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931B1 - Bottle opener by using one hand - Google Patents
Bottle opener by using one h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2931B1 KR101382931B1 KR1020130015955A KR20130015955A KR101382931B1 KR 101382931 B1 KR101382931 B1 KR 101382931B1 KR 1020130015955 A KR1020130015955 A KR 1020130015955A KR 20130015955 A KR20130015955 A KR 20130015955A KR 101382931 B1 KR101382931 B1 KR 1013829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sp
- bottle
- handle
- main body
- insertion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19300 CLIPPER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1930 chronic lymphocytic inflammation with pontine perivascular enhancement responsive to steroid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 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 는 하부에 병 주둥이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구된 삽입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하단을 둘러싸서 병 주둥이부를 감싸기 위한 고정고리를 포함하며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뚫린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 외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하부 손잡이와, 상기 하부 손잡이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뒤쪽 부분과 상하 방향으로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상기 본체와의 힌지 결합된 부위로부터 앞쪽으로 더 돌출된 부분인 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부의 전단부가 상기 삽입공간보다 위쪽에 있는 공간에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부 손잡이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걸쇠봉으로서 상기 걸쇠봉은 상기 작동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상부 손잡이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따라 상기 본체의 가이드 구멍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쇠봉은 상기 삽입공간의 가장자리쪽에 위치하며 상기 걸쇠봉의 하단부에는 병뚜껑의 가장자리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쇠봉의 둘레에는 플랜지부가 구비되는 걸쇠봉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걸쇠봉의 플랜지부 사이에 탄설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병 주둥이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병뚜껑을 상기 걸이홈에 건 다음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를 쥐고 상기 상부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작동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걸쇠봉을 끌어올려 상기 걸이홈에 걸린 병뚜껑이 따지고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를 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쇠봉이 내려오면서 상기 상부 손잡이가 원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 opener with one hand, the bottl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with an opening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bottle spout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and surrounds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space. A main body including a fixing ring for enclosing the upper part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upper part thereof, a lower handle protruding rearward from an outside of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above the lower handle and above and below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It is hinged to enable the hinge movement in the direction and including the operat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further protruding forward from the hinged portion with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in the space above the insertion space of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handle and the guide hole inside the body The clasp bar extends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clasp bar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hole of the main body as the upper handle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combination with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part. Located in the edge of the insertion space and the lower end of the clasp bar is formed with a hook groove so that the bottom edge of the bottle cap can be fitted and the clasp rod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around the clasp bar and between the body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clasp ba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inserting the bottle spout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hanging the bottle cap to the hook groove and holding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nd pressing the upper handle while the operating portion is raised the clasp To the hook groove When lean Bottle After all, this removes the force holding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by the resiliency of the spring rod, coming down the la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handle in place.
Description
본 고안은 병따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손 장애인이나 어린이, 노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한 손만을 사용하여 병뚜껑을 딸 수 있는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 ope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ttle opener that can open a bottle cap using only one hand that can be used safely and conveniently by a handicapped person,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도 1에 도시된 유리로 된 음료수나 주류의 병뚜껑을 따는 병따개는 손잡이와 병뚜껑을 거는 쇠붙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병뚜껑의 윗부분에 지레 원리의 받침점이 위치하고 손잡이를 들어올리면 손잡이와 받침점 사이에 위치한 아래 걸림부에 병뚜껑의 조임부가 걸려서 병이 따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bottle opener, which takes the bottle cap of the beverage or liquor made of glass shown in FIG. 1, is composed of a handle and a metal fitting part for hanging the bottle cap, and a support point of the lever principle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cap, and the handle and the support point are rais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support point. The fastening part of the bottle cap is hooked to the lower locking part located so that the bottle is opened.
이와 같은 병따개가 병을 따는 원리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으며, 손잡이를 병뚜껑보다 아래에서 걸어 들어올리면서 따는 방법과 병뚜껑보디 높은 쪽에서 병뚜껑을 걸어서 손잡이를 누르면서 따는 방식이 가능하다. 이 두 방법에서의 문제점은 병을 한 손으로 강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힘을 주어야 한다는 점이고, 어린이나 노약자는 병을 따면서 병을 넘어뜨리거나 잘 따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The principle of the bottle opener is to use the principle of lever, and it is possible to pick up while lifting the handle from the top of the bottle cap and to press the handle by pulling the handle from the top of the bottle cap body. The problem with these two methods is that you must give strength while holding the bottle strongly with one hand, and children or the elderly have a disadvantage that they do not fall down or pick up the bottle.
특히 한 손 사용만 가능한 장애인의 경우에는 병을 고정하는 손이 없어서 병을 따기 힘들어 허벅지 사이에 병을 끼우고 따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disabled person who can use only one hand, it is difficult to pick up a bottle because there is no hand to fix the bottle,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it is necessary to sandwich the bottle between thighs and get help from another person.
도 2에 도시된 것은 손톱깎이나 다른 도구에 장착되어 병을 딸 수 있게 고안된 구조를 가지며 병뚜껑이 들어가는 홈 부분과 병뚜껑의 조임부가 걸리는 걸쇠로 구성되어 있으며 손톱깎이, 가위, 열쇠고리 등 다양한 도구에 아래의 구조가 결합된다.2 has a structure designed to open a nail clipper or other tool to open the bottle, and consists of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bottle cap enters and a clasp that catches the cap of the bottle cap, and includes a variety of tools such as nail clippers, scissors, and a key ring. The following structures are combined.
이러한 병따개는 독립적인 물품이 아니라 필수 생활용품에 병따개의 원리만 결합하여 병따개를 따로 찾지 않아도 병을 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다른 생활용품에 결합함으로써 손잡이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힘점의 거리가 받침점과 가까워져 원래의 병따개보다 힘이 더 많이 들어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병따개도 한 손으로 병을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 병을 따야 하기 때문에 한 손만 사용 가능한 장애인은 사용이 불편하다.Such a bottle open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n the bottle without looking for the bottle opener by combining the principle of the bottle opener to essential necessities, not an independent article. However, by combining with other household items, the length of the handle tends to be shorter, which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orce points is closer to the support point, and the forc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riginal bottle opener. Because you have to pick up the bottle, the disabled can use only one hand.
또한, 상기 병따개 외에도 병따개의 모양이 벽이나 테이블에 부착되어 있고 병뚜껑을 그 홈에 밀어 넣어서 병을 움직여 병을 따는 방식의 고정식 병따개도 있는데, 한 손을 사용해서 병을 따는 것은 가능하지만 병을 따고 나서 병이 기울어져 음료가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단점이 있고, 이동이 불가능하여 병을 가지고 와서 병을 따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o the bottle opener, the shape of the bottle opener is attached to a wall or a table, and there is a fixed bottle opener in which the bottle is pushed into its groove to move the bottle to open the bottle. After picking up, the bottle is tilted and drinks are spilled out, and there is a inconvenienc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move and bring the bottle to pick it up.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한 손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어린이, 노약자가 가정에서 음료수 병의 뚜껑을 따는 데 있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손만을 사용하여 병뚜껑을 딸 수 있는 병따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one hand so that one hand or handicapped, children, senior citizens can safely and conveniently use to remove the lid of the beverage bottle at ho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ottle opener that can open the bottle cap.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는 하부에 병 주둥이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구된 삽입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하단을 둘러싸서 병 주둥이부를 감싸기 위한 고정고리를 포함하며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뚫린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 외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하부 손잡이와, 상기 하부 손잡이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뒤쪽 부분과 상하 방향으로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상기 본체와의 힌지 결합된 부위로부터 앞쪽으로 더 돌출된 부분인 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부의 전단부가 상기 삽입공간보다 위쪽에 있는 공간에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부 손잡이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걸쇠봉으로써 상기 걸쇠봉은 상기 작동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상부 손잡이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따라 상기 본체의 가이드 구멍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쇠봉은 상기 삽입공간의 가장자리쪽에 위치하며 상기 걸쇠봉의 하단부에는 병뚜껑의 가장자리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쇠봉의 둘레에는 플랜지부가 구비되는 걸쇠봉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걸쇠봉의 플랜지부 사이에 탄설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병 주둥이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병뚜껑을 상기 걸이홈에 건 다음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를 쥐고 상기 상부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작동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걸쇠봉을 끌어올려 상기 걸이홈에 걸린 병뚜껑이 따지고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를 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쇠봉이 내려오면서 상기 상부 손잡이가 원위치한다.The bottle opener with on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with an opening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bottle spout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and surrounding the bottom of the insertion space to surround the bottle spout. A main body including a fixing ring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top thereof, a lower handle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above the lower handle and hing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An upper handle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a space above the insertion space, including an operating part hinged to allow movement and an operation part that protrudes further forward from the hinged part of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penetrating the guide hole inside the main body The latch rod is extended to the latch rod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hole of the main body as the upper handle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ch rod is the insertion space Is located on the edge of the latch bar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bottle cap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bottle cap can be fitted and the clasp bar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around the clasp bar and springs that are coalesced between the body and the flange of the clasp ba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bottle spou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the bottle cap to the hook groove, and then holding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nd pressing the upper handle pulls the latch rod while the operating portion is raised Put the bottle cap caught in the hanger groove When this force is removed,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re removed, and the clasp is lower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the upper handl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 한쪽 가장자리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걸쇠봉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하고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서 상기 걸쇠봉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운동하는 고정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slide groo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clasp bar and the lower end is fitted into the slide groove guided by the slide groov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lasp ba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ed hanger to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걸쇠봉은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일체로 형성된 걸쇠봉 받침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lasp ba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contact the clasp bar suppo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surrounding the insertion spa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에 의하면 한 손만 사용 가능한 장애인도 사용 가능하고, 병을 딸 때 항상 한 손으로 병을 잡고 한 손으로 병따개를 잡아야 하는 것과 같이 두 손을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어린이나 여성, 노약자의 경우 병을 쉽게 딸 수 있고, 병을 따면서 병을 엎지르거나 음료를 흘리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ne-handed bottle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even disabled people who can use only one hand, and when you open the bottle, you have to use both hands as you must always hold the bottle with one hand and hold the bottle opener with one hand. It can eliminate the hassle of having to do it, and children, women, and the elderly can easily take the bottle and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mistake of spilling a bottle or spilling a drink while picking a bottle.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병따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의 사용 상태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le ope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ottle opener with on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bottle opener with on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an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le opener in on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는 본체(100), 하부 손잡이(200), 상부 손잡이(300), 걸쇠봉(400), 스프링(500) 및 고정걸이(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Bottle opener with on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본체(100)는 전단부와 후단부 및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는 중간부를 제외하고 내부에 빈 공간이 많이 형성되는데, 이 중에서 아래쪽의 빈 공간은 병 주둥이가 삽입되는 공간이므로 삽입공간(110)이라고 명명한다.The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삽입공간(110)에 삽입된 병 주둥이를 감쌀 수 있게 원형의 고리인 고정고리(120)가 구비된다. 고정고리(12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삽입공간(110)과 통한다.The lower end of the
본체(100)의 상단부 및 본체(100)의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는 중간부에는 각각 걸쇠봉(4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원형의 가이드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Circular guide 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걸쇠봉(4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원형 봉으로서, 본체(100)의 가이드 구멍들을 관통하고 있어서 가이드구멍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된다.
하부 손잡이(200)는 본체(100)의 상하 중간부의 후면부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길게 돌출된 부분으로서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움직이지 않는 부분이다.The
상부 손잡이(300)는 본체(100)와 하부 손잡이(200)의 연결 부분에 구비된 수평 방향으로 뻗은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의 힌지 운동이 가능하고, 하부 손잡이(200)의 위쪽에 위치하여 상부 손잡이(300)와 하부 손잡이(200)가 가위의 손잡이처럼 서로에 대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부 손잡이(200)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손잡이(300)만 위아래로 이동하면서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한다.The
상부 손잡이(300) 중 힌지 결합된 부위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어 본체(100)의 상부에 있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작동부(310)라고 명명한다.The portion of the
걸쇠봉(400) 중 본체(100)의 상부 내부공간에 있는 부분의 둘레에는 플랜지부(4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플랜지부(420)는 상부 손잡이(300)의 작동부(310)와 텝합되어 있어서 상부 손잡이(30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시소 운동에 따라 작동부(3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손잡이(300)와 연결된 걸쇠봉(400)도 위아래로 움직이게 된다.The
한편, 스프링(500)은 본체(100)의 상단부 하면과 걸쇠봉(400)의 플랜지부(420) 사이에 탄설되어 상부 손잡이(300)를 잡고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링(500)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500)이 걸쇠봉(400)의 플랜지부(420)를 눌러서 상부 손잡이(300)의 후단부가 위쪽 방향으로 최대한 상승한 상태로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본체(100) 하부의 내부 공간인 삽입공간(100)에는 걸쇠봉(400)의 아래쪽 부분이 위치하는데, 걸쇠봉(400)은 삽입공간(100)의 앞쪽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걸쇠봉(400)은 삽입공간(110)의 앞쪽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걸쇠봉받침(130)과 맞닿는데 걸쇠봉받침(130)은 걸쇠봉(400)이 수직 방향으로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The lower portion of the
걸쇠봉(400)의 하단부의 후방부에는 두 개의 걸이홈(410)이 구비된다. 걸이홈(41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병뚜껑(700)이 걸이홈(410)에 걸린 상태에서 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갈고리 형태와 같이 병뚜껑(700)에 걸리게 되는 부분이 위쪽으로 약간 날카롭게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Two
본체(100)의 상부 전단부의 가장자리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슬라이드홈(140)이 형성된다. 고정걸이(600)는 상단부는 걸쇠봉(400)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하고 하단부는 슬라이드홈(140)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걸쇠봉(40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슬라이드홈(140)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운동한다. 고정걸이(600)도 가이드구멍과 걸쇠봉받침(130)과 함께 걸쇠봉(400)이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직선 방향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구성이다.A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bottle opener with on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병뚜껑(700)이 있는 병 주둥이를 끼우기 위한 원형 구멍을 가진 고정고리(120)에 병을 지면에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병 주둥이를 끼우면 병뚜껑(700)이 고정고리(120)를 관통하여 걸쇠봉(400)의 걸이홈(410)에 닿아서 걸리게 된다. 이때 상부 손잡이(300) 및 하부 손잡이(200)를 한 손으로 잡고 쥐는 힘을 가하면 상부 손잡이(300)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면서 지레의 원리가 작동하며, 이로써 지레의 받침점인 상부 손잡이(300)의 힌지축을 축으로 하여 지레의 힘점을 가진 작동부(31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310)와 연결되어 힘을 전달하기 위한 플랜지부(420)는 스프링(500)을 압축시키는 것과 동시에 걸쇠봉(400)을 위로 올려서 걸쇠봉(400)에 걸린 병뚜껑(700)을 병의 뒤쪽으로 끌어 올리게 된다. 상승하는 걸쇠봉(400)은 이동 경로를 잡아주는 가이드구멍에 의해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부 손잡이(300)를 밀어내린 힘을 해소하면 스프링(500)의 힘에 의해 걸쇠봉(400)은 다시 하강하여 재장전된다.When the bottle is inserted into the bottle holder in a state in which the bottle is vertically placed on the ground with a circular hole for fitting the bottle spout with the
이때 걸쇠봉(400)은 고정걸이(600)와 고정걸이(600)의 이동경로를 고정하는 슬라이드홈(140)에 의해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병뚜껑(700)을 끌어 올릴때 걸쇠봉받침(130)은 걸쇠봉(400)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to which the amendment is attached.
100: 본체 110: 삽입공간
120: 고정고리 130: 걸쇠봉받침
140: 슬라이드홈 200: 하부손잡이
300: 상부손잡이 310: 작동부
400: 걸쇠봉 410: 걸이홈
420: 플랜지부 500: 스프링
600: 고정걸이 700: 병뚜껑100: main body 110: insertion space
120: fixing ring 130: clasp support
140: slide groove 200: lower handle
300: upper handle 310: operating part
400: clasp 410: hook groove
420: flange 500: spring
600: fixed hanger 700: bottle cap
Claims (3)
상기 본체의 후면 외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하부 손잡이;
상기 하부 손잡이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뒤쪽 부분과 상하 방향으로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상기 본체와의 힌지 결합된 부위로부터 앞쪽으로 더 돌출된 부분인 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부의 전단부가 상기 삽입공간보다 위쪽에 있는 공간에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부 손잡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걸쇠봉으로서, 상기 걸쇠봉은 상기 작동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상부 손잡이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따라 상기 본체의 가이드 구멍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쇠봉은 상기 삽입공간의 가장자리쪽에 위치하며 상기 걸쇠봉의 하단부에는 병뚜껑의 가장자리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쇠봉의 둘레에는 플랜지부가 구비되는 걸쇠봉;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걸쇠봉의 플랜지부 사이에 탄설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병 주둥이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병뚜껑을 상기 걸이홈에 건 다음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를 쥐고 상기 상부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작동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걸쇠봉을 끌어올려 상기 걸이홈에 걸린 병뚜껑이 따지고 상기 상부 손잡이 및 상기 하부 손잡이를 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쇠봉이 내려오면서 상기 상부 손잡이가 원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bottle spout including the bottle neck can be inserted therein, and includes a fixing ring for enclosing the bottle spout around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space. A body formed;
A lower handle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outer side of the main body;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including an operat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bove the lower handle hinge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enable the hing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trudes further forward from the hinged portion with the main body An upper handle configured to vertically move in a space above the insertion space;
A clasp b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penetrating the guide hole inside the main body, the clasp bar is guided by the guide hole of the main body as the upper handle moves up and down in combination with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part. It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direction, the clasp bar is located on the edge of the insertion space and the lower end of the clasp bar is formed with a hook groove so that the edge of the bottle cap can be fitted, the clasp provided with a flange around the clasp Rods;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between the body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clasp,
Inserting the bottle spout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hanging the bottle cap on the hook groove, and then holding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nd pressing the upper handle, the operating portion is raised to pull up the clasp and caught in the hook groove The bottle opener is a one-handed bottle ope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handle is repositioned while the cap is pulled dow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en the bottle cap is removed and the force holding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is removed.
상기 본체의 상부 한쪽 가장자리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걸쇠봉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하고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서 상기 걸쇠봉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운동하는 고정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The method of claim 1,
A slide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main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upper end is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clasp, and a lower end is fitted into the slide groove to be guided by the slide groove according to a vertical movement of the clasp. One-handed bottle ope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ed hook to exercise.
상기 걸쇠봉은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일체로 형성된 걸쇠봉 받침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lasp bar is a one-handed bottle open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lasp bar suppo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surrounding the insertion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5955A KR101382931B1 (en) | 2013-02-13 | 2013-02-13 | Bottle opener by using one h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5955A KR101382931B1 (en) | 2013-02-13 | 2013-02-13 | Bottle opener by using one ha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2931B1 true KR101382931B1 (en) | 2014-04-09 |
Family
ID=5065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59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2931B1 (en) | 2013-02-13 | 2013-02-13 | Bottle opener by using one h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293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2995A (en) | 2015-09-16 | 2017-03-24 | 우수현 | Multipurpose opener |
KR20190057795A (en) | 2017-11-20 | 2019-05-29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Opener |
CN110963455A (en) * | 2019-12-31 | 2020-04-07 | 广州范容企业发展有限公司 | An ampoule bottle opener |
WO2020251317A1 (en) * | 2019-06-14 | 2020-12-17 | 서해식 | Vertical bottle opener having popper formed on lower part of hand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6773U (en) * | 1995-04-10 | 1995-10-09 | 智英 中村 | bottle opener |
KR20120108873A (en) * | 2011-03-26 | 2012-10-05 | 장은희 | Cap bottle opener can be opened with one hand |
-
2013
- 2013-02-13 KR KR1020130015955A patent/KR1013829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6773U (en) * | 1995-04-10 | 1995-10-09 | 智英 中村 | bottle opener |
KR20120108873A (en) * | 2011-03-26 | 2012-10-05 | 장은희 | Cap bottle opener can be opened with one hand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2995A (en) | 2015-09-16 | 2017-03-24 | 우수현 | Multipurpose opener |
KR20190057795A (en) | 2017-11-20 | 2019-05-29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Opener |
WO2020251317A1 (en) * | 2019-06-14 | 2020-12-17 | 서해식 | Vertical bottle opener having popper formed on lower part of handle |
CN110963455A (en) * | 2019-12-31 | 2020-04-07 | 广州范容企业发展有限公司 | An ampoule bottle ope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2931B1 (en) | Bottle opener by using one hand | |
CN105266601B (en) | Include the kitchen tools of the lid with the handle with utensil setting frame | |
US20080149155A1 (en) | Handy hand walking cane | |
US20100021226A1 (en) | Lipstick case | |
US4022506A (en) | Zipper operator | |
US1295120A (en) | Milk-bottle holder. | |
KR20170067561A (en) | Lipstick container assembly | |
CN205457843U (en) | Device that makes things convenient for buckle closure hasp and trip | |
KR20160075283A (en) | A scoop having a push bar | |
CN208740569U (en) | Store grip structure | |
KR101579451B1 (en) | Can Opener | |
US1113918A (en) | Spoon-holder. | |
JP3116847U (en) | bottle opener | |
KR20160001816U (en) | Opener | |
KR102478659B1 (en) | Removable pot handle | |
KR200473096Y1 (en) | Can cover opener | |
KR20180063786A (en) | Can holder | |
CN219048126U (en) | Pot body for air fryer | |
KR100727761B1 (en) | Spoon | |
KR20160004383U (en) | Onener | |
CN101004314B (en) | Refrigerator bottle holder with telescoping handle | |
CN208915817U (en) | A kind of box cover and detergent the storage box | |
KR200431087Y1 (en) | Headrest structure with hanger | |
CN209315658U (en) | Store grip structure | |
KR200373778Y1 (en) | Opening structure which can easily open beverage c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