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구조물(20)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분뇨관(30) 내측 하부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 중심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트렌치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분뇨관(3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분뇨관(30)에 유입된 가축 분뇨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경사를 따라 용이하게 흘러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분뇨관(30) 일측 하부에는, 제2 분뇨관(40)이 마련된다. 상기 제2 분뇨관(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뇨관(3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분뇨관(30)의 분뇨를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분뇨관 연결구(50)에 의해 상기 제2 분뇨관(40)으로 유입시켜 축사 외부에 마련되는 분뇨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분뇨관(30)은, 축사 내부의 분뇨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분뇨관(40)은 상기 제1 분뇨관을 타고 이동하는 분뇨를 축사 외부의 분뇨 처리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분뇨관(30)과 제2 분뇨관(40) 사이에는, 분뇨관 연결구(50)가 마련된다. 상기 분뇨관 연결구(50)는, 상기 제1 분뇨관(30)의 일측과 상기 제2 분뇨관(40)의 일측을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분뇨관 연결구(50)는, 상기 제1 분뇨관(30)을 이동하는 분뇨를 상기 제2 분뇨관(40)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인 축사 구조물에는, 개폐구(60)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구(60)는, 상단이 축사 내부의 작업통로 바닥면에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제2 분뇨관(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분뇨관 연결구(50)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폐구(60)는, 상기 분뇨관 연결구(50)에 삽입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뇨관(30)의 일측을 차단하여 상기 제1 분뇨관(30)의 분뇨를 상기 제2 분뇨관(4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폐구(60)는, 축사 내부의 작업통로 바닥면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구(60)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분뇨관(30)의 일측은, 상기 개폐구(60) 좌측(도 4에서)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분뇨관(30)의 일측을 개방하게 된다. 일측이 개방된 상기 제1 분뇨관(30)의 가축 분뇨는, 상기 분뇨관 연결구(50)를 통해 상기 제2 분뇨관(40)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구(60)는,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하여 가축 분뇨를 축사 외부에 마련된 분뇨 처리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은, 상기 개폐구(6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분뇨관(30)에 유입된 가축 분뇨를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2 분뇨관(40)으로 이동시켜 축사 외부에 마련된 분뇨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분뇨관(30)에 유입된 가축 분뇨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상기 제1 분뇨관(30)의 가축 분뇨를 일정시간 저장한다. 이는, 상기 제1 분뇨관(30)에 저장된 가축 분뇨의 상단이 굳을 때까지 저장하여, 하부에 굳지 않은 가축 분뇨에 의한 악취발생을 최소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환기구(10) 상단에는, 제1 지붕(70)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지붕(70)은, 축사 외부를 둘러싸는 일측 벽체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지붕(7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 지붕(71)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지붕(71)의 상부에 중첩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지붕은, 만곡되어 형성되는 구조적 특징에 의해 축사의 일측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한 풍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지붕(70) 타측 방향에는, 제2 지붕(71)이 마련된다. 상기 제2 지붕(71)은, 상기 제1 지붕(70)이 마련된 벽체의 타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지붕(70)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 지붕(71) 일측에는, 제2 환기구(80)가 마련된다. 상기 제2 환기구(80)는, 축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축사 내부의 온도조절, 악취해소 등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지붕(70) 및 제2 지붕(71)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기 제1 지붕(70) 끝단에는 기압이 낮아지는 베르누이 효과가 나타난다. 즉, 상기 제2 환기구(80) 상단에는, 상기 제2 환기구(80) 하단보다 기압이 낮게 형성되어 축사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제1 환기구(10)를 통해 배출된 공기만큼 신선한 공기를 축사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축사 내부에는 악취해고, 온도조절,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함으로써 가축 사육에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환기구(80) 상단 일측에는 덮개판(81)이 마련된다. 상기 덮개판(81)은, 상기 제2 환기구(8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환기구(80) 일측 상단에는, 상기 제2 환기구(80) 일측상단에서 상기 제2 환기구(80) 상단까지 연결되는 가이드레일(82)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레일(82)은, 상기 덮개판(81)의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즉, 상기 덮개판(81)이 상기 제2 환기구(8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덮개판(81) 하단에는, 롤러(83)가 마련된다. 상기 롤러(83)는, 상기 가이드레일(82) 상단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레일(8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덮개판(81)이 상기 가이드레일(82)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롤러(83)의 일측에는, 이탈방지구(85)가 마련된다. 상기 이탈방지구(85)는, 상기 롤러(83)가 상기 가이드레일(82)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레일(82) 상면 중심에 위치하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판(81) 일측에는, 체인블록(84)이 마련된다. 상기 체인블록(84)의 일측은, 상기 제2 환기구(80) 상단과 제1 지붕(70) 하단 사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덮개판(81)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덮개판(81)이 상기 가이드레일(82)을 따라 이동하도록 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체인블록(84)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제2 환기구(80)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축사 구조물에는, 급수통(90)이 마련된다. 상기 급수통(9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급수관(91) 및 배수관(92)이 마련되어, 가축 사육에 필요한 물을 상기 급수관(91)을 통해 공급하거나, 가축이 없는 축사에는 상기 급수통(90)의 물을 상기 배수관(92)을 통해 배출하여 세균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급수관(91) 및 배수관(92)의 일측에는 밸브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급수통(90)에 물을 공급 또는 배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축사 구조물의 번식우사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구조물(20)이 마련된다. 상기 바닥구조물(20) 상부에는 가축이 사육되며, 가축 사육에 따라 발생되는 분뇨는 상기 바닥구조물(20)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바닥구조물(20)은, 격자구조로 형성되어 가축 분뇨를 상기 바닥구조물(20)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구조물(20)은, 가축의 다리가 격자구조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형성하며, 가축의 분뇨가 통과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상기 바닥구조물(20) 하부로 이동한 가축 분뇨는, 상기 제1 분뇨관(3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분뇨관(30)의 내측 하단 중심에 하방으로 함몰된 트렌치 형상에 가축 분뇨가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분뇨관(3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축 분뇨가 서서히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분뇨관(30)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 가축 분뇨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구(60)가 상기 제1 분뇨관(30)의 우측(도 4에서)을 폐쇄하여 가축 분뇨를 상기 제1 분뇨관(3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개폐구(60)에 의해 상기 제1 분뇨관(30)에 유입된 가축 분뇨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상기 제1 분뇨관(30) 내부에 일정시간 저장한다. 이는, 상기 제1 분뇨관(30)에 저장된 가축 분뇨의 상단이 굳을 때까지 저장하여, 하부에 굳지 않은 가축 분뇨에 의한 악취발생을 최소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분뇨관(30) 내부의 가축 분뇨를 축사 외부에 마련된 분뇨 처리장으로 배출할 때는, 상기 개폐구(6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개폐구(60) 일측에 마련된 개구부는, 상기 제1 분뇨관(30) 우측(도 4에서)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구(60)에 의해 개방된 상기 제1 분뇨관(60)은, 내부에 저장된 가축 분뇨를 상기 분뇨관 연결구(50)를 통해 상기 제2 분뇨관(40)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2 분뇨관(40)은, 축사 내부의 가축 분뇨를 축사 외부에 마련된 분뇨 처리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환기구 20 : 바닥구조물
30 : 제1 분뇨관 40 : 제2 분뇨관
50 : 분뇨관 연결구 60 : 개폐구
70 : 제1 지붕 71 : 제2 지붕
80 : 제2 환기구 81 : 덮개판
82 : 가이드레일 83 : 롤러
84 : 체인블록 85 : 이탈방지구
90 : 급수통 91 : 급수관
92 : 배수관

Claims (5)

  1.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의 외부를 둘러싸는 벽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제1 환기구;
    축사 바닥에 격자구조로 형성되며, 가축의 분뇨가 격자구조 하방으로 배출되는 바닥구조물;
    상기 바닥구조물 하단에 위치하며, 가축의 분뇨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분뇨관;
    상기 제1 분뇨관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분뇨관에서 이동된 가축의 분뇨를 분뇨 처리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분뇨관;
    상기 제1 분뇨관과 제2 분뇨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분뇨관과 제2 분뇨관을 연결하는 분뇨관 연결구; 및
    상기 제1 분뇨관을 이동하는 분뇨를 상기 제2 분뇨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뇨관의 하부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 중심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1 분뇨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어 굳지 않는 가축분뇨가 용이하게 흘러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구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중공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개폐구의 상단은, 축사 내부의 작업통로 바닥면에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제2 분뇨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분뇨관과 접하는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분뇨관 일측을 막고 있는 상기 개폐구가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분뇨관의 굳지 않은 분뇨가 상기 분뇨관 연결구를 통해 하부의 제2 분뇨관으로 분뇨가 이동하고,
    상기 제1 환기구 상단에는,
    일측 벽체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제1 지붕과 타측 벽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지붕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지붕은 상기 제2 지붕보다 길게 형성되어 중첩되며, 상기 제2 지붕 일측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제2 환기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제2 환기구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2 환기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덮개판이 더 마련되며, 상기 덮개판은, 상기 제2 지붕 상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타고 구르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가이드레일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59132A 2012-06-01 2012-06-01 축사 구조물 Active KR101385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32A KR101385845B1 (ko) 2012-06-01 2012-06-01 축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32A KR101385845B1 (ko) 2012-06-01 2012-06-01 축사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14A KR20130135514A (ko) 2013-12-11
KR101385845B1 true KR101385845B1 (ko) 2014-04-24

Family

ID=4998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132A Active KR101385845B1 (ko) 2012-06-01 2012-06-01 축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8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7570A (zh) * 2014-05-26 2014-07-30 云南农业大学 一种移动式奶牛舍屋顶
CN108308085A (zh) * 2018-03-17 2018-07-24 刘梦思 一种太阳能控温水产养殖车间
KR102371011B1 (ko) 2021-02-05 2022-03-10 (주)동아엔지니어링 친환경 축사구조
KR102372896B1 (ko) 2021-02-05 2022-03-11 (주)동아엔지니어링 악취저감 기능이 있는 축사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2152A (zh) * 2015-03-18 2015-05-27 菏泽宏兴原种猪繁育有限公司 养猪用大棚
CN110972973A (zh) * 2019-12-24 2020-04-10 河南牧业经济学院 一种新型自动清洁的猪舍
CN112075345A (zh) * 2020-08-26 2020-12-15 衡东县新旺种养农民专业合作社 一种生态家畜养殖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984A (ko) * 2005-08-29 2007-03-09 주식회사 트인 축사 및 아파트형 축사
KR100795362B1 (ko) * 2007-09-14 2008-01-17 오션 스타 주식회사 축사 구축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984A (ko) * 2005-08-29 2007-03-09 주식회사 트인 축사 및 아파트형 축사
KR100795362B1 (ko) * 2007-09-14 2008-01-17 오션 스타 주식회사 축사 구축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7570A (zh) * 2014-05-26 2014-07-30 云南农业大学 一种移动式奶牛舍屋顶
CN108308085A (zh) * 2018-03-17 2018-07-24 刘梦思 一种太阳能控温水产养殖车间
CN108308085B (zh) * 2018-03-17 2020-07-28 赣州市宝阁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控温水产养殖车间
KR102371011B1 (ko) 2021-02-05 2022-03-10 (주)동아엔지니어링 친환경 축사구조
KR102372896B1 (ko) 2021-02-05 2022-03-11 (주)동아엔지니어링 악취저감 기능이 있는 축사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14A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845B1 (ko) 축사 구조물
CN101516183B (zh) 孑孓捕获容器
JP4673645B2 (ja) ボウフラ駆除容器
TW200303720A (en) A raceway for cultivating aquatic organisms
KR100861700B1 (ko) 일체형 가축생산ㆍ분뇨처리시설
US7810454B2 (en) Animal breeding plant
KR200472071Y1 (ko) 미래형 우사
KR100817528B1 (ko) 축사 및 아파트형 축사
KR102295088B1 (ko)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JP2009225725A (ja) 畜舎の非常換気装置
CN209073235U (zh) 孵化池排水系统
ES2320445T3 (es) Dispositivo para impedir la entrada de agua en un pozo de aguas residuales.
KR101161856B1 (ko) 이중수문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CN204443637U (zh) 带冲洗装置的巢门档
CN111066658A (zh) 一种环保猪舍
JP2020031624A (ja) 畜舎およびその臭気低減システム
CN205389867U (zh) 带自动喂料装置的版纳微型猪近交系成年猪猪舍
RU120544U1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свинарник
CN109511561B (zh) 一种粪便自动固液分离的环保猪舍
CN209862008U (zh) 一种用于蛇养殖的饲养箱
CN207544020U (zh) 一种养殖场自动饮水装置
KR102820377B1 (ko) 송아지 사육사
CN217241960U (zh) 一种养猪场
KR100973845B1 (ko) 축사용 바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