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2759B1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759B1
KR101382759B1 KR1020130021059A KR20130021059A KR101382759B1 KR 101382759 B1 KR101382759 B1 KR 101382759B1 KR 1020130021059 A KR1020130021059 A KR 1020130021059A KR 20130021059 A KR20130021059 A KR 20130021059A KR 101382759 B1 KR101382759 B1 KR 10138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rail
sliding door
vehicle
base
link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진
윤형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759B1/ko
Priority to DE102013210450.2A priority patent/DE102013210450A1/de
Priority to US13/914,335 priority patent/US20140237901A1/en
Priority to CN201310259584.XA priority patent/CN10400563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7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of roller-blind type made of rig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4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15/104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 측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에 대응하며, 스트라이커가 소정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형상의 센터레일과; 상기 센터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크암과; 상기 링크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면이 차체로부터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센터레일의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래치부로 구성되어, 센터레일의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하여 실내 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하고, 센터레일이 직선형으로 적용하여 차량의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Liner type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레일 곡선부 실내 침입량을 줄이고 도어 개폐의 작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승합차는 승객이 승, 하차 할 수 있도록 차체 측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의 중간 및 하부 지점에 센터 롤러와 하부 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센터 롤러와 하부 롤러들은 차체에 설치된 레일에 각각 삽입되어, 레일을 따라서 구름 운동함으로써 차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된다.
한편, 근래의 슬라이딩 도어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작동되는 파워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파워 슬라이딩 도어는 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구동장치와, 케이블이나 벨트, 풀리, 기어 와 같은 여러 가지 동력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 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도어 스위치와 연동하여 제어하는 ECU(Electrical Control Unit)를 구비한다.
또한,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국내 등록특허 10-0558413에 게재된 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 장치(6)는 차체에 구비되는 센터 레일(2)의 전, 후 측 단부에 구비되는 프론트 풀리(3)와 리어 풀리(4)로 연결된 케이블(5)을 이동시켜 이 케이블(5)에 장착 고정된 센터 롤러(1)를 이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 상기 센터 롤러(1)는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패널에 장착 고정되는 지지브라켓트(10)와; 상기 지지브라켓트(10)에 장착 되며, 차체의 센터 레일(2)에 결합되어 구름 운동하는 롤러(21)가 구비된 롤러브라켓트(20)와; 상기 롤러브라켓트(20)에 고정되며 구동장치(6)에 의해 이동하는 케이블(5)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베럴(30)과; 상기 베럴(30)을 롤러브라켓트(2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트(40)로 구성된다.
즉, 프론트 풀리(3)와 리어 풀리(4)를 거쳐 구동장치(6)로 연결된 케이블(5)이 구동장치(6)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고, 센터 롤러(1)가 케이블(5)의 이동과 함께 센터 레일(2)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트(40)는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베어링(22)으로 롤러브라켓트(2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양 단은 후크형상으로 휘어진 후크부(40a)가 형성되어 이 후크부(40a)가 베럴(30)을 케이블(5)이 이동하는 양 방향으로 감싸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레일이 도 1의 A 부분과 같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실내 침입량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실내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도어 핸들의 작동력이 분산되어 개폐 시 조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10-055841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레일 곡선부 실내 침입량을 줄이고 도어 개폐의 작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체 측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에 대응하며, 스트라이커가 소정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형상의 센터레일과; 상기 센터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크암과; 상기 링크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면이 차체로부터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센터레일의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래치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는 외측슬라이더와; 상기 외측슬라이더 내부에 소정 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링크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슬라이더;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링크암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폴과,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클로우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은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링크암에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며, 상기 클로우는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가 가능하게 하고 타단은 상기 폴에 걸려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의 타단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클로우의 타단에는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의 걸림돌기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상기 링크암의 일단 외측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상부 외측에는 롤러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과 클로우의 회동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센터레일의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하여 실내 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하고, 센터레일이 직선형으로 적용하여 차량의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의 래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에서 도어 개방 시 래치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장착되는 센터레일(100)과, 센터레일(100)에 구비되는 베이스(200)와, 베이스(200)에 삽입되는 링크암(300)과, 링크암(300)과 차체의 슬라이딩 도어를 연결하는 슬라이더(400)와, 베이스(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래치부(50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레일(100)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차체의 측면에 장착됨으로 인해 종래의 곡선형 센터레일에 비해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하여 실내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하고,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센터레일(100)은 상하부에 외벽이 형성된 'ㄷ'자 모양의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하게 될 베이스(200)가 센터레일(10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센터레일(100) 내측에는 스트라이커(1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래치부(500)의 클로우(520)에 걸릴 수 있게 한다.
베이스(200)는 센터레일(100)에 삽입되어 센터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센터레일(1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200)의 외측 상부에는 롤러(2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롤러(210)는 센터레일(100)에 수용되며, 구름 접촉하므로 베이스(200)가 센터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링크암(30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베이스(20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베이스(200)와 링크암(300)에는 제2피봇축(P2)이 형성되어 링크암(300)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며, 링크암(300)과 후술하게 될 슬라이더(400) 사이에는 제1피봇축(P1)이 형성되어 슬라이더(400)의 회동이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더(400)는 베이스(200)와 연결된 링크암(30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차체로부터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결합면에 슬라이더(400)의 외측면(D)이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더(4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는 외측슬라이더(420)와, 외측슬라이더(420) 내부에 소정 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링크암(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슬라이더(410)로 이루어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방 초기에 내측슬라이더(410)가 외측슬라이더(420)로부터 슬라이딩되게 함으로써 도어 개방 시 팝업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외측슬라이더(420)의 내측면에는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되도록 하여 내측슬라이더(410)가 슬라이딩할 때 외측슬라이더(4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래치부(500)는 베이스(200) 내측에 구비되어 베이스(200)가 센터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래치부(500)는 폴(510)과 클로우(520)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0)은 베이스(200)에 샤프트(S)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에 걸림돌기(511)가 돌출 형성되어 링크암(300)의 회동에 따라 후술하게 될 링크암(300)의 돌출부(310)에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된다.
돌출부(310)는 도 5 내지 도 7,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암(300)의 일단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링크암(300)이 회동하게 될 때 폴(510)의 걸림돌기(511)에 걸리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520)는 베이스(2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에는 걸림홈(521)이 형성되어 센터레일(100)의 스트라이커(11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가 가능하게 하고 타단은 폴(510)에 걸려 폴(510)이 회동하게 되면 같이 회동하게 된다.
이때, 센터레일(100)에 형성된 스트라이커(110)에 클로우(520)의 걸림홈(521)이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200) 후면에 홀(H)이 형성되게 하여, 이 홀(H)을 통해 걸림홈(521)이 형성된 클로우(520)의 일단이 베이스(200) 후면으로 돌출됨으로 인해 클로우(520)의 걸림홈(521)이 회동에 따라 센터레일(100)의 스트라이커(11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가 가능하게 한다.
한편, 폴(510)의 타단에는 제1걸림부(512)가 형성되며, 클로우(520)의 타단에는 제1걸림부(512)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제2걸림부(522)가 형성되어 폴(510) 회동 시 제1걸림부(512)가 회동하게 되면 제1걸림부(512)에 걸린 제2걸림부(522)가 회동하면서 최종적으로 클로우(520)가 회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0)과 클로우(520)는 베이스(200)에 구비되는 샤프트(S)를 통해 장착되며, 폴(510)과 샤프트(S) 사이, 클로우(520)와 샤프트(S) 사이에는 스프링(510S,520S)이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520)의 걸림홈(521)이 스트라이커(110)에 걸리고 폴(510)의 제1걸림부(512)는 클로우(520)의 제2걸림부(52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는 폴(510)과 클로우(520)가 스프링(510S,520S)의 탄성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되며, 도어가 열리게 되는 초기 단계에서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400)가 회동하면서 링크암(300)을 회동시켜 폴(510)이 회동하게 되고, 도어가 열리게 되는 단계에서는 도어가 슬라이딩하게 되므로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암(300)에 의해 폴(510)과 클로우(520)가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 되면 도 10의 (a)와 같이 링크암(300)이 원래 위치로 회동하게 되면서 링크암(300)이 폴(510)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510S,520S)의 복원력에 의해 폴(510)이 원래 위치로 회동하고 클로우(520)는 스트라이커(110)에 걸리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0)의 래치부(500)가 직선 형상인 센터레일(100)의 스트라이커(110)에 걸려서 고정되며, 슬라이더(400)는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고, 링크암(300)이 베이스(20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더(40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센터레일(100)이 직선 형상이라도 베이스(200)에 삽입된 링크암(300)이 센터레일(100)의 끝단을 커버함으로써 종래의 센터레일의 곡선 부분을 대신하여 곡선 형상의 센터레일이 아닌 직선 형상의 센터레일을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해 센터레일의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하여 실내 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하고, 차량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베이스(200)에 구비된 래치부(50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0)의 제1걸림부(512)와 클로우(520)의 제2걸림부(522)가 걸린 상태에서 클로우(520)의 걸림홈(521)이 센터레일(100)의 스트라이커(110)에 걸려 베이스(200)의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어가 개방되는 초기상태(POP-UP)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팝업되며, 이에 따라 도어와 연결된 외측슬라이더(420)로부터 내측슬라이더(410)가 슬라이딩되어 개방을 준비하게 된다.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SLIDING)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리게 되면서 슬라이더(400)가 베이스(200)에 제2피봇축(P2)으로 연결된 링크암(300)을 회동시켜 링크암(300)에 걸리는 래치부(500, 도 10 참조)가 회동하게 되어 폴(510)과 클로우(520)에 구비된 스프링(510S,520S)에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며, 베이스(200)와 센터레일(100)의 래칭이 해제되면서 링크암(300)과 베이스(200)가 수직상태가 되고, 도어 열림 힘에 의해 베이스(200)가 센터레일(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도어 오픈이 완료된다.
이때, 베이스(200)와 센터레일(100)의 래칭 해제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암(300)의 회동에 의해 돌출부(310)가 래치부(500)의 폴(510)을 회동시키며, 폴(510)이 회동하게 되면 폴(510)과 링크된 클로우(520)도 회동하게 되어 클로우(520)의 걸림홈(521)과 센터레일(100)의 스트라이커(110) 사이에 유격을 발생시켜 탄성력을 가진 상태에서 베이스(200)와 센터레일(100)의 래칭을 해제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어를 열게 되면 링크암(300)이 폴(510)을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클로우(520)도 이동하게 되어 클로우(520)가 스트라이커(110)로부터 걸림이 해제되어 결과적으로 베이스(200)가 센터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어 폐쇄는 개방의 역순으로 작동되는데, 도어를 닫는 경우에는 도 10의 (c)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 되면 링크암(300)이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스트라이크(110)로부터 이탈된 클로우(520)가 스트라이커(110)에 걸리게 되며, 베이스(200)가 고정되고 이후 링크암(300)이 회동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도어를 완전히 닫게 되면 도 10의 (a)와 같이 링크암(300)이 래치부(500)로부터 이탈되고 래치부(500)의 클로우(520)는 축적된 스프링(520S)의 복원력에 의해 스트라이커(110)에 완전히 걸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센터레일 110 : 스트라이커
200 : 베이스 210 : 롤러
300 : 링크암 310 : 돌출부
400 : 슬라이더 500 : 래치부
510 : 폴 511 : 걸림돌기
512 : 제1걸림부 520 : 클로우
521 : 걸림홈 522 : 제2걸림부

Claims (8)

  1. 차체 측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에 대응하며, 스트라이커가 소정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형상의 센터레일과;
    상기 센터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크암과;
    상기 링크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면이 차체로부터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센터레일의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는 외측슬라이더와;
    상기 외측슬라이더 내부에 소정 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링크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링크암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폴과,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클로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은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링크암에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며,
    상기 클로우는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가 가능하게 하고 타단은 상기 폴에 걸려 회동 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폴의 타단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클로우의 타단에는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폴의 걸림돌기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상기 링크암의 일단 외측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부 외측에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과 클로우의 회동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20130021059A 2013-02-27 2013-02-27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382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059A KR101382759B1 (ko) 2013-02-27 2013-02-27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DE102013210450.2A DE102013210450A1 (de) 2013-02-27 2013-06-05 Verbindungsstruktur einer geradlinigen zentralen Laufschiene einer Schiebetür für ein Fahrzeug
US13/914,335 US20140237901A1 (en) 2013-02-27 2013-06-10 Linear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CN201310259584.XA CN104005630B (zh) 2013-02-27 2013-06-26 用于机动车的滑动门的直线中央导轨链接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059A KR101382759B1 (ko) 2013-02-27 2013-02-27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759B1 true KR101382759B1 (ko) 2014-04-17

Family

ID=5065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0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2759B1 (ko) 2013-02-27 2013-02-27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37901A1 (ko)
KR (1) KR101382759B1 (ko)
CN (1) CN104005630B (ko)
DE (1) DE10201321045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06B1 (ko) * 2014-04-09 201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CN114293869A (zh) * 2020-10-07 2022-04-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车辆的滑动门摇动的四连杆装置
CN115637905A (zh) * 2022-09-26 2023-01-2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门铰链结构、滑门系统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40B1 (ko) * 2013-12-26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다관절 슬라이더 장치
KR101542981B1 (ko) * 2013-12-27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JP6446724B2 (ja) 2014-08-06 2019-01-0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JP6446722B2 (ja) * 2014-08-06 2019-01-0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JP6446723B2 (ja) 2014-08-06 2019-01-0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US9896871B2 (en) * 2016-02-16 2018-02-20 Vantage Mobility International, Llc Method of extending opening ranges of vehicle sliding doors
US11002054B2 (en) * 2018-11-09 2021-05-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liding door mechanism
KR102682888B1 (ko) * 2019-09-19 2024-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KR20210057616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591A (ko) * 2005-10-25 2007-04-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레일
JP2008231747A (ja) 2007-03-20 2008-10-0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20090300989A1 (en) 2005-02-18 2009-12-10 Oberheide G Clarke Power sliding door having a linear driv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934A (en) * 1977-11-28 1978-09-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Hinge mechanism for a sliding door
US4268996A (en) * 1978-11-15 1981-05-26 Ford Motor Company Track for sliding closure
US6216393B1 (en) * 1996-05-23 2001-04-17 Apprich Secur 2000 Gmbh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sliding door, in particular for vehicles
DE19634369C1 (de) * 1996-08-26 1997-09-18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m Führen einer ausschwenkbaren Schiebetür an einer Fahrzeugkarosserie
US5895089A (en) * 1997-03-31 1999-04-2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ual function adjustable bumper for automotive vehicle sliding door
US5832668A (en) * 1997-06-02 1998-11-10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sliding door modular glide system
FR2840345B1 (fr) * 2002-05-30 2005-05-06 Plastic Omnium Cie Mecanisme de guidage d'une portiere coulissante, portiere coulissante et vehicule automobile muni d'un tel mecanisme
JP3550141B2 (ja) * 2002-09-13 2004-08-0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ドアクローザ
FR2858644B1 (fr) * 2003-08-06 2006-03-03 Wagon Automotive Sa Ensemble de porte coulissante et vehicule correspondant.
US6932417B2 (en) * 2003-09-23 2005-08-23 Gecom Corporation Vehicle sliding door with extended travel
KR100558413B1 (ko) 2004-06-19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구조
DE102004034509A1 (de) * 2004-07-15 2006-02-16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Schiebetü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48786A1 (de) * 2005-02-04 2006-08-10 Dura Automotive Plettenberg Entwicklungs- Und Vertriebs Gmbh Tür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7243978B2 (en) * 2005-10-18 2007-07-1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Door assembly for a vehicle
CN200958337Y (zh) * 2006-10-18 2007-10-10 南京汽车集团有限公司 轻型客车侧拉门
JP5040512B2 (ja) * 2006-10-27 2012-10-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US7641261B2 (en) * 2008-03-11 2010-0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xtended travel sliding door mechanism
DE102008016650B3 (de) * 2008-04-01 2009-05-14 Dura Automotive Body & Glass Systems Gmbh Schiebetüre für ein Fahrzeug
US7658438B1 (en) * 2008-11-21 2010-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multaneous single rail movement system for a vehicle door
US8336949B2 (en) * 2010-08-06 2012-12-25 Honda Motor Co., Ltd. Link-type sliding door mechanism
US8353555B2 (en) * 2010-08-06 2013-01-15 Honda Motor Co., Ltd. Link-type sliding door mechanism
CN201849296U (zh) * 2010-10-27 2011-06-01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车辆用滑动门支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0989A1 (en) 2005-02-18 2009-12-10 Oberheide G Clarke Power sliding door having a linear drive mechanism
KR20070044591A (ko) * 2005-10-25 2007-04-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레일
JP2008231747A (ja) 2007-03-20 2008-10-0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06B1 (ko) * 2014-04-09 201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US9701183B2 (en) 2014-04-09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sliding door locking device
CN114293869A (zh) * 2020-10-07 2022-04-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车辆的滑动门摇动的四连杆装置
CN115637905A (zh) * 2022-09-26 2023-01-2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门铰链结构、滑门系统及车辆
CN115637905B (zh) * 2022-09-26 2024-05-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门铰链结构、滑门系统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05630A (zh) 2014-08-27
CN104005630B (zh) 2017-09-15
US20140237901A1 (en) 2014-08-28
DE102013210450A1 (de)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75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20140050276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CN103161386B (zh) 隐形滑动门
KR101542981B1 (ko)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CN105984312A (zh) 车辆用门构造
JP6494921B2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JP6239277B2 (ja) スライディングドア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JP2008190199A (ja) 車両用ドア開閉構造
KR101662518B1 (ko)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JP2017511848A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CN112776572A (zh) 用于车辆的滑动/摆动复合车门
US20130214543A1 (en) Linear rotating link switch actuation
KR101091801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JP5020854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6656090B2 (ja) 車両用内装装置
JP4416136B2 (ja) 扉閉鎖装置
JP6869478B2 (ja) ドアモジュール
KR20130019625A (ko) 후방 카메라 장치
KR10113438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료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1926878B1 (ko) 도어 엣지 프로텍터
US20150082703A1 (en) Remote control mechanism for sliding door
KR20100064142A (ko) 차량의 후드 리프터
KR101786705B1 (ko) 차량의 대향 개폐형 도어구조
JP4765129B2 (ja) 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