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1352B1 -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 - Google Patents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352B1
KR101381352B1 KR1020127013739A KR20127013739A KR101381352B1 KR 101381352 B1 KR101381352 B1 KR 101381352B1 KR 1020127013739 A KR1020127013739 A KR 1020127013739A KR 20127013739 A KR20127013739 A KR 20127013739A KR 101381352 B1 KR101381352 B1 KR 10138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erformance
parameters
terminal
performance parameters
measurem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767A (ko
Inventor
안티 안톤 토스칼라
말고르자타 토마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2008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3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개선시키기 위한 조치들이 개시된다. 이러한 조치들은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획득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ENHANCED NETWORK PERFORMANCE MONITOR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커버리지(coverage) 및/또는 용량 최적화의 목적들을 위해 이용가능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성능 데이터와 같은 성능 데이터를 수집 및/또는 보고함에 있어서의 개선사항들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성능 감시, 즉, 네트워크 성능 데이터를 수집 및/또는 보고하는 것은 임의의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들을 위한 필수적인 업무이다. 특히, 지리적인 문제 영역들 또는 새로운 네트워크 설비들의 설치가 의도된 지리적인 영역들에서의 네트워크 성능의 명백하고 완벽한 묘사(picture)는 운영자가 그 네트워크 설비들을 적절하게 계획, 설치 및 제어하거나, 네트워크들의 자율 최적화(self-optimization)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네트워크 성능의 이러한 명백하고 완벽한 묘사를 얻기 위한 노력으로, 운전 테스트(drive test)들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이 운전 테스트들에서는, 예를 들어, 자동차 또는 열차에 의해 주위를 돌아다님으로써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 : user equipment)에 의해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성능 데이터가 모아진다. 이에 따라,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전에는 수동의 대규모 운전 테스트들이 보편적이고 필수적이었지만, 네트워크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키고, 더욱 신속한 최적화 사이클들을 보장하고, 탄소 배출을 감소시킴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운전 테스트들의 최소화뿐만 아니라 자동화가 현재 요구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운전 테스트들을 자동화 및 최소화함에 있어서의 현재의 노력들에 대해 참조가 행해지며, 이것은 네트워크 성능 감시의 영향들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의도된 것이다.
운전 테스트들을 최소화하는 것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gram : 3세대 파트너쉽 프로그램)에서 현재 다루어지고 있으며, 작업의 범위는 수동 운전 테스트들의 필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UE 측정들의 수집을 자동화하는 것의 실현가능성, 장점들 및 복잡성이다. 이와 관련하여, 운전 테스트들을 최소화하기 위한 UE 측정들을 로깅(logging) 및 보고하기 위한 새로운 능력들을 정의할 필요성이 조사되고 있다.
차세대 네트워크들에서의 운전 테스트들의 최소화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이 분야에서 정의된 이용 케이스(use case)들 및 이 이용 케이스들을 다루는 일부의 UE 측정들을 포함한다. 식별된 이용 케이스들은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의 감시를 위한 자동화 방법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동으로 수행되는 운전 테스트들을 대체하기 위하여, 새로운 UE 측정 로그들(즉, 특정 엔티티(entity)들의 측정들의 세트(set)들)이 제안되었다. 대응하는 UE 측정들은 주기적이거나 특정한 이벤트(event), 예를 들어, 실패 이벤트(failure event)일 수 있는 미리 정의된 트리거(trigger)의 발생시에 얻어져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품질이 상이한 지리적 영역들을 구별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가능하다면, 위치 정보가 측정들에 첨부될 수 있다. UE는 제공한 로그에 기초하여 정보를 보고한다.
그러나, 현재 제안된 바와 같이, UE만 측정 보고들을 송신하고 있으면, 주기적으로 또는 단말이 문제를 만났을 때에 전달되는 보고의 분석은 충분히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근원적인 네트워크 상황 또는 네트워크 성능의 네트워크-관련 양상들에 대한 임의의 정보, 즉,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의 관점으로부터의 현재 및 이전 네트워크 성능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한 것이다. 근원적인 네트워크 상황에 대한 이러한 정보는 전체 네트워크 성능의 적절한 분석을 위하여 편의주의적이기 때문에, 단말로부터의 (불완전한) 측정 보고에 기초한 발견들은 네트워크 성능의 손실된 지식으로 괴로움을 겪게 되기 때문에 평가 절하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를 고려하면, 심지어 자동화된 및/또는 최소화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에서도 네트워크 성능의 명백하고 완벽한 묘사의 발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위한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개략적으로 설명된 문제들 및 단점들을 해소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양상에 따르면, 단말로부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상기 획득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 추가적인 개선들 및/또는 변형들에 따르면, 다음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적용된다:
-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이용 케이스와, 상기 단말에서 수행될 측정들 사이의 미리 정의된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이용 케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이용 케이스에 기초하여 획득될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성능 분석 및/또는 제어를 위하여, 상기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 및/또는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상호접속되는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에서 동작가능하고,
- 측정 보고는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평면 데이터로서 수신되고,
-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외부적으로 획득되고,
-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동작가능하고,
- 측정 보고는 상기 단말로부터 제어 평면 데이터로서 수신되고,
-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내부적으로 획득되고,
- 상기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는 개방형 모바일 연합(OMA : open mobile alliance)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및/또는
-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기지국, 기지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및 eNodeB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양상에 따르면, 단말로부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유닛, 및 상기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상기 획득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그 추가적인 개선들 및/또는 변형들에 따르면, 다음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적용된다:
- 상기 장치는,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이용 케이스와, 상기 단말에서 수행될 측정들 사이의 미리 정의된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이용 케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결정된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이용 케이스에 기초하여 획득될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하고,
-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성능 분석 및/또는 제어를 위하여, 상기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 및/또는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 상기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상호접속되는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로서 또는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에서 동작가능하고,
- 상기 수신기는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평면 데이터로서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외부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서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동작가능하고,
- 상기 수신기는 상기 단말로부터 제어 평면 데이터로서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내부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는 개방형 모바일 연합(OMA : open mobile alliance)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및/또는
-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기지국, 기지 송수신국, NodeB, 및 eNodeB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3 양상에 따르면, 장치의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될 때, 상기 제 1 양상 또는 그 추가적인 개선들 및/또는 변형들 중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동작될 수 있는 장치는 상기 제 2 양상 또는 그 추가적인 개선들 및/또는 변형들 중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장치이다.
상기 양상들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추가적인 개선들 및/또는 변형들 중의 임의의 하나에 따르면, 다음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적용된다:
- 상기 단말-관련 및/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위한 운전 테스트들의 최소화 및 네트워크들의 자율 최적화 중의 하나에 특정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 상기 단말-관련 및/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커버리지 최적화, 이동성 최적화, 용량 최적화, 공통 채널들에 대한 파라미터화, 서비스 품질 검증을 위한 이용 케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고,
-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상기 측정들은 주기적인 무선 환경 또는 다운링크 파일럿 측정들, 서빙 셀(serving cell)이 임계값보다 나빠질 때의 무선 환경 측정들, 송신 전력 헤드룸(headroom) 및 단말의 송신 전력이 임계값보다 작아질 때의 무선 환경 측정들, 랜덤 액세스 세부 사항들 및 랜덤 액세스 실패가 발생할 때의 무선 환경 측정들, 페이징 채널 실패가 발생할 때의 무선 환경, 위치, 시간 및 셀 아이덴티티(identity) 측정들, 및 방송 채널 실패가 발생할 때의 무선 환경, 위치, 시간, 셀 아이덴티티 및 주파수 측정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고, 및/또는
-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에 대한 상기 정보는 액세스 제한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부하 파라미터들, 트래픽 분산 파라미터들, 혼잡 파라미터들, 무선 및/또는 하드웨어 리소스 파라미터들, 핸드오버 파라미터들, 이동성 파라미터들, 동적 접속 파라미터들, 시그널링 에러 파라미터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X2 인터페이스에 대한 시그널링 이벤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여,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성능 데이터와 같은 성능 데이터를 수집 및/또는 보고할 때의 개선을 위하여,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위한 기술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여,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또는 제어 시에 예를 들어, eNodeB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개입을 위한 기술들이 제공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개입은 단말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 제어를 유익하게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여,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또는 제어는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과 같은 단말 상태(condition)들, 및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과 같은 네트워크 상태들 모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여,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위한 운전 테스트들이 최소화 및 자동화될 수 있는 반면, 네트워크 성능의 명백하고 완벽한 묘사의 발견 및/또는 네트워크들의 자율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여전히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추가적인 상세한 사항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시스템 아키텍처의 구조 및 절차들의 상세한 사항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시스템 아키텍처의 구조 및 절차들의 상세한 사항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비제한적인 예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욱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들은 특정 예시적인 네트워크 구성들 및 배치들을 위한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이용되는 3GPP 규격들과 관련하여 주로 설명된다. 특히, 3GPP-기반 네트워크에 기초한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위한 운전 테스트의 최소화는 이와 같이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응용가능성을 위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주어진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은 그것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용어를 구체적으로 지칭한다. 이러한 용어는 제시되는 비제한적인 예들의 상황에서만 이용되고, 당연히 발명을 어떤 방식으로든지 제한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과 호환되기만 하면,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구성 또는 시스템 배치 등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근원적인 네트워크 환경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네트워크들을 자율 최적화할 때와 같이, 자동화된 방식으로 최소의 노력들로 네트워크 성능을 바람직하게 감시할 필요가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Term Evolution), LTE-A(Long-Term Evolution Advanced), WiMAX(Wireless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eHARD(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EPC(Evolved Packet Core), 또는 다른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또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네트워크들과 같은, 이동/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종류의 현대 및 미래의 통신 네트워크를 위해/임의의 종류의 현대 및 미래의 미래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과, 그 양상들 및 실시예들은 몇몇 대안들을 이용하여 설명된다. 특정 필요성들 및 제약들에 따라, 설명된 대안들의 전부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상상가능한 결합(다양한 대안들의 개별적인 특징들의 결합들을 또한 포함)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주목돼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방법들, 절차들 및 기능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아래의 도 3 및 도 4의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OMA(Open Mobile Alliance) 규격들을 준수하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와 같은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device management element)에서, 또는 아래의 도 5 및 도 6의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트랜시버), NodeB 또는 eNodeB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동작(S110)에서, 실행 장치(예를 들어, 실행 장치의 수신기)는 사용자 장비(UE)와 같은 단말로부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대한 보고, 즉, UE 측정 로그를 수신한다. 이러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주기적일 수 있거나 실패 이벤트(failure event)의 발생에 기초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미리 정의된 트리거들에 따라 측정 및 보고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특정한 세트들은 트리거링 이벤트(triggering event) 및/또는 그 이용 케이스에 따라 측정 및 보고의 목적들을 위하여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된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정한 세트, 즉,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정한 UE 측정 로그들은 운전 테스트들을 최소화하는 측면에서, 커버리지 최적화(coverage optimization), 이동성 최적화(mobility optimization), 용량 최적화(capacity optimization), 공통 채널들에 대한 파라미터화(parameterization), 서비스 품질(quality-of-service) 검증을 위한 이용 케이스들 중의 임의의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UE 측정 로그들은 주기적인 무선 환경 또는 다운링크 파일럿 측정들, 서빙 셀(serving cell)이 임계값보다 나빠질 때의 무선 환경 측정들, 단말의 송신 전력이 임계값보다 작아질 때의 송신 전력 헤드룸(transmit power headroom) 및 무선 환경 측정들, 랜덤 액세스 실패가 발생할 때의 랜덤 액세스 세부 사항들 및 무선 환경 측정들, 페이징 채널 실패(paging channel failure)가 발생할 때의 무선 환경, 위치, 시간 및 셀 아이덴티티 측정들, 및 방송 채널 실패(broadcast channel failure)가 발생할 때의 무선 환경, 위치, 시간, 셀 아이덴티티 및 주파수 측정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관한 무선 리소스 측정들은 CPICH(common pilot channel : 공통 파일럿 채널),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 수신 신호 코드 전력),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 기준 신호 수신 전력), 및/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 기준 신호 수신 품질)와 관련될 수 있다. 페이징 채널 실패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에러를 디코딩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수신은 근원적인 시스템 시나리오(scenario)에 따라서는, (도 3 및 도 4의 경우에서와 같은) 사용자 평면 전송(user plane transport) 또는 (도 5 및 도 6의 경우에서와 같은) 제어 평면 전송(control plane transport)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동작(S120)에서, 실행 장치(예를 들어,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그 전용 획득 유닛)는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 예를 들어, (e)NodeB 또는 기지국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으로, 모든 이용가능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동작(S110)에서 UE 측정 로그의 수신 시에 획득될 수 있다(이 경우에 추후에 설명되는 결정 및 선택 동작들은 불필요하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단말에서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로깅 및/또는 보고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미리 정의된 트리거 이벤트들 및/또는 이용 케이스들과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S110)에서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의 세트) 및 미리 정의된 연관성에 기초하여,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수신된 측정 보고의 이용 케이스가 결정될 수 있고(S121), 획득될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특정한 세트)는 모든 이용가능한 파라미터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S122). 예를 들어, 관련된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정한 세트,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정한 (e)NodeB 또는 기지국 정보 세트들은 운전 테스트들을 최소화하는 측면에서, 커버리지 최적화, 이동성 최적화, 용량 최적화, 공통 채널에 대한 파라미터화, 서비스 품질 검증을 위한 이용 케이스들 중의 임의의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는 액세스 제한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e)NodeB 또는 기지국의 자신의 셀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접하는 셀들에 관한) 네트워크 부하 파라미터들, 트래픽 분산 파라미터들, 혼잡 파라미터들, 무선 및/또는 하드웨어 리소스 파라미터들, 핸드오버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가능성 있는 개시된 또는 실패한 핸드오버 시도들에 대한 정보; 즉, 당해 (e)NodeB 또는 기지국 또는 잠재적인 핸드오버 후보가 예를 들어, 과부하 문제를 경험하거나,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문제로 인해 리셋(reset)되는 경우의 정보), 이동성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단말의 이전 셀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예를 들어, 이동성 이력 정보), 동적 접속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기준 심볼들에 대한 전력과 같이, 접속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한 동적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 또는 (예를 들어, LTE-A 반송파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의 상황에서) 일부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에 대한 반송파들의 가능한 활성화/비활성화), 시그널링 에러(signaling error)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 무선 리소스 제어) 접속과 같은 시그널링 접속들을 위한 가능한 에러 케이스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X2 인터페이스에 대한 시그널링 이벤트들 뿐만 아니라, 단말과 같은 디바이스로부터의 다른 정보(예를 들어, 보고된 전력 헤드룸 또는 보고된 최신 CQI/CSI(CAI : channel quality indicator(채널 품질 표시자), 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채널 상태 정보)) 메시지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초과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 최적화 이용 케이스는 이동성 및 핸드오버 파라미터들에 의존한다.
상기 설명된 획득은 근원적인 시스템에 시나리오에 따라서는, (도 5 및 도 6의 경우에서와 같은) 실행 장치에서 내부적으로 달성되거나, (도 3 및 도 4의 경우에서와 같은) 실행 장치와 상호접속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동작(S130)에서, 실행 장치(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그 전용 결합 유닛)는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획득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결합하고, 상기 파라미터들은 모든 이용가능한 파라미터들일 수 있거나 모든 이용가능한 파라미터들로부터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결정되는 파라미터들의 세트일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근원적인 시스템 시나리오에 따라서는, 결합이 UE 및 예를 들어, eNodeB 이외의 실행 장치에서 행해질 때, (도 3 및 도 4의 경우에서와 같이) 수신된 UE 측정 보고에 예를 들어, eNodeB 정보의 첨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거나, 관련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파라미터들이 어떻게든 이용가능한 예를 들어, eNodeB에서 결합이 행해질 때, (도 5 및 도 6의 경우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eNodeB 정보에 의한 수신된 UE 측정들의 보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동작(S140)에서, 실행 장치(예를 들어, 송신기)는 네트워크 성능 분석 및/또는 제어를 위하여 이와 같이 생성되는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포워드할 수 있다. 그렇지만, 포워딩은 이와 같이 모아지고 결합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한 네트워크 성능 분석 및/또는 제어가 실행 장치에서 달성될 수 있는 경우에는 또한 생략될 수도 있다. 포워딩은 근원적인 시스템 시나리오에 따라서는, (도 3 및 도 4의 경우에서와 같이) NM/IRP 관리기(NM : network management(네트워크 관리), IRP : integrated reference point(통합된 기준 포인트))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를 향해 달성될 수 있거나, (도 5 및 도 6의 경우에서와 같이) O&M(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를 향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절차는 운전 테스트 최소화(MDT : minimizing drive test)를 위하여 및/또는 네트워크 자율 최적화(SON : self-optimizing network)를 위하여 동등하게 적용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관련 및/또는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MDT 및/또는 SON에 특정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들의 2개의 예들이 설명된다.
제 1 예시적 시스템 시나리오로서, 사용자 평면(UP : user plane) 기반의 아키텍처가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시스템 아키텍처, 즉, UP-기반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한다.
도 2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에 따르면, 단말을 나타내는 사용자 장비(UE)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을 로그(log)하고, 이것을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DMS에 보고하며, 이러한 보고는 사용자 평면에서 행해지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해, 즉,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eNode에 대해 투명(transparent)하다. 예를 들어, DMS로부터의 요청 시에, eNodeB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모으고, 이것을 DMS에 보고한다. eNodeB는 예를 들어, 또 다른 eNodeB를 향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X2 시그널링 이벤트들을 알고 있으므로, 이러한 X2 시그널링 이벤트들은 이와 같이 보고된 eNodeB 정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DMS에서는, 예를 들어, eNodeB 정보를 UE 측정 보고에 첨부함으로써, UE 및 eNodeB로부터의 보고들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결합된 보고는 네트워크 관리 및/또는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NM/IRP 관리기에 포워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 1 시스템 아키텍처의 구조 및 절차들의 상세한 사항들을 도시한다.
도 3의 예시적인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UE)는 또한 DMS와 협동하는 디바이스 관리(DM : device management)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거나 디바이스 관리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DMS에서는, 도 1의 상기 설명된 절차가 실행된다. DMS는 DM 서버 유닛과,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 등에서 IRP 관리기 또는 IRP 관리기 유닛과 협동하는 IRP 에이전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해 투명한 방식으로 사용자 평면 상에서 실시되는 UE 및 DMS 사이의 전송은 OMA DM 프로토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적인 절차들에 따르면, UE, 특히,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측정 및 보고하기 위한 상기 UE의 구성들은 DMS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이용 케이스 등에 대해 어떤 파라미터들(의 세트)이 측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예를 들어, 측정 로그들에 대한 구성과, 예를 들어, 어떤 측정들 및/또는 이용 케이스들 대해 어떤 트리거들 및 (예를 들어, 주기적이거나 실패 기반의) 어떤 종류의 트리거들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트리거들을 보고하기 위한 구성이 임의의 실제적인 네트워크 성능 동작 이전에 DMS로부터 UE로 송신된다. 측정 로그들을 위한 구성은 예를 들어, 셀이 임계값보다 나빠질 때와 같이, 실패 이벤트를 만날 때에 어떤 엔티티(entity)들/파라미터들이 측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들을 보고하기 위한 구성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요청에 따른 측정 직후에 또는 매 24시간 오전 3시와 같이 주기적인 방식으로 보고가 송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측정 트리거를 만나면, UE는 대응하는 측정 로그를 얻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고 트리거를 만나면, UE는 이와 같이 얻어진 측정 로그(보고)를 DMS에 보고한다. 그 수신 후에, DMS는 대응하는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이것은 본 예의 경우에, 이러한 관련된 정보가 이용가능하거나 요청에 따라 모아질, 당해 액세스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eNodeB로부터 이러한 관련된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행해진다. DMS는 UE로부터 수신된 측정들에 속하는 보고 트리거 및/또는 이용 케이스에 기초하여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파라미터들의 특정한 (서브-) 세트를 또한 결정 및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획득된, 즉, 수신된 파라미터들은 UE로부터 수신되는 것들과 결합되어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된다. 다음으로, (단말 상황과 관련된) UE 데이터 및 ((액세스) 네트워크 상황에 관련된) eNodeB 정보를 포함하는 이 결합된 보고는 통합된 기준 포인트(IRP)를 통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또는 제어를 위하여 이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요청하였던 NM/IRP 관리기로 포워드될 수 있다.
DMS 및 eNodeB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OMA DM 인터페이스와 같은,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기준 포인트의 존재가 추정된다. 또한, 임의의 상상가능한 방식일 수 있는, eNodeB 보완 정보를 요청 및 전송하는 방식이 추정된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들, 측정 보고, 및 결합된 보고는 각각 MDT 및/또는 SON에 특정할 수 있다.
제 2 예시적 시스템 시나리오로서, 제어 평면(CP : control plane) 기반의 아키텍처가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시스템 아키텍처, 즉, CP-기반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한다.
도 4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에 따르면, 단말을 나타내는 사용자 장비(UE)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을 로그하고, 상기 측정들을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eNodeB에 보고하며, 이러한 보고는 제어 평면 상에서 행해진다. 다음으로, eNodeB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모은다. eNodeB는 예를 들어, 또 다른 eNodeB를 향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X2 시그널링 이벤트들을 알고 있으므로, 이러한 X2 시그널링 이벤트들은 이와 같이 모아진 eNodeB 정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eNodeB는 예를 들어 eNodeB 정보를 UE 측정 보고에 첨부함으로써, UE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들 및 eNodeB에서 국소적으로 모아진 파라미터들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결합된 보고는 네트워크 관리 및/또는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O&M 디바이스에 포워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시스템 아키텍처의 구조 및 절차들의 상세한 사항들을 도시한다.
도 5의 예시적인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UE)는 eNodeB와 접속되고, 이 eNodeB는 O&M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또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eNodeB에 각각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의 상기 설명된 절차는 UE와 협동하는 eNodeB에서 실행된다. UE 및 관련된 eNode 사이의 전송은 제어 평면 상에서 실시된다.
도 5의 예시적인 절차들에 따르면, UE, 특히,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측정 및 보고하기 위한 상기 UE의 구성들은 eNodeB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과 관련하여 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동일한 개념들이 여기에도 그에 따라 적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측정 트리거를 만나면, UE는 대응하는 측정 로그를 얻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고 트리거를 만나면, UE는 이와 같이 얻어진 측정 로그(보고)를 eNodeB에 보고한다. 그 수신 후에, eNodeB는 대응하는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이것은 본 예의 경우에, 예를 들어, 저장 장치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문의(query)함으로써 및/또는 대응하는 측정들을 수행함으로써 내부적으로 행해진다. eNodeB는 UE로부터 수신된 측정들에 속하는 보고 트리거 및/또는 이용 케이스에 기초하여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파라미터들의 특정한 (서브-) 세트를 또한 결정 및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획득된, 즉, 수신된 파라미터들은 UE로부터 수신되는 것들과 결합되어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된다. 다음으로, (단말 상황과 관련된) UE 데이터 및 ((액세스) 네트워크 상황과 관련된) eNodeB 정보를 포함하는 이 결합된 보고는 IRP(통합된 기준 포인트)들의 수 및 관련된 명칭 변환에 의해 구축되는 인터페이스-N(Itf-N)을 통해 O&M 디바이스에 포워드될 수 있다. O&M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또는 제어를 위하여 이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미리 가질 수 있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들, 측정 보고 및 결합된 보고는 MDT 및/또는 SON에 각각 특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도,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또는 제어 동안에 단말 및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이 지속된다고 항상 추정된다. 그러나, 단말 및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이 상기 설명된 동작들이 완료되기 전에 접속해제되는 상황이 또한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DMS 또는 eNodeB로의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보고는 불가능하게 되거나 지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또는 제어의 추가적인 동작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커버리지가 없는 터널 속으로 운전하는 것과 같은 갑작스러운 효과로 인해 단말 접속이 상실될 수 있다. 그렇게 될 경우, 단말은 그 측정 보고를 송신할 수 없을 수 있고, 및/또는 네트워크 측은 접속이 상실되기 전에 이러한 상황을 취급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한 문제 보고를 개시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CP-기반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상황에서는, 예를 들어, eNodeB로부터 접속해제된 후의 UE가 또 다른 eNodeB의 영역 내의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다시 진입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당히 UE가 터널을 통과할 경우일 것이다. 다음으로, 이전의 eNodeB는 헛되이 UE 측정들의 수신을 대기할 것이고, 이것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동작들을 불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UE 측정이 수신되지 않을 수 있는 경우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들이 필요하고, 이 동작들은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또는 제어의 목적들을 위하여 필요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동작(S610)에서, 액세스-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보고할 필요성은 예를 들어,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이전의 수신 이후 또는 UE 측정 보고의 수신 이후의 타이머의 만료, UE를 향한 접속 상실의 검출 등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S620)에서, 액세스-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미리 설명된 바와 같이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재의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이 이용가능하면(즉, S630에서 "예"), 동작(S640)에서 결합된 보고가 어떻게든 생성(및 포워드)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이 이용가능하지 않다면(즉, S630에서 "아니오"),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포함하지만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이 이용가능하지 않는 보고가 동작(S650)에서 생성될 수 있다. (현재의 또는 임의의 다른 엔티티에서) 이러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에 의한 추후의 보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 보고는 이러한 파라미터들과의 추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파라미터들 및/또는 정보를 위한 플레이스 홀더(placehold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동작(S650)에 따른 비결합된(non-combined) 보고는 그 내부에 시간 스탬프(time stamp)가 포함된 상태로 송신될 수 있다. 이것은 추가적인 동작들에서 시간적인 관계들의 관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eNodeB와 다시 접속된 후의 단말은 그 측정 보고에 부가하여 발생한 에러 보고 또는 접속해제 이벤트의 로그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접속해제의 원인에 대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또는 제어에 기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이 이용가능하지 않더라도 요청이 있으면, 즉, 이전의 eNodeB간 핸드오버로 인해 결코 도달할 수 없었던 UE 측정들의 수신을 대기할 필요 없이,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보고가 가능하다.
도 6에 의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따른 DMS 엔티티, 도 4 및 도 5에 따른 O&M 엔티티, 및/또는 도 2 내지 도 5 중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eNodeB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중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eNodeB에서의 실행의 경우, 동작들(S630 및 S640)은 생략될 수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보고는 DMS를 향해 포워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중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DMS/Q&M에서의 실행의 경우, 동작(S650)이 먼저 수행되더라도, 그 다음으로, 동작(S640)은 필요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중간 수신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의 동작들은 단일 엔티티에서의 공동-위치된(co-located) 실행 또는 상이한 엔티티들에 걸친 분산의 측면에서 그리고 시간 흐름의 측면에서, 임의의 상상가능한 결합뿐만 아니라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효과들은 다음과 같이 개략적으로 기술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와 함께 동반되는 (예를 들어, MDT 목적들을 위하여 정의된) UE 측정 로그들을 포함하는 개선된 보고 데이터는 네트워크에서 특정 문제 또는 실패 상황의 더욱 효과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트리거들의 감시는 UE 측에서 수행된다.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UE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정한 이용 케이스(들)과 더욱 연관되어 있는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관련된 측정들을 수행한다. 각각의 이벤트 및 네트워크 문제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파라미터들의 관련된 세트와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 최적화 이용 케이스는 네트워크에서 존재하는 이동성 및 핸드오버 파라미터들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UE 측정들이 보완되게 하는 네트워크 정보의 수는 최종 사용자(end-user)에 의해 경험되는 문제들의 이유 또는 평가를 결정할 때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UE로부터 나오는 측정들은 공동으로 적절한 네트워크 데이터와 함께 공동으로 고려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현은 아키텍처의 양상들, 즉, UE 측정 보고에 사용되는 전송 메커니즘에 독립적이다. 시스템 아키텍처들의 상기 예들에 따르면, 정책 제어(policy control)를 담당하는 네트워크 엔티티(OMA DM 서버 또는 eNodeB) 및/또는 측정 로깅의 구성은 UE 및 네트워크 정보로부터의 보고들을 보조할 수 있다. 사용자 평면 기반의 아키텍처의 경우에는, DMS는 UE 및 eNodeB로부터 송신된 보고들의 수신처이다. 그러므로, 독립적인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DMS는 eNodeB와 통신할 수 있고, eNodeB에서 정상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서빙할 이용가능한 관련된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 평면 기반의 아키텍처의 경우에는, eNodeB는 UE와, eNodeB 정보가 이용가능한 포인트로부터 송신된 보고들의 수신처이다. 이 접근법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기본적으로 eNodeB 자체이므로,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데이터 보고의 측면에서 더욱 간단하고 더욱 용이하다. 게다가, UE 측정들을 구성 및 보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준비되고, 서비스를 위하여 이용가능하다.
여하튼, 사용되는 전송 메커니즘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장점은 (예를 들어, MDT 목적들을 위하여) 네트워크 성능 감시 및/또는 제어 시의 문제들 또는 단점들이 효율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는 점이다. UE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측정들은 각각의 eNodeB 정보에 의해 보완되지만, 네트워크 문제들 및/또는 실패들에 대한 검출 가능성은 증가한다. 예를 들어, UE 및 eNodeB 피드백은 라이브 운전 테스팅(live drive testing)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자의 부담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OPEX(operating expenditures : 운영 비용) 절감을 초래한다. 또한, UE로부터의 보고들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의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문제들 및/또는 실패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요청되는 분석이 더욱 쉽다. 다수의 요청되는 네트워크-관련 정보는 eNodeB에서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다음으로, 별도로 고려되는 UE 측정들은 예를 들어, SON 목적들을 위해서도 또한 예를 들어 이용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중복적인 구현 복잡성의 회피와 함께 상이한 기능들(예를 들어, MDT 및 SON)을 위하여 동일한 UE 기능성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방법들, 절차들 및 기능들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대응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각각의 장치들, 네트워크 노드들, 및 소프트웨어 및/또는 그 하드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반면, 간결함을 위하여, 각각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각각의 대응하는 방법들 및 동작들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된다.
이하의 도 7 및 도 8에서, 실선 블럭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실선 블럭들의 전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방법들 및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대하여, 개별적인 블럭들은 각각의 기능, 프로세스(process) 또는 절차를 각각 구현하는 각각의 기능적인 블럭들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적인 블럭들은 구현-독립적이며, 즉, 임의의 종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개별적인 블럭들을 상호접속시키는 화살표들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 결합일 수 있는 그 사이의 동작 결합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 결합은 한편으로는 구현-독립적이고(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다른 한편으로는 임의의 수의 도시되지 않은 중간의 기능적 엔티티들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화살표의 방향은 특정 동작들이 수행되는 방향 및/또는 특정 데이터가 전달되는 방향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는, 그 기능적 블럭들만 도시되어 있고, 이 기능적 블럭들은 상기 설명된 방법들, 절차들 및 기능들 중의 임의의 하나와 관련된다. 당업자는 예를 들어, 전원, 중앙 처리 유닛, 각각의 메모리들 등과 같이, 각각의 구조적 어레인지먼트들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임의의 다른 기존의 기능적 블럭들의 존재를 인식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각각의 기능적인 엔티티들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들이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상기한 바를 고려하면, 이와 같이 설명된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따른 DMS와 같은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 또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따른 eNodeB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이러한 엘리먼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동작들이 이하에서 설명되지만, 상세한 사항들에 대하여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도시된 장치는 수신기, 획득 유닛, 결합 유닛, 결정 유닛, 선택 유닛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획득, 결합, 결정 및 선택 유닛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초과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돼야 한다. 또한, 적절한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선택이 원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결정 및 선택 유닛들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돼야 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된 보고의 포워딩이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기본적인 구현을 위하여 송신기는 또한 생략될 수도 있다.
수신기는 단말로부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단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수신기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로서 또는 제어 평면 데이터로서,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획득 유닛은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위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획득 유닛은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외부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내부적으로 획득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적인 획득은 이와 같이 도시된 장치가 DMS 등에 위치될 때에 적용가능할 수 있고, eNodeB 등을 향한 인터페이스(트랜시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내부적인 획득은 이와 같이 도시된 장치가 eNodeB 등에 위치될 때에 적용가능할 수 있고, 로컬 저장 장치 및/또는 측정 유닛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결합 유닛은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획득 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예를 들어,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이한 소스(source)들로부터의 관련된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송신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성능 분석 및/또는 제어를 위하여, 결합 유닛으로부터, 예를 들어, NM/IRP 관리기 또는 O&M 디바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 및/또는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로,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포워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포워딩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정 유닛은 수신된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이용 케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신된 측정 보고의 상황(context)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결정 유닛은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이용 케이스와, 로컬 저장 장치에서 저장될 수 있는 단말에서 수행될 측정들 사이의 미리 정의된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 유닛은 결정된 트리거링 이벤트 및/또는 이용 케이스에 기초하여 획득될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신된 단말 정보를 고려하여 적절한 네트워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장치로부터 디바이스 관리 및/또는 동작 유지보수 엘리먼트로 결합된 보고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러한 송신을 위한 대응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eNodeB 또는 DMS와 NM/IRP 관리기 또는 O&M 디바이스 사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기준 포인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WCDMA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을 취급하는 엔티티, 즉, 도 7 및 도 8에 의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 radio network controller)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인터넷 고속 패킷 액세스(I-HSPA : Internet High speed Packet Access)의 플랫 아키텍처 솔루션(flat architecture solution)의 경우와 같이, 공동 위치된 RNC 기능성을 갖는 Node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UE) 등과 같은 단말은 상기 설명된 장치,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는 DMS 또는 eNode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은 상기 장치로부터 측정 로그들 및/또는 보고 트리거들에 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대응하는 측정 로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측정들을 수행하고, 이러한 측정 로그들을 사용자 평면 또는 제어 평면을 통해 이에 대응하여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NM/IRP 관리기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 및/또는 O&M 디바이스와 같은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는 상기 설명된 장치,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는 DMS 또는 eNode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 및/또는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는 상기 장치로부터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수신하고, 아마도, 대응하는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요청하고 및/또는 그것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성능 분석 및/또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상기한 바를 고려하면, 이와 같이 설명된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따른 DMS와 같은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따른 O&M과 같은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 및/또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eNodeB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이러한 엘리먼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동작들은 이하에서 설명되지만, 상세한 사항들을 위하여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도시된 장치는 수신기, 획득 유닛, 보고 생성 유닛, 보고 필요성 검출 유닛,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획득, 보고 생성, 및 보고 필요성 검출 유닛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초과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돼야 한다. 결합된 또는 비결합된 보고의 포워딩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기본적인 구현을 위하여 송신기는 생략될 수 있다.
수신기는 이와 같이 도시된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신호들, 예를 들어, UE 측정 보고들 또는 보고 필요성의 검출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보고 필요성 검출 유닛은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보고하기 위한 필요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고 필요성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획득 유닛은 이러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보고 생성 유닛은 이용가능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보고, 즉, 단말-관련 및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모두의 이용가능성의 경우에는 결합된 보고,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만의 이용가능성의 경우에는 비결합된 보고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고 생성 유닛은 적절한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송신기는 적절한 때 및 적절한 곳에서 이와 같이 생성된 보고를 포워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바꾸어 말하면, 장치는 단말로부터의 보고를 대기하지 않고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파라미터들의 관리 보고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특히, 단말 접속이 상실되고 단말이 이전과는 또 다른 장치를 통해 다시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을 경우에는, 단말은 추가적인 보고 능력이 결여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고장인 것으로 결정된다. 장치가 보고를 단말로부터의 보고와 결합하지 않으면서 보고를 제공한다면, 추후의 단계에서 보고를 단말로부터 수신된 가능한 정보와 결합하도록 하는 보고 내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러한 추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 측정 보고 데이터 등과 같이 단말로부터 더 이전에 수신된 정보뿐만 아니라, 시간 스탬프, 경험된 (접속해제) 이벤트의 유형, 단말 아이덴티티, 및/또는 관련된 셀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아이덴티티는 단말-관련 및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사이에 상관(correlation)이 존재할(존재해야 할) 때, 특히 유익할 수 있다. 즉,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파라미터들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정한 단말들의 단말-관련 파라미터들과 상관될 때,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파라미터들을 보고하기 위한 필요성이 이런 특정 단말(들)과 관련하여 검출될 수 있고,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결여로 인한 비결합된 보고를 송신한 후에, 비결합된 보고에서 추가적인 정보로서 이용되는 단말 아이덴티티 또는 아이덴티티들에 의해 식별되는 이러한 특정한 단말(들)의 단말-관련 파라미터들에 의해 추후의 결합이 유익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설명된 양상들에 따른 각각의 기능적 블럭들 또는 엘리먼트들은 그것이 각각의 부분들의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비되어 있기만 하면,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어느 하나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언급된 방법의 단계들은 개별적인 기능 블럭들에서 또는 개별적인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거나, 방법의 단계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는 단일의 기능적인 블럭에서 또는 단일의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방법 단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소프트웨어로서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기에 적당하다. 디바이스들 및 수단은 개별적인 디바이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디바이스의 기능성이 유지되는 한, 이것은 이들이 시스템의 전반에 걸쳐 분산된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러한 그리고 유사한 원리들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설명의 의미에서의 소프트웨어는 각각의 데이터 구조 또는 코드 수단/부분들을 그 위에 저장하거나 그 처리 도중에 잠재적으로, 신호 또는 칩에 내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실재적인 매체 위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뿐만 아니라,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 또는 부분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로서 구현될 가능성이 있고 (그 디바이스들, 장치들 및/또는 모듈들의 예들로서, 또는 그 장치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하는 엔티티들의 예들로서) 엔티티들, 네트워크 엘리먼트, 또는 단말 중의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방법 단계들 및 기능들은 소프트웨어 코드에 독립적이고, 방법 단계들에 의해 정의되는 기능성이 유지되는 한, 예를 들어 Java, C++, C, 및 Assembler와 같은 임의의 알려진 또는 미래에 개발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기술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임의의 방법 단계는 구현되는 기능성의 측면에서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소프트웨어로서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기에 적합하다;
- 단말 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로서 또는 그 임의의 모듈(들)로서 구현될 가능성이 있는 방법 단계들, 기능들, 및/또는 디바이스들, 장치들, 유닛들 또는 수단은 하드웨어 독립적이고, 임의의 알려진 또는 미래에 개발되는 하드웨어 기술, 또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C(Integrated Circuit)) 컴포넌트들,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컴포넌트들,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컴포넌트들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컴포넌트들을 이용하는,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Complementary MOS), BiMOS(Bipolar MOS), BiCMOS(Bipolar CMOS), ECL(Emitter Coupled Logic),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등과 같은, 이들의 임의의 하이브리드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가능성이 있는 임의의 방법 단계들 및/또는 디바이스들, 유닛들 또는 수단은 예를 들어, 인증, 인가, 키잉 및/또는 트래픽 보호를 할 수 있는 임의의 보안 아키텍처에 기초할 수 있다;
- 디바이스들, 장치들, 유닛들 또는 수단은 개별적인 디바이스들, 장치들, 유닛들 또는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이것은 디바이스, 장치, 유닛 또는 수단의 기능성이 유지되는 한, 이들이 시스템 전반에 걸쳐 분산된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 장치는 반도체 칩, 칩셋, 또는 이러한 칩 또는 칩셋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모듈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장치 또는 모듈의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대신에,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동작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 내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동일 디바이스 하우징에 있지만 서로 기능적으로 협동하든 또는 서로 기능적으로 독립적이든, 장치로서 또는 하나 보다 많은 수의 장치의 어셈블리로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돼야 한다.
방법론 및 구조적 어레인지먼트의 상기 설명된 개념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설명된 방법의 단계들 및 동작들의 임의의 상상가능한 결합, 및 상기 설명된 노드들, 장치들, 모듈들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상상가능한 결합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개선시키기 위한 조치들이 개시된다. 이러한 조치들은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획득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첨부 도면들에 따른 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지만, 발명은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이 이해돼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발명 사상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여러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23)

  1. 단말로부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상기 획득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결합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성능 분석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하여, 상기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 및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로 포워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트리거링 이벤트 또는 이용 케이스(use case)와, 상기 단말에서 수행될 측정들 사이의 미리 정의된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측정 보고에서의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관련된 트리거링 이벤트 또는 이용 케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관련된 트리거링 이벤트 또는 이용 케이스에 기초하여, 획득될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상호접속되는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에서 동작가능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평면 데이터로서 수신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외부적으로 획득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동작가능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단말로부터 제어 평면 데이터로서 수신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내부적으로 획득되는,
    방법.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는 개방형 모바일 연합(OMA : open mobile alliance)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기지국, 기지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및 eNodeB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위한 운전 테스트들의 최소화 및 네트워크들의 자율 최적화 중의 하나에 특정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커버리지 최적화, 이동성 최적화, 용량 최적화, 공통 채널들에 대한 파라미터화, 서비스 품질 검증을 위한 이용 케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은, 주기적인 무선 환경 또는 다운링크 파일럿 측정들, 서빙 셀이 임계값보다 나빠질 때의 무선 환경 측정들, 단말의 송신 전력이 임계값보다 작아질 때의 송신 전력 헤드룸(headroom) 및 무선 환경 측정들, 랜덤 액세스 실패가 발생할 때의 랜덤 액세스 세부 사항들 및 무선 환경 측정들, 페이징 채널 실패가 발생할 때의 무선 환경, 위치, 시간 및 셀 아이덴티티 측정들, 및 방송 채널 실패가 발생할 때의 무선 환경, 위치, 시간, 셀 아이덴티티 및 주파수 측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는, 액세스 제한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부하 파라미터들, 트래픽 분산 파라미터들, 혼잡 파라미터들, 무선 리소스 파라미터들, 하드웨어 리소스 파라미터들, 핸드오버 파라미터들, 이동성 파라미터들, 동적 접속 파라미터들, 시그널링 에러 파라미터들, 및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X2 인터페이스에 대한 시그널링 이벤트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되는,
    방법.
  12. 단말로부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유닛,
    상기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상기 획득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유닛, 및
    네트워크 성능 분석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하여, 상기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 및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로 포워딩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은,
    트리거링 이벤트 또는 이용 케이스와, 상기 단말에서 수행될 측정들 사이의 미리 정의된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측정 보고에서의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관련된 트리거링 이벤트 또는 이용 케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결정된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관련된 트리거링 이벤트 또는 이용 케이스에 기초하여 획득될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상호접속되는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로서 또는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평면 데이터로서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외부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서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단말로부터 제어 평면 데이터로서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내부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관리 엘리먼트는 개방형 모바일 연합(OMA : open mobile alliance)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기지국, 기지 송수신국, NodeB, 및 eNodeB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네트워크 성능 감시를 위한 운전 테스트들의 최소화 및 네트워크들의 자율 최적화 중의 하나에 특정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커버리지 최적화, 이동성 최적화, 용량 최적화, 공통 채널들에 대한 파라미터화, 서비스 품질 검증을 위한 이용 케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은, 주기적인 무선 환경 또는 다운링크 파일럿 측정들, 서빙 셀이 임계값보다 나빠질 때의 무선 환경 측정들, 단말의 송신 전력이 임계값보다 작아질 때의 송신 전력 헤드룸 및 무선 환경 측정들, 랜덤 액세스 실패가 발생할 때의 랜덤 액세스 세부 사항들 및 무선 환경 측정들, 페이징 채널 실패가 발생할 때의 무선 환경, 위치, 시간 및 셀 아이덴티티 측정들, 및 방송 채널 실패가 발생할 때의 무선 환경, 위치, 시간, 셀 아이덴티티 및 주파수 측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는 액세스 제한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부하 파라미터들, 트래픽 분산 파라미터들, 혼잡 파라미터들, 무선 리소스 파라미터들, 하드웨어 리소스 파라미터들, 핸드오버 파라미터들, 이동성 파라미터들, 동적 접속 파라미터들, 시그널링 에러 파라미터들, 및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X2 인터페이스에 대한 시그널링 이벤트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되는,
    장치.
  23.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장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단말로부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 및 상기 획득된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로 결합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성능 분석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하여, 상기 결합된 네트워크 성능 보고를 네트워크 관리 엘리먼트 및 동작-및-유지보수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로 포워딩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트리거링 이벤트 또는 이용 케이스(use case)와, 상기 단말에서 수행될 측정들 사이의 미리 정의된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측정 보고에서의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관련된 트리거링 이벤트 또는 이용 케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단말-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에 관련된 트리거링 이벤트 또는 이용 케이스에 기초하여, 획득될 액세스 네트워크-관련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27013739A 2009-10-29 2009-10-29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 Active KR101381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9/064294 WO2011050846A1 (en) 2009-10-29 2009-10-29 Enhanced network performance monit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767A KR20120088767A (ko) 2012-08-08
KR101381352B1 true KR101381352B1 (ko) 2014-04-04

Family

ID=4231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739A Active KR101381352B1 (ko) 2009-10-29 2009-10-29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913158B2 (ko)
EP (2) EP2494812B1 (ko)
JP (1) JP5425315B2 (ko)
KR (1) KR101381352B1 (ko)
CN (1) CN102668623A (ko)
ES (1) ES2865407T3 (ko)
PT (1) PT3282744T (ko)
WO (1) WO2011050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1981B (zh) * 2009-06-18 2013-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最小化路测日志测量方法及装置
KR101381352B1 (ko) * 2009-10-29 2014-04-04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
TWI454157B (zh) * 2009-12-16 2014-09-21 Innovative Sonic Corp 無線通訊中通道測量之方法和裝置
US8868029B2 (en) * 2010-01-29 2014-10-2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bile resource usage
US8767584B2 (en) * 2010-01-29 2014-07-0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mobile services delivery
KR101660818B1 (ko) 2010-02-16 201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164375A (zh) * 2010-02-22 2011-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收集终端测量数据的方法和系统
US8731550B2 (en) * 2010-04-12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t restricted access points
US10595221B2 (en) 2010-11-03 2020-03-17 Hfi Innovation, Inc. Method of MDT information logging and reporting
CN102036295B (zh) * 2010-12-02 2014-04-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确定上下行配置的方法、系统和设备
US9137733B2 (en) * 2011-03-15 2015-09-15 At&T Mobility Ii Llc Dynamic control of cell reselection parameters
CN102802174B (zh) * 2011-05-26 2014-12-1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路测数据的获取方法、路测数据的获取系统及装置
WO2013001333A1 (en) 2011-06-29 2013-01-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environment
US9936441B2 (en) 2011-08-01 2018-04-03 Aruba Networks, Inc. Infrastructure-assisted client management using synthesized beacon reports
US10848979B2 (en) 2011-08-01 2020-11-2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lient devices within a wireless network
US9326313B2 (en) 2011-08-01 2016-04-26 Aruba Network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lient devices within a wireless network
CN102917336B (zh) * 2011-08-02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链路失效报告的订阅方法及设备
US9456377B2 (en) * 2011-08-19 2016-09-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ervice deli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GB2494108A (en) * 2011-08-22 2013-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mining trigger events for sending measurement reports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3046185A2 (en) * 2011-09-30 2013-04-04 Nokia Siemens Networks Oy Fault management traffic reduc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US9272851B2 (en) * 2011-11-07 2016-03-01 Mediatek Inc. Minimization of drive tests for uplink link coverage
US8982725B2 (en) * 2012-02-03 2015-03-17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diverse traffic information in cellular networks
DK2817997T3 (da) * 2012-02-22 2020-08-24 Ericsson Telefon Ab L M Selvorganiseringsnetværksfunktionsinteraktion
HK1202352A1 (en) 2012-03-16 2015-09-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mdt data collection
CN110213786A (zh) * 2012-03-16 2019-09-06 英特尔德国有限责任公司 最小化路测上行链路测量
KR20170056022A (ko) 2012-08-08 2017-05-22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자가 조직화 네트워크 동작 진단 기능
EP2896247B1 (en) * 2012-09-14 2020-02-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for mobility control for wi-fi offloading in wireless systems
KR101875185B1 (ko) * 2012-09-25 2018-07-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서비스 품질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047796B1 (ko) 2012-10-08 2019-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GB2508353B (en) * 2012-11-28 2015-07-22 Broadcom Corp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communication system
EP2928230B1 (en) * 2012-12-28 2019-09-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to collect event statistics during inter-rat mobility
KR20150120485A (ko) * 2013-02-18 201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Lte 네트워크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로의 무선 연결의 핸드오버를 오프로딩하는 방법 및 시스템
HK1217260A1 (zh) * 2013-03-29 2016-12-30 英特尔Ip公司 向無線蜂窩網絡提供的無線局域網(wlan)流量負載測量
WO2014166523A1 (en) * 2013-04-09 2014-10-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sight into the customer experience of web based applications
US9717103B2 (en) * 2013-08-05 2017-07-25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15018011A1 (zh) * 2013-08-07 2015-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信息上报的方法和相关设备
IN2013CH04672A (ko) * 2013-10-17 2015-04-24 Samsung R&D Inst India – Bangalore Private Ltd
US9380508B2 (en) * 2013-10-28 2016-06-28 Aruba Network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device connectivity on heterogenous networks
WO2015063371A1 (en) * 2013-11-01 2015-05-07 Nokia Technologies Oy Signaling for mobility and mobility state estimation
US10075866B2 (en) 2014-12-08 2018-09-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ccessing failure event reporting method, user equipment, method for adjusting access control mechanism, control node
US10587639B2 (en) * 2015-03-10 2020-03-10 Ca, Inc. Assessing trust of components in systems
CN109247064B (zh) 2016-06-08 2022-08-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语音或多媒体会话分析
CN109076367A (zh) * 2016-09-28 2018-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WO2018081102A1 (en) * 2016-10-24 2018-05-03 Wandering WiFi LLC Determining network health based on data from a user device
US11265880B2 (en) * 2016-11-03 2022-03-01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ts for cell and beam mobility
US10511510B2 (en) 2016-11-14 2019-12-17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end to end performance observation and evaluation
US11729635B2 (en) * 2017-05-18 2023-08-15 Parallel Wireless, Inc. Mobile base station drive test optimization
US10735529B2 (en) 2017-12-07 2020-08-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perations control of network services
US10826784B2 (en) 2018-01-22 2020-11-03 Mellanox Technologies, Ltd. High definition, scalable network monitoring and debugging in real-time
WO2019234297A1 (en) * 2018-06-05 2019-12-12 Nokia Technologies Oy Management of communication systems
CN110769455B (zh) 2018-07-26 2022-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收集方法、设备及系统
US11005739B2 (en) 2018-09-05 2021-05-11 Richard K. Ste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presenting network data
CN110908741A (zh) 2018-09-14 2020-03-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应用性能管理的展示方法及装置
US10945163B2 (en) * 2018-10-31 2021-03-0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mission critical talkgroup service with minimal audio truncation and delay
EP4543138A2 (en) * 2019-02-12 2025-04-23 ZTE Corporation Method of performance information reporting
WO2020242368A1 (en) * 2019-05-27 2020-1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ement reporting
CN116032997A (zh) * 2022-12-29 2023-04-28 南京先进计算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高性能计算环境中的两个子网之间的互连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2983A1 (de) * 2001-01-23 2002-10-10 Nokia Corp Steuermechanismus zur Vermittlung eines mobilseitigen Anrufs
US7089029B2 (en) * 2003-06-09 2006-08-08 Lucent Technologies Inc.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forward access channel (FACH), and a corresponding network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JP2007104532A (ja) * 2005-10-07 2007-04-19 Fujitsu Ltd 情報処理方法
CN100563394C (zh) * 2006-03-29 2009-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演进网络系统及该系统切换时数据传输方法
US20090203352A1 (en) * 2008-02-13 2009-08-13 Xelex Technologies Inc. Mobile phone/device usag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090227251A1 (en) * 2008-03-05 2009-09-10 Huawei Technologies Co.,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and managing wireless network performance
JP5202194B2 (ja) 2008-09-03 2013-06-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および通信品質管理装置ならびに無線基地局
US20110045821A1 (en) * 2009-08-24 2011-02-24 Motorola, Inc. Sampling and reporting performance of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381352B1 (ko) * 2009-10-29 2014-04-04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09577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2744A1 (en) 2018-02-14
JP5425315B2 (ja) 2014-02-26
KR20120088767A (ko) 2012-08-08
US10111126B2 (en) 2018-10-23
CN102668623A (zh) 2012-09-12
EP2494812B1 (en) 2017-08-30
JP2013509756A (ja) 2013-03-14
PT3282744T (pt) 2021-04-27
EP2494812A1 (en) 2012-09-05
ES2865407T3 (es) 2021-10-15
US20180146392A1 (en) 2018-05-24
WO2011050846A1 (en) 2011-05-05
EP3282744B1 (en) 2021-04-07
US9913158B2 (en) 2018-03-06
US20120282968A1 (en)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352B1 (ko) 개선된 네트워크 성능 감시
US11570681B2 (en) Adapting a mobile network
JP632230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測定報告方法及びそれをサポートする装置
EP2676470B1 (en) Service centric measurements for minimizing drive tests
US9451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rive test
EP27273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environment
US10051502B2 (en) User equipment reporting of connection loss
EP243997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lexible user tracing in mobile networks
US98884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inimization of drive tests for radio access network sha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1652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station,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network healing method
US20110276838A1 (en) Logged Drive Test Reporting
KR1020380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2022312B2 (en) Minimization of drive tests configur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EP27176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ntrolling an mdt in a plurality of plmns
EP3005783B1 (en) Data collection in network management layer coverage and capacity optimization
CN110213786A (zh) 最小化路测上行链路测量
US993055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station,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network healing method
EP444738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I126799B (en) A method for combining user-reported data with MDT tracking reco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