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292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5292B1 KR101385292B1 KR1020140006816A KR20140006816A KR101385292B1 KR 101385292 B1 KR101385292 B1 KR 101385292B1 KR 1020140006816 A KR1020140006816 A KR 1020140006816A KR 20140006816 A KR20140006816 A KR 20140006816A KR 101385292 B1 KR101385292 B1 KR 1013852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hamber
- aroma
- side discharge
- bl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17 electrostatic precipit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522 Citrus pyr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6386 Mentha puleg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257 Mentha puleg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57 Mentha x piperi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76 Ocimum basil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926 Ocimum gratissi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8231 Rosmarinus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92 aromat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50 hortel pim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우 폭이 슬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고급성을 추구함은 물론, 좌우 공기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조 공기를 균형있게 설계함으로써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감성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width is formed to pursue a high-quality, as well as to balance the air condition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air discharge portion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emotional quality of the consumer product It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that can b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and heating the room by using a heater, a cooler, a purifier, etc., or purifying the air, thereby creating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의 온도나 청정도나 습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조유닛이 설치되며, 내부에 실내의 공기를 공기 흡입부로 흡입하여 공조유닛으로 유동시키고 공조유닛에 의해 공조된 공기를 공기 토출부로 토출시키는 송풍장치가 설치된다.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part through which the air is sucked in and an air discharge part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that is capable of changing the temperature, cleanliness, or humidity of the air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A blower is installed to suck the air into the air intake unit and to flow it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o discharge the air conditioned by the air conditioning unit to the air discharge unit.
송풍장치는 공조유닛에 의하여 공조된 공조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공기조화기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이고, 공기조화기의 요구 성능에 따라 다수의 임펠러를 구비한 송풍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The air blower i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air-conditioning air that is air-conditioned by the air conditioning unit inside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and is a very important configuration in the air conditioner, depending on the required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A blower having a plurality of impellers may be employed.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우 폭을 슬림하게 제작함에 있어서 선택된 송풍기의 사양에 따라 좌우 토출 공기의 양이 불균형한 문제점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left and right discharge air is unbalanc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selected blower in making the left and right widths slim.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실내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와의 사이에 복수개의 송풍실 및 복수개의 공기 토출부를 갖는 팬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송풍실은, 상기 팬하우징에 상부 토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된 상부 송풍실과, 상기 팬하우징에 좌측 사이드 토출부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된 중앙 송풍실과, 상기 팬하우징에 하부 토출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된 하부 송풍실을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n having an orifice for guiding suction of indoor air, and a fan disposed in front of the orific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chambers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ions between the orifices.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chambers, each of which comprises: an upper ventilation chamber in which an upper discharge part and at least one side discharge part are formed in the fan housing; a central ventilation chamber in which a left side discharge part and a right side discharge part are formed in the fan housing; The housing includes a lower ventilation chamber in which a lower discharge part, a left side discharge part, and a right side discharge part are formed.
여기서,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중앙 송풍실과 상기 하부 송풍실 각각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한 좌측 토출 공기량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한 우측 토출 공기량 중 적은 곳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blower chamber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ft discharge air through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and the right discharge air through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each of the central blower chamber and the lower blower chamber.
또한, 상기 중앙 송풍실과 상기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는 일측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중앙 송풍실과 상기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는 타측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일측과 타측 중 상기 중앙 송풍실의 사이드 토출부 중 먼 곳에 해당하는 부위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er chamber and the lower blower chamber extends to one side upper portion,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er chamber and the lower blower chamber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the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blower chamber,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may exten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ar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ventilation chamber.
또한, 상기 상부 송풍실,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에는 각각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부를 갖는 시로코팬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rocco fan having at least one scroll unit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blowing chamber,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또한,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단일 스크롤부의 어느 중간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may extend from any middle portion of the single scroll portion formed in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또한,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단일 스크롤부의 하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may exten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ingle scroll unit formed in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또한, 상하로 무빙되면서 상기 상부 토출부를 개폐하는 무빙 토출바디가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후로 무빙되면서 상기 하부 토출부를 개폐하는 아로마 케이스가 상기 팬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된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ving discharg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discharge portion while moving up and down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housing, the aroma cas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discharge portion while moving back and forth further comprises a main body disposed below the fan housing Can be.
또한, 상기 송풍실 각각에는 각 공기 토출부를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력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임펠러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임펠러 중 상기 상부 송풍실에 배치된 상부 임펠러의 회전축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하부 송풍실에 배치된 임펠러의 회전축에 대하여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며,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상기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상부 송풍실에 배치된 상기 상부 임펠러의 회전축의 편심된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mpellers are arranged in each of the blower chambers to generate the earth output of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respective air discharge parts, and among the plurality of impellers, a rotation shaft of the upper impellers disposed in the upper blower chamber may include the central blower chamber and Eccentric toward the one of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disposed in the lower ventilation chamber, the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the eccentric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upper impeller disposed in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It may be formed to open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또한, 상기 상부 송풍실,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에 형성된 각 사이드 토출부 중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상기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이 가장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cross-section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among the side discharge portions formed in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the central ventilation chamber, and the lower ventilation chamber may be the smallest.
또한, 상기 상부 송풍실의 사이드 토출부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과 같거나 크고, 상기 상부 송풍실의 사이드 토출부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과 같거나 클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m of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upper blowing chamber and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is discharged through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The sum of the amount of discharg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upper blower chamber and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er chamber and the lower blower chamber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discharged air amounts. It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seal.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요구 성능 사양을 충족하면서도 공기조화기의 좌우 폭을 줄여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고급성 및 실내 설치의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eeting the required performance spec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slimming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air conditione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design freedom of the indoor install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고급화 추세의 슬림화를 구현함과 아울러 공기조화기의 내부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의 공조 공기 토출이 가능하므로 공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becau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air conditioning air discharge in various directions from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while realizing the slimming of the advanced tren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측 및 우측으로 토출되는 공조 공기의 토출량을 균일하게 설계함으로써 소비자의 감성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the emotional quality of the consumer by design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air conditioning air discharged to the left and r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키트 및 아로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 중 팬하우징을 나타낸 배면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의 구성 중 상부 송풍실, 중앙 송풍실 및 하부 송풍실로부터 토출되는 공조 공기의 토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during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one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oma capsule service in one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when driv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oma capsule service in one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roma kit and aroca case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view showing the fan housing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C are rear views illustrating the discharge of air conditioning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blowing chamber,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키트 및 아로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 중 팬하우징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의 구성 중 상부 송풍실, 중앙 송풍실 및 하부 송풍실로부터 토출되는 공조 공기의 토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of the aroma capsule service i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roma kit and aroca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rear view showing the fan housing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a 11C are rear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discharging air-conditioning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blowing chamber,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0.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부(I)와 전면 공기토출부(O) 및 사이드 공기토출부(34A)(35A)가 형성된 본체(2)와, 본체(2)에 설치된 열교환기(4)와, 공기흡입부(I)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4)를 통과시킨 후 전면 공기토출부(O)로 토출하는 송풍기(6)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송풍기(6)와 전면 공기토출부(O) 사이에 위치되는 아로마 키트(8)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공기조화기는 공조 운전이나 아로마 운전 등의 각종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발광되는 발광기구(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아로마 운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10 for inputting various driving commands such as air conditioning driving and aroma driving.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본 명세서의 아로마 운전은 아로마 발생물질이 수용된 아로마 캡슐(C)에서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고, 배출된 아로마 성분이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와 함께 실내로 넓게 퍼지는 운전이다. 아로마 운전은 아로마 운전이 입력된 후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아로마 운전시간은 공기조화기가 아로마 운전 제어를 실시하도록 설정된 시간이다. 아로마 운전시간은 10분, 15분, 20분 등과 같이 소정의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아로마 운전은 아로마 운전이 입력된 시점부터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1회 실시된 후 완료될 수 있다. The aroma ope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aroma component is discharged from the aroma capsule (C) containing the aroma generating material, and the discharged aroma component is widely spread into the room together with the air blown from the
본 명세서의 공조 운전은 냉방 운전과 공기청정 운전과 제습 운전일 수 있고,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과 공기청정 운전과 제습 운전 중에 선택된 하나의 운전일 수 있다. 공조 운전은 아로마 키트(8)가 운전되지 않는 비 아로마 운전일 수 있다. The air conditioning ope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cooling operation, an air cleaning operation, a dehumidification operation, and may be one operation selected from among the cooling operation, the heating operation, the air cleaning operation, and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The air conditioning operation may be a non-aroma operation in which the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과, 공조 운전과, 공조 및 아로마 운전 등이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optionally perform aroma operation, air conditioning operation, air conditioning and aroma operation.
공기조화기의 운전은 공조 운전의 제1운전과, 아로마 운전의 제2운전과, 공조 및 아로마 운전의 제3운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운전과 제2운전과 제3운전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operation, a second operation of the aroma operation, and a third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and the aroma operation, and the first operation, the second operation, and the third operation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Can be implemented.
이하, 공조 운전을 냉방 운전인 예로 설명하면, 공기조화기는 제1운전시 아로마 캡슐(C)에서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지 않고,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공기가 전면 공기토출부(O)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제1운전은 공조 단독 운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2운전시 아로마 캡슐(C)에서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고, 공기가 열교환기(4)를 온도변화 없이 통과한 후 아로마 성분과 함께 전면 공기토출부(O)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제2운전은 아로마 단독 운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3운전시 아로마 캡슐(C)에서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고,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공기가 아로마 캡슐(C)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과 함께 전면 공기토출부(O)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제3운전은 공조 및 아로마 동시 운전일 수 있다.Hereinafter, when the air conditioning oper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cooling operation, the air conditioner does not discharge the aroma component from the aroma capsule (C) during the first operation, and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4) is the front air discharge unit (O).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air conditioning alone operation. The air conditioner may discharge the aroma component from the aroma capsule (C) during the second operation, and after the air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4) without temperature chang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air discharge unit (O) together with the aroma component. . The second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aroma only operation. In the air conditioner, the aroma component is discharged from the aroma capsule (C) during the third operation, and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4) is discharged to the front air discharge unit (O) together with the aroma component discharged from the aroma capsule (C). Can be. The third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air conditioning and aroma simultaneous operation.
공기조화기는 정지 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공조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 운전의 도중에 입력부(10)로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공조 및 아로마 운전으로 변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 운전의 도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공조 운전 종료될 수 있고,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아로마 운전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be air-conditioned by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0 during stop. The air conditioner may be changed to air conditioning and aroma operation when the aroma operation is input to the input unit 10 during the air conditioning operation. The air conditioner may be terminated by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0 during the air conditioning operation, and may be aroma driven by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0.
공기조화기는 정지 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아로마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의 도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공조 및 아로마 운전으로 변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의 도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아로마 운전이 종료될 수 있고,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공조 운전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be aroma driven by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0 during stop. The air conditioner may be changed to air conditioning and aroma operation by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0 during the aroma operation. The air conditioner may terminate the aroma operation by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0 during the aroma operation, and may be air-conditioned by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0.
본체(2)는 공기흡입부(I)가 형성된 흡입 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흡입바디(20)가 설치되는 베이스(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흡입바디(20)는 베이스(22)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22)에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의 각종 전장부품은 송풍기(6)와 아로마 키트(8)와, 발광기구(12)와, 스피커(14), 디스플레이(16) 등일 수 있다. The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흡입바디(20)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흡입바디(20)와 열교환기(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공기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26)은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26)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방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26)은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온발생기와 전기집진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본체(2)는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고 아로마 키트(8)가 수용되는 아로마 케이스(28)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변화된 공기가 공기조화기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바디일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송풍기(6)를 마주보는 면에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되고 전면에 전면 공기토출부(O)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배면과 하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공기유입구(27)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공간(S)에 무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전면 공기토출부(O)가 보이게 설치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송풍기(6)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송풍기(6)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6)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아로마 케이스(28)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로마 케이스(28)는 복수개의 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로마 케이스(28)는 로어 아로마 케이스(29)와, 로어 아로마 케이스(29)의 상부에 설치된 어퍼 아로마 케이스(3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퍼 아로마 케이스(30)는 상면 일부에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로어 아로마 케이스(29)의 선단과 어퍼 아로마 케이스(30)의 선단 사이에 전면 공기토출부(O)가 형성될 수 있다. The
본체(2)는 송풍기(6)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1)는 송풍기(6)를 보호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아우터 커버가 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1)는 아로마 케이스(28)의 선단 보다 큰 개구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그 선단이 개구부(32)에 위치될 수 있고, 아로마 성분이 포함된 공기나 아로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공기는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에서 전면 공기토출부(O)를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직접 토출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그 선단이 개구부(32)에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아로마 성분이 포함된 공기나 아로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공기는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에서 전면 공기토출부(O)를 토출된 후 개구부(32)를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프론트 커버(31)가 공기조화기의 전면 전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31)가 송풍기(6)의 전방에 배치되어 송풍기(6)를 가리고, 프론트 커버(31)와 별도인 로어 커버(33)가 프론트 커버(31)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로어 커버(33)는 베이스(22)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로어 커버(33)는 전면 판넬(33A)과, 전면 판넬(32A)과 마주보는 후면 판넬(33B)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33)는 전면 판넬(33A)과 후면 판넬(33B) 사이에 위치되는 필름(3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33)는 전면 판넬(33A)과 후면 판넬(33B)이 필름(33C)을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전면 판넬(33A)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후면 판넬(33B)은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름(33C)에는 장식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필름(33C)의 장식 패턴은 필름(33C)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필름(33C)의 장식 패턴은 전면 판넬(33A)을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the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케이스(28)에 형성된 전면 공기토출부(O)만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로마 케이스(28)의 전면 공기토출부(O) 뿐만 아니라 별도의 토출 패널(34)(35)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2)는 아로마 케이스(28)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토출패널(34)(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is capable of discharging air only by the front air discharge portion O formed in the
토출 패널(34)(35)은 송풍기(6)의 옆에 위치되게 설치된 사이드 토출 패널일 수 있다. 토출 패널(34)(35)에는 사이드 공기토출부(34A)(35A)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34)(35)은 좌측 공기토출부(34A)가 형성된 좌측 토출패널(34)과, 우측 공기토출부(35A)가 형성된 우측 토출패널(35)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토출패널(34)은 송풍기(6)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송풍기(6)에서 좌측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할 수 있다. 좌측 토출패널(34)에는 좌측 공기토출부(34A)를 통과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베인(34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좌측 베인(34B)은 좌측 공기토출부(34A)를 개폐할 수 있다. 우측 토출패널(35)은 송풍기(6)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송풍기(6)에서 우측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할 수 있다. 우측 토출패널(35)에는 우측 공기토출부(35A)를 통과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베인(35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우측 베인(35B)은 우측 공기토출부(35A)를 개폐할 수 있다. The
공기조화기는 좌측 베인(34B)을 회전시키는 좌측 구동기구와, 우측 베인(35B)을 회전시키는 우측 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구동기구와 우측 구동기구는 모터 등의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구동기구와 우측 구동기구는 아로마 운전시 밀폐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공조 운전시 개방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공조 및 아로마 운전시 개방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left drive mechanism for rotating the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케이스(28)에 형성된 전면 공기토출부(O)만으로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로마 케이스(28)의 전면 공기토출부(O) 뿐만 아니라 무빙 가능하게 배치된 무빙 토출바디(36)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무빙 토출바디(36)는 본체(2)의 상부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토출바디(36)는 송풍기(6)의 상측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토출바디(36)는 송풍기(6)에서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무빙 토출바디(36)는 전면에 무빙 토출구(36A)가 형성될 수 있다. 무빙 토출바디(36)는 상승시 무빙 토출구(36A)가 상승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며, 하강시 무빙 토출구(36A)가 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어 은닉될 수 있다. 본체(2)는 무빙 토출바디(36)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37)는 흡입바디(20)와 프론트 커버(3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discharge only the front air discharge portion O formed in the
공기조화기는 무빙 토출바디(36)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의 구동시 무빙 토출바디(36)를 승강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는 구동원에 설치된 피니언과, 피니언에 치합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는 아로마 운전시 하강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공조 운전시 상승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공조 및 아로마 운전시 상승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moving
열교환기(4)는 공기흡입부(I)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공기흡입부(I)와 송풍기(6)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본체(2)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The
송풍기(6)는 복수개의 임펠러(61)(62)(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8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조유닛(4)의 전방에 배치된 오리피스(68)와, 오리피스 전방에 배치되고 오리피스(68)와의 사이에 복수개의 송풍실(310)(220)(230)을 상하로 형성하는 팬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8 and 10,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owers between an
송풍기(6)는 복수개의 송풍실(310)(220)(2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6)는 복수개의 임펠러(61)(62)(63)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구성되고, 하나의 팬모터에 하나의 임펠러가 설치된 셋트가 복수개의 송풍실(310)(220)(230)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복수 셋트 설치될 수 있다.The
송풍기(6)는 복수개의 팬모터(64)(65)(66)와 복수개의 임펠러(61)(62)(63)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토출하고 복수개의 송풍실(310)(220)(230) 중 하부 송풍실(330)에 배치되는 제1임펠러(61)와,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토출하고 복수개의 송풍실(310)(220)(230) 중 중앙 송풍실(320)에 배치되는 제2임펠러(62)와,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토출하고 복수개의 송풍실(310)(320)(230) 중 상부 송풍실(310)에 배치되는 제3임펠러(6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송풍기(6)는 제1임펠러(63)를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66)와, 제2임펠러(62)를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65)와, 제3임펠러(61)를 회전시키는 제3팬모터(6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송풍기(6)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는, 복수개 임펠러(61)(62)(63)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하우징(300)과, 팬하우징(300)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68)를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팬하우징(300)은 후방에 배치된 오피피스(68)와의 사이에 상부 송풍실(330), 중앙 송풍실(320) 및 하부 송풍실(310)을 형성하되, 하나의 팬하우징(300)에 복수개의 송풍실(310)(220)(230)을 전부 구비할 수 있도록 임펠러(61)(62)(63) 보다 개수가 더 적은 단일 개수로 채용될 수 있다.The
상부 송풍실(230)은 기본적으로 본체(2)의 상측에 배치된 무빙 토출바디(36)를 통하여 공조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실이고, 중앙 송풍실(220) 및 하부 송풍실(310)은 기본적으로 본체(2)의 좌우 측면으로 공조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실일 수 있다.The upper blower chamber 230 is basically a blower chamber for discharging air conditioning air through the moving
그러나, 반드시 각 송풍실(310)(220)(230)마다 정하여진 공조 공기의 토출 방향을 갖는 것은 아니고, 전면 공기토출부(O) 전체의 균형 및 각 송풍실(310)(220)(230)의 위치 관계 등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수 있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conditioning air determined for each blowing
상부 송풍실(230)을 구성하는 팬하우징(300)은, 단일 스크롤부(315)에서 상부 토출부(311A)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송풍실(230)에 배치된 제1임펠러(63)는 시로코팬으로 채용된 송풍기(6)의 구성인 바,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스크롤부와 공기 유동의 시작점인 컷 오프부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는, 상부 송풍실(230)의 경우 스크롤부는 단일 스크롤부(315)로 구성되며, 단일 스크롤부(315)의 시작점인 상부 컷 오프부(312A)가 형성될 수 있다.The
단일 스크롤부(315)는 상부 송풍실(230) 전체 크기의 공기 유동면을 형성하도록 후술하는 중앙 송풍실(220) 및 하부 송풍실(310)의 각 스크롤부에 비하여 길이가 긴 아르키메데스 나선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송풍실(230)의 단일 스크롤부(315)는 공기 유동 설계상 오로지 무빙 토출바디(36)와 연통되는 상부 토출부(311A)로의 전량 공조 공기 토출을 위한 것이다.The
중앙 송풍실(220)을 구성하는 팬하우징(300)은, 2개의 스크롤부(325A)(325B)에서 중앙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 및 중앙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가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스크롤부(325A)(325B) 중 하나는 중앙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로 연장되는 중앙 좌측 스크롤부(325A)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중앙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로 연장되는 중앙 우측 스크롤부(325B)일 수 있다. 중앙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로 연장되는 중앙 좌측 스크롤부(325A)는 중앙 좌측 컷 오프부(323A)를 유동 시작점으로 하고, 중앙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로 연장되는 중앙 우측 스크롤부(325B)는 중앙 우측 컷 오프부(323B)를 유동 시작점으로 할 수 있다.The
여기서, 중앙 좌측 컷 오프부(323A) 및 중앙 우측 컷 오프부(323B)는, 중앙 송풍실(220)의 내부에서 좌측 및 우측에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중앙 송풍실(220)에 구비된 제2임펠러(62A)는 오로지 공기조화기의 사이드 토출부(34A)(35A)로의 공조 공기 토출을 담당하기 때문이다.Here, the center left cut off
하부 송풍실(230)을 구성하는 팬하우징(300)은, 3개의 스크롤부(335A)(335B)(335C)에서 하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331A) 및 하부 우측 사이드 토출부(331B) 및 하부 토출부(331C)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스크롤부(335A)(335B)(335C) 중 2개는 상술한 중앙 송풍실(220)에 구비된 경우와 유사하게 하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331A) 및 하부 우측 사이드 토출부(331B)로 연장되는 하부 좌측 스크롤부(335A) 및 하부 우측 스크롤부(335B)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상술한 상부 송풍실(310)에 구비된 경우와 유사하게 하부 토출부(331C)로 연장되는 하부 스크롤부(335C)일 수 있다. 하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331A)로 연장되는 하부 좌측 스크롤부(335A)는 하부 좌측 컷 오프부(333A)를 유동 시작점으로 하고, 하부 우측 사이드 토출부(331B)로 연장되는 하부 우측 스크롤부(335B)는 하부 우측 컷 오프부(333B)를 유동 시작점으로 할 수 있으며, 하부 토출부(232C)로 연장되는 하부 스크롤부(335C)는 하부 컷 오프부(333C)를 유동 시작점으로 할 수 있다.The
송풍기(6)가 원심팬 중 터보팬 타입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각 송풍실 내부에 아르키메데스 나선 형상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술한 스크롤부 및 컷 오프부의 형상이 불필요하고, 복수개의 송풍실에 복수개의 송풍기를 구비할 경우 각 송풍기의 임펠러의 회전축이 각 송풍실의 정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전후 두께가 상승하는 단점을 가진다.When the
반면, 송풍기(6)가 원심팬 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시로코팬 타입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각 송풍실 내부에는 각 송풍기의 임펠러에 의한 송풍력이 발생하도록 상술한 스크롤부 및 컷 오프부가 각각 마련되어야 함은 물론, 각 토출부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의 스크롤부 및 컷 오프부를 설계하여야 하는 설계의 복잡성 및 스크롤부 및 컷 오프부의 필수 형상으로 인한 공기조화기의 좌우 폭이 늘어나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슬림화 설계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전후 두께를 얇도록 설계하는 면에서는 장점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송풍기(6)가 시로코팬 타입으로 구비될 경우, 상부 송풍실(310)과 같이 오로지 하나의 상부 토출부(311A)로의 공기 토출을 위하여서는 하나의 단일 스크롤부(315)만으로 충분히 유동 설계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다만, 하나의 단일 스크롤부(315)만 형성될 경우, 공기조화기의 좌우 폭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즉, 공기조화기의 슬림화 설계를 위하여) 제1임펠러(63A)의 회전축(63C)은 아르키메데스 나선 형상의 특성상 상부 토출부(311A)를 통한 공기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양측(즉, 팬하우징(300)의 좌측 및 팬하우징(300)의 우측) 중 어느 한 쪽으로 편심되게 구비될 수 밖에 없다.When the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 및 도 11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팬하우징(300)의 좌측 아우터 라인(OL) 및 우측 아우터 라인(OR) 사이의 길이(즉, 팬하우징(300)의 좌우 폭)은 공기조화기 제작 전단계에서 이미 슬림화를 위한 최적의 설계를 통하여 설정된다고 가정할 때, 상부 송풍실(310)의 제1임펠러(63A)의 회전축(63C)는 정 중앙(C1)에서 일측(C2)으로 편심되게 위치되어야 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0 and 11A, the length between the left outer line OL and the right outer line OR of the fan housing 300 (i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an housing 300). Assuming that the air conditioner is set through the optimum design for slimming in the preliminary stage of manufacturing the air conditioner, the
반면, 도 10 및 도 11b와 도 10 및 도 11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어도 2이상의 스크롤부(중앙 송풍실의 경우 중앙 좌측 스크롤부(325A) 및 중앙 우측 스크롤부(325B), 하부 송풍실의 경우 하부 좌측 스크롤부(335A), 하부 우측 스크롤부(335B) 및 하부 스크롤부(335C))가 구비되고, 각 스크롤부에 대응하는 컷 오프부가 각각 매칭되도록 구비될 경우, 중앙 송풍실(220)의 제2임펠러(62A)의 회전축(62C) 및 하부 송풍실(230)의 제3임펠러(63A)의 회전축(63C)은 각 송풍실의 정 중앙(C1)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0 and 11B and 10 and 11C, at least two or more scroll units (the center left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도 10 내지 도 11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송풍실을 3개 구비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각 송풍실이 2개로 구비되는 경우라도 상부 토출부가 형성된 경우에 송풍기(6)가 시로코팬으로 채용될 경우 공기조화기의 좌우 폭의 길이를 최소화시키는 슬림화 설계시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송풍실(310)의 임펠러(63A)과 그 바로 하부에 위치된 송풍실(220)의 임펠러(62A)의 회전축이 각각 팬하우징(300)의 좌측 아우터 라인(OL) 및 우측 아우터 라인(OR)을 기준으로 상호 불일치하는 곳에 배치 설계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0 to 11C, but having been described as having three ventilation chambers as an example,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even if each ventilation chamber is provided with two upper discharge portion In the case where the
한편, 상부 송풍실(310)은, 상부 토출부(311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조 공기의 토출력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 한도에서 단일 스크롤부(315)의 어느 중간 부분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일측으로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상부 송풍실(310)의 하부에 배치된 중앙 송풍실(220) 및 하부 송풍실(230) 각각에 형성된 중앙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와 중앙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 하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331A)와 하부 우측 사이드 토출부(331B)의 상하 거리 차이에 따라 공기조화기 전체에 걸쳐 좌측 및 우측 토출부를 통한 불균형한 공기 토출을 해소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upper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공기 토출부는 아니고, 상술한 토출 패널(34)(35)로 토출되는 토출 공기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보조 토출부인 점에서 상부 토출부(311A)를 통한 공조 공기의 토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스크롤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단일 스크롤부(315)의 형상의 큰 변동이 없는 한도에서 단일 스크롤부(315)를 따라 유동되는 유동 공기의 일부가 부딪히도록 하는 돌출 컷 오프부(312B)를 유동 시작점으로 할 수 있다.The upper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송풍실(310)에 형성된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상부 컷 오프부(313A)를 기점으로 시작되는 단일 스크롤부(315)의 어느 중간 부분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토출패널(34) 및 우측 토출패널(35)의 좌측 공기토출부(34A) 및 우측 공기토출부(35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조 공기의 토출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보조 토출구이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송풍기(6)를 원심팬 중 시로코팬으로 채용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각 임펠러(61A)(62A)(63A)에 의한 공기 유동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부 및 그 시작점인 컷 오프부가 형성되어야 하고, 특히 이와 같은 스크롤부 및 컷 오프부의 필수적인 형상은 복수개의 송풍실(310)(320)(330)을 상하로 배치할 경우 각 송풍실(310)(320)(330)에 형성된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331A)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의 높낮이가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When the
이때, 좌측 토출패널(34) 및 우측 토출패널(35)에 형성된 좌측 사이드 공기토출부(34A) 및 우측 사이드 공기토출부(35A)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리량은 전체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송풍실(310)(320)(330)에 형성된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331A)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의 상이한 높낮이에 의하여 소비자가 느끼는 감성 풍량이 달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axioms discharged through the left side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시로코팬으로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에서, 상이한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331A)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의 높낮이에 따른 상이한 감성 풍량을 해소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upper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상부 송풍실(310)의 좌측 및 우측 중 중앙 송풍실(320)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 중 거리가 먼 곳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즉, 중앙 송풍실(320)에 형성된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 중 어느 하나는 도 1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보다 상부 송풍실(310)에 대하여 가깝거나 먼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송풍실(310)에 가깝게 형성된 중앙 송풍실(320)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2개의 사이드 토출부 중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로 가정하여 설명한다)는 상부 송풍실(310)에 멀리 형성된 중앙 송풍실(320)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와 비교하여 보다 상부쪽을 더 점하면서 공조 공기가 토출됨으로써 좌우 토출패널(34)(35)간 높낮이에 따라 토출 공기의 불균형이 형성되게 된다.That is, any one of the left
다시 말하면, 상술한 스크롤부 및 컷 오프부가 필수 구성인 시로코팬의 임펠러는 회전 구동시 토출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 송풍실(320)과 하부 송풍실(330)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331A)는 각 송풍실(320)(330)의 일측 상부로 연장되고, 중앙 송풍실(320)과 하부 송풍실(330)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는 각 송풍실(320)(330)의 타측 하부로 연장된다. 이때, 상부 송풍실(310)에 형성된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일측과 타측 중 중앙 송풍실(320)의 사이드 토출부 중 먼 곳(즉,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에 해당하는 부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mpeller of the sirocco fan having the above-described scroll portion and cut-off portion is a left
여기서,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송풍실(320)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 중 거리가 먼 곳에 형성됨으로써, 토출 공기의 불균형을 해소시킬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또한,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중앙 송풍실(320) 및 하부 송풍실(330) 각각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331A)를 통한 좌측 공기 토출량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를 통한 우측 공기 토출량이 여하한 이유로 불균형한 경우 토출 공기량이 적은 곳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특히, 상부 사이드 토출부는, 토출 공기량 측면에서, 상부 사이드 토출부와, 중앙 송풍실 및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이 중앙 송풍실 및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상부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 + 중앙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 + 하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 ≥ 중앙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 + 하부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되거나, 상부 송풍실의 사이드 토출부와, 중앙 송풍실 및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이 중앙 송풍실 및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상부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 + 중앙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 + 하부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 ≥ 중앙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 + 하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토출 공기량)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upper side discharge portion, in terms of the discharge air amount, the sum of the discharge air amount discharged through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upper side discharge portion and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is equal to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It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discharg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air amount of the upper side discharge part + the discharge air amount of the upper left side discharge part + the discharge air amount of the lower left side discharge part ≥ the discharge air amount of the center right side discharge part + the lower right side discharge part) Amount of discharge air) or the sum of the amount of discharg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upper blowing chamber and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is discharged through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Form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air volume The discharge air amount + the discharge air amount of the center right side discharge part + the discharge air amount of the lower right side discharge part ≥ the discharge air amount of the center left side discharge part + the discharge air amount of the lower left side discharge part).
공기조화기의 좌측 토출패널(34)의 좌측 공기토출부(34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과 우측 토출패널(35)의 우측 공기토출부(35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은, 시로코팬으로 채용되되, 동일한 성능을 가진 동일 사양으로 송풍기(6)가 채용된 경우, 실제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은 팬하우징(300)의 각 송풍실(310)(320)(330)에 형성된 각 사이드 토출부(311B)(321A)(321B)(331A)(331B)의 개구 단면의 크기에 좌우될 수 있다.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left
따라서, 송풍기(6)가 동일 성능 사양의 시로코팬으로 채용된 것을 전제로,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중앙 송풍실 및 하부 송풍실에 형성된 각 사이드 토출부와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개구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중앙 송풍실(320) 및 하부 송풍실(330)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331A)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의 개구 단면의 총합이 서로 상이한 이유로 토출 공기량이 차이가 발생될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Accordingly, assuming that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상부 송풍실(31)의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와, 중앙 송풍실(320) 및 하부 송풍실(330)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331A)의 개구 단면의 합은 중앙 송풍실(320) 및 하부 송풍실(330)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의 개구 단면의 합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상부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 + 중앙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 + 하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 ≥ 중앙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 + 하부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되거나, 상부 송풍실(310)의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와, 중앙 송풍실(320) 및 하부 송풍실(330)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의 개구 단면의 합은 중앙 송풍실(320) 및 하부 송풍실(330)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의 개구 단면의 합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상부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 + 중앙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 + 하부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 ≥ 중앙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 + 하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복수개의 송풍실(310)(320)(330) 각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공기 토출부를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력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임펠러(61A)(62A)(63A)가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여기서, 복수개의 임펠러(310)(320)(330) 중 상부 송풍실(310)에 배치된 상부 임펠러(제1임펠러)(61A)의 회전축(61C)은 중앙 송풍실(320) 및 하부 송풍실(330)에 배치된 임펠러(62A)(63A)의 회전축(62C)(63C)에 대하여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될 수 있음은 이미 상술하였다.Here, the
상부 송풍실(310)에 형성된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상술한 임펠러(61A)(62A)(63A)들의 회전축(61C)(62C)(63C)과의 관계에서, 상부 송풍실(310)에 배치된 상부 임펠러(61A)의 회전축(61C)의 편심된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일 스크롤부(315)와 단일의 상부 컷 오프부(313A)에 의하여 형성된 상부 토출부(311A)에 대한 토출력을 크게 해하지 않으면서 좌측 및 우측의 공기 토출량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설계이기 때문이다. The upp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에서,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는 공기조화기의 좌측 및 우측으로 토출되는 공기 토출량 또는 높낮이에 따른 불균일한 토출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비자의 감성품질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설계 지표를 제공하는 일 구성에 해당된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오리피스(68)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임펠러(61A)(62A)(63A) 보다 개수가 더 적을 수 있고, 오리피스(68)에는 상부 송풍실(310)에 배치된 제1임펠러(61)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68A)와, 중앙 송풍실(220)에 배치된 제2임펠러(62)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68B)와, 하부 송풍실(230)에 배치된 제3임펠러(63)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68C)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The
송풍기(6)는 제1팬모터(64)와 제1임펠러(61)가 아로마 케이스(28) 및 사이드 토출패널(34)(35)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제2팬모터(65)와 제2임펠러(62)가 사이드 토출패널(34)(35)를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제3팬모터(65)와 제3임펠러(63)가 사이드 토출패널(34)(35) 및 무빙 토출바디(36)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3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The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회전되는 임펠러의 대수가 냉방 운전시 회전되는 임펠러 대수 보다 적을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have fewer impellers rotated during the aroma operation than impellers rotated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회전되는 임펠러 대수가 냉방 및 아로마 운전시 회전되는 임펠러 대수 보다 적을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have fewer impellers rotated during aroma operation than impellers rotated during cooling and aroma operation.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시 아로마 케이스(28)와 토출 패널(34)(35) 및 무빙 토출바디(36)를 통해 공기를 분산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ir conditioner may disperse and discharge air through the
송풍기(6)는 냉방 운전시, 제1,2,3 팬모터(64)(65)(66)가 모두 구동될 수 있고, 제1,2,3 임펠러(61)(62)(63)는 모두 회전될 수 있다. 송풍기(6)는 공조 및 아로마 운전시 제1,2,3 팬모터(64)(65)(66)가 모두 구동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제1,2,3 임펠러(61)(62)(63)는 모두 회전될 수 있다.In the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아로마 케이스(28)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고, 토출 패널(34)(35) 및 무빙 토출바디(36)로는 공기를 토출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기(6)는 아로마 운전시 제1팬모터(64)만 구동되고 제2팬모터(65)와 제3팬모터(66)가 정지일 수 있다. 송풍기(6)는 제1임펠러(61)만 회전되고, 제2임펠러(62) 및 제3임펠러(63)가 정지일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discharge air through the
아로마 키트(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공기토출부(O)를 막는 제 1 위치(P1)로 무빙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공기토출부(O)를 개방하는 제 2 위치(P2)로 무빙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위치(P1)는 공기토출부 차폐위치일 수 있고, 제 2 위치는 공기토출부 개방위치일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전면 공기토출부(O)를 개폐하는 공기토출부 도어로 기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전면 공기토출부(O)를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토출부 도어 없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발생물질이 수용된 아로마 캡슐(C)이 착탈되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와; 아로마 캡슐(C)의 장착시 아로마 캡슐(C)과 접촉되는 단자(85)(86)을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단자(85)(8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발생기(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아로마 캡슐(C)은 내부에 아로마 발생물질인 기능성 물질이 담겨질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외부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기능성 물질이 미립화되어 외부로 분무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아로마 발생물질인 기능성 물질을 하전시켜 전위차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기능성 물질을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정전분무캡슐일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액체 상태로 아로마 캡슐(C)에 담겨질 수 있고, 고전압인가에 의해 생긴 전기력에 의해 액적이 미립화되어 분무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로즈마리 아로마오일, 페퍼민트 아로마오일, 레몬 아로마오일, 바질 아로마오일 등의 각종 아로마 오일일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에서 배출된 아로마는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roma capsule (C) may be contained a functional material that is an aroma generating material therein.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aroma capsule (C), the functional material may be atomized and sprayed to the outside. Aroma capsule (C) may be an electrostatic spray capsule that sprays the functional material in the form of a mist by charging the functional material that is an aroma generating material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The functional material may be contained in the aroma capsule (C) in the liquid state, and the droplets may be atomized and sprayed by the electric force generated by high voltage application. The functional material may be various aromatic oils such as rosemary aroma oil, peppermint aroma oil, lemon aroma oil, basil aroma oil, and the aroma released from the aroma capsule (C) may relieve stress of the user and improve concentration. have.
아로마 캡슐(C)은 기능성 물질이 담겨지는 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200)에는 미스트 형태의 아로마 성분이 통과하는 배출공(202)이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용기(200)에 배치되고 용기(200) 내 기능성 물질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단자(미도시)와; 용기(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기능성 물질이 모세관 현상으로 상승되는 다공성 전극(미도시)과, 용기(200)에 배치되고 고전압 인가시 다공성 전극과 전위차를 발생하는 접지 전극(미도시)를 포함한다.Aroma capsule (C) may include a
용기(20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기능성 물질이 담겨지는 공간이 형성된 바디(204)와, 바디(204)의 상면을 덮고 배출공(202)이 형성된 덮개(20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아로마 캡슐(C)은 미사용시 배출공(202)을 막는 마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배출공(202)이 마개(310)에 막힌 상태에서 운반되거나 보관될 수 있고, 마개(310)가 용기(2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용기(200)가 아로마 키트(8)에 장착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아로마 키트(8) 중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장착될 수 있다. Aroma capsule (C) may include a
아로마 캡슐 홀더(82)는 아로마 캡슐(C)을 보호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을 이동시킬 수 있다. 아로마 캡슐 홀더(82)에는 아로마 캡슐(C)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이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홀더(82)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로어 아로마 캡슐 홀더(82A)와, 로어 아로마 캡슐 홀더(82A)의 상부에 설치된 어퍼 아로마 케이스(82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퍼 아로마 케이스(82B)에는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단자(85)(86)은 아로마 캡슐(C)의 고전압 인가단자와 접촉되는 고전압 연결단자(85)와, 아로마 캡슐(C)의 접지전극과 접촉되는 접지 연결단자(86)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이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 삽입되었을 때, 아로마 캡슐(C)의 고전압 인가단자는 고전압 연결단자(85)와 접촉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의 접지전극은 접지 연결단자(86)와 접촉될 수 있다. 단자(85)(86)는 일부가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단자(85)(86)는 어퍼 아로마 케이스(82B)에 설치될 수 있다. 단자(85)(86)는 고전압 발생기(88)와 리드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고전압 발생기(88)는 제어부(24)에서 온 신호가 출력되면, 고전압을 발생하여 고전압 연결단자(85)로 인가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은 고전압 인가에 따라 미스트 형태의 아로마 성분을 생성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88)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88)는 로어 아로마 캡슐 홀더(82A)와 어퍼 아로마 케이스(82B)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When the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홀더(82)에 설치된 아로마 데코(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데코(89)는 아로마 키트 홀더(8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고, 외부에서 공간(S)을 볼 때 공간(S)을 통해 보일 수 있게 다. 아로마 데코(89)는 후술하는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밝게 보일 수 있고, 아로마 키트(8)의 장식미를 높일 수 있다. 아로마 데코(89)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아로마 키트 홀더(82)와 함께 전진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The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운전 개시되어 아로마 캡슐(C)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발광기구(12)와 스피커(14) 중 적어도 하나 보다 설정시간 늦게 운전 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시간은 아로마 키트(8)의 운전 개시를 대기시키는 아로마 키트 운전 대기시간일 수 있다. 설정시간은 아로마 운전시간 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설정시간은 아로마 키트(8)가 공기토출부 개방위치(P2)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같거나 조금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설정시간은 일예로 20초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The
아로마 키트(8)는 온,오프 운전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온 운전시 아로마 캡슐(C)은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미스트 형태의 아로마 성분은 아로카 캡슐(82)에서 배출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오프 운전시, 아로마 캡슐(C)로 인가되는 고전압을 차단할 수 있고, 미스트 형태의 아로마 성분 생성은 중단될 수 있다. The
아로마 키트(8)는 설정주기로 온,오프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의 온 시간은 아로마 키트(8)의 오프 시간 보다 짧을 수 있다. 일예로, 아로마 키트(8)의 온 시간이 20초 설정될 경우, 아로마 키트(8)의 오프 시간은 1분 설정될 수 있으며, 아로마 키트(8)는 1분의 설정주기로 온,오프될 수 있다. The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설정 횟수 온,오프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횟수는 10회 등과 같이 특정 횟수가 설정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운전시간에 도달되기 이전에 오프된 후 아로마 운전시간에 도달될 때까지 오프 유지될 수 있다. 일예로 아로마 운전시간이 15분으로 설정된 경우, 아로마 키트(8)는 설정주기로 복수회 온,오프 반복하다가 아로마 운전시간인 15분에 도달되기 전인 1∼3 분 전에 오프되고, 그 상태로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공기조화기는 본체(2)에 설치되어 아로마 키트(8)를 제 1 위치(P1)로 무빙시키거나 아로마 키트(8)를 제 2 위치(P2)로 무빙시키는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를 포함한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케이스(28)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roma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키트(8)에 직접 연결되어 아로마 키트(8)를 제 1 위치(P1) 및 제 2 위치(P2)로 직접 직선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 aroma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키트(8)가 안착되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무빙시키는 것에 의해 아로마 키트(8)를 제 1 위치(P1) 또는 제 2 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케이스(28)에 설치된 구동원(94)과, 구동원(94)에 연결되어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직선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9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roma
구동원(94)은 아로마 케이스(28)에 설치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ing
동력전달부재(96)는 구동원(94)에 회전축(96A)이 연결되고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종동축(96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는 종동축(96B)이 슬라이딩 안내됨과 아울러 종동축(96B)의 이동시 종동축(96B)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93)이 형성될 수 있다. 종동축(96B)은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레일(93)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93) 내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93)은 종동축(96B)의 위치 이동시 종동축(96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93)은 구동원(94)의 개수와 동일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The
공기조화기는 한 쌍의 구동원(94) 및 한 쌍의 동력전달부재(96)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93)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pair of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한 쌍의 구동원(94) 중 어느 하나의 구동원에 어느 하나의 동력전달부재가 연결된 제1구동기구(90A)와, 한 쌍의 구동원(94) 중 다른 하나의 구동원에 다른 하나의 동력전달부재가 연결된 제2구동기구(9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기구(90A)와 제2구동기구(90)는 아로마 케이스(28)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aroma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중 다른 하나에는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One of the pair of guide rails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a driven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게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제1구동기구(90A)의 구동원(94)과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원(94)은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과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 및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제1구동기구(90A)의 구동원(94) 및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원(94)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 및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는 그 각각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구동기구(90A)와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시,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 중 어느 하나는 제1구동기구(90A)의 종동축(96B)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 중 다른 하나는 제2구동기구(90B)의 종동축(96B)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아로마 캐리어(92)는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The
제1구동기구(90A)의 구동원(94)과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원(94)은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과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 및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의 각각이 전방 방향을 향하게 제1구동기구(90A)의 구동원(94) 및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원(94)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 및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는 그 각각이 전면 공기토출부(O)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구동기구(90A)와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시,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 중 어느 하나는 제1구동기구(90A)의 종동축(96B)에 의해 전방으로 밀릴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 중 다른 하나는 제2구동기구(90B)의 종동축(96B)에 의해 전방으로 밀릴 수 있으며, 아로마 캐리어(92)는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다.The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아로마 키트 캐리어(92) 보다 더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캡슐(C)의 서비스시 그 일부가 아로마 케이스(28)의 외부로 나올 수 있고, 본체(2)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로마 키트(28)의 그 일부가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 위치일 때, 아로마 키트(28)와 착탈될 수 있다. The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연결되어 아로마 캡슐 홀더(82)를 전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기구(97)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기구(97)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와, 일단이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연결되고 롤러에 탄성적으로 감긴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n
아로마 키트(8)를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와 착탈시키는 록킹기구(98)(99)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기구(98)(99)는 아로마 캡슐 홀더(82)를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록킹, 록킹해제시킬 수 있다. 록킹기구(98)(99)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설치된 푸시 래치(98,Push latch)와,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구비되어 아로마 캡슐 홀더(82)와 함께 무빙되고 푸시 래치(98)에 록킹, 록킹해제되는 래치(99)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99)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푸시 래치(9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래치(99)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의 후퇴시 푸시 래치(98)의 걸이구에 구속되어 걸릴 수 있고, 푸시 래치(98)는 걸이구가 래치(99)를 구속하는 것에 의해 아로마 캡슐 홀더(82)를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And locking
사용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운전 정지일 때, 아로마 키트(8)를 후방으로 밀 수 있고, 이때, 래치(99)는 푸시 래치(98)를 작동시킬 수 있고, 래치(99)는 푸시 래치(98)에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탄성기구(97)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전면 공기토출부(O)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전진되어 일부가 본체(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 때, 아로마 캡슐(C)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로마 캡슐(C)을 아로마 키트(8)에서 꺼낼 수 있고, 새로운 아로마 캡슐(C) 또는 아로마 발생물질이 보충된 아로마 캡슐(C)을 다시 아로마 키트(8)에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로마 캡슐(C)의 장착 후 아로마 키트(8)를 본체(2)의 방향으로 밀 수 있고, 이때 탄성기구(97)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래치(99)는 푸시 래치(98)에 걸림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The user can push the
입력부(10)는 본체(2)와 이격된 리모컨(102)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리모컨(10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는 본체(2)에 구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
입력부(10)는 본체(2)에 설치된 본체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컨트롤러는 본체(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본체 컨트롤러는 본체(2)에 디스플레이(16)와 별도로 설치된 컨트롤 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16)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컨트롤러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경우, 본체 컨트롤러는 프론트 커버(31)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 main body controller installed in the
입력부(10)는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과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은 본체(2)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조작용 앱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 조작용 앱을 통해 입력된 명령의 출력신호는 와이파이 모듈로 수신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 Wi-Fi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or a computer. The Wi-Fi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은 본체(2)에 구비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은 기설정된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제어부(24)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은 " 냉방", " 공기청정", "제습", 아로마 운전 " 등과 같이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같은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고, " 강풍 ", " 약풍 " 등과 같은 풍량의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voice command of the user. Voice recognition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2).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may recognize a preset voice command and output the result to the
입력부(10)는 리모컨(102)이나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104)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04)은 제어부(24)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104)에는 리모컨 수신부와, 와이파이 모듈, 음성인식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는 복수개의 통신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와 와이파이 모듈과 음성인식모듈은 모두 하나의 통신모듈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통신모듈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통신모듈(104)은 프론트 커버(3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발광기구(12)는 본체(2) 또는 전면 공기토출부(O)를 밝게 비추는 조명기구일 수 있다. The
발광기구(12)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본체(2)에 조명패턴(PT)을 형성하는 본체 조명기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조명기구(122)는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본체 조명기구(122)는 발광원이 설치된 발광모듈(124)과, 발광모듈(124)에서 조사된 광이 확산되는 확산커버(1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조명기구(122)는 확산커버(126)의 후방을 막는 리어 커버(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본체 조명기구(122)는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2)를 조명할 수 있다. 본체 조명기구(122)는 로어 커버(33)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발광모듈(124)의 온시, 확산커버(126)에 의해 형성되는 조명패턴(PT)이 로어 커버(33)를 통해 보일 수 있다. The
발광모듈(124)은 리어 커버(128)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125)은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원은 엘이디일 수 있다. 발광원은 확산 커버(126)의 공간(L)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124)은 인쇄회로기판을 덮는 기판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확산 커버(126)는 상부의 좌우 폭이 하부의 좌우 폭 보다 길 수 있다. 확산 커버(126)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좌우 폭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확산 커버(126)는 상부의 전후 폭이 하부의 전후 폭 보다 길 수 있다. 확산 커버(126)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확산 커버(126)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확산 커버(126)는 발광모듈(124)에서 조사된 광이 통과하는 공간(L)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조명기구(122)는 확산 커버(126)의 테두리의 형상에 따라 조명 패턴(PT)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확산 커버(126)는 로어 커버(33)와 이격될 수 있고, 외부에서 로어 커버(33)를 볼 때, 조명 패턴(PT)은 본체(2) 내부에 입체감을 갖는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The right and left widths of the
리어 커버(128)는 발광모듈(124)에서 공간(L)을 향해 조사된 광이 후방으로 조사되는 것을 막다. 발광모듈(125)에서 조사된 광은 리어 커버(128)에 의해 확산커버(126)로 반사될 수 있다. The
본체 조명기구(122)는 로어 커버(33)와 베이스(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체 조명기구(122)는 로어 커버(33)와 베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본체 조명기구(122)는 로어 커버(33)에 결합되어 로어 커버(33)와 일체화될 수 있고, 로어 커버(33)의 분리시 로어 커버(33)와 함께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체 조명기구(122)는 리어 커버(128)가 로어 커버(33)와 결합될 수 있고, 본체 조명기구(122)와 로어 커버(33)는 본체의 전방측 하부에 위치되는 장식 패널(D)로 기능할 수 있다. The
발광기구(12)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아로마 키트(8)를 조명하는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본체(2)에 설치되어 아로마 키트(8)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을 조명하여 아로마 키트(8)를 조명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아로마 케이스(28) 외부에 설치되어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기유입구(27)로 광을 조사할 수 있고, 공기유입구(27)로 조사된 광은 공기유입구(27)를 통과하여 공간(S)으로 조사될 수 있다. 공간(S)으로 조사된 광은 아로마 키트(8)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공기토출부(C)를 조명할 수 있고, 공기토출부 조명기구로 기능할 수 있다. The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본체(2)의 내부 중 아로마 케이스(28)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송풍기(6)에 아로마 케이스(28)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원은 엘이디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은 아로마 케이스(28)를 마주본 상태에서 아로마 케이스(28)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송풍기(6)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Aroma
발광기구(12)는 본체 조명기구(122)와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 하나가 다른 하나 보다 먼저 오프될 수 있다. 본체 조명기구(122)와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함께 온될 수 있고,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온된 후 나머지 하나가 나중에 오프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130)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된 후 아로마 운전시간에 도달되기 전에 먼저 오프될 수 있고, 본체 조명기구(122)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된 후 아로마 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오프될 수 있다. The
스피커(14)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음악소리과 아로마 운전 안내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낼 수 있다. 스피커(14)는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피커(14)는 아로마 운전시간 중 일부 시간에만 아로마 운전 안내소리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피커(14)는 아로마 운전시간 중 일부 시간에만 음악소리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피커(14)는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계속하여 음악소리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피커(14)는 아로마 운전시, "아로마 운전을 시작합니다." 와 같은 아로마 운전 안내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스피커(14)는 아로마 운전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음악소리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느린 템포의 음악소리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14)는 본체(2)에 설치될 수 있고, 승강가이드(37)에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aroma driving is input, the
디스플레이(16)는 공기조화기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제어부(24)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본체(2)에 설치된 본체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프론트 커버(31)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프론트 커버(31)와 송풍기(6)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1)는 디스플레이(16)의 전방에 위치하는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거나 그 전체가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6)는 프론트 커버(31)를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외부로 아로마 운전을 알릴 수 있는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안내문구는 문자로 표시될 수 있고, " 아로마 운전 " 또는 " AROMA " 등과 같은 아로마운전의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아로마 운전의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아로마 운전의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외부로 아로마 운전을 알릴 수 있는 별도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ly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사용자가 공조 운전이나 아로마 운전 등의 각종 운전 명령을 입력부(10)를 통하여 입력하면, 해당 송풍기(6)가 작동된다.When the user inputs various driving commands such as air conditioning driving or aroma driving through the input unit 10, the
특히, 롱 파워 운전이 입력되면, 무빙 토출바디(36)가 본체(2)의 상측으로 팝업되어 무빙 토출구(36A)를 통해 상부 송풍실(310)의 상부 토출부(311A)가 개방되고, 일반 공조 운전이 입력되면, 토출 패널(34)(35)이 회도이되면서 좌측 공기 토출구(34A) 및 우측 공기 토출구(34B)를 통해 중앙 송풍실(220)의 중앙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 및 중앙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 하부 송풍실(230)의 하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331A) 및 하부 우측 사이드 토출부(331B)가 개방되며,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아로마 키트(8)가 무빙되면서 물리적으로 하부 송풍실(230)의 하부 토출부(331C)를 개방시킨다.In particular, when the long power operation is input, the moving
각 송풍실(310)(220)(230)에 구비된 송풍기(6)의 각 임펠러(61A)(62A)(63A)는 운전 모드별로 동시에 작동하거나 각각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각 송풍실(310)(220)(230)은 운전모드별 최적화된 구동 설계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Each
따라서, 각 송풍실(310)(220)(230)에 구비된 임펠러(61A)(62A)(63A)의 회전축(61C)(62C)(63C)은 팬하우징(300)의 좌측 아우터 라인(OL) 및 우측 아우터 라인(OR)을 기준으로 정 중앙(C1)에 구비될 수 있으나, 공기조화기의 슬림화 설계시 시로코팬 타입의 임펠러(61A)(62A)(63A)의 특성상, 상부 송풍실(310)에 구비된 제1임펠러(61A)의 회전축(61C)는 정 중앙(C1)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한편, 상부 송풍실(310)에는 중앙 송풍실(320) 및 하부 송풍실(330)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321A)(331A)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321B)(331B)를 통하여 공조 공기의 토출량의 불균일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부 사이드 토출부(311B)가 형성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좌측 및 우측에 대한 공조 공기의 조화로운 토출이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의 감성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는, 공기조화기의 고급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슬림화 설계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송풍기(6)의 채택시 시로코팬 타입으로 채용할 때 공기조화기의 전후 두께 및 좌우 폭의 전체적인 슬림화 설계에 기본적인 단초를 제공함은 물론, 좌측 및 우측으로의 토출 공기량을 조화롭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불만족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As such, one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slim design in order to impart high quality of the air conditioner, as well as air when adopted as a sirocco fan type when adopting the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식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각 구성에 대하여 명칭을 부여하였지만,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는 기능 및 위치 관계 등에 의하여 "제1","제2" 등과 같은 숫자의 표기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구성의 명칭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의미로부터 도출되는 기술적 범위로부터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at is, in the descrip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are given for each component, but in the claims below, notation of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is possible, of course, by function and positional relationship.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be interpreted from the technical scope derived from the literary meaning of the claims and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name.
2: 본체 4: 열교환기
6: 송풍기 8: 아로마 키트
10: 입력부 12: 발광기구
14: 스피커 16: 디스플레이
28: 아로마 케이스 61,62,63: 임펠러
82: 아로마 키트 홀더 85,86: 전극
90: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 122: 본체 조명기구
130: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 300: 팬하우징
310: 상부 송풍실 320: 중앙 송풍실
330: 하부 송풍실2: body 4: heat exchanger
6: blower 8: aroma kit
10: input unit 12: light emitting mechanism
14: Speaker 16: Display
28:
82:
90: aroma kit moving mechanism 122: main body light fixture
130: aroma kit light fixture 300: fan housing
310: upper blowing chamber 320: central blowing chamber
330: lower ventilation chamber
Claims (11)
상기 오리피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와의 사이에 복수개의 송풍실 및 복수개의 공기 토출부를 갖는 팬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송풍실은,
상기 팬하우징에 상부 토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된 상부 송풍실과;
상기 팬하우징에 좌측 사이드 토출부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된 중앙 송풍실과;
상기 팬하우징에 하부 토출부, 좌측 사이드 토출부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가 형성된 하부 송풍실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n orifice for guiding suction of indoor air;
A fan housing disposed in front of the orific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chambers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ions therebetween;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chambers,
An upper blower chamber having an upper discharge portion and at least one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fan housing;
A central blower chamber having a left side discharge portion and a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fan housing;
And a lower blower chamber having a lower discharge part, a left side discharge part, and a right side discharge part in the fan housing.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중앙 송풍실과 상기 하부 송풍실 각각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한 좌측 토출 공기량 및 우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한 우측 토출 공기량 중 적은 곳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And an air conditione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ft discharge air through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and the right discharge air through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each of the central air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air blowing chamber.
상기 중앙 송풍실과 상기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는 일측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중앙 송풍실과 상기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는 타측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일측과 타측 중 상기 중앙 송풍실의 사이드 토출부 중 먼 곳에 해당하는 부위로 연장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er chamber and the lower blower chamber extends to one upper side, and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er chamber and the lower blower chamber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The air conditioner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blower chamber extends to a part corresponding to a distant part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air blower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상기 상부 송풍실,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에는 각각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부를 갖는 시로코팬이 배치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sirocco fan having at least one scroll portion extending from each of the upper blowing chamber,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단일 스크롤부의 어느 중간 부분에서 연장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blower chamber, which extends from any middle portion of the single scroll portion formed in the upper blower chamber.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단일 스크롤부의 하부에서 연장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blowing chamber,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a single scroll portion formed in the upper blowing chamber.
상하로 무빙되면서 상기 상부 토출부를 개폐하는 무빙 토출바디가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후로 무빙되면서 상기 하부 토출부를 개폐하는 아로마 케이스가 상기 팬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된 본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ving discharge body for moving the upper discharge part while moving up and down is disposed above the fan housing, and the aroma cas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discharge part while moving back and forth further comprises a main body disposed below the fan housing. group.
상기 송풍실 각각에는 각 공기 토출부를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력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임펠러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임펠러 중 상기 상부 송풍실에 배치된 상부 임펠러의 회전축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하부 송풍실에 배치된 임펠러의 회전축에 대하여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며,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상기 사이드 토출부는, 상기 상부 송풍실에 배치된 상기 상부 임펠러의 회전축의 편심된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impellers are arranged in each of the air blowing chambers to generate the earth output of the air discharged toward each air discharge unit.
The rotation axis of the upper impeller disposed in the upper blowing chamber among the plurality of impellers is eccentric to any one of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impeller disposed in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And the side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upper blower chamber is formed to be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eccentric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upper impeller disposed in the upper blower chamber.
상기 상부 송풍실,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에 형성된 각 사이드 토출부 중 상기 상부 송풍실에 형성된 상기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이 가장 작은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smallest opening cross section of the said side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said upper ventilation chamber among each side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said upper ventilation chamber, the said central ventilation chamber, and the said lower ventilation chamber.
상기 상부 송풍실의 사이드 토출부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과 같거나 크고,
상기 상부 송풍실의 사이드 토출부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토출 공기량의 합과 같거나 큰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m of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upper blowing chamber and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is discharged through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air volume,
The sum of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upper blowing chamber and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is discharged through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blowing chamber and the lower blowing chamber. An air condition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air volumes.
상기 상부 송풍실의 사이드 토출부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의 합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의 합과 같거나 크고,
상기 상부 송풍실의 사이드 토출부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우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의 합은 상기 중앙 송풍실 및 상기 하부 송풍실의 좌측 사이드 토출부의 개구 단면의 합과 같거나 큰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m of the opening cross-sections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and the left side discharging portions of the central ventilation chamber and the lower ventilation chamber is equal to the sum of the opening cross-sections of the right side discharge portions of the central ventilation chamber and the lower ventilation chamber. Big,
The sum of the opening cross-sections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upper ventilation chamber and the right side discharging portion of the central ventilation chamber and the lower ventilation chamber is equal to the sum of the opening cross-sections of the lef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central ventilation chamber and the lower ventilation chamber. Large air conditio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6816A KR101385292B1 (en) | 2014-01-20 | 2014-01-20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6816A KR101385292B1 (en) | 2014-01-20 | 2014-01-20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5292B1 true KR101385292B1 (en) | 2014-04-17 |
Family
ID=5065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68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5292B1 (en) | 2014-01-20 | 2014-01-20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529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4504A1 (en) * | 2015-07-17 | 2017-0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WO2017014505A1 (en) * | 2015-07-17 | 2017-0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CN114198831A (en) * | 2021-12-13 | 2022-03-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Fan head and cooling fa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3285A (en) * | 2003-10-06 | 2005-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090116522A (en) * | 2008-05-07 | 2009-1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and Air Conditioners |
KR20130041639A (en) * | 2011-10-17 | 2013-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irocco fan and air condtioner having the same |
KR20130043983A (en) * | 2011-10-21 | 2013-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2014
- 2014-01-20 KR KR1020140006816A patent/KR1013852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3285A (en) * | 2003-10-06 | 2005-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090116522A (en) * | 2008-05-07 | 2009-1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and Air Conditioners |
KR20130041639A (en) * | 2011-10-17 | 2013-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irocco fan and air condtioner having the same |
KR20130043983A (en) * | 2011-10-21 | 2013-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4504A1 (en) * | 2015-07-17 | 2017-0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WO2017014505A1 (en) * | 2015-07-17 | 2017-0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EP3388748A3 (en) * | 2015-07-17 | 2018-12-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US10684024B2 (en) | 2015-07-17 | 2020-06-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US11079119B2 (en) | 2015-07-17 | 2021-08-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US11118792B2 (en) | 2015-07-17 | 2021-09-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US11149967B2 (en) | 2015-07-17 | 2021-10-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US12146668B2 (en) | 2015-07-17 | 2024-11-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CN114198831A (en) * | 2021-12-13 | 2022-03-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Fan head and cooling fa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5290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1385291B1 (en) | Air conditioner and air blower of the same | |
KR20090043232A (en) | Air conditioner | |
KR101385289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385292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40092952A (en) | Air conditioner | |
CN205316462U (en) | Room appliances that wind gap can be shielded | |
CN210832261U (en) | Floor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KR101385293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566550B1 (en) |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 |
KR20090043238A (en) | Air conditioner | |
CN1875225B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90043234A (en) | Air conditioner | |
KR100902930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533315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942549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 |
KR10075913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412750B1 (en) | Air conditioner | |
CN114458626A (en) | Fan subassembly, blast apparatus | |
KR101868371B1 (en) | Standing type air conditioner | |
KR20100052202A (en) | Air conditioner | |
KR20080027810A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030030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80027679A (en) | Air conditioner | |
KR100909243B1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