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358B1 - Bicycle Supporting Device for Indoor Exercise - Google Patents
Bicycle Supporting Device for Indoor Exerci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1358B1 KR101381358B1 KR1020120090680A KR20120090680A KR101381358B1 KR 101381358 B1 KR101381358 B1 KR 101381358B1 KR 1020120090680 A KR1020120090680 A KR 1020120090680A KR 20120090680 A KR20120090680 A KR 20120090680A KR 101381358 B1 KR101381358 B1 KR 101381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cycle
- frame
- front wheel
- support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62H1/04—Substantially U-shaped stands for embracing the rear whee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63B2069/168—Force transfer through the rim of the whee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8—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관(110)이 구비되고 수직관(110)의 하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재(120)로 구성되어 자전거의 좌우 체인스테이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지지부(100);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의 베이스부재(120)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베이스부재(12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 개의 결합구멍(210)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결합구멍(210)을 통과하여 베이스부재(120) 각각에 체결되는 폭조절볼트(220)에 의하여 프레임지지부(100) 사이의 폭이 조절되는 폭조절부재(200); 프레임지지부(100)의 수직관(110) 각각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수직관(110)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310)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에 고정되는 'ㄱ'자 형태의 연결봉(300); 연결봉(300) 각각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및 회동이 가능하며, 자전거의 체인스테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자 홈부(410)가 마련된 프레임거치대(400); 및, 자전거 앞바퀴의 하부에 설치되며 자전거 앞바퀴가 수용되는 바퀴고정홈(521)이 구비된 앞바퀴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support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vertical tube 110 and is composed of a base member 120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ube 110 is installed on each lower left and right chainstay of the bicycle; It is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base member 120 of each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100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member 12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0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s 210. A width adjusting member 200 in which the width between the frame support portions 100 is adjusted by the width adjusting bolts 220 fastened to the base members 120; Inserted into each of the vertical tube (110)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100 is capable of sliding up and down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a height adjustment bolt 310 is fasten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vertical tube (110). A connecting rod 300 in the form of a '; A frame holder 400 inserted into each of the connecting rods 3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ng, and having a '∪'-shaped groove 410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bicycle chain stay; And a front wheel fixing part 50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bicycle and having a wheel fixing groove 521 in which the front wheel of the bicycle is accommod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 자전거를 실내에 설치하여 여러 가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달 운동뿐만 아니라 팔 운동, 윗몸일으키기, 스트레칭, 허리돌리기 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installing a general bicycle indoors to perform a variety of exercis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not only lung exercise, but also arm exercise, sit-ups, stretching, waist rotation and the like.
일반 자전거의 경우 도로나 공원, 산길(임도) 등에서 타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실내 운동 기구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실내 운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헬스용 자전거가 필요한데,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폐달 운동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bicycles are used only for riding on roads, parks, and mountain roads, and they are not used as indoor exercise equipments.In addition, they require a separate fitness bike for indoor exercise.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도로에서 사용하는 일반 자전거에 약간의 보조장치를 마련하여 실내용 헬스 자전거로 활용한다면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일반 자전거를 실내 운동 기구로도 활용하여 제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Therefore, if a little auxiliary device is provided on the general bicycle used on the road and used as an indoor fitness bike, the effect can be great at low cost, and the general bicycle can also be used as an indoor exercise devic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product.
아울러 단순한 폐달 운동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여러 종류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atisfy various needs of users if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perform various types of exercise, not just simple lung exercis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일반 자전거를 실내에 거치하여 다양한 실내 운동 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ans that can be used as a variety of indoor exercise equipment by mounting a general bicycle indoor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은 수직관(110)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관(110)의 하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재(120)로 구성되어 자전거의 좌우 체인스테이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지지부(100); 상기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의 베이스부재(120)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 개의 결합구멍(210)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멍(210)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20) 각각에 체결되는 폭조절볼트(22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지지부(100) 사이의 폭이 조절되는 폭조절부재(200); 상기 프레임지지부(100)의 수직관(110) 각각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수직관(110)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310)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에 고정되는 'ㄱ'자 형태의 연결봉(300); 상기 연결봉(300) 각각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및 회동이 가능하며, 자전거의 체인스테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자 홈부(410)가 마련된 프레임거치대(400); 및, 자전거 앞바퀴의 하부에 설치되며 자전거 앞바퀴가 수용되는 바퀴고정홈(521)이 구비된 앞바퀴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거치대(40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연결봉(300)과 맞닿는 프레임거치대고정볼트(42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거치대(400)가 상기 연결봉(3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chnical effects can be achieved.
첫째, 일반 자전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실내에 거치하여 실내 운동 기구로 사용하여 하나의 자전거를 실외 및 실내에서 모두 활용하여 제품의 사용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다.First, if you do not use a general bicycle, it can be mounted indoors and used as indoor exercise equipment to maximize the use value of the product by utilizing one bicycle both outdoors and indoors.
둘째, 다양한 종류의 일반 자전거를 거치시켜 실내 운동 기구로 활용할 수 있다.Second, it can be used as indoor exercise equipment by mounting various kinds of general bicycles.
셋째, 폐달링 뿐만 아니라 팔 운동, 윗몸일으키기, 스트레칭, 허리돌리기 등에도 활용이 가능하다.Third, it can be used not only for lung darling, but also for arm exercise, sit-ups, stretching, and waist rotation.
넷째, 독서대(850)가 구비되어 운동 중에 신문이나 잡지를 읽을 수도 있다.
Fourth, the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2는 프레임지지부(100), 폭조절부재(200), 연결봉(300), 프레임거치대(400)의 구조 및 상호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도3은 앞바퀴고정부(500)를 도시한다.
도4는 윗몸일으키기, 팔운동, 스트레칭 운동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5는 독서대(850)를 도시한다.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and the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3 shows a
4 shows components used for sit-ups, arm exercises, and stretching exercises.
5 shows a reading table 8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프레임지지부(10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110)과 베이스부재(120)로 구성된다. The
수직관(110)은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내부에 연결봉(300)이 수납되며, 베이스부재(120)는 수직관(110)의 하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안착되는데, 이러한 프레임지지부(100)는 자전거의 좌우 체인스테이(chain stay)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다.The
폭조절부재(200)는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의 베이스부재(120)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베이스부재(12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 개의 결합구멍(210)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구멍(210)을 통과하여 베이스부재(120) 각각에 체결되는 폭조절볼트(220)에 의하여 프레임지지부(100) 사이의 폭이 조절된다. 즉, 자전거의 프레임 크기에 맞추어 일정 범위 내에서 폭을 조절할 수 있다.The
연결봉(300)은 프레임지지부(100)의 수직관(110) 각각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수직관(110)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310)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에 고정된다. 즉, 필요에 따라 연결봉(300)의 설치 높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The connecting
프레임거치대(400)는 연결봉(300) 각각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및 회동이 가능한데, 자전거의 체인스테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자 홈부(410)가 마련되어 있다.The
프레임거치대고정볼트(420)는 프레임거치대(40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연결봉(300)과 맞닿아 프레임거치대(400)를 연결봉(300)에 고정시킨다. 즉, 프레임거치대(400)의 폭과 각도를 자전거 프레임의 형태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한 후 프레임거치대고정볼트(420)를 사용하여 프레임거치대(400)를 고정하면 된다.The frame mounting bracket fixing bolt 420 is fasten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체인스테이고정볼트(430)는 프레임거치대(400)의 타측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프레임거치대(400)의 '∪'자 홈부(410)에 수용된 자전거의 체인스테이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자전거의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hain
앞바퀴고정부(5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앞바퀴의 하부에 설치되며 자전거 앞바퀴가 수용되는 바퀴고정홈(521)이 구비된다.The front
이러한 앞바퀴고정부(500)는 자전거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허리돌리기(트위스트) 운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트위스트원반(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즉 앞바퀴고정부(500)는 지면에 안착되는 앞바퀴하부받침대(510) 및 앞바퀴하부받침대(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트위스트원반(520)으로 구성되고 바퀴고정홈(521)은 트위스트원반(52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자전거를 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트위스트원반(520)에 올라타 허리돌리기 운동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front
이렇나 트위스트원반(520)은 스톱리벳(530)에 의하여 회동이 차단될 수도 있는데, 자전거를 거치할 경우에는 미리 트위스트원반(520)을 관통하여 앞바퀴하부받침대(510)에 결합되는 스톱리벳(530)을 설치하여 트위스트원반(520)의 회전을 방지한다.As such, the
브레이크조절링(6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핸들바에 삽입되는 링 형태의 부재로서 직경이 핸들바에 부착된 브레이크레버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1, the
브레이크제동력조절볼트(620)는 브레이크조절링(610)의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브레이크조절링(610) 내부로 들어온 자전거의 브레이크레버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The brake braking
즉, 브레이크레버를 눌러줌으로써 뒷바퀴에 제동력을 부여하여 폐달링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by pressing the brake lever, the braking force can be applied to the rear wheel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lung darling movement.
발등거치대(710)와 무릎받침대(720), 좌대(730)는 윗몸일으키기 운동에 사용된다.
발등거치대(7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의 후반부에 설치되어 윗몸일으키기를 하는 사람의 발등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릎받침대(720)는 2개의 폭조절부재(200) 가운데 후방에 위치한 폭조절부재(200)에 결합되며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무릎받침대(720)를 적절 높이까지 슬라이딩한 후 높이연장볼트(721)를 체결)하며 윗몸일으키기를 하는 사람의 무릎을 올려놓는 역할을 한다.
좌대(730)는 무릎받침대(720)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좌대(730)를 적절 위치까지 슬라이딩한 후 길이연장볼트(731) 체결)하며 윗몸일으키기를 하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한다.The
팔운동기구(8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봉재로서, 자전거의 안장에 앉은 사람이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이러한 팔운동기구(810)도 일정 범위 내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the
스프링부(820)의 일측 단부는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에 결합되고 스프링부(820)의 타측 단부는 팔운동기구(810) 각각에 결합되어 팔운동기구(810)를 탄성지지하면서 팔운동기구(810)에 적절한 부하를 제공한다.One end of the
스프링지지부(830)는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에 결합되며, 스프링지지부(830)에는 스프링부(820)를 지지하는 곡면의 스프링지지홈이 구비되어 스프링부(820)의 신장이나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탄력밴드(840)는 연결봉(300) 각각에 결합되어 스트레칭 운동에 사용된다.
독서대(85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자전거의 핸들스템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에는 책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상판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판의 모서리 부위에는 컵홀더(851)가 구비되고, 상판의 후반부 테두리에는 미끄럼방지턱(852)이 구비된다. 이러한 독서대(850)를 이용하면 운동과 함께 책이나 신문을 읽을 수 있고, 수시로 음료수를 마실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ddition or deletion of a technique, and limitation of a numerical value are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프레임지지부
110:수직관
120:베이스부재
200:폭조절부재
210:결합구멍
220:폭조절볼트
300:연결봉
310:높이조절볼트
400:프레임거치대
410:'∪'자 홈부
420:프레임거치대고정볼트
430:체인스테이고정볼트
500:앞바퀴고정부
510:앞바퀴하부받침대
520:트위스트원반 521:바퀴고정홈
530:스톱리벳
610:브레이크조절링
620:브레이크제동력조절볼트
710:발등거치대
720:무릎받침대 721:높이연장볼트
730:좌대 731:길이연장볼트
810:팔운동기구
820:스프링부
830:스프링지지부
840:탄력밴드
850:독서대 851:컵홀더 852:미끄럼방지턱100: frame support
110: vertical tube
120: base member
200: width adjustment member
210: coupling hole
220: Width adjustment bolt
300: connecting rod
310: height adjustment bolt
400: frame holder
410: Home
420: frame mounting bracket
430: Chain Stay Fixing Bolts
500: front wheel fixed
510: front wheel bottom support
520: twist disc 521: wheel fixing groove
530: stop rivet
610: brake adjustment ring
620: brake braking force adjustment bolt
710: foot stand
720: knee support 721: height extension bolt
730: base 731: length extension bolt
810: arm exercise equipment
820: spring part
830: spring support
840: elastic band
850: reading stand 851: cup holder 852: slipper
Claims (8)
상기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의 베이스부재(120)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 개의 결합구멍(210)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멍(210)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20) 각각에 체결되는 폭조절볼트(22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지지부(100) 사이의 폭이 조절되는 폭조절부재(200);
상기 프레임지지부(100)의 수직관(110) 각각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수직관(110)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310)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에 고정되는 'ㄱ'자 형태의 연결봉(300);
상기 연결봉(300) 각각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및 회동이 가능하며, 자전거의 체인스테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자 홈부(410)가 마련된 프레임거치대(400);
상기 프레임거치대(400)의 타측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거치대(400)의 '∪'자 홈부(410)에 수용된 자전거의 체인스테이를 눌러주는 체인스테이고정볼트(430); 및,
자전거 앞바퀴의 하부에 설치되며 자전거 앞바퀴가 수용되는 바퀴고정홈(521)이 구비된 앞바퀴고정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거치대(40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연결봉(300)과 맞닿는 프레임거치대고정볼트(42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거치대(400)가 상기 연결봉(3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A frame support part 100 provided with a vertical tube 110 and configured as a base member 12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tube 110 and installed at each low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chainstays of the bicycle;
The frame supporting parts 100 are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base members 120, respectively, and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member 12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0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coupling holes 210 are provided. A width adjusting member 200 through which width between the frame support parts 100 is adjusted by a width adjusting bolt 220 fastened to each of the base members 120;
Inserted into each of the vertical tubes 110 of the frame support 100, the vertical movemen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a height adjustment bolt 310 is fasten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vertical tube 110. Connecting rod 300 in the form of a 'b';
A frame holder 400 inserted into each of the connecting rods 3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ng, and having a '∪'-shaped groove 410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bicycle chain stay;
A chain stay fixing bolt 430 fastened to penetrate the other side of the frame holder 400 to press the chain stay of the bicycle accommodated in the '∪'-shaped groove 410 of the frame holder 400; And
A front wheel fixing part 500 installed at a lower part of the bicycle front wheel and provided with a wheel fixing groove 521 in which the bicycle front wheel is accommodated;
And,
The frame mounting bracket 400 is fastened to penetrate through one side of the frame mounting bracket 400 so as to be fixed to the connecting rod 300 by a frame mounting bracket fixing bolt 4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rod 300. Exercise aids.
자전거의 핸들바에 삽입되는 링 형태의 브레이크조절링(610); 및,
상기 브레이크조절링(610)의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브레이크조절링(610) 내부로 들어온 자전거의 브레이크레버를 눌러주는 브레이크제동력조절볼트(62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In claim 1,
Brake adjustment ring 610 of the ring type is inserted into the handlebar of the bicycle; And
A brake braking force adjustment bolt 620 that is fastened to penetrate the brake adjustment ring 610 and presses the brake lever of the bicycle introduced into the brake adjustment ring 610;
Bicycle indoor exercise aid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의 후반부에 설치되어 윗몸일으키기를 하는 사람의 발등을 거치시키는 발등거치대(710);
후방에 위치한 폭조절부재(200)에 결합되며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윗몸일으키기를 하는 사람의 무릎을 올려 놓는 무릎받침대(720); 및,
상기 무릎받침대(720)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윗몸일으키기를 하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좌대(7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oot rest support 710 is installed in the rear half of each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100 to mount the foot of the person doing the sit-up;
It is coupled to the width adjustment member 200 located in the rear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up and down, knee support (720) to put the knee of the person who raises the body; And
A seat 730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knee support 720 and capable of adjusting a posi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apable of sitting a person doing sit ups;
Bicycle indoor exercise aids further comprising a.
상기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전거의 안장에 앉은 사람이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팔운동기구(810);
일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팔운동기구(810)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팔운동기구(81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820); 및.
상기 프레임지지부(100)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820) 각각을 지지하는 곡면의 스프링지지홈이 구비된 스프링지지부(8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n arm exercise mechanism 810 coupled to each of the frame supports 100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o that a person sitting on the saddle of the bicycle can push or pul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e end portion is coupled to each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10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each of the arm movement mechanism 810 spring portion 82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arm movement mechanism 810; And.
A spring support part 830 coupled to each of the frame support parts 100 and having a curved spring support groove for supporting each of the spring parts 820;
Bicycle indoor exercise aids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연결봉(300) 각각에 결합되어 스트레칭 운동에 사용되는 탄력밴드(8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n elastic band 840 coupled to each of the connecting rods 300 and used for stretching exercise;
Bicycle indoor exercise aids further comprising a.
하부는 자전거의 핸들스템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에는 책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판의 모서리 부위에는 컵홀더(851)가 구비되고, 상판의 후반부 테두리에는 미끄럼방지턱(852)이 구비된 독서대(85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handle stem of the bicycle, the angle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for placing a book, the corn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is provided with a cup holder 851, the upper edge of the upper plate Reading stand 850 having a non-slip jaw 852;
Bicycle indoor exercise aid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앞바퀴고정부(500)는,
앞바퀴하부받침대(510);
상기 앞바퀴하부받침대(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트위스트원반(520);
상기 트위스트원반(520)을 관통하여 상기 앞바퀴하부받침대(510)에 결합되어 상기 트위스트원반(520)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톱리벳(53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퀴고정홈(521)은 상기 트위스트원반(52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wheel fixing part 500,
Front wheel bottom support 510;
A twist disc 520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wheel bottom support 510;
A stop rivet 530 penetrating the twist disk 520 and coupled to the front wheel bottom support 510 to prevent rotation of the twist disk 520;
Further comprising, the wheel fixing groove 521, the indoor exercise assistance device for a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to cross the upper surface of the twist disk (5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680A KR101381358B1 (en) | 2012-08-20 | 2012-08-20 | Bicycle Supporting Device for Indoor Exerci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680A KR101381358B1 (en) | 2012-08-20 | 2012-08-20 | Bicycle Supporting Device for Indoor Exerci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4581A KR20140024581A (en) | 2014-03-03 |
KR101381358B1 true KR101381358B1 (en) | 2014-04-08 |
Family
ID=5064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06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1358B1 (en) | 2012-08-20 | 2012-08-20 | Bicycle Supporting Device for Indoor Exerci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13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2464A (en) * | 2019-10-10 | 2021-04-20 | 신상준 |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bicycl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61398A (en) * | 2016-04-06 | 2017-10-20 | 裴旭波 | A kind of exercycle |
KR102014113B1 (en) | 2017-09-12 | 2019-08-26 | 함형석 | Saddle Movable Indoor Bicycle Exercise Device |
WO2021114294A1 (en) * | 2019-12-13 | 2021-06-17 | 苏州锂智车业科技有限公司 | Support device for indoor cycling exercise, and bicycle |
CN116870430B (en) * | 2023-08-01 | 2025-04-08 | 宁波睿特菲体育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injury-preventing fitness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9712A (en) * | 1991-08-27 | 1993-03-02 | Minoura Nidai Stand Seisakusho:Kk | Exercise device for bicycle |
JPH11197267A (en) * | 1998-01-19 | 1999-07-27 | Bridgestone Cycle Co | Traveling simulation device of bicycle |
KR200405253Y1 (en) * | 2005-10-25 | 2006-01-10 | 윤광진 | Bicycle trainer |
KR100751033B1 (en) * | 2005-04-08 | 2007-08-21 | 정영배 | Exercising euquipment using bicycle for indoor and outdoor exercise |
-
2012
- 2012-08-20 KR KR1020120090680A patent/KR1013813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9712A (en) * | 1991-08-27 | 1993-03-02 | Minoura Nidai Stand Seisakusho:Kk | Exercise device for bicycle |
JPH11197267A (en) * | 1998-01-19 | 1999-07-27 | Bridgestone Cycle Co | Traveling simulation device of bicycle |
KR100751033B1 (en) * | 2005-04-08 | 2007-08-21 | 정영배 | Exercising euquipment using bicycle for indoor and outdoor exercise |
KR200405253Y1 (en) * | 2005-10-25 | 2006-01-10 | 윤광진 | Bicycle train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2464A (en) * | 2019-10-10 | 2021-04-20 | 신상준 |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bicycles |
KR102283667B1 (en) * | 2019-10-10 | 2021-07-29 | 신상준 |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bicy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4581A (en) | 2014-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1358B1 (en) | Bicycle Supporting Device for Indoor Exercise | |
US5356357A (en) | Riding exerciser | |
US11458353B2 (en) | Exercise bike system | |
US5423728A (en) | Stationary exercise bicycle | |
US7878949B2 (en) | Stepper | |
US10071298B1 (en) | Workout apparatus for simulating user movement patterns in bicycle sports | |
US20090270229A1 (en) | Treadmill | |
US20050202938A1 (en) | Stationary exercise bicycle | |
US4262899A (en) | Accessory for exercising on a bicycle | |
CN210409377U (en) | Fixed bicycle type exercising apparatus | |
US11389693B2 (en) | Bicycle exercise apparatus | |
WO2001052940A2 (en) | Bicycle trainer with movable resistance device | |
KR200477432Y1 (en) | Bike stand | |
US5967946A (en) | Apparatus for cycling training | |
TWM553209U (en) | Squatting and straighting exercise equipment | |
US20220314063A1 (en) | Multiply convertible bicycle exercise apparatus | |
KR101783154B1 (en) | Bicycle type exercise apparatus for whole body | |
US6811174B2 (en) | Sports bicycle with changeable handlebars | |
US6631948B1 (en) | Seat assembly for a bicycle | |
CN203816144U (en) | Pedal-type exercise bicycle with cushion | |
US6561957B1 (en) | Translational exercise machine with horizontal free planar motion | |
EP1057721B1 (en) | Seat assembly for a bicycle | |
KR200469841Y1 (en) | Running apparatus having three wheels | |
CN215310003U (en) | Exercise bicycle convenient to accomodate | |
CN220237671U (en) | Exercise bicycle with protection archite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