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3959B1 -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 Google Patents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959B1
KR101383959B1 KR1020120067808A KR20120067808A KR101383959B1 KR 101383959 B1 KR101383959 B1 KR 101383959B1 KR 1020120067808 A KR1020120067808 A KR 1020120067808A KR 20120067808 A KR20120067808 A KR 20120067808A KR 101383959 B1 KR101383959 B1 KR 101383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exterior
mirror effect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747A (ko
Inventor
이상용
김경도
정현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959B1/ko
Priority to EP13172536.8A priority patent/EP2679387B1/en
Priority to US13/921,516 priority patent/US9028950B2/en
Publication of KR2014000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9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44F1/04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 B44F1/045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having mirrors or metallic or reflective layers at the back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9/00Household appliances
    • B32B2509/10Refrigerators or refrigerat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76Intermediate layer contains particulate material [e.g., pigme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17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metal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의 외장 패널 등에 사용되는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에 관한 것으로, 니켈(Ni) 등과 금속 물질이 증착되거나, 이산화티타늄(TiO2) 또는 이산화규소(SiO2) 등과 같은 산화 물질이 증착된 피이티(PET) 필름의 기재층이 적층된 롤(Roll) 타입의 외장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청유리의 하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연속적인 롤 타입(Roll Type)의 제조 공정으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외장 패널의 제조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Decoration film having mirror effe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의 외장 패널 등에 사용되는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조리기기, 공기 조화기, 식기 세척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가전기기에는, 강판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본체 또는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또는 도어의 전면에는, 다양한 색감, 질감, 무늬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외장 패널이 설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가전기기의 고유 기능 이외에도, 가전기기의 외관과 디자인이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데, 예를 들어,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기기의 외장 패널에, 미러(Mirror) 효과를 주기 위하여, 유리의 배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 유리 보다 저렴한 가격의 장점을 갖고 있는 청유리(10)의 하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고(S10), 상기 니켈(Ni)이 증착된 Ni 증착층(11)의 하면에, 실크 스크린(Silk Screen) 방식을 사용하여 인쇄층(12)을 형성하게 된다(S11).
그리고, 상기 인쇄층(12)의 하면에, 접착제(13)를 사용하여, 피브이씨(PVC) 소재의 기재층(12)을 접착하여(S12), 미러 효과를 주는 외장 패널을 완성하게 된다(S13).
그러나, 상기와 같이 청유리(10)의 하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는 경우, Ni 증착 과정에서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제조 공정이 비연속적인 배치 타입(Batch Type)이므로, 생산성이 저하되어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니켈(Ni) 등과 금속 물질이 증착되거나, 이산화티타늄(TiO2) 또는 이산화규소(SiO2) 등과 같은 산화 물질이 증착된 피이티(PET) 필름의 기재층이 적층된 롤(Roll) 타입의 외장 필름을 사용하여, 가전기기 등의 외장 패널에 미러 효과를 줌과 동시에, 외장 패널의 제조 공정을 보다 효율화 및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은, 유리의 배면에 부착되어 미러 효과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필름에 있어서, 금속 물질이 하면에 증착된 피이티(Mirror PET) 필름의 제1 기재층과, 비상 방지용 필름의 제2 기재층이 접착에 의해 적층되며,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은, 유리의 배면에 부착되어 미러 효과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필름에 있어서, 피이티(PET) 필름의 제1 기재층과, 금속 물질이 하면에 증착된 피이티(PET) 필름의 제2 기재층과, 비상 방지용 필름의 제3 기재층이 접착에 의해 적층되며, 상기 제1 기재층의 하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은, 유리의 배면에 부착되어 미러 효과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필름에 있어서, 피이티(PET) 필름의 제1 기재층과, 금속 물질이 하면에 증착된 피이티(PET) 필름의 제2 기재층과, 비상 방지용 필름의 제3 기재층이 접착에 의해 적층되며, 상기 제2 기재층의 상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은, 유리의 배면에 부착되어 미러 효과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필름에 있어서, 피이티(PET) 필름의 제1 기재층과, 비상 방지용 필름의 제2 기재층이 접착에 의해 적층되며, 상기 제1 기재층의 하면에는, 산화 물질에 의해 증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증착층의 하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은, 유리의 배면에 부착되어 미러 효과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필름에 있어서, 피이티(PET) 필름의 제1 기재층과, 비상 방지용 필름의 제2 기재층이 접착에 의해 적층되며, 상기 제1 기재층의 하면에는, 산화 물질에 의해 증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금속 물질은, 미러 효과를 나타내는 니켈(Ni)이고, 상기 산화 물질은, 미러 효과를 나타내는 이산화티타늄(TiO2)과 이산화규소(S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인쇄층은,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으로 인쇄되어, 외관의 색상을 디자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점착제는,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인 오씨에이(OCA) 점착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점착체 위에는, 보호 필름이 접착되되, 상기 보호 필름은, 유리의 배면에 외장 필름을 부착하는 제조 공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비상 방지용 필름은, 상방에 적층된 필름을 보호하고 유리가 깨진 후에도 필름에 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피이(PE) 필름 또는 피브이씨(PVC)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피이티(PET) 필름은,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니켈(Ni) 등과 금속 물질이 증착되거나, 이산화티타늄(TiO2) 또는 이산화규소(SiO2) 등과 같은 산화 물질이 증착된 피이티(PET) 필름의 기재층이 적층된 롤(Roll) 타입의 외장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청유리의 하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속적인 롤 타입(Roll Type)의 제조 공정으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외장 패널의 제조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전기기의 외장 패널에 대한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가전기기의 외장 패널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제조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제조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제조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제조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제조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기기의 외장 패널은 물론,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기기의 외장 패널에는, 백색 유리 또는 백색 유리 보다 저렴한 가격의 장점을 갖고 있는 청유리(1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는, 보호 필름(500)이 제거된 외장 필름(50a)이 점착제(501)에 의해 부착되어, 미러 효과(Mirror Effect)의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50)에는, 보호 필름(500), 점착제(501), 인쇄층(502), 제1 기재층(503), 증착층(504), 접착제(505), 그리고 제2 기재층(506)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보호 필름(500)은, 외장 필름을 롤 타입(Roll Type)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501)의 위에 부착되는 단순한 커버 필름(Cover Film)으로서,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50a)을 부착하는 롤 투 롤(Roll To Roll) 타입의 제조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501)는,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50a)을 점착시키기 위해, 상기 인쇄층(502)의 위에 도포되는 것으로, 상기 점착제(501)는, 광학적 투과율이 높으면서 롤(Roll) 타입을 갖는 점착제, 예를 들어,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인 오씨에이(OCA: Optical Clear Adhesive)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는 데, 상기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의 한쪽 면에는, 상기 보호 필름(5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502)은, 제1 기재층(503)의 위에, 그라비어(Gravure) 방식으로 인쇄되어, 외장 패널의 색상(Color)을 디자인하게 되는 것으로, 보다 고급스러운 색상을 디자인하기 위하여, 일반 그라비어 방식 보다 인쇄 밀도가 높은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재층(503)은, 청유리의 배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지 않고서도, 미러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니켈(Ni) 등과 금속 물질이, 하면에 증착된 피이티(PET: Polyethylen Terephthalate) 필름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재층(503)의 하면에 형성된 증착층(504)에는, 접착제(505)에 의해 제2 기재층(506)이 접착되는 데, 상기 제2 기재층(506)은, 상방에 적층된 필름을 보호하고 유리가 깨진 후에도 필름에 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 방지 필름으로서, 피이(PE: Polyethylen) 필름 또는 피브이씨(PVC: Poly Vinyl Chloride) 필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의 제1 기재층(503)의 하면에, 미러 효과를 주기 위한 금속 물질로서, 니켈(Ni)을 증착하여 증착층(504)을 형성하게 된다(S50).
그리고, 상기 증착층이 형성된 제1 기재층(503)의 상면에, 다단계의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으로 인쇄층(502)을 형성하여(S51), 고급스런 색상을 디자인하게 된다.
이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재층(203)의 하면에 형성된 증착층(504)에, 접착제(505)를 도포한 후, 비상 방지용 필름인 피이(PE) 필름 또는 피브이씨(PVC)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제2 기재층(506)을 접착하게 된다(S52).
또한, 상기 인쇄층(502)의 상면에, 광학적 투과율이 높으면서 롤(Roll) 타입을 갖는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인 오씨에이(OCA) 점착제, 예를 들어, 한쪽 면에는, 보호 필름(5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를,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접착하여(S53), 롤 타입의 외장 필름(50)을 간단하게 완성하게 된다(S54).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롤 투 톨(Roll To Roll) 제조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인 제1 기재층(503)의 하면에, 니켈(Ni)을 증착하고, 상기 제1 기재층(503)의 상면에,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으로 다단계를 거쳐 인쇄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재층에 증착된 증착층에, 접착체를 도포하여, 피브이씨(PVC) 필름 또는 피이(PE)를 접착한 후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후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체가 도포된 보호 필름을, 인쇄층의 상면에 접착하여, 외장 필름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장 필름이 부착될 청유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과 건조, 그리고 정렬 등의 전치 공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 외장 필름(50)의 최상층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 필름이 분리되면서,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외장 필름(50a)이 접착되는 간단한 제조 공정을 거쳐, 외장 패널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청유리의 배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는 과정을 삭제함과 아울러, 불연속적인 배치(Batch) 타입의 제조 공정이 아닌 연속적인 롤(Roll) 타입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불량률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백색 유리 또는 백색 유리 보다 저렴한 가격의 장점을 갖고 있는 청유리(10)의 배면에는, 보호 필름(600)이 제거된 외장 필름(60a)이 점착제(601)에 의해 부착되어, 미러 효과(Mirror Effect)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60)에는, 보호 필름(600), 점착제(601), 제1 기재층(602), 인쇄층(603), 접착제(604), 제2 기재층(605), 증착층(606), 접착제(607), 그리고 제3 기재층(608)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보호 필름(600)은, 상기 점착제(601)의 위에 부착되는 단순한 커버 필름(Cover Film)으로서,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60a)을 부착하는 롤 투 롤(Roll To Roll) 타입의 제조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601)는,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60a)을 점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기재층(602)의 위에 도포되는 것으로, 상기 점착제(601)는, 광학적 투과율이 높으면서 롤(Roll) 타입을 갖는 점착제, 예를 들어,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인 오씨에이(OCA)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의 한쪽 면에는, 상기 보호 필름(6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재층(602)의 하면에는, 상기 인쇄층(603)이 그라비어(Gravure) 방식으로 인쇄되어, 외장 패널의 색상(Color)을 디자인하게 되는 것으로, 보다 고급스러운 색상을 디자인하기 위하여, 일반 그라비어 방식 보다 인쇄 밀도가 높은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층(603)의 하면에는, 접착제(604)에 의해 제2 기재층(605)이 접착되는 데, 상기 제2 기재층(605)은, 청유리의 배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지 않고서도, 미러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니켈(Ni) 등과 금속 물질이, 하면에 증착된 피이티(PET) 필름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재층(605)의 하면에 형성된 증착층(606)에는, 접착제(607)에 의해 제3 기재층(608)이 접착되는 데, 상기 제3 기재층(608)은, 상방에 적층된 필름을 보호하고 유리가 깨진 후에도 필름에 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 방지 필름으로서, 피이(PE) 필름 또는 피브이씨(PVC) 필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의 제2 기재층(605)의 하면에, 미러 효과를 주기 위한 금속 물질로서, 니켈(Ni)을 증착하여 증착층(606)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의 제1 기재층(602)의 하면에, 다단계의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으로 인쇄층(603)을 형성하게 된다(S60).
한편, 상기와 같이 제2 기재층(605)의 하면에, 증착층(606)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재층(602)의 하면에, 인쇄층(603)을 형성하는 과정은, 각각 독립된 제조 과정으로 병행되거나, 또는 서로 종속된 제조 과정으로 연속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층(603)의 하면에, 상기 제2 기재층(605)의 상면을 접착하고(S61), 상기 증착층(606)의 하면에, 상기 제3 기재층(608)의 상면을 접착한 후(S62), 상기 제1 기재층(602)의 상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보호 필름을 접착하게 된다(S63).
예를 들어, 한쪽 면에는, 보호 필름(5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를,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 접착하여, 롤 타입의 외장 필름(60)을 간단하게 완성하게 된다(S64).
한편, 상기 외장 필름이 부착될 청유리는, 도 6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과 건조, 그리고 정렬 등의 전치 공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 외장 필름(60)의 최상층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 필름이 분리되면서,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외장 필름(60a)이 접착되는 간단한 제조 공정을 거쳐, 외장 패널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청유리의 배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는 과정을 삭제함과 아울러, 불연속적인 배치(Batch) 타입의 제조 공정이 아닌 연속적인 롤(Roll) 타입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불량률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기재층(602)의 하면에 형성된 인쇄층(603)과, 상기 제1 기재층(602)의 상면에 도포된 점착제(601)가 서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탈색 현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청유리(10)의 배면에는, 보호 필름(700)이 제거된 외장 필름(70a)이 점착제(701)에 의해 부착되어, 미러 효과(Mirror Effect)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70)에는, 보호 필름(700), 점착제(701), 제1 기재층(702), 접착제(703), 인쇄층(704), 제2 기재층(705), 증착층(706), 접착제(707), 그리고 제3 기재층(708)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보호 필름(700)은, 상기 점착제(701)의 위에 부착되는 단순한 커버 필름으로서,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70a)을 부착하는 롤 투 롤 타입의 제조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701)는,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70a)을 점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기재층(702)의 위에 도포되는 것으로,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인 오씨에이(OCA)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의 한쪽 면에는, 상기 보호 필름(7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재층(702)은,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재층(702)의 하면에는, 제2 기재층(705)이 접착되는 데, 상기 제2 기재층(705)의 상면에는, 인쇄층(704)이 그라비어(Gravure) 방식으로 인쇄되어, 외장 패널의 색상(Color)을 디자인하게 되는 것으로, 보다 고급스러운 색상을 디자인하기 위하여, 일반 그라비어 방식 보다 인쇄 밀도가 높은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기재층(705)의 하면에는, 청유리의 배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지 않고서도, 미러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니켈(Ni) 등과 금속 물질이 증착된 증착층(70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재층(705)의 하면에 형성된 증착층(706)에는, 접착제(707)에 의해 제3 기재층(708)이 접착되는 데, 상기 제3 기재층(708)은, 상방에 적층된 필름을 보호하고 유리가 깨진 후에도 필름에 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 방지 필름으로서, 피이(PE) 필름 또는 피브이씨(PVC) 필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의 제2 기재층(705)의 하면에, 미러 효과를 주기 위한 금속 물질로서, 니켈(Ni)을 증착하여 증착층(706)을 형성하게 된다(S70).
그리고, 상기 증착층이 형성된 제2 기재층(705)의 상면에, 다단계의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으로 인쇄층(704)을 형성하고(S71), 상기 인쇄층(704)의 상면에, 제1 기재층(702)을 접착하게 된다(S72).
또한, 상기 증착층(706)의 하면에, 제3 기재층(708)을 접착한 후(S73), 상기 제1 기재층(702)의 상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보호 필름을 접착하게 된다(S74).
예를 들어, 한쪽 면에는, 보호 필름(7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를,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 접착하여, 롤 타입의 외장 필름(70)을 간단하게 완성하게 된다(S75).
한편, 상기 외장 필름이 부착될 청유리는, 도 6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과 건조, 그리고 정렬 등의 전치 공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 외장 필름(70)의 최상층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 필름이 분리되면서,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외장 필름(70a)이 접착되는 간단한 제조 공정을 거쳐, 외장 패널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청유리의 배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는 과정을 삭제함과 아울러, 불연속적인 배치(Batch) 타입의 제조 공정이 아닌 연속적인 롤(Roll) 타입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불량률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기재층(702)의 상면에 형성된 인쇄층(704)과, 상기 제1 기재층(702)의 상면에 도포된 점착제(701)가 서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탈색 현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청유리(10)의 배면에는, 보호 필름(800)이 제거된 외장 필름(80a)이 점착제(801)에 의해 부착되어, 미러 효과(Mirror Effect)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80)에는, 보호 필름(800), 점착제(801), 제1 기재층(802), 인쇄층(807), 접착제(808), 그리고 제2 기재층(809)이 적층되되, 상기 제1 기재층(802)과 인쇄층(807) 사이에는, 이산화티타늄(TiO2)과 이산화규소(SiO2) 등과 같은 산화 물질이 증착된 증착층이 싱글 레이어(Single Layer) 또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재층(802)과 인쇄층(807) 사이에는,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1 증착층(803)과, 이산화규소(SiO2)의 제2 증착층(804)과,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3 증착층(805), 그리고 이산화규소(SiO2)의 제4 증착층(806)이 멀티 레이어로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의 증착층과 이산화규소(SiO2)의 증착층은, 금속 물질인 니켈(Ni) 증착층을 대신하여, 보다 다양한 질감의 미러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산화 물질로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이산화규소(SiO2)는, 모래나 석영 등으로 발견되고, 규조류의 세포벽에도 분포하며, 유리나 콘크리트의 주성분으로, 물리적 성질은 투명하며, 화학적 성질은 안정된다.
그리고, 이산화티타늄(TiO2)은, 전이금속인 티타늄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2개가 결합된 분자로서 무미, 무취의 흰색 가루이고, 티타늄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면 쉽게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 티타늄 피막을 형성하며, 산화력이 매우 크고, 매우 안정한 물질이다.
한편, 상기 보호 필름(800)은, 상기 점착제(801)의 위에 부착되는 단순한 커버 필름으로서,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80a)을 부착하는 롤 투 롤 타입의 제조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801)는,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80a)을 점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기재층(802)의 위에 도포되는 것으로,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인 오씨에이(OCA)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의 한쪽 면에는, 상기 보호 필름(8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재층(802)은,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재층(802)의 하면에는, 미러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1 증착층(803)과, 이산화규소(SiO2)의 제2 증착층(804)과,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3 증착층(805), 그리고 이산화규소(SiO2)의 제4 증착층(806)이 멀티 레이어로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제4 증착층(806)의 하면에는, 인쇄층(807)이 그라비어(Gravure) 방식으로 인쇄되어, 외장 패널의 색상(Color)을 디자인하게 되는 것으로, 보다 고급스러운 색상을 디자인하기 위하여, 일반 그라비어 방식 보다 인쇄 밀도가 높은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층(807)의 하면에는, 접착제(808)에 의해 제3 기재층(809)이 접착되는 데, 상기 제3 기재층(809)은, 상방에 적층된 필름을 보호하고 유리가 깨진 후에도 필름에 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 방지 필름으로서, 피이(PE) 필름 또는 피브이씨(PVC) 필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의 제1 기재층(802)의 하면에, 미러 효과를 주기 위한 산화 물질로서, 이산화티타늄(TiO2)과 이산화규소(SiO2)를 교번적으로 증착하여,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1 증착층(803)과, 이산화규소(SiO2)의 제2 증착층(804)과,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3 증착층(805), 그리고 이산화규소(SiO2)의 제4 증착층(806)을 증착하게 된다(S80).
그리고, 상기 제4 증착층(806)의 하면에, 다단계의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으로 인쇄층(807)을 형성하고(S81), 상기 인쇄층(807)의 상면에, 제2 기재층(809)을 접착하게 된다(S82).
또한, 상기 제1 기재층(802)의 상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보호 필름을 접착하게 되는 데(S83), 예를 들어, 한쪽 면에는, 보호 필름(8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를,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 접착하여, 롤 타입의 외장 필름(80)을 간단하게 완성하게 된다(S84).
한편, 상기 외장 필름이 부착될 청유리는, 도 6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과 건조, 그리고 정렬 등의 전치 공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 외장 필름(80)의 최상층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 필름이 분리되면서,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외장 필름(80a)이 접착되는 간단한 제조 공정을 거쳐, 외장 패널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청유리의 배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는 과정을 삭제함과 아울러, 불연속적인 배치(Batch) 타입의 제조 공정이 아닌 연속적인 롤(Roll) 타입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불량률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쇄층(807)과 점착제(801)가 서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탈색 현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니켈(Ni) 등의 금속 물질 대신, 이산화티타늄(TiO2)과 이산화규소(SiO2) 등의 산화 물질을 증착하여, 보다 다양한 질감의 미러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청유리(10)의 배면에는, 보호 필름(900)이 제거된 외장 필름(90a)이 점착제(901)에 의해 부착되어, 미러 효과(Mirror Effect)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90)에는, 보호 필름(900), 점착제(901), 인쇄층(902), 제1 기재층(903), 접착제(908), 그리고 제2 기재층(909)이 적층되되, 상기 제1 기재층(903)과 접착제(908) 사이에는, 이산화티타늄(TiO2)과 이산화규소(SiO2) 등과 같은 산화 물질이 증착된 증착층이 싱글 레이어(Single Layer) 또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재층(903)의 하면에는,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1 증착층(904)과, 이산화규소(SiO2)의 제2 증착층(905)과,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3 증착층(906), 그리고 이산화규소(SiO2)의 제4 증착층(907)이 멀티 레이어로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의 증착층과 이산화규소(SiO2)의 증착층은, 금속 물질인 니켈(Ni) 증착층을 대신하여, 미러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산화 물질이며, 상기 보호 필름(900)은, 상기 점착제(901)의 위에 부착되는 단순한 커버 필름으로서,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90a)을 부착하는 롤 투 롤 타입의 제조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901)는,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 외장 필름(90a)을 점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기재층(802)에 형성된 인쇄층(902)의 위에 도포되는 것으로,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인 오씨에이(OCA)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의 한쪽 면에는, 상기 보호 필름(9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재층(903)은,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재층(903)의 하면에는, 미러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1 증착층(904)과, 이산화규소(SiO2)의 제2 증착층(905)과,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3 증착층(906), 그리고 이산화규소(SiO2)의 제4 증착층(907)이 멀티 레이어로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제1 기재층(903)의 상면에는, 인쇄층(902)이 그라비어(Gravure) 방식으로 인쇄되어, 외장 패널의 색상(Color)을 디자인하게 되는 것으로, 보다 고급스러운 색상을 디자인하기 위하여, 일반 그라비어 방식 보다 인쇄 밀도가 높은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증착층(907)의 하면에는, 접착제(908)에 의해 제2 기재층(909)이 접착되는 데, 상기 제2 기재층(909)은, 상방에 적층된 필름을 보호하고 유리가 깨진 후에도 필름에 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 방지 필름으로서, 피이(PE) 필름 또는 피브이씨(PVC) 필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외장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광투과율이 높은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의 제1 기재층(903)의 하면에, 미러 효과를 주기 위한 산화 물질로서, 이산화티타늄(TiO2)과 이산화규소(SiO2)를 교번적으로 증착하여,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1 증착층(904)과, 이산화규소(SiO2)의 제2 증착층(905)과, 이산화티타늄(TiO2)의 제3 증착층(906), 그리고 이산화규소(SiO2)의 제4 증착층(907)을 증착하게 된다(S90).
그리고, 상기 제1 기재층(903)의 상면에, 다단계의 마이크로 그라비어(Micro Gravure) 방식으로 인쇄층(902)을 형성하고(S91), 상기 제4 증착층(907)의 하면에, 제2 기재층(909)을 접착하게 된다(S92).
또한, 상기 제1 기재층(903)의 상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보호 필름을 접착하게 되는 데(S93), 예를 들어, 한쪽 면에는, 보호 필름(900)이 부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광투과율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를,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 접착하여, 롤 타입의 외장 필름(90)을 간단하게 완성하게 된다(S94).
한편, 상기 외장 필름이 부착될 청유리는, 도 6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과 건조, 그리고 정렬 등의 전치 공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 외장 필름(90)의 최상층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 필름이 분리되면서,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외장 필름(90a)이 접착되는 간단한 제조 공정을 거쳐, 외장 패널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청유리의 배면에 니켈(Ni)을 직접 증착하는 과정을 삭제함과 아울러, 불연속적인 배치(Batch) 타입의 제조 공정이 아닌 연속적인 롤(Roll) 타입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불량률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니켈(Ni) 등의 금속 물질 대신, 광학용 피이티(Optical PET) 필름의 제1 기재층에 이산화티타늄(TiO2)과 이산화규소(SiO2) 등의 산화 물질을 증착하여, 보다 다양한 질감의 미러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 : 청유리 50 : 외장 필름
500 : 보호 필름 501 : 점착제
502 : 인쇄층 503 : 제1 기재층
504 : 증착층 505 : 접착제
506 : 제2 기재층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인쇄층, 피이티(PET) 필름의 제1 기재층, 산화 물질이 증착된 증착층 및 비상 방지용 필름의 제2 기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증착층, 인쇄층 및 제2 기재층 또는 상기 인쇄층, 제1 기재층, 증착층 및 제2 기재층의 순서로 적층되되, 상기 제2 기재층은 접착에 의해 적층되고,
    상기 외장 필름은 점착제에 의해 유리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증착층의 산화 물질은 미러 효과를 나타내는 이산화티타늄과 이산화규소이고, 상기 이산화티타늄과 이산화규소가 각각 층을 형성하고 교대로 적층되어 상기 증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마이크로 그라비어 방식으로 인쇄되어, 외관의 색상을 디자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인 오씨에이 점착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위에는, 보호 필름이 접착되되,
    상기 보호 필름은, 유리의 배면에 외장 필름을 부착하는 제조 공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방지용 필름은, 상방에 적층된 필름을 보호하고 유리가 깨진 후에도 필름에 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피이(PE) 필름 또는 피브이씨(PVC)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이티(PET) 필름은 광학용 피이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KR1020120067808A 2012-06-25 2012-06-25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Expired - Fee Related KR101383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08A KR101383959B1 (ko) 2012-06-25 2012-06-25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EP13172536.8A EP2679387B1 (en) 2012-06-25 2013-06-18 Decorative film having mirror effect
US13/921,516 US9028950B2 (en) 2012-06-25 2013-06-19 Decoration film having mirror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08A KR101383959B1 (ko) 2012-06-25 2012-06-25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747A KR20140000747A (ko) 2014-01-06
KR101383959B1 true KR101383959B1 (ko) 2014-04-10

Family

ID=4862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8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3959B1 (ko) 2012-06-25 2012-06-25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28950B2 (ko)
EP (1) EP2679387B1 (ko)
KR (1) KR101383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5773A (zh) * 2016-11-14 2017-12-12 深圳市信濠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复合式玻璃后盖板的制作方法
WO2020023049A1 (en) * 2018-07-27 2020-0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rface decoration films
CN108973373A (zh) * 2018-08-01 2018-12-11 苏州安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油墨层上镀膜后龟裂膜应力去除工艺
KR102311535B1 (ko) * 2021-06-15 2021-10-12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선택적 투시기능을 가지는 외장패널
GR20220100113A (el) * 2022-02-04 2023-09-08 Τριανταφυλλος Ιωαννη Αργυριου Μεθοδος αποτυπωσης εικονας με στιλβωτο εφε
GR1010627B (el) * 2022-03-17 2024-02-05 Τριανταφυλλος Ιωαννη Αργυριου Πλαισιο απο στιλβωτο εφε με ενσωματωμενη εικονα, κατασκευασμενη απο μεταλλο
US20240247864A1 (en) * 2023-01-24 2024-07-25 Whirlpool Corporation Cabinet for a refrigeration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601A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KR101132428B1 (ko) * 2009-12-09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713B2 (ja) * 1990-07-19 2000-09-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3389360B2 (ja) * 1994-01-18 2003-03-24 マツダ株式会社 光干渉材及びそれを含有する塗料
US8916234B2 (en) * 2008-05-15 2014-12-23 Basf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thin film structures and compositions thereof
US8917448B2 (en) * 2008-11-19 2014-12-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flective film combinations with output confinement in both polar and azimuthal directions and related constructions
CN201463442U (zh) * 2009-06-17 2010-05-12 东莞市奇声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冰箱
WO2011021829A2 (en) * 2009-08-18 2011-02-24 Lg Electronics Inc. Decorative film to be attached to outside surface of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32513B1 (ko) * 2009-08-19 2012-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및 외장패널이 구비된 가전기기
US20110223389A1 (en) * 2010-03-10 2011-09-15 Chun-Hsu Lin Decorat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ecorative molding article
CN202144128U (zh) * 2010-12-28 2012-02-15 苏州禾盛新型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真金属拉丝复合板材
CN102501465A (zh) * 2011-11-16 2012-06-20 江苏欧邦塑胶有限公司 仿铜复合膜
KR101376881B1 (ko) * 2012-06-22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601A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KR101132428B1 (ko) * 2009-12-09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28950B2 (en) 2015-05-12
EP2679387A1 (en) 2014-01-01
KR20140000747A (ko) 2014-01-06
US20130344307A1 (en) 2013-12-26
EP2679387B1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959B1 (ko)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KR101376881B1 (ko)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TWI459449B (zh) 觸控堆疊結構
US8622487B2 (en) Home appliance and washing machine
JP2016505420A (ja) 紫外線硬化樹脂を用いた金属外観効果を具現するインテリ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16005A1 (en) Home appliance, wash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ome appliance
CN110381688B (zh) 装饰膜片、壳体组件和电子设备
JP2014203335A (ja) タッチパネル用加飾カバー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3912376U (zh) 机壳结构
CN110370761A (zh) 装饰膜片及壳体组件和电子设备
CN110381687A (zh) 装饰膜片及壳体组件和电子设备
JP2014201027A (ja) タッチパネル用加飾カバー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9570916U (zh) 复合盖板
KR20190047971A (ko) 플랙시블 데코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3.4.차원 형상으,복곡률 구조의 윈도우 및 백카바 글라스 유닛
KR100986132B1 (ko) 장식용 시트지 및 그 제조방법과 그 패널
JP6051502B2 (ja) 成型用積層体
KR200414275Y1 (ko) 투명평판용 양면 인쇄장식지
CN114466542A (zh) 装饰件的制备方法、装饰件以及电子设备
TWM510474U (zh) 觸控面板結構
CN204242133U (zh) 触控装置的基底
CN220627035U (zh) 用于屏幕的装饰膜结构
KR101576785B1 (ko) 필름 형태의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31645Y1 (ko) 열접착성 금속 피복용 시트
KR20130130231A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50080Y1 (ko) 노트북용 스킨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