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287B1 -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3287B1 KR101383287B1 KR1020120091104A KR20120091104A KR101383287B1 KR 101383287 B1 KR101383287 B1 KR 101383287B1 KR 1020120091104 A KR1020120091104 A KR 1020120091104A KR 20120091104 A KR20120091104 A KR 20120091104A KR 101383287 B1 KR101383287 B1 KR 1013832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wheel
- weight
- horizontal
- horizontal platform
- columnar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185—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erecting wind turb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둥구조물(100)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제1도르래 휠(51)이 구비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레일설치 프레임(20)과;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에 의해 기둥구조물(100)의 최상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2도르래 휠(52)과 제3도르래 휠(53)이 구비되어 있는 수평레일(3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윈치장치(40)와; 상기 윈치장치(40)에 일단이 감겨있으며 타단은 제1도르래 휠(51)과 제2도르래 휠(52)과 제3도르래 휠(53)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인양대상의 중량물(M)과 결합되는 인양케이블(50)을 포함하여 구성된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타워크레인을 설치하여 중량물을 기둥구조물의 상단으로 인상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기둥구조물의 상부로 중량물을 인양하는 개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가 해상에 설치된 기둥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 3의 원 B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기둥구조물의 상부로 중량물을 인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0: 수평플랫폼
20: 레일설치 프레임
30: 수평레일
40: 윈치장치
50: 인양케이블
Claims (5)
- 수위 높이 이상의 위치에서 중공형의 기둥구조물(100) 상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중량물(M)이 인양되는 쪽과 반대되는 쪽의 기둥구조물(100)의 외부 위치에 제1도르래 휠(51)이 구비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위쪽에 설치되는 레일설치 프레임(20)과;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에 결합되어 기둥구조물(100)의 최상단과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플랫폼(1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도르래 휠(51)과 연직한 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는 일측에는 제2도르래 휠(52)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3도르래 휠(53)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평레일(3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윈치장치(40)와;
상기 윈치장치(40)에 일단이 감겨있으며 타단은 기둥구조물(100)을 관통하여 연장된 후 제1도르래 휠(51)을 지나면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후속하여 제2도르래 휠(52)을 지나면서 수평방향으로 진행하여 연장된 후, 제3도르래 휠(53)을 지나면서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여 인양대상의 중량물(M)과 결합되는 인양케이블(50)을 포함하며;
기둥구조물(100)의 상부에 상기 수평플랫폼(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윈치장치(40)의 인양케이블(50) 당김에 의해 중량물(M)이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높이 이상으로 인양되면, 제3도르래 휠(53)이 수평레일(30)을 따라 이동하여 중량물(M)을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위쪽으로 이송하고, 상기 중량물(M)을 하강시켜 기둥구조물(100)의 상단부 위에 설치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르래 휠(51)이 설치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의 일측에는 균형을 잡기 위한 균형 중량추(60)가 상기 수평플랫폼(10)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은, 하단이 상기 수평플랫폼(10)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직부재(21)와, 상기 연직부재(21)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수평레일(30)이 결합되는 수평연결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 수위 높이 이상의 위치에서 중공형의 기둥구조물(100) 상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중량물(M)이 인양되는 쪽과 반대되는 쪽의 기둥구조물(100)의 외부 위치에는 제1도르래 휠(51)이 구비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위쪽에 설치되는 레일설치 프레임(20)과, 상기 레일설치 프레임(20)에 결합되어 기둥구조물(100)의 최상단과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플랫폼(1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도르래 휠(51)과 연직한 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는 일측에는 제2도르래 휠(52)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3도르래 휠(53)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평레일(30)과, 상기 수평플랫폼(10)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구조물(100)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윈치장치(40)와, 상기 윈치장치(40)에 일단이 감겨있으며 타단은 제1도르래 휠(51)과 제2도르래 휠(52)과 제3도르래 휠(53)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인양대상의 중량물(M)과 결합되는 인양케이블(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중량물 이송장치(1)를 기둥구조물(100)의 상부에서 상기 수평플랫폼(10)이 결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인양케이블(50)의 일단이 상기 윈치장치(40)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인양케이블(50)의 타단이 기둥구조물(100)을 관통하여 연장된 후 제1도르래 휠(51)을 지나면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후속하여 제2도르래 휠(52)을 지나면서 수평방향으로 진행하여 연장된 후, 제3도르래 휠(53)을 지나면서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여 인양대상의 중량물(M)과 결합되도록 인양케이블(5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윈치장치(40)를 작동시켜 상기 인양케이블(50)을 당겨서 중량물(M)이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이상의 높이로 인양하는 단계;
수평레일(30)을 따라 상기 제3도르래 휠(53)을 이동시켜 상기 중량물(M)을 기둥구조물(100)의 상단 위쪽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양케이블(50)을 늘어뜨려서 상기 중량물(M)을 하강시켜 기둥구조물(100)의 상단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르래 휠(51)이 설치되어 있는 수평플랫폼(10)의 일측에는 균형을 잡기 위한 균형 중량추(60)가 상기 수평플랫폼(10)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량물(M)을 인양하고 수평이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균형 중량추(60)를 수평플랫폼(10)을 따라 이동시켜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104A KR101383287B1 (ko) | 2012-08-21 | 2012-08-21 |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104A KR101383287B1 (ko) | 2012-08-21 | 2012-08-21 |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5630A KR20140025630A (ko) | 2014-03-05 |
KR101383287B1 true KR101383287B1 (ko) | 2014-04-10 |
Family
ID=5064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11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3287B1 (ko) | 2012-08-21 | 2012-08-21 |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328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500B1 (ko) * | 2019-02-07 | 2019-07-11 | 채봉철 | 풍력 발전기 설치,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72959B (zh) * | 2020-02-07 | 2024-05-28 | 清华大学 | 一种水中结构物平衡装置及方法 |
NO346616B1 (en) * | 2020-12-11 | 2022-10-31 | Nekkar Asa | A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balancing a travelling car for installation of at least a part of a wind turbine |
NO346886B1 (en) * | 2021-07-07 | 2023-02-13 | Nekkar Asa | Wind turbine tower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0195Y1 (ko) * | 2001-12-26 | 2002-03-28 | 황재희 | 이동식 평형추를 가진 타우어 크레인 |
JP2007187025A (ja) * | 2006-01-11 | 2007-07-26 | Komai Tekko Kk | 風力発電装置の設置機構及び設置方法 |
KR20090103555A (ko) * | 2008-03-28 | 2009-10-01 | 주식회사 디엠에스 | 풍력 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
KR20100026869A (ko) * | 2008-09-01 | 2010-03-1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풍력터빈설비의 유지 보수 시스템 |
-
2012
- 2012-08-21 KR KR1020120091104A patent/KR10138328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0195Y1 (ko) * | 2001-12-26 | 2002-03-28 | 황재희 | 이동식 평형추를 가진 타우어 크레인 |
JP2007187025A (ja) * | 2006-01-11 | 2007-07-26 | Komai Tekko Kk | 風力発電装置の設置機構及び設置方法 |
KR20090103555A (ko) * | 2008-03-28 | 2009-10-01 | 주식회사 디엠에스 | 풍력 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
KR20100026869A (ko) * | 2008-09-01 | 2010-03-1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풍력터빈설비의 유지 보수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500B1 (ko) * | 2019-02-07 | 2019-07-11 | 채봉철 | 풍력 발전기 설치,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WO2020162665A1 (ko) * | 2019-02-07 | 2020-08-13 | 채봉철 | 풍력 발전기 설치,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5630A (ko) | 2014-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72143B1 (en) | Device and method for erecting at sea a large slender body, such as the monopile of a wind turbine | |
KR101266913B1 (ko) | 해상 풍력발전 시설의 시공방법 | |
KR101411934B1 (ko) |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 |
EP2641825B1 (en) | Ship for installing offshore wind turbines, and method for installing offshore wind turbines using same | |
KR102033794B1 (ko) | 해상 풍력 터빈용 토대, 그 해상 풍력 터빈 및 그 설치 방법 | |
KR20120047740A (ko) | 갑판승강식작업대선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시설의 시공방법 | |
KR101790970B1 (ko) | 육상에서 조립한 해상풍력발전기의 해상에서의 설치방법 | |
EP2387528A2 (en) | Submersible platform with blocked thrust for offshore wind plants in open sea in concrete-steel hybrid solution | |
KR101383287B1 (ko) | 해상기둥구조물에서의 중량물 이송방법 및 이를 위한 중량물 이송장치 | |
US8888410B2 (en) | Modular heavy lift system | |
KR20150018338A (ko) |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 |
EP3260604B1 (en) | Method of mounting an add-on to a base construction, and a device therefor | |
JP5555272B2 (ja) | 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 |
KR101297669B1 (ko) |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전용선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 |
AU2010250147B2 (en) | Method for installing a topside module on an offshore support structure | |
JP2021076043A (ja) | 洋上風車の据付方法 | |
KR20150009414A (ko) | 해상 풍력발전기를 안벽에서 조립하는 방법 | |
KR20150011296A (ko) |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 |
US20250010961A1 (en) | Installation for the load-out into the water of a heavy load | |
NL1037214C2 (nl) | Werkmethode en hefplatformuitvoering om fundaties e.d. in woelige zee te plaatsen. | |
KR20150006761A (ko) |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 |
KR20160001339A (ko) | 중량물 리프팅 장치를 구비한 부유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