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2528B1 - 이어팁 및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팁 및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528B1
KR101382528B1 KR1020120128482A KR20120128482A KR101382528B1 KR 101382528 B1 KR101382528 B1 KR 101382528B1 KR 1020120128482 A KR1020120128482 A KR 1020120128482A KR 20120128482 A KR20120128482 A KR 20120128482A KR 101382528 B1 KR101382528 B1 KR 101382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
main body
hole
air cush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황진호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5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이어폰의 외주부분 전체에 씌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상기 이어폰의 외주부분에 씌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 형태의 결합부,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귓속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인-이어(in-ear) 타입의 유도부, 상기 이어폰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고정되기 쉽도록 상기 고정부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에어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Description

이어팁 및 이어폰{EARTIP AND EARPHONE}
본 발명은 오디오 음향기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이어팁 및 이어팁이 결합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요즘 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감상하거나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 핸즈프리 기능에 의한 일반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한다. 보통 스마트폰을 처음 구입하는 경우 번들용 이어폰이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헤드폰과 비교하여 이어폰은 음량에 있어서 조금 떨어질 수 있으나, 작은 크기로 인하여 휴대하기 간편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보급과 함께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것이 현실이다.
이어폰을 형태로 분류를 하면 크게 개방형과 커널형 이어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초기 모델의 경우 개방형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요즘은 개방형과 커널형 모두 비슷한 비율로 사용되고 있다.
개방형 이어폰의 장점이라면 이어폰의 하우징 내에 있는 스피커 모듈이 귓구
멍에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직접 음향이 전달되지 않아 음향의 일부가 새어나가서 편안한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커널형 이어폰의 장점은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사람마다 개성적인 외이의 모양에 상관없이 내이의 폭에 맞는 이어팁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귀구멍과 밀착이 잘되어서 고정력이 강하다는 점이다.
상기 개방형 이어폰과 커널형 이어폰은 상호 보완적인 면이 있는데, 개방형 이어폰의 단점인 고정력 및 음샘으로 인한 저음역 재생능력 저하와 외부소음 유입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만들어진 이어폰이 커널형 이어폰이며, 반대로 커널형 이어폰은 개방형 이어폰과는 반대로 고정력 및 소음차단의 기능은 있으나 귓구멍과 밀착되어서 공기의 순환이 잘되지 않아 저음의 음역이 강하나, 사람마다 이물감 내지는 답답함, 그리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널형 이어폰은 밀폐형 헤드폰처럼 스피커와 귀 사이를 최대한 밀착시켜서 외부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주변 소리로 인한 방해가 적고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기 때문에 외부환경이 열악한 장소, 즉 외부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음악 등의 청취가 가능하고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장시간 사용할 경우 귀에 밀착된 이어팁의 압력 때문에 개방형 이어폰에 비해 착용감은 상대적으로 좋지 않으며 진동판의 소리가 직접 고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고막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개방형 이어폰과 커널형 이어폰의 장점, 즉, 커널형과 같이 밀착감을 향상시켜 저음역을 강화시키고, 개방형과 같이 이물감 없이 외이와의 안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방형 또는 커널형 이어폰에 장착 가능한 에어쿠션 이어팁 및 에어쿠션 이어폰이 제안되어 있다. 에어쿠션이 구비된 이어팁에 대한 내용은 발명의 내용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개방형 또는 커널형 이어폰에 장착되어서 귓구멍에 대한 강한 고정력으로 이어폰의 귓구멍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고 개방형뿐만 아니라 커널형 이어폰에 결합 및 착탈이 가능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이어폰 내부의 공기 흐름이 가능한 이어폰 및 이어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팁은, 이어폰의 외주부분 전체에 씌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상기 이어폰의 외주부분에 씌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 형태의 결합부,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귓속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인-이어(in-ear) 타입의 유도부, 상기 이어폰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고정되기 쉽도록 상기 고정부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에어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에는, 공기의 유입을 통하여 저음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부는, 귓구멍과의 밀폐도를 높이기 위하여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부는, 귀와 귀구멍 사이의 안착감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면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어폰은, 이어폰의 외주부분 전체에 씌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상기 이어폰의 외주부분에 씌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 형태의 결합부,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귓속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인-이어(in-ear) 타입의 유도부, 상기 이어폰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고정되기 쉽도록 상기 고정부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에어 쿠션을 포함하는 이어팁 및 상기 이어팁이 씌워지는 이어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어폰 본체는 음향이 출력되는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음향을 유도하는 도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부는 상기 이어팁의 유도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어팁의 본체에서 도출된 형태의 고정부 및 그 내부의 에어쿠션으로 인하여 외이에 걸리기 때문에 이어폰이 귓구멍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고정부 및 그 내부의 에어쿠션으로 인하여 귓구멍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가 밖으로 세지 않고 귓구멍 속으로 잘 유도됨에 따라 작음 음량으로도 충분한 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에 난청 방지의 효과가 있다.
셋째, 에어 쿠션 이어팁이 상기 이어폰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하나의 이어팁을 개방형 이어폰 및 커널형 이어폰 모두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어팁과 이어폰 본체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이어팁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이어팁이 이어폰 본체와 결합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이어팁이 이어폰 본체와 결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반 오픈형 이어폰을 귀에 착용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어팁이 구비된 이어폰을 귀에 착용한 모습의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어팁과 이어폰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이어팁의 후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어팁은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어팁은, 이어폰의 외주부분(202) 전체에 씌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상기 이어폰의 외주부분에 씌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 형태의 결합부(101),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귓속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인-이어(in-ear) 타입의 유도부(102) 및 상기 이어폰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고정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이어팁과 결합되는 이어폰은 개방형태의 이어폰에 음향을 모아주는 기능을 하는 도관부(20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변형된 형태의 이어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 오픈형 이어폰 또는 커널형 이어폰에도 결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팁의 전면을 도시하고 있다. 전면 중앙에 보이는 것이 홀(103)로서 이곳으로 공기가 드나들 수 있어서 저음 영역의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어팁의 본체에 고정부(104), 유도부(102), 및 결합부(미도시)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어팁과 이어폰을 결합하여 유도부를 귓구멍 속에 삽입한 상태에서 홀의 방향이 사람의 귓면을 향하므로 귓면이 일정부분 홀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어서 공기의 인입은 가능하고,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비교적 새어나가지 않게 된다.
도 3은 이어팁이 이어폰 본체에 결합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이어폰은 왼쪽 귀에 착용되는 것이다. 유도부(102)를 귓구멍 속에 삽입하고 고정부(104)를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밀착시키면서 끼우면, 고정부(103) 내부에서 이어팁과 이어폰 본체의 외주 사이에서 형성되는 에어쿠션이 눌리게 되면 고정부(104)가 탄력적으로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끼워지게 된다.
도 4는 이어팁과 이어폰 본체가 결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어팁의 결합부가 이어폰 본체의 외주부분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면서 고정부의 내부에 이어팁과 이어폰 외주부분 사이의 빈공간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에어쿠션(105)이다. 커널 형태의 이어폰에서는 도관부를 감싸는 실리콘 재질의 이어팁의 대부분이 귓속에 삽입되어서 이물감이 문제가 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재질의 이어팁의 유도부(102)만이 귓속에 삽입되기 때문에 귓속 이물감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기존의 오픈형 이어폰을 귀에 착용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어팁이 구비된 이어폰을 귀에 착용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기존의 오픈형 이어폰은 하우징이 외이의 한 부위(a)에서만 지지가 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에어큐션 이어팁이 구비된 이어폰을 착용한 도 6에서는, 외이의 세 부위에서 지지가 되는데, 제 1부위(b)인 하우징이 걸리는 부위, 제 2부위(c)인 고정부 및 제 3부위(d)인 유도부가 삼각형의 꼭짓점을 구성하면서 외이와의 고정력을 배가한다. 상기 제 2부위(c)는 고정부가 외이의 움푹 패인 부분에 끼워진 외이의 부분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에어쿠션이 구비되는 이어팁을 기존의 이어폰의 외주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부수적으로 착용감 및 성능이 좋은 일반 오픈형 이어폰과 결합하여 음향의 질적 측면에서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에어쿠션 이어팁과 이어폰 본체가 결합하는 방식은, 기존의 이어폰과는 다르게 이어팁의 결합부가 이어폰 본체의 하우징 전체를 감싸는 형태의 구성이다. 도관부만 실리콘 재질의 이어팁으로 감싸는 형태의 이어폰과 비교된다. 실리콘 재질의 이어팁의 결합부의 탄력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의 외경의 하우징을 갖는 이어폰과도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팁이 이어폰 본체의 음향이 나오는 부분 전체를 감싸고, 아울러 귓구멍에 삽입되는 유도부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모인 소리는 자연스럽게 유도부를 통하여 귓속으로 전달되므로 차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일반적인 밀폐형의 커널형 이어폰과 본 발명이 다른 점은, 본 발명의 경우 결합부, 유도부, 및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에어쿠션 이어팁의 면에 홀이 있어서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는 점이고 이는 전체 음향의 균형감을 조절할 수 있고, 홀이 향하는 면이 귓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소리를 비교적 차단하면서 내부의 스피커 소리는 새어나가지 않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인 에어쿠션 이어팁은 일반적인 오픈형 이어폰 및 커널형 이어폰, 즉 도전부가 돌출되어 있는 이어폰과도 결합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성 면에서도 뛰어나다. 새로이 이어폰을 교체할 필요 없이 이어폰의 외주부분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 이어팁의 결합부분에 변화를 주어 제품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이어폰과도 결합이 가능하다.
공공장소에서 음악을 듣거나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사용자들은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사용하게 된다. 이어폰과 헤드폰은 하우징 내부에 있는 스피커의 크기 및 귀에 착용하는 방법이 다를 뿐 비슷한 종류의 음향기기에 해당한다. 각각은 서로에 대하여 장단점이 있는데, 음을 재생하여 왜곡되지 않게 음역별 균형이 잡힌 음을 전달해야 하는 음질에 있어서는 헤드폰이 장점이 많은데 반하여, 이어폰은 상대적으로 휴대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휴대성이 헤드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기기가 귓구멍에 밀착되는 고정력 면에서는 헤드폰에 비하여 그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어폰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 기술 분야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인 귓구멍과 고정력에 대하여 문단을 바꾸어 설명한다.
사람마다 귓구멍의 생김새가 다양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만들어지는 이어폰의 모양으로는 고정력에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고정력이 가장 약한 형태인 개방형 이어폰, 대표적인 경우로서 아이폰 번들 이어폰을 들 수 있는데, 소리가 나오는 스피커 면을 귓구멍과 맞댄 상태에서 귓구멍을 감싸고 있는 골에 이어폰 하우징을 걸어 놓는 형태로 고정력이 유지된다. 이는 귓구멍을 감싸는 골이 얼마나 깊은가에 따라서 이어폰의 하우징의 고정력이 강할 수도 있고 약할 수도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하우징을 지지하는 골이 깊지 않으면 고정력이 약해서 이어폰이 귀에서 쉽게 빠지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기존의 개방형 이어폰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인데, 개방형 이어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에어쿠션 이어폰은 귓구멍과 어어폰이 이루는 각도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본 발명에서는 소리를 모아서 유도하는 유도부가 있기 때문에 개방형 이어폰의 소리가 나오는 음향방출면을 귓구멍에 밀착시킬 필요가 없이 이어팁을 이어폰에 결합하여 돌출 형성된 유도부를 귓구멍에 삽입하면 된다. 여기서 유도부는 이어폰의 음향방출면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나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어폰의 음향방출면을 귓구멍과 맞추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어팁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부를 이용하여 외이에 꼭 맞게 끼일 수 있게 된다. 고정부 내부에는 빈 공간을 형성하여 이어팁과 이어폰이 결합된 형태로서 귓구멍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빈 공간이 에어쿠션으로 작용하여 고정부가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탄력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즉, 귀구멍과 외이에 이중으로 고정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실용적인 면에서, 본 발명인 이어팁은 일반적인 개방형 이어폰의 하우징과도 결합이 용이하고, 도 1에 나와 있는 도관부가 돌출된 형태의 이어폰과도 결합이 용이하며, 커널형 이어폰의 경우에도 커널형 이어폰을 유도부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점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착용감에 있어서, 이어폰을 귓구멍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부차적인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테면 클립 형태로 귀에 거는 형태의 이어폰의 경우 장시간의 착용으로 인하여 피로감, 압박을 느끼게 되므로 불편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 귓구멍에 대한 고정력이 실리콘 및 에어쿠션으로 지지되므로 장시간의 착용에 있어서도 이물감 및 압박감이 줄어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1: 결합부
102: 유도부
103: 홀
104: 고정부
105: 에어쿠션
201: 도관부
201: 이어폰 외주부분

Claims (6)

  1. 이어폰의 외주부분 전체에 씌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상기 이어폰의 외주부분에 씌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 형태의 결합부;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귓속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인-이어(in-ear) 타입의 유도부;
    상기 이어폰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외이의 움푹 패인 부위에 고정되기 쉽도록 상기 고정부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에어 쿠션; 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은 공기의 유입을 통하여 저음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홀이 향하는 면이 귓면과 접촉 가능하고,
    상기 에어 쿠션은,
    상기 이어폰이 상기 결합부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이어폰의 상기 외주부분과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귓구멍과의 밀폐도를 높이기 위하여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귓구멍과의 안착감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면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어팁; 및
    상기 이어팁이 씌워지는 이어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어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는,
    음향이 출력되는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음향을 유도하는 도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부는 상기 이어팁의 유도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어폰.
KR1020120128482A 2012-11-14 2012-11-14 이어팁 및 이어폰 Active KR101382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482A KR101382528B1 (ko) 2012-11-14 2012-11-14 이어팁 및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482A KR101382528B1 (ko) 2012-11-14 2012-11-14 이어팁 및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528B1 true KR101382528B1 (ko) 2014-04-07

Family

ID=5065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482A Active KR101382528B1 (ko) 2012-11-14 2012-11-14 이어팁 및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488A (ko) * 2014-06-19 2015-12-30 주식회사 아이리버 음향 기기를 위한 이어폰
KR20200133517A (ko) 2019-05-20 2020-11-30 윤혁기 나선형 이어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Y1 (ko) 2000-04-27 2000-10-16 변기만 이어폰 커버
KR20080107001A (ko) * 2007-06-05 2008-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돌출부를 구비하는 이어폰 이어 커버
KR20120006071A (ko) * 2009-04-30 2012-01-17 베르토 메디칼 솔루션스, 엘엘씨 이어피스 시스템
KR101191989B1 (ko) * 2012-01-20 2012-10-18 (주)알파정밀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Y1 (ko) 2000-04-27 2000-10-16 변기만 이어폰 커버
KR20080107001A (ko) * 2007-06-05 2008-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돌출부를 구비하는 이어폰 이어 커버
KR20120006071A (ko) * 2009-04-30 2012-01-17 베르토 메디칼 솔루션스, 엘엘씨 이어피스 시스템
KR101191989B1 (ko) * 2012-01-20 2012-10-18 (주)알파정밀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488A (ko) * 2014-06-19 2015-12-30 주식회사 아이리버 음향 기기를 위한 이어폰
KR102077157B1 (ko) * 2014-06-19 2020-02-13 (주)드림어스컴퍼니 음향 기기를 위한 이어폰
KR20200133517A (ko) 2019-05-20 2020-11-30 윤혁기 나선형 이어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168B2 (en) Flexible earphone cover
JP6475844B2 (ja) 開放型ヘッドホン
US8254621B2 (en) Earpiece positioning and retaining
US7869615B2 (en)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 headset with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s
US8428289B2 (en) Headphone adaptation and positioning device
US8311253B2 (en) Earpiece positioning and retaining
JP4088841B2 (ja) インナーイヤホン
WO2021083326A1 (zh) 一种智能头戴设备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US20100111348A1 (en) In-Ear Earphone
TW201234869A (en) Audio listening system
TW201622429A (zh) 具有聲學調諧機制之耳機
CN110856067A (zh) 一种智能头戴设备
CN212970035U (zh) 耳机结构
CN113271517B (zh) 护耳耳机
JP2012054780A (ja) イヤパッド
KR101535916B1 (ko) 음향필터가 설치된 이어피스 및 이어폰
KR100905252B1 (ko) 개방형 청취장치
JP3161011U (ja) 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ヘッドホン
KR101382528B1 (ko) 이어팁 및 이어폰
JP5248367B2 (ja) イヤホン装置
US11683629B1 (en) Eartip including hybrid structure
WO2015129935A1 (ko) 이어팁 및 이어폰
JP2009027675A (ja) イヤホンアタッチメント
CN103747386A (zh) 一种耳塞型半入耳闭塞式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