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5538B1 -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538B1
KR101385538B1 KR1020130142198A KR20130142198A KR101385538B1 KR 101385538 B1 KR101385538 B1 KR 101385538B1 KR 1020130142198 A KR1020130142198 A KR 1020130142198A KR 20130142198 A KR20130142198 A KR 20130142198A KR 101385538 B1 KR101385538 B1 KR 10138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latent heat
recesses
heat structur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화
Original Assignee
정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화 filed Critical 정진화
Priority to KR102013014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5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배관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배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난방 배관용 잠열 구조체는 상부에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 또는 환형 오목부를 가지는 상부와 양 측벽 및 전후방 벽체, 그리고 바닥부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되며, 상기한 난방용 잠열 구조체는 종래의 통상적인 습식 또는 건식 난방시공 법에 있어 통상적인 난방배관 구조를 그대로 채택하면서도 난방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가 있으며, 별도의 독립된 난방시공용 건축자재로서 난방시공 시 매설되어 유지보수 필요성이 거의 없고, 초기 난방 시 통상적인 경우에 비하여 난방 지연 시간이 차이가 없음은 물론, 열수 순환에 의한 난방 종료 후에도 잠열에 의하여 오랜 동안 난방 효과의 지속이 가능하므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난방 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HEATING PIPING METHOD USING PHASE CHANGE MATERIAL CONTAINING STRUCTURE FOR HEATING}
본 발명은 난방배관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배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배관의 하방에 위치하여 난방 시에는 난방배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액상화되고 난방 중단 시에는 고상화하면서 열을 서서히 방출하는 잠열재가 충진되어 있는 모듈화된 난방배관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배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 또는 단독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난방배관 시공법으로서는 습식 난방시공법과 건식 난방시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로부터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습식 난방시공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단열 및 차음을 위한 단열판(20)을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양생한 다음, 그 위에 고정구(70)를 이용하여 난방배관(40)을 설치하고, 모르타르(50)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장판이나 마루패널과 같은 마감재(60)를 설치하는 방식이 전형적이다.
한편, 상기한 습식 난방시공방법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의 양생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레벨링(leveling)이 필요하여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근래 들어서는 건식 난방시공법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건식 난방시공법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단열 및 차음을 위한 은박필름이나 동박필름 부착 폴리에틸렌과 같은 단열판을 깔고, PVC 압축 단열재 등으로 된 난방배관 지지판을 적층한 다음 그 위에 난방용 열수 파이프를 배관하고, 다시 그 위에 방음 및 쿠션층을 적층한 후, 그 위에 마감재를 적층하는 방식이 전형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습식난방 또는 건식난방은 단순히 난방배관에 열수를 순환시켜 난방하는 방식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므로, 난방 해제 시에는 물의 비열이 1cal/g에 불과하여 난방배관 내의 열수가 쉽게 냉각되고 그에 따라 실내 온도가 비교적 빠른 속도로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동절기 충분한 난방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잦은 주기의 장시간 난방이 필요하므로 난방비 지출이 커서 가계 경제에 부담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 상기한 습식 또는 건식 난방시공에 있어, 모래 및 자갈이나 쇄석과 같은 세라믹층을 축열층으로서 난방배관부 또는 그 상층에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고체 세라믹 층을 설치하는 것은 잔열의 유지 시간 연장에는 유용하나 초기 난방 시에는 오히려 난방효과를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축열층을 설치하는 전형적인 예로써, 등록특허 제0635374호(06.10.11. 등록)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면에 방수시트와 단열재를 균일하게 깔은 다음, 도금처리 강판이나 갈바늄판, 동판 등으로 된 엠보판을 적층하고 배관한 다음, 메시층을 두고 황토 모르타르로 미장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축열셀이 형성된 엠보판 및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바닥난방 구조의 시공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축열셀이 열전도성이 양호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된 다수의 원형 돌출부로 구성될 뿐으로서 난방 중단 시 급속한 방열에 의해 오히려 실내 온도를 급격히 저하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0329926호(03.10.02. 등록)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방습비닐, 제1 단열부로서의 발포 폴리스티렌, 후포, 제1 축열부, 히팅 케이블, 제2 축열부, 제2 단열부, 마감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히팅 케이블을 이용한 심야 축열 난방 구조를 개시(開示: disclose)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열수 난방배관 시공법이 아닌 전열선에 의한 바닥 난방시공법에 관한 것임과 아울러, 상기한 제1 및 제2 축열부가 히팅 케이블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자갈, 모래, 백운석, 석분으로 구성되므로, 초기 난방시 개시 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잠열(latent heat: 潛熱)이란 융해 또는 증발과 같은 상전이 과정에서 흡수 또는 방출되는 열로서, 물질계에 열을 가했을 경우 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현열과는 달리, 잠열은 가해진 열이 계의 온도 상승이 아닌 상변환에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잠열은 현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현저히 크다.
일반적으로 잠열재는 축열재, 축냉재, 열조절성 물질 등과 같은 다양한 상변환 물질(phase change material)을 지칭하며, 열저장 온도 대역 범위에 따라 고온 잠열재, 중온 잠열재, 저온 잠열재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기한 잠열재를 이용하는 전형적인 장치로서는, 태양전지, 바이오셀, 히트펌프, 냉동기, 방열용 히트파이프, 히터나 버너, 항온운송용 포장 박스 등을 들 수 있다.
열역학적으로 상기한 잠열재는 고액 상평형 관계는 물론, 혼합 성분의 농도비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필요에 따른 수많은 잠열재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한 수많은 잠열재 중 전형적인 예로써는, 혼합물의 용융 시 초기의 구성비와는 다른 구성비로 분리되는 비혼합성 용융계(immisible-peritectic system)의 비합치 용융결정(incongruently melting compound) Na2SO4·10H2O 형성계와, 특정 혼합물의 혼합 구성비로 된 혼합물이 각 성분의 융점 보다 낮은 공융점(eutectic temperature)에서 혼합물의 각 성분이 동시에 용융되는 비혼합성 공유염계(immisible-eutectic system)의 NaCl-H2O계 및 왁스 파라핀계이다.
한편, 종래 건축물의 난방에 있어 잠열재가 사용되는 것은 주로 태양열 난방 분야이며, 그 외 축열식 보일러 등에 일부 적용되고 있을 뿐, 열수배관을 이용한 온돌난방 시스템에는 적용된바 없다.
상기한 태양열 난방 시스템 또는 축열식 보일러는 잠열재가 수납된 외부 구성의 축열기 내로 온수 파이프를 통과시켜 열교환한 다음 열교환에 의해 가온된 온수가 난방배관을 통하여 순환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고, 일부는 전기열선에 의해 난방용 파이프내의 잠열재를 간접 가열한 후 가온된 잠열재를 파이프 내로 직접 순환시키는 매트 구성을 채택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종래의 통상적인 습식 또는 건식 난방시공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난방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구조 및 시공방법이 당업계에 오랜 기간 요망되어 왔다.
등록특허 제0635374호(06.10.11.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0329926호(03.10.02. 등록) 등록특허 제0875514(08.12.16. 등록) 등록특허 제1125836호(12.03.05. 등록) 공개특허 제2009-0056289호(09.06.03. 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074743호(2009.04.0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통상적인 습식 또는 건식 난방시공 법에 있어 통상적인 난방배관 구조를 그대로 채택하면서도 난방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가 있으며, 난방 시공 시 매설되어 유지보수 필요성이 거의 없고, 초기 난방 시 통상적인 경우에 비하여 난방 지연 시간이 차이가 없으며, 열수 순환에 의한 난방 종료 후에도 잠열에 의하여 오랫동안 난방 효과를 지속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난방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단열 및 차음을 위한 단열판을 설치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B) 상부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며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와, 상기한 오목부 양측의 상면 대상부(帶狀部)와, 양 측벽 및 전후방 벽체와 바닥부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되며 길이 1~5m, 폭 0.1~2m, 높이 3~40cm의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다수개 배열하고,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단부에, 상부에 환형으로 형성되며 U자형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와, 상기한 환형 오목부 주위의 상면 평활부와, 양 측벽 및 전후방 벽체와 바닥부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되는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위치시켜 배열하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 배열 단계; (C)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및 상기한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환형 오목부 내에 각각 선형 및 환형 난방배관의 하부를 위치시키는 난방배관 단계; 및 (D) 난방배관 주변 영역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마감재를 설치하는 마감재 설치 단계로 구성되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또는 상기한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환형 오목부 내에 금속 또는 수지 지지판을 끼운 다음, 난방배관을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난방배관과 마감재 사이에 방음쿠션재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단열 및 차음을 위한 단열판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B) 상부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며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와, 상기한 오목부 양측의 상면 대상부(帶狀部)와, 양 측벽 및 전후방 벽체와 바닥부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되며 길이 1~5m, 폭 0.1~2m, 높이 3~40cm의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다수개 배열하고, 벽체와 이어지는 바닥 가장자리부에, 상부에 선형(線型)으로 형성되며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짝수개의 오목부와, 상기한 오목부 주위의 상면 대상부(帶狀部)와, 상기한 짝수개의 오목부의 일단부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상(立狀) 환형 오목부와,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입상 환형 오목부의 주위의 수직 평활부와, 양 측벽 및 전후방 벽체와 바닥부로 구성되는 L자형 몸체와, 상기한 L자형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되는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다수 위치시켜,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 각각의 양단부의 2개의 오목부와 상기한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입상(立狀) 환형 오목부와 연결된 2개의 오목부가 연통되도록 배열하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 배열 단계; (C)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및 상기한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입상 환형 오목부와 오목부 내에 난방배관의 하부를 위치시키는 난방배관 단계; 및 (D) 난방배관의 상부와 외측에 모르타르를 시공하고, 바닥에는 마감재를 설치하는 마감재 설치 단계로 구성되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또는 상기한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또는 입상 환형 오목부 내에 금속 또는 수지 지지판을 끼운 다음, 난방배관을 위치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은 종래의 통상적인 습식 또는 건식 난방시공 법에 있어 통상적인 난방배관 구조를 그대로 채택하면서도 난방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가 있으며, 별도의 독립된 난방시공용 건축자재로서 난방시공 시 매설되어 유지보수 필요성이 거의 없고, 초기 난방 시 통상적인 경우에 비하여 난방 지연 시간이 차이가 없음은 물론, 열수 순환에 의한 난방 종료 후에도 잠열에 의하여 오랫동안 난방 효과의 지속이 가능하므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난방 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예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예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예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예시 사시도이다.
도 5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배관 시공 상태도이다.
도 6은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다른 난방배관 시공 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난방배관 시공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난방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1a)의 예시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1a)의 기본 구조는 상부에 세로로 길게 선형(線型)으로 형성되며 난방배관(도 5 및 도 6의 도면부호 40 참조)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와, 상기한 오목부(3) 양측의 상면 대상부(帶狀部)(5)와, 양 측벽(4) 및 전후방 벽체(6)와 바닥부(도면부호 미부여)로 구성되는 몸체(2)와, 상기한 몸체(2)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오목부(3)가 도 1의 경우에는 단 1개, 도 2의 경우에는 3개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수효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않으며 임의 선택적이다.
또한 상기한 몸체(2)에는 잠열재 주입과 내부 공기 배출을 위한 밀봉부(2a)가 형성되며, 상기한 밀봉부(2a)는 잠열재 주입 완료 후 용융시켜 완전히 폐색시키는 영구 밀봉부로 형성하거나 또는 공지의 수밀 또는 기밀 나사 등과 같은 밀봉 수단의 어느 것일 수 있다.
또한 양 측벽(4)은 도 1의 경우에서와 같이 경사측벽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측벽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1a)의 치수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아니하며 임의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모듈화를 위하여 길이 1~5m, 폭 0.1~2m, 높이 3~40cm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경제성 및 시공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잠열재로서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Na2SO4·10H2O계 또는 왁스 파라핀계 잠열재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언급하자면 고온 잠열재 중에서 상대적으로 저온 영역에서 상변화가 일어나는 잠열재 및 중온 잠열재가 바람직하며, 저온 잠열재는 냉매로 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이러한 잠열재는 수많은 다양한 종류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그 조성비를 변경 혼합함으로써, 너무나도 다양한 잠열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 공지이다.
상기한 중고온 또는 중온 잠열재에 대하여 부연하면, 헥사데칸, 헵타데칸 및, 옥타데칸과 같은 파라핀계, GB 2,046,50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NaAlCl4 용융염계, 염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아세트산나트륨의 혼합 용융염계, 또는 조핵제로서의 보락스와 증점제로서의 수팽윤성 고분자 및 망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품명 써모피아-32 또는 조핵제로서의 황산칼슘과 증점제로서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및 초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상품명 써모피아-58, 또는 ㈜FMS Korea의 상품명 G-Pack에 수용되는 잠열량 약 187~215 jul/g의 잠열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1a)의 몸체(2)는 내열성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한 내열성 합성수지로서는 실리콘(silicon), 폴리메칠 펜텐(polymethyl pentene), 폴리에테르 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아크릴 아크릴레이트(acryl acrylate),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yla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으로서는 우수한 내식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1b)의 예시 사시도로서, 난방배관 시 U자형 난방배관(미도시) 하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며, 그 기본 구조는 상부에 환형으로 형성되며 U자형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3a)와, 상기한 환형 오목부(3a) 주위의 상면 평활부(5a)와, 양 측벽(4) 및 전후방 벽체(6)와 바닥부(도면부호 미부여)로 구성되는 몸체(2)와, 상기한 몸체(2)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된다.
그 외의 사항은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1c)의 예시 사시도로서, 난방배관 시 U자형 난방배관(미도시)을 수직 측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수직 벽체에도 난방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며, 그 기본 구조는 상부에 선형(線型)으로 형성되며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짝수개의 오목부(도면부호 미부여: 도 2에서의 도면부호 3 참조)와, 상기한 오목부(3) 주위의 상면 대상부(帶狀部)(5)와, 상기한 짝수개의 오목부(3)의 일단부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상(立狀) 환형 오목부(3b)와,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입상 환형 오목부(3b) 주위의 수직 평활부(5b)와, 양 측벽(4) 및 전후방 벽체(6)와 바닥부(도면부호 미부여)로 구성되는 L자형 몸체(2)와, 상기한 L자형 몸체(2)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된다.
그 외의 사항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한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a: 도 2와 유사구조로서 오목부(3)가 2개 형성된 경우)를 이용한 난방배관 시공 상태도로서, 먼저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단열 및 차음을 위한 단열판(20)을 설치하는 단열판 설치 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a)를 다수개 배열하고, 그 단부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1b)를 위치시켜 배열한 후,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a)의 오목부(3) 및 상기한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1b)의 환형 오목부(3a) 내에 각각 난방배관(40)의 하부를 위치시키고, 이어서 상기한 난방배관(40) 상부에 장판이나 마루 패널과 같은 마감재(60)를 설치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a)의 오목부(3) 또는 상기한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1b)의 환형 오목부(3a) 내에 금속 또는 수지 지지판(80)을 개재(介在)하고 있으며, 이로써 전열(傳熱) 향상 또는 난방 배관과의 마찰을 저감시킴으로써 원활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 재질은 전술한 몸체(2)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열 효과 향상을 위해서는 구리 또는 그 합금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 및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1a,1b)의 하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상기한 난방배관(40) 주변 영역에 모르타르(50)를 타설하여 양생한 습식 난방공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건식 난방공법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경우 상기한 난방배관(40)과 마감재(60) 사이에 방음쿠션재(미도시)를 개재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1c)를 이용한 다른 난방배관 시공 상태도로서,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단열 및 차음을 위한 단열판(20)을 설치한 다음,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a)를 다수개 배열하고, 벽체와 이어지는 바닥 가장자리부에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1c)를 다수 위치시켜,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1a) 각각의 양단부의 오목부(3)와 상기한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1c)의 입상(立狀) 환형 오목부(3b)의 양단부와 연통된 오목부(3)가 상호 연통되도록 배열한 다음, 상기한 제1 및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1a,1c)의 오목부 및 상기한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1c)의 입상 환형 오목부(3b) 내에 난방배관(40)의 하부를 위치시키고, 난방배관(40) 상부와 외측에 모르타르(50)를 시공하고 바닥 상면에는 마감재(60)를 설치한다.
여기서, 제1 및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1a,1c)의 오목부(3) 또는 상기한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1c)의 입상 환형 오목부(3b) 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금속 또는 수지 지지판(80)을 끼운 다음 난방배관(40)을 위치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영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 하는 일 없이도 본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1a: (제1 ) 난방용 잠열 구조체
1b: (제2 ) 난방용 잠열 구조체
1c: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
2: 몸체 2a: 영구 밀봉부
2b: 입설부(立設部) 2c: 수평부
3: (선형) 오목부
3a: 환형 오목부 3b: 입상 환형 오목부
4: 측벽 5: 상면 대상부(帶狀部)
5a: 상면 평활부 5b: 평활부
6: 전후방 벽체
10: 콘크리트 슬라브 20: 차음판
30: 경량 기포 콘크리트 40: 난방배관
50: 모르타르 60: 마감재
70: 고정구 80: 지지판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A)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단열 및 차음을 위한 단열판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B) 상부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며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와, 상기한 오목부 양측의 상면 대상부(帶狀部)와, 양 측벽 및 전후방 벽체와 바닥부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되며, 길이 1~5m, 폭 0.1~2m, 높이 3~40cm의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다수개 배열하고,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단부에, 상부에 환형으로 형성되며 U자형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와, 상기한 환형 오목부 주위의 상면 평활부와, 양 측벽 및 전후방 벽체와 바닥부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되는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위치시켜 배열하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 배열 단계;
    (C)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및 상기한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환형 오목부 내에 각각 선형 및 환형 난방배관의 하부를 위치시키는 난방배관 단계; 및
    (D) 난방배관 주변 영역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마감재를 설치하는 마감재 설치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또는 상기한 제2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환형 오목부 내에 금속 또는 수지 지지판을 끼운 다음, 난방배관을 위치시키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난방배관과 마감재 사이에 방음쿠션재를 위치시키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13.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A)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단열 및 차음을 위한 단열판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B) 상부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며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와, 상기한 오목부 양측의 상면 대상부(帶狀部)와, 양 측벽 및 전후방 벽체와 바닥부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되며, 길이 1~5m, 폭 0.1~2m, 높이 3~40cm의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다수개 배열하고,
    벽체와 이어지는 바닥 가장자리부에, 상부에 선형(線型)으로 형성되며 난방배관이 위치하는 짝수개의 오목부와, 상기한 오목부 주위의 상면 대상부(帶狀部)와, 상기한 짝수개의 오목부의 일단부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상(立狀) 환형 오목부와,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입상 환형 오목부의 주위의 수직 평활부와, 양 측벽 및 전후방 벽체와 바닥부로 구성되는 L자형 몸체와, 상기한 L자형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잠열재로 구성되는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다수 위치시켜,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 각각의 양단부의 2개의 오목부와 상기한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입상(立狀) 환형 오목부와 연결된 2개의 오목부가 연통되도록 배열하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 배열 단계;
    (C)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및 상기한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입상 환형 오목부와 오목부 내에 난방배관의 하부를 위치시키는 난방배관 단계; 및
    (D) 난방배관의 상부와 외측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바닥에 마감재를 설치하는 마감재 설치 단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또는 상기한 제3 난방용 잠열 구조체의 오목부 또는 입상 환형 오목부 내에 금속 또는 수지 지지판을 끼운 다음, 난방배관을 위치시키는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KR1020130142198A 2013-11-21 2013-11-21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Active KR10138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98A KR101385538B1 (ko) 2013-11-21 2013-11-21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98A KR101385538B1 (ko) 2013-11-21 2013-11-21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538B1 true KR101385538B1 (ko) 2014-04-15

Family

ID=5065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198A Active KR101385538B1 (ko) 2013-11-21 2013-11-21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5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350A (ko) 2014-12-02 2016-06-10 (주)뉴마이하우스 잠열구조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난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방법
KR101654486B1 (ko) 2015-12-14 2016-09-05 안승한 우수한 난방 효율 및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706164B1 (ko) 2016-08-26 2017-02-13 안승한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20170020014A (ko) 2015-08-13 2017-02-22 안승한 단열재 일체형 난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861082B1 (ko) * 2017-04-21 2018-05-2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돌난방용 상변화물질과 상기 상변화물질을 건축자재로 활용하기 위한 상변화물질(pcm) 입자 제조방법
KR20200111662A (ko) 2020-09-22 2020-09-29 안승한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2432187B1 (ko) 2021-06-22 2022-08-16 케이난방기술(주) 바닥 난방 구조체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17U (ko) * 1993-02-20 1994-09-24 진금수 난방 배관용 잠열패널
JP2009074743A (ja) * 2007-09-20 2009-04-0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ヒートポンプ式床暖房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られる蓄熱容器
KR20110094943A (ko) * 2010-02-18 2011-08-24 김익수 온수 온돌 패널 및 온수 온돌 패널의 모르타르 미장 높이를 구하는 방법
KR20130037266A (ko) * 2011-10-06 2013-04-16 인건수 황토구들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17U (ko) * 1993-02-20 1994-09-24 진금수 난방 배관용 잠열패널
JP2009074743A (ja) * 2007-09-20 2009-04-0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ヒートポンプ式床暖房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られる蓄熱容器
KR20110094943A (ko) * 2010-02-18 2011-08-24 김익수 온수 온돌 패널 및 온수 온돌 패널의 모르타르 미장 높이를 구하는 방법
KR20130037266A (ko) * 2011-10-06 2013-04-16 인건수 황토구들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350A (ko) 2014-12-02 2016-06-10 (주)뉴마이하우스 잠열구조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난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방법
KR20170020014A (ko) 2015-08-13 2017-02-22 안승한 단열재 일체형 난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654486B1 (ko) 2015-12-14 2016-09-05 안승한 우수한 난방 효율 및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706164B1 (ko) 2016-08-26 2017-02-13 안승한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861082B1 (ko) * 2017-04-21 2018-05-2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돌난방용 상변화물질과 상기 상변화물질을 건축자재로 활용하기 위한 상변화물질(pcm) 입자 제조방법
KR20200111662A (ko) 2020-09-22 2020-09-29 안승한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2432187B1 (ko) 2021-06-22 2022-08-16 케이난방기술(주) 바닥 난방 구조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538B1 (ko) 난방용 잠열 구조체를 이용한 난방 시공방법
Rodriguez-Ubinas et al. Applications of phase change material in highly energy-efficient houses
Zhou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performance of a collector–storage wall system using phase change materials
US20120267067A1 (en) Panels Having Multiple Channel Structures
Babaharra et al. Thermal behavior evaluation of a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incorporates a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JP5763819B1 (ja) 積層体
US20080041364A1 (en) Energy efficient building design
CA2720181A1 (en) Novel sustainable building model
Akeiber et al. Review of development survey of phase change material models in building applications
EP2098654B1 (en) Heating or cooling ceiling with corrugated steel sheet
WO2011033324A1 (en) Thermo-frame element, and heat-radiating, radiant heat absorbing, air-heating and air-recooling bordering surfaces formed with this thermo-frame element
Dubovsky et al. Effect of windows on temperature moderation by a phase-change material (PCM) in a structure in winter
KR101654126B1 (ko)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시공 방법
JP2010156170A5 (ko)
US20180299139A1 (en) Wall part, heat buffer and energy exchange system
Cabeza et al.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for cooling in residential buildings
KR200460142Y1 (ko) 잠열재를 포함하는 세라믹 바닥패널
CN203429804U (zh) 防潮隔热的外墙系统
KR20160066350A (ko) 잠열구조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난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방법
JP2009008288A (ja) 温水式床暖房装置
JP3166125U (ja) 潜熱蓄熱型暖冷房システム
KR20020079251A (ko) Pcm을 이용한 축열식 온돌용 패널
JPS6354530A (ja) 蓄熱式床暖房装置
CN106988415A (zh) 发热蓄热结构及设有发热蓄热结构的建筑构件
JP6938193B2 (ja) 建物の蓄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