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4622B1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622B1
KR101384622B1 KR20130119143A KR20130119143A KR101384622B1 KR 101384622 B1 KR101384622 B1 KR 101384622B1 KR 20130119143 A KR20130119143 A KR 20130119143A KR 20130119143 A KR20130119143 A KR 20130119143A KR 101384622 B1 KR101384622 B1 KR 101384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d bar
lighting
upper frame
lif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도산업
Priority to KR2013011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622B1/ko
Priority to PCT/KR2014/002876 priority patent/WO201505344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6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5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a shaft,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occupants, e.g. for indicating disabled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색상을 출력하는 램프가 점등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명부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조명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복수의 엘이디(LED)가 배열된 복수의 엘이디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이디바가 상기 승하강부의 일 측에 고정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펼쳐지면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고, 상기 승하강부가 접혀지면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납되는 방향 표시부와, 상기 램프의 점등 시간 및 상기 복수의 엘이디의 점등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경광등이 상승함에 따라 방향 표시등이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고, 경광등이 하강함에 따라 방향 표시등이 접혀짐으로써 후방의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통행을 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ELEVATE TYPE WARNINIG 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광등이 승강하면서 방향 표시등이 전개되는 기술이 개시된다.
도로 상에 사고의 위험을 알리거나, 보수 작업 등으로 차선이 줄어드는 영역에는 사인 표시를 이용하여 후방 차량에 대해 차선을 변경하도록 안내를 하고 있다. 주로 도로 상에서는 주황색의 조명등을 이용하여 차선의 변경 등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경찰차, 소방차, 구급차와 같이 긴급 상황에 따라 운행하는 차량에는 빨간색, 파란색, 녹색과 같은 경광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04557호(2008. 02. 20 공고)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 및 부대 시설물의 유지보수를 위해 일시적인 도로통제가 필요할 때, 화살표로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표시수단을 케이스 내측에 장착하고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싸인카의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케이스에는 공사에 관한 정보를 문구로 표시하여 알려주는 LED 전광판을 구비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향 표시장치는 크기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 운행중에 방향표시장치를 승강시키기 어렵고, 차량의 지붕 위에 설치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경찰차의 경광등은 도로 상에서 후방 차량에 대해 차선 변경 등을 유도하는 장치가 없어 경찰관이 마이크를 이용하여 차량의 차선변경을 유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경광등과 함께 후방 차량의 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 표시등이 함께 구비되고, 차량의 지붕에도 장착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조명장치에 대한 필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광등이 상승함에 따라 방향 표시등이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고, 경광등이 하강함에 따라 방향 표시등이 접혀지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색상을 출력하는 램프가 점등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명부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조명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복수의 엘이디(LED)가 배열된 복수의 엘이디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이디바가 상기 승하강부의 일 측에 고정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펼쳐지면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고, 상기 승하강부가 접혀지면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납되는 방향 표시부와, 상기 램프의 점등 시간 및 상기 복수의 엘이디의 점등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기 설정된 기호 또는 문자를 공중에 표시하도록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레이저 조사부와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면서 상기 레이저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면에 레일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면에 레일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일 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고정축에 연결되며, 타 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축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로드와, 일 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고정축에 연결되며, 타 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축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로드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되, 출력측이 상기 제2 이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축을 상기 제2 고정축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2 이동축을 상기 제2 고정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표시부는, 일 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 측에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 엘이디바와, 일 측이 상기 제1 엘이디바의 타 측과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 엘이디바와, 일 측이 상기 제2 엘이디바의 타 측과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3 엘이디바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조명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제1 엘이디바, 상기 제2 엘이디바 및 상기 제3 엘이디바가 화살표 표시를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키면 상기 제1 엘이디바, 상기 제2 엘이디바 및 상기 제3 엘이디바가 일렬로 접히면서 상기 몸체부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일 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을 둘러싸면서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을 둘러싸면서 결합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도록 주름이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광등이 상승함에 따라 방향 표시등이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고, 경광등이 하강함에 따라 방향 표시등이 접혀짐으로써 후방의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통행을 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전개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조명부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문자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승하강부의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서 승하강부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 표시부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승하강부에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서 승하강부의 연결 로드에 방향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전개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조명부(110), 몸체부(120), 승하강부(130), 방향 표시부(140) 및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조명부(110)는 투명한 소재로 된 박스형의 본체(111) 내부에 하나 이상의 색상을 출력하는 램프(112)가 점등된다. 예를 들어, 본체(111) 내부에 백열등, 형광등, 엘이디(LED)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112)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휘도의 엘이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부(1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차, 순찰차, 병원차 등에 사용되는 경광등에 사용되는 경우 법규정에 따라 허용된 색상의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몸체부(120)는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조명부(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조명부(110)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몸체부(120)는 부식에 강하며, 변형이 잘 이뤄지지 않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20) 내부에는 후술하는 승하강부(130), 방향 표시부(140) 및 제어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120)는 하부에 차체 등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 지붕 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승하강부(130)는 몸체부(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프레임 구조를 가진다. 즉, 승하강부(130)는 몸체부(120)의 내측에 접혀진 상태에서 몸체부(120)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조명부(110)를 상승시킨다. 또한, 승하강부(230)는 몸체부(120)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몸체부(120)의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조명부(110)를 하강시킨다.
또한, 승하강부(130)의 일 측에는 후술하는 방향 표시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승하강부(130)가 조명부(110)를 상승시키는 경우 방향 표시부(140)가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고, 승하강부(130)가 조명부(110)를 하강시키는 경우 방향 표시부(140)가 접혀져 몸체부(120)의 내측에 수납되게 된다. 즉, 승하강부(130)는 조명부(110)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방향 표시부(140)를 화살표 형태로 전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향 표시부(140)는 복수의 엘이디(LED)가 배열된 복수의 엘이디바를 포함한다. 여기서 엘이디바는 복수의 색상을 출력할 수 있는 엘이디가 복수 개로 배열된 막대 형상의 조명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복수의 엘이디바는 서로 간에 힌지(hinge) 결합을 통해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거나, 접혀질 수 있다.
또한, 방향 표시부(140)는 전술한 승하강부(130)의 상부 일 측에 고정된다. 즉, 복수의 엘이디바가 승하강부(130)의 일 측에 고정되어, 승하강부(130)가 펼쳐지면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고, 승하강부(130)가 접혀지면 몸체부(120)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수납된다.
제어부는 몸체부(120)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회로로써, 조명부(110)에서 램프(112)의 점등 시간 및 방향 표시부(140)에서 복수의 엘이디의 점등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점등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화살표(↔) 형태의 방향 표시부(140)를 '→' 또는 '←' 방향으로만 엘이디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의 교통 상황에 따라 후속 차량에게 방향을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승하강부(13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 이상이면 조명부(110)를 상승시키도록 승하강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가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경우, 도로 상에서 기 설정된 속도 이상 또는 이하로 차량이 운행하는 경우 조명부(110)를 상승시키면서 방향 표시부(140)를 전개시켜 후방 차량에게 방향을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리모콘(도시하지 않음) 형태로 외부에서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모콘은 RF(Radio Frequency)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몸체부(12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조명부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문자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조명부(110)의 본체(111) 상부에는 레이저 조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113)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을 교차시켜 공중에 기 설정된 기호 또는 문자를 공중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운전'이라는 문자를 조명부(110)의 상부로부터 1m 내외의 거리에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야간이나 빗길 운전시 운전자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레이저 조사부(113)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조명부(110)의 본체(111) 상부에는 레이저 조사부(113) 외에 반사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114)는 일 면에 반사 물질이 코팅된 판으로, 레이저 광원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는 레이저 조사부(113)에서 조사된 광원을 반사시켜 공중에 표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반사부(114)의 반사계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반사부(114)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114)는 레이저 조사부(113)의 상부를 덮는 덮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반사부(114)가 회동되는 경우 레이저 조사부(113)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지만, 반사부(114)가 원래위치로 복귀하면 레이저 조사부(113)를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114)는 반사 계수를 낮춰 레이저 조사부(113)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원을 흡수하여 기 설정된 기호 또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반사부(114)를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승하강부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승하강부(130)는 상부 프레임(131), 하부 프레임(132), 제1 연결 로드(133), 제2 연결 로드(134) 및 구동부(135)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31)은 조명부(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양 측면은 'ㄷ'자로 절곡되어 내측면으로 레일(131-3)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131)은 'ㄷ'자로 절곡된 두 개의 프레임을 고정축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거나, 하나의 판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 프레임(131)은 양 단에 두 개의 제1 고정축(1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131-3)에는 제1 이동축(1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축(131-1)은 후술하는 제1 연결 로드(133)의 일 측을 지지하는 축이며, 제1 이동축(131-2)은 제2 연결 로드(134)의 타 측과 연결되어 레일(131-3)을 따라 이동하는 축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131)의 일 측에는 날개(131-4)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131-4)는 절곡된 형상의 프레임으로, 후술하는 방향 표시부(140)의 일 측이 연결된다.
하부 프레임(132)은 몸체부(120)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양 측면은 'ㄷ'자로 절곡되어 내측면으로 레일(132-3)을 형성한다. 이 경우, 하부 프레임(132)은 상부 프레임(131)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프레임(132)은 양 단에 두 개의 제2 고정축(1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132-3)에는 제2 이동축(13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축(132-1)은 후술하는 제2 연결 로드(134)의 일 측을 지지하는 축이며, 제2 이동축(132-2)은 제1 연결 로드(133)의 타 측과 연결되어 레일(132-3)을 따라 이동하는 축이다.
제1 연결 로드(133)는 '|'자 형의 막대로, 일 측이 상부 프레임(131)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고정축(131-1)에 연결되며, 타 측이 하부 프레임(132)의 레일(132-3)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축(132-2)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연결 로드(133)는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로드(134)는 '|'자 형의 막대로, 일 측이 하부 프레임(132)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고정축(132-1)에 연결되며, 타 측이 상부 프레임(131)의 레일(131-3)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축(131-2)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2 연결 로드(134)는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로드(133)와 제2 연결 로드(134)는 서로 교차하며, 중심축으로 연결된다.
구동부(135)는 몸체부(120)의 내측에 설치되되, 출력측(135-1)이 제2 이동축(132-2)과 연결되어 제2 이동축(132-2)을 제2 고정축(132-1)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프레임(131)을 상승시킨다. 또한, 구동부(135)는 제2 이동축(132-2)을 제2 고정축(13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프레임(131)을 하강시킨다. 이 경우, 구동부(135)는 출력측(135-1)이 제2 이동축(132-2)을 수평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전동 소형 모터,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서 승하강부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 표시부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승하강부(130)는 상부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2) 사이에 연결된 제1 연결 로드(133) 및 제2 연결 로드(134)가 중심축(133-1)에 의해 교차되어 설치되며, 구동부(135)의 작용에 의해 제1 이동축(131-2) 및 제2 이동축(132-2)이 이동함에 따라 제1 연결 로드(133) 및 제2 연결 로드(134)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131)의 일 측에 형성된 날개(131-4)에 날개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향 표시부(140)는 제1 엘이디바(141), 제2 엘이디바(142) 및 제3 엘이디바(143)를 포함한다.
제1 엘이디바(141)는 화살표(↔) 형태에서 화살촉의 상부 영역(/, \)을 나타내며, 한 쪽 또는 양 쪽 방향의 화살표 표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엘이디바(141)는 일 측이 상부 프레임(131)의 일 측에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엘이디바(141)는 일 측이 상부 프레임(131)의 일 측에 힌지(hinge) 결합되고, 타 측이 후술하는 제2 엘이디바(142)의 일 측과 흰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131)의 일 측에는 날개(13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131-4)에 제1 엘이디바(141)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엘이디바(142)는 '―'자 형의 막대로, 화살표 형태에서 수평축 방향 영역을 나타낸다. 제2 엘이디바(142)는 일 측이 제1 엘이디바(141)의 타 측과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2 엘이디바(142)의 타 측은 후술하는 제3 엘이디바(143)의 일 측과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이 경우, 제2 엘이디바(142)는 제1 엘이디바(141)와 힌지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엘이디바(143)는 화살표 형태에서 제1 엘이디바(141)와 대응하는 화살촉의 하부 영역(\, /)을 나타내며, 한 쪽 또는 양 쪽 방향의 화살표 표시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엘이디바(143)는 일 측이 제2 엘이디바(142)의 타 측과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이 경우, 제3 엘이디바(143)는 제2 엘이디바(142)와 힌지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a의 경우에는 승하강부(130)가 상승함에 따라 제1 엘이디바(141), 제2 엘이디바(142) 및 제3 엘이디바(143)가 전개되면서 화살표(↔) 형태가 완성된다. 도 5b의 경우에는 승하강부(130)가 하강함에 따라 제1 엘이디바(141), 제2 엘이디바(142), 제3 엘이디바(143)가 일렬로 접혀지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승하강부에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커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 5a 및 도 5b와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커버부(150)는 상부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2)을 둘러싸면서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150)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50)는 일 단이 상부 프레임(131)을 둘러싸면서 결합되고, 타 단이 하부 프레임(132)을 둘러싸면서 결합된다. 이 경우, 커버부(150)는 상부 프레임(131)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도록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a)는 승하강부(130)가 상승함에 따라 커버부(150)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고, (b)는 승하강부(130)가 하강함에 따라 커버부(150)가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서 승하강부의 연결 로드에 방향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는 승하강부(230)의 연결 로드(233, 234)에 방향 표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승하강부(130)와 방향 표시부(140)를 별개로 형성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231)과 하부 프레임(232)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로드(233, 234)에 복수의 엘이디를 삽입하여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로드(233)와 제2 연결 로드(234)의 기 설정된 영역에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 또는 '>'와 같은 방향 표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연결 로드(233)와 복수의 제2 연결 로드(234)를 교차시켜 '<<' 또는 '>>"와 같은 방향 표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230)는 복수의 연결 로드(233, 234)를 이용하는 경우, 상부 프레임(231)에 복수의 제1 고정축(231-1) 및 제1 이동축(23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프레임(232)에도 복수의 제2 고정축(232-1) 및 제2 이동축(23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는, 경광등이 상승함에 따라 방향 표시등이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고, 경광등이 하강함에 따라 방향 표시등이 접혀짐으로써 후방의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통행을 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110 : 조명부
111 : 본체 112 : 램프
113 : 레이저 조사부 114 : 반사부
120 : 몸체부 130 : 승하강부
131 : 상부 프레임 131-1 : 제1 고정축
131-2 : 제1 이동축 131-3 : 레일
131-4 : 날개 132 : 하부 프레임
132-1 : 제2 고정축 132-2 : 제2 이동축
132-3 : 레일 133 : 제1 연결 로드
133-1 : 중심축 134 : 제2 연결 로드
135 : 구동부 135-1 : 출력측
140 : 방향 표시부 141 : 제1 엘이디바
142 : 제2 엘이디바 143 : 제3 엘이디바
150 : 커버부
230 : 승하강부 231 : 상부 프레임
231-1 : 제1 고정축 231-2 : 제1 이동축
232 : 하부 프레임 232-1 : 제2 고정축
232-2 : 제2 이동축 233 : 제1 연결 로드
234 : 제2 연결 로드 240 : 방향 표시부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색상을 출력하는 램프가 점등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명부를 지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조명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키는 승하강부;
    복수의 엘이디(LED)가 배열된 복수의 엘이디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이디바가 상기 승하강부의 일 측에 고정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펼쳐지면 화살표 형태로 전개되고, 상기 승하강부가 접혀지면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납되는 방향 표시부; 및
    상기 램프의 점등 시간 및 상기 복수의 엘이디의 점등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기 설정된 기호 또는 문자를 공중에 표시하도록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와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면서 상기 레이저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조명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면에 레일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면에 레일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일 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고정축에 연결되며, 타 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축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로드;
    일 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고정축에 연결되며, 타 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축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로드;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되, 출력측이 상기 제2 이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축을 상기 제2 고정축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2 이동축을 상기 제2 고정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표시부는,
    일 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 측에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 엘이디바;
    일 측이 상기 제1 엘이디바의 타 측과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 엘이디바; 및
    일 측이 상기 제2 엘이디바의 타 측과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3 엘이디바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조명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제1 엘이디바, 상기 제2 엘이디바 및 상기 제3 엘이디바가 화살표 표시를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키면 상기 제1 엘이디바, 상기 제2 엘이디바 및 상기 제3 엘이디바가 일렬로 접히면서 상기 몸체부 내에 수납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일 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을 둘러싸면서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을 둘러싸면서 결합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도록 주름이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20130119143A 2013-10-07 2013-10-07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Active KR101384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143A KR101384622B1 (ko) 2013-10-07 2013-10-07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PCT/KR2014/002876 WO2015053448A1 (ko) 2013-10-07 2014-04-03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143A KR101384622B1 (ko) 2013-10-07 2013-10-07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622B1 true KR101384622B1 (ko) 2014-04-16

Family

ID=5065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143A Active KR101384622B1 (ko) 2013-10-07 2013-10-07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4622B1 (ko)
WO (1) WO2015053448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229B1 (ko) 2015-01-06 2015-03-20 (주)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559260B1 (ko) * 2014-12-12 2015-10-15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101580064B1 (ko) * 2014-12-12 2015-12-24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경광등 장착구조
KR101600414B1 (ko) * 2014-10-22 2016-03-07 (주)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20160047280A (ko) * 2014-10-22 2016-05-02 (주)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20160072766A (ko) * 2015-07-23 2016-06-23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101655028B1 (ko) * 2015-05-06 2016-09-06 주식회사 기찬하이테크 차량용 안전표지판
KR20160141481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세이프스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FR3052717A1 (fr) * 2016-06-16 2017-12-22 Nozier Delly Jeune Dispositif de signalisation routiere pour vehicule
KR101894996B1 (ko) * 2018-02-01 2018-10-25 이용희 센서 기반 자동차 식별 정보 표시 시스템
KR102068418B1 (ko) 2018-09-19 2020-01-21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풍절음 방지 구조를 가지는 승강형 경광등
KR20210004064A (ko) * 2019-07-03 2021-01-13 박준수 접이식 엘이디 안전표시장치
KR20240041147A (ko) 2022-09-22 2024-03-29 김강 안전 경고등
KR102704858B1 (ko) 2024-04-05 2024-09-09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모듈형 경광 조명 장치
KR102743279B1 (ko) 2024-04-05 2024-12-16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승강형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6501B1 (fr) * 2016-09-28 2020-05-29 Valeo Vision Systeme d'aide a l'identific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KR101891617B1 (ko) * 2017-02-14 2018-08-24 (주)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CN113085723B (zh) * 2021-06-09 2021-09-14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向车外展示信息的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577B1 (ko) 2007-10-04 2008-02-20 장규원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72Y1 (ko) * 2010-12-03 2013-01-09 박윤구 부채를 이용한 자동차 응급상황 표시장치
KR101314937B1 (ko) * 2011-01-19 2013-10-08 이상렬 면발광 led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KR101305435B1 (ko) * 2011-11-02 2013-09-06 최진호 차량용 삼각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577B1 (ko) 2007-10-04 2008-02-20 장규원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414B1 (ko) * 2014-10-22 2016-03-07 (주)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20160047280A (ko) * 2014-10-22 2016-05-02 (주)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641889B1 (ko) * 2014-10-22 2016-07-22 (주)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559260B1 (ko) * 2014-12-12 2015-10-15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101580064B1 (ko) * 2014-12-12 2015-12-24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경광등 장착구조
US9802530B2 (en) 2014-12-12 2017-10-31 SUNG-HWA Technology Industry Co., Ltd. Height-adjustable warning lamp with emergency light indicating means
KR101504229B1 (ko) 2015-01-06 2015-03-20 (주)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655028B1 (ko) * 2015-05-06 2016-09-06 주식회사 기찬하이테크 차량용 안전표지판
KR20160141481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세이프스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703736B1 (ko) 2015-07-23 2017-02-08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20160072766A (ko) * 2015-07-23 2016-06-23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FR3052717A1 (fr) * 2016-06-16 2017-12-22 Nozier Delly Jeune Dispositif de signalisation routiere pour vehicule
KR101894996B1 (ko) * 2018-02-01 2018-10-25 이용희 센서 기반 자동차 식별 정보 표시 시스템
KR102068418B1 (ko) 2018-09-19 2020-01-21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풍절음 방지 구조를 가지는 승강형 경광등
KR20210004064A (ko) * 2019-07-03 2021-01-13 박준수 접이식 엘이디 안전표시장치
KR102222751B1 (ko) * 2019-07-03 2021-03-04 박준수 접이식 엘이디 안전표시장치
KR20240041147A (ko) 2022-09-22 2024-03-29 김강 안전 경고등
KR102704858B1 (ko) 2024-04-05 2024-09-09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모듈형 경광 조명 장치
KR102743279B1 (ko) 2024-04-05 2024-12-16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승강형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3448A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622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504229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559260B1 (ko)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102450920B1 (ko)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KR101687708B1 (ko) 비상표시장치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2407B1 (ko)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KR101234779B1 (ko)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KR100691742B1 (ko)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1700347B1 (ko)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101842607B1 (ko) 차량 주행시의 전광판 최소 노출 유지 기능을 가지는 승강형 경광등
KR101891617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KR101703736B1 (ko)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20130066794A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130128831A (ko) 보행자용 안전 신호등
KR200414202Y1 (ko)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하강하는 전동서치라이트를 구비한경광등
KR200300452Y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102050492B1 (ko) 인지 강화형 교통신호 시스템
KR101600414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JP3185192U (ja) 横断表示装置
KR101641889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823654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102178511B1 (ko) 차량 탑재형 비상표지 장치
KR101728493B1 (ko) 차량용 도로표시판 식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