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3623B1 -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623B1
KR101383623B1 KR1020120123979A KR20120123979A KR101383623B1 KR 101383623 B1 KR101383623 B1 KR 101383623B1 KR 1020120123979 A KR1020120123979 A KR 1020120123979A KR 20120123979 A KR20120123979 A KR 20120123979A KR 101383623 B1 KR101383623 B1 KR 10138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und
hole
injection
str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신성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6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 등 도로 방호시설의 지주(支柱)(10)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통공(15)이 천공된 관상(管狀) 지주(10)를 지반에 관입하고, 지주(10) 내부에 반액반고상의 주입재를 주입하여 주변 지반에 침투시킨 후 양생함으로써, 지주(10) 주변에 방사상(放射狀)의 고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주입재의 주입 전 지주(10) 내부로 측방천공장치(30)를 투입하여 주변 지반에 통공(15)과 연결된 횡방향 침투공(29)을 형성함으로써, 주입재의 지반내 침투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도로 방호시설 지주(10)와 지반간 결속을 강화할 수 있으며, 특히 지반 특성이 불량하거나 충분한 근입장을 확보하기 관란한 지점에서도 방호시설 지주(10)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GROUTING TYPE FIXATION METHOD FOR GUARD RAIL POST}
본 발명은 가드레일 등 도로 방호시설의 지주(支柱)(10)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통공(15)이 천공된 관상(管狀) 지주(10)를 지반에 관입하고, 지주(10) 내부에 반액반고상의 주입재를 주입하여 주변 지반에 침투시킨 후 양생함으로써, 지주(10) 주변에 방사상(放射狀)의 고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주입재의 주입 전 지주(10) 내부로 측방천공장치(30)를 투입하여 주변 지반에 통공(15)과 연결된 횡방향 침투공(29)을 형성함으로써, 주입재의 지반내 침투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로 방호시설은 도로변 또는 도로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추락, 도로 이탈 또는 중앙선침범을 방지하는 구조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노선과 평행하게 지반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10)와 이 지주(10)에 고정되는 판상레일(19) 등으로 구성된다.
통상 금속제 관체(管體)로 제작되는 방호시설 지주(10)는 하부가 지반에 관입되고 상단부는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데, 연질 지반의 경우 타입(打入)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경질 지반의 경우 지반 천공장치 등을 통하여 수직 굴착공을 천공한 후 굴착공에 지주(10)를 압입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지주(10)의 지반내 관입부분에 작용하는 주면마찰력(柱面摩擦力) 외에는 일체의 저항력을 기대할 수 없는 구조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연약지반 또는 근입장(根入長) 확보가 곤란한 지점의 경우 지주(10)의 전도저항성 및 인발저항성이 심각하게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방호시설 지주(10)의 횡방향 저항성 부족은 차량 충돌시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대형 차량의 경우 실질적인 방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지주(10)를 조밀하게 설치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나, 과도한 공사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고 방호시설 설치지점의 경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방호시설의 지주(支柱)(10) 시공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통공(15)이 천공된 관상(管狀)의 지주(10)를 지반에 관입하는 관입단계(S10)와, 지주(10) 내부에 주입관(20)을 투입하고 주입관(20)으로 반액반고상의 주입재를 주입하여 지주(10)의 통공(15)을 통하여 분출된 주입재가 주변 지반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주입단계(S30)와, 지주(10) 주변 지반으로 침투된 주입재를 양생하고 지주(10) 상단에 지면 상부 시설물을 설치하는 양생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이자, 상기 관입단계(S10)는 지주(10) 설치 계획 지점에 굴착공을 천공하는 천공단계(S11)와, 천공된 굴착공에 다수의 통공(15)이 천공된 관상(管狀)의 지주(10)를 삽입하는 삽입단계(S12)로 이루어지거나, 지주(10) 설치 계획 지점에 다수의 통공(15)이 천공된 관상(管狀)의 지주(10)를 압입하는 압입단계(S13)와, 압입된 지주(10) 내부에 오거(27)를 투입하여 지주(10) 내부 토사를 제거하는 배토단계(S1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이다.
또한, 상기 관입단계(S10) 완료 후 주입단계(S30) 수행 전, 지주(10)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가지는 본체(31)에서 측방으로 스파이크(40)가 돌출되는 측방천공장치(30)를 지주(10) 내부로 투입하여, 돌출되는 스파이크(40)가 지주(10)의 통공(15)을 관통한 후 주변 지반에 횡방향 침투공(29)을 형성하도록 하는 측방천공단계(S20)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이자, 상기 측방천공장치(30)는 일 측면에 관통공(32)이 형성된 중공(中空)의 본체(31)와, 유체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유체압실린더로서 본체(31) 내부에 후단이 연결된 구동실린더(55)와, 구동실린더(55)의 선단에 설치되어 구동실린더(55)의 신축에 따라 본체(31) 내부에서 승강되고 내부에 경사홈(51)이 형성된 승강판(50)과, 후단부에 상기 승강판(50)의 경사홈(51)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41)가 설치되고 본체(31) 관통공(32)에 결합되는 봉상(棒狀)의 스파이크(spike)(40)로 구성되어, 구동실린더(55)의 신축 및 승강판(50)의 승강에 따라 로울러(41)가 경사홈(51)을 따라 주행하면서 스파이크(40)가 축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도로 방호시설 지주(10)와 지반간 결속을 강화할 수 있으며, 특히 지반 특성이 불량하거나 충분한 근입장을 확보하기 관란한 지점에서도 방호시설 지주(10)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다.
방호시설 지주(10)를 지반에 강력하게 결속함으로써, 전체 방호시설의 충돌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강우 침투 및 지하수 유동으로 인한 지반 연약화시에도 지주(10) 주변에 형성된 고결체에 의한 결착력 유지가 가능하여 방호시설의 구조적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호시설 지주(10)에 비하여 지주(10)당 충돌 저항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므로, 단위 구간별 소요 지주(10) 수(數)를 경감할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하고 경관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지주가 구성된 도로 방호시설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천공식 실시예 단계별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압입식 실시예 단계별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주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측방천공단계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단계별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방천공장치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측방천공장치 구동계통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측방천공장치 스파이크 결합방식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측방천공장치 작동방식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천공식 실시예 및 압입식 실시예에 대한 공정별 설명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통공(15)이 천공된 관상(管狀)의 지주(10)를 지반에 관입하되, 관입된 지주(10) 내부의 토사가 제거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관입단계(S10)로 개시된다.
관입단계(S10)는 방호시설 지주(10)의 설치 계획 지점 지반에 해당 지주(10)를 관입시킨 후, 후술할 주입재의 주입이 가능한 상태를 조성하는 단계로서, 계획 지점 지반의 특성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선 천공 후 삽입 방식에 의하여 시공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선 압입 후 배토(排土) 방식에 의하여 시공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지주(10) 설치 계획 지점이 경질 지반일 경우 지반 천공장치를 통하여 굴착공을 천공하는 천공단계(S11)를 수행한 후, 천공된 굴착공에 다수의 통공(15)이 천공된 관상(管狀)의 지주(10)를 삽입하는 삽입단계(S12)를 수행함으로써 관입단계(S10)를 완료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지주(10) 설치 계획 지점이 연질 지반일 경우 다수의 통공(15)이 천공된 관상(管狀)의 지주(10)를 유압 해머 등을 통하여 압입하는 압입단계(S13)를 수행한 후, 압입된 지주(10) 내부에 오거(auger)(27)를 투입하여 지주(10) 내부 토사를 제거하는 배토단계(S14)를 수행함으로써 관입단계(S10)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천공단계(S11)의 수행에 있어서, 사전 천공되는 굴착공의 직경은 삽입되는 지주(10)의 외경보다 소폭 작게 형성함으로써, 일층 견고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관입단계(S10)가 완료된 후에는 지주(10) 내부에 주입관(20)을 투입하고 주교(注膠, grouting)를 실시하는 단계 즉, 주입관(20)으로 반액반고상의 주입재를 주입하여 지주(10)의 통공(15)을 통하여 분출된 주입재가 주변 지반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주입단계(S30)가 실시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 구축된 주입재 혼합기 및 압송장치 등의 주교설비와 지주(10) 내부로 투입되는 주입관(20)이 압력 호스로 연결되어 시멘트밀크(cement milk) 또는 물유리(water glass) 등의 반액반고상 주입재를 지주(10) 내부로 주입하게 되며, 이때 주입관(20)에는 압축공기 등에 의하여 팽창되는 패커(packer)(25)가 설치되어 주입관(20)내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듯, 패커(25)에 의하여 기밀상태가 유지된 지주(10) 내부로 반액반고상 주입재가 주입되면, 주입된 주입재는 통공(15)을 통하여 주변 지반으로 분출되며, 분출된 주입재는 지반내 절리 또는 공극을 따라 침투, 확산된다.
주입단계(S30)에서 지반으로 침투, 확산된 주입재는 양생단계(S40)에서 양생되어 방사상(放射狀)의 소일시멘트(soil cement) 고결체를 형성하게 되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양생이 완료되면 지주(10) 상단에 판상레일(19) 등의 지면 상부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이 적용된 방호시설물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주(10) 주변에 형성되는 소일시멘트 고결체의 형상은 해당 지반의 특성과 지주(10)에 천공된 통공(15)의 위치 및 수(數)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시공 지점의 지반특성 및 소요 충돌 저항력 등을 고려하여, 도 4에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지주(10)를 선택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공극이나 절리가 발달하지 않아 주입재의 충분한 침투가 곤란한 지반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지주(10)의 통공(15)과 연결된 횡방향 침투공(29)을 주변 지반에 형성함으로써, 주입재의 침투를 촉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관입단계(S10) 완료되고, 주입단계(S30)가 수행되기 전에, 지주(10)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가지는 본체(31)에서 측방으로 스파이크(40)가 돌출되는 측방천공장치(30)를 지주(10) 내부로 투입하여, 돌출되는 스파이크(40)가 지주(10)의 통공(15)을 관통한 후 주변 지반에 횡방향 침투공(29)을 형성하도록 하는 측방천공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이다.
도 5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측방천공장치(30)는 백호(back hoe) 등의 건설장비에 장착되어 지주(10) 내부로 투입되며, 측방 즉, 수평방향으로 스파이크(40)가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여기서 스파이크(40)는 지반에 신속하게 압입될 수 있도록 선단부가 예리하게 가공된 소형 봉체(棒體)로서 지상에서의 조작에 따라 축방향 전진 및 후퇴가 반복되면서 지주(10)의 통공(15)을 관통하여 주변 지반에 횡방향 침투공(29)을 천공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방천공장치(30)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측방천공장치(30)는 일 측면에 관통공(32)이 형성된 중공(中空)의 본체(31)와, 유체압에 의하여 신축(伸縮)되는 유체압실린더로서 본체(31) 내부에 후단이 연결된 구동실린더(55)와, 구동실린더(55)의 선단에 설치되어 구동실린더(55)의 신축에 따라 본체(31) 내부에서 승강되고 내부에 경사홈(51)이 형성된 승강판(50)과, 후단부에 상기 승강판(50)의 경사홈(51)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41)가 설치되고 본체(31) 관통공(32)에 결합되는 봉상(棒狀)의 스파이크(spike)(40)로 구성된다.
즉, 중공의 원통형 본체(31)에 구동실린더(55) 및 승강판(50) 등이 내장되고, 스파이크(40)는 본체(31)에 형성된 관통공(32)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되면서, 본체(31) 외측으로의 돌출 및 본체(31) 내측으로의 수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파이크(40) 후단부에는 자유롭게 회전되는 로울러(41)가 설치되는데, 도 7에서와 같이, 스파이크(40)의 로울러(41)는 승강판(50) 내부에 절개 형성된 경사홈(51)에 결합되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50)의 상단부는 구동실린더(55)와 연결되어 구동실린더(55)가 신축됨에 따라 승강판(50)도 동반 승강된다.
본 발명의 측방천공장치(30)에 있어서 구동실린더(5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압(空壓) 또는 유압(油壓) 등의 유체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체압실린더인데, 본 발명과 같은 건설공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건설장비로부터 공압 또는 유압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유체압의 발생을 위한 과도한 추가 장비 또는 시설의 구축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파이크(40)는 관통공(32)에 결합되어 축방향 이외의 운동은 억제되는 상태라 할 수 있으나, 제한된 관통공(32) 내주면을 통한 스파이크(40)의 요동 억제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도 8에서와 같이, 본체(31)의 내부에 본체(31)를 횡단하는 유도봉(33)을 설치하고, 유도봉(33)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는 관체(管體)로 스파이크(40)를 제작하여 스파이크(40)가 유도봉(33)에 결합된 상태로 축방향 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스파이크(40)의 불필요한 요동을 억제하고 축방향 전후진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렇듯, 승강판(50)내 경사홈(51)에 결합되어 승강판(50) 승강시 경사홈(51)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41)가 후단부에 설치되고, 관통공(32) 및 유도봉(33)에 의하여 축방향 이외의 운동이 억제되는 스파이크(40)의 작동상태가, 도 9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구동실린더(55)가 완전히 수축되어 승강판(50)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스파이크(40)가 후퇴되어 본체(31) 내부에 수납된다.
이후, 구동실린더(55)가 신장되어 승강판(50)이 하강하게 되면, 로울러(41)가 경사홈(51)을 따라 주행하고, 축방향 이외의 운동이 억제된 스파이크(40)는 전진하여 본체(31)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실린더(55)가 수축하면 전술한 스파이크(40)의 돌출시와 역방향의 운동이 발생되어 스파이크(40)가 본체(31) 내부로 후퇴, 수납된다.
10 : 지주
15 : 통공
19 : 판상레일
20 : 주입관
25 : 패커(packer)
27 : 오거(auger)
29 : 침투공
30 : 측방천공장치
31 : 본체
32 : 관통공
33 : 유도봉
40 : 스파이크(spike)
41 : 로울러
50 : 승강판
51 : 경사홈
55 : 구동실린더
S10 : 관입단계
S11 : 천공단계
S12 : 삽입단계
S13 : 압입단계
S14 : 배토단계
S20 : 측방천공단계
S30 : 주입단계
S40 : 양생단계

Claims (5)

  1. 방호시설의 지주(支柱)(10) 시공방법으로서, 다수의 통공(15)이 천공된 관상(管狀)의 지주(10)를 지반에 관입하는 관입단계(S10)와, 지주(10) 내부에 주입관(20)을 투입하고 주입관(20)으로 반액반고상의 주입재를 주입하여 지주(10)의 통공(15)을 통하여 분출된 주입재가 주변 지반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주입단계(S30)와, 지주(10) 주변 지반으로 침투된 주입재를 양생하고 지주(10) 상단에 지면 상부 시설물을 설치하는 양생단계(S40)로 이루어지는 방호시설의 지주(10)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입단계(S10) 완료 후 주입단계(S30) 수행 전,
    지주(10)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가지는 본체(31)에서 측방으로 스파이크(40)가 돌출되는 측방천공장치(30)를 지주(10) 내부로 투입하여, 돌출되는 스파이크(40)가 지주(10)의 통공(15)을 관통한 후 주변 지반에 횡방향 침투공(29)을 형성하도록 하는 측방천공단계(S20)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방천공장치(30)는
    일 측면에 관통공(32)이 형성된 중공(中空)의 본체(31)와;
    유체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유체압실린더로서 본체(31) 내부에 후단이 연결된 구동실린더(55)와;
    구동실린더(55)의 선단에 설치되어 구동실린더(55)의 신축에 따라 본체(31) 내부에서 승강되고 내부에 경사홈(51)이 형성된 승강판(50)과;
    후단부에 상기 승강판(50)의 경사홈(51)을 따라 주행하는 로울러(41)가 설치되고 본체(31) 관통공(32)에 결합되는 봉상(棒狀)의 스파이크(spike)(40)로 구성되어, 구동실린더(55)의 신축 및 승강판(50)의 승강에 따라 로울러(41)가 경사홈(51)을 따라 주행하면서 스파이크(40)가 축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23979A 2012-11-05 2012-11-05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 Active KR10138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979A KR101383623B1 (ko) 2012-11-05 2012-11-05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979A KR101383623B1 (ko) 2012-11-05 2012-11-05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623B1 true KR101383623B1 (ko) 2014-04-17

Family

ID=50657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979A Active KR101383623B1 (ko) 2012-11-05 2012-11-05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6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958B1 (ko) * 1994-10-28 1998-05-15 임성철 지반 강화 매립말뚝공법
JP2009215808A (ja) * 2008-03-11 2009-09-24 Nippon Steel Corp 鋼管杭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90124890A (ko) * 2008-09-22 2009-12-03 피에스엔지니어링(주)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직천공 그라우팅용 나선형 강관파일 및이의 이용방법
KR20110052338A (ko) * 2009-11-12 2011-05-18 임철 강관 말뚝을 이용한 절개지 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958B1 (ko) * 1994-10-28 1998-05-15 임성철 지반 강화 매립말뚝공법
JP2009215808A (ja) * 2008-03-11 2009-09-24 Nippon Steel Corp 鋼管杭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90124890A (ko) * 2008-09-22 2009-12-03 피에스엔지니어링(주)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직천공 그라우팅용 나선형 강관파일 및이의 이용방법
KR20110052338A (ko) * 2009-11-12 2011-05-18 임철 강관 말뚝을 이용한 절개지 옹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5577B (zh) 一种新的桩基托换的结构与方法
KR100776304B1 (ko) 그라우팅 구멍이 다수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관의내부에 다수개의 패커를 설치한 직천공 동시 주입장치 및이를 이용한 직천공그라우팅시공방법
KR20090100867A (ko) 도로의 지하차도 시공을 위한 유닛강관 굴착장치및시공방법
CN109026025B (zh) 用于施工隧道联络通道的顶管支撑与顶进系统
KR101416864B1 (ko) 스크류파일
KR20130024944A (ko) 스크류파일
JP5100512B2 (ja) 既存杭の引き抜き方法
KR101064340B1 (ko) 경사지 붕괴 방지공법
KR101383623B1 (ko) 방호시설 지주의 주교식 시공방법
KR101859259B1 (ko) 매입 중공파일의 주면 마찰력 증대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3230213U (ja) 落石防止柵支柱用の削孔装置
CN109026052B (zh) 用于施工隧道联络通道的顶管始发架角度调节装置
JP2005120622A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KR101872327B1 (ko) 강관을 이용한 수직구 긴급 시공을 이용하여 수직구-수평구로 이루어진 지중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직구-수평구로 이루어진 지중구조물
KR100996295B1 (ko) 강관압입장치와 이를 이용한 강관압입공법 및 그라우팅공법
KR100449002B1 (ko) 비굴착식 소구경 터널 굴진공법 및 그 장치
JP2015224470A (ja) 盛土の安定化工法
KR101487312B1 (ko) 지중굴착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지중터널굴착공법
JP5649755B1 (ja) 鋼管杭構造
KR101224440B1 (ko) 스크류파일 시공방법
KR20120126704A (ko) 스크류파일 시공방법
KR20180062669A (ko) 내진 및 지반강화용 마이크로파일 성형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내진 및 지반강화용 마이크로파일
KR101414053B1 (ko) Phc 말뚝의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의 두부 보강방법
JP4322796B2 (ja) 地山の補強方法
JP2011252319A (ja) 地山補強土工法用の補強材、地山補強土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