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0045B1 - Textile manufac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Textile manufactu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045B1
KR101380045B1 KR1020130037092A KR20130037092A KR101380045B1 KR 101380045 B1 KR101380045 B1 KR 101380045B1 KR 1020130037092 A KR1020130037092 A KR 1020130037092A KR 20130037092 A KR20130037092 A KR 20130037092A KR 101380045 B1 KR101380045 B1 KR 10138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pport plate
roller
conical roller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1020130037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0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04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6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원단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운데 부분의 특정 폭은 일정하게 유지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가공하는 직물원단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원단이 이송하는 통로가 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단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단의 특정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늘일 수 있는 원추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to maintain a specific width of the center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bric fabric,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It is about.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plate which is a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fabric; A feed roller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transfer the fabric; 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eed roller, it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ical roller that can extend a specific portion of the fab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직물원단 가공장치{Textile manufacturing device}Textile fabric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직물원단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운데 부분의 특정 폭은 일정하게 유지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가공하는 직물원단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to maintain a specific width of the center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bric fabric,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It is about.

직물원단은 섬유(실)를 엮어서 천으로 만든 것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로 구성된다. 이때, 천을 가공하는 단계에서는 가는 실을 하나씩 엮어가면서 일정한 속도로 만들기 때문에 동일한 폭과 길이로 만들어지게 된다.Fabric fabric is made of fabric by weaving fibers (threads), and is composed of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t this time, in the step of processing the cloth is made of the same width and length because weaving the thin thread one by one at a constant speed.

한편, 최근에는 일부 의류의 경우에 볼륨 있는 몸매를 강조하기 위하여 특정 부분을 타이트하게 하여 몸에 밀착되도록 하고, 어떤 부분은 다소 헐렁하게 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허리 부분은 타이트하게 하고, 허리 아래의 일부와 가슴 부분으로 올라가면서 헐렁하게 하여 날씬하고 볼륨 있는 외관을 보이도록 하는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some garments are made in such a way as to tightly fit a certain part to emphasize the voluminous body, and to make some parts loose. For example, the waist is tight, and as it goes up to the lower part of the waist and the chest, it is loosened to give a slim and voluminous appearance.

하지만,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옷의 재료가 되는 원단은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이 균일하게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볼륨 있는 몸매를 강조하기 위한 의복을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폭의 의류를 여러 개 이어서 만들어야만 한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자연스러움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fabric,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garment, is made uni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garment for emphasizing a voluminous body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make several garments of different widths in succession. Therefore, the work takes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naturalness falls.

따라서 하나의 직물원단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영역, 즉 특정부분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원단이 존재하도록 만들 수 있다면,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보다 자연스럽고 다양한 의류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Therefore, if one fabric can be made to have a different length of the fabric, that is, the fabric configured to be wider toward the outside around a specific portion,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while producing a more natural and diverse cloth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추형 롤러를 이용하여 특정부분은 원래의 원단을 유지하면서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직물원단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produce a fabric that is wider toward the outside while keeping the original fabric using a cone-shaped roll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원단이 이송하는 통로가 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단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단의 특정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늘일 수 있는 원추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plate which is a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fabric; A feed roller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transfer the fabric; 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eed roller, it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ical roller that can extend a specific portion of the fab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원추형롤러는 외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지름이 증가하도록 구성되고, 내측끝단의 지름이 상기 이송롤러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크게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ical roller is configured to increase in diameter at a constant rate toward the outside,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may be the same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eed roll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지판의 상부로 상기 이송롤러의 전방에는 원단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for supporting the fabric may be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transfer roller to the top of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는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er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원추형롤러는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ical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two each on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원추형롤러는 상기 지지판의 폭 방향으로 따라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직물원단의 가공부위 또는 비가공부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ical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transpor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to adjust the width of the processing or unprocessed portion of the fabric fabric.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가공장치에 의하면, 원단의 특정부위는 원래의 원단을 유지하면서 그 외측으로 갈수록 원단이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원단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볼륨감 있는 옷감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롤러의 기울기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portion of the fabric can be produced a fabric with a sense of volume because it can produce a fabric length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fabric goes to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abric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duced manufacturing cost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variety of fabric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roll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원추형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가공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진 직물원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nical roller;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abric fabric made by a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원추형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ical roll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가공장치는 지지판(100), 이송롤러(130), 원추형롤러(150), 지지롤러(170) 및 히터(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plate 100, a transfer roller 130, a conical roller 150, a support roller 170, and a heater 190.

지지판(100)은 직물원단(200)이 이송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가공될 직물원단(200)의 폭에 대응되며, 후술하여 설명할 각 구성이 구비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된 평편한 판상으로 구성된다. 지지판(100)은 직물원단(200)이 이송하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표면이 매끈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late 100 is to be a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fabric fabric 200, and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fabric fabric 200 to be processed, it is composed of a flat plate consisting of a length that can be provided with each configuration to be described later do. The support plate 1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ooth surface so that the fabric fabric 200 is not damaged while being transported.

이송롤러(130)는 지지판(100)의 상부면에 가볍게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100) 위를 따라 이동하는 직물원단(200)(미도시)을 가볍게 압착하여 회전하면서 이송시켜준다. 이송롤러(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롤러가 지지판(100)의 폭 방향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판(100)의 폭 방향으로 다수개의 소형롤러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이송롤러(13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동력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롤러(130)의 일단에 기어(미도시)나 풀리(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100)의 하부에 상기 기어나 풀리와 체인(미도시) 또는 벨트(미도시) 등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송롤러(130)는 종래의 원단을 가공하거나 제조하는 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생략하였다.Feed roller 130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0 is lightly pressed to rotate the fabric fabric 200 (not shown) to move along the support plate 100 to convey while rotatin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eed roller 13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cylindrical roller corresponds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a plurality of small rollers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eed roller 130 may be driven by external power. For example, a gear (not shown) or a pulley (not show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eed roller 130, and the gear or pulley and a chain (not shown) or a belt (not shown) is provided below the support plate 100. It can be driven with a drive motor that is connected to the) and transmits power. The feed roller 130 of such a configuration is a configuration generally used in the apparatus for processing or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fabric,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is omitted.

원추형롤러(150)는 이송롤러(130)의 후방에 구비되어 원단의 특정부위를 길이방향으로 늘이는 역할을 한다. 이하의 방향표시는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도 1에서 좌측)을 전방으로 하고, 원단이 가공되어 배출되는 방향(우측)을 후방으로 한다.Conical roller 150 is provided in the rear of the feed roller 130 serves to extend a specific portion of the fab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llowing direction indicatio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bric is supplied (the left side in FIG. 1) is in the front,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bric is processed and discharged (the right) is in the rear.

원추형롤러(150)는 지지판(100)의 내측끝단의 지름이 작고, 외측끝단으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지름이 증가하며, 양단의 외주면은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원뿔형의 롤러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원추형롤러(150)는 원뿔형롤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원추형롤러(150)의 형상은 가공부위를 기준으로 한 형상으로, 가공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공부위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Conical roller 150 has a small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the diameter increases at a constant ratio toward the outer e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both ends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if necessary, a conical roller may be used, of course, the conical roller 150 is a concept including a conical roller.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nical roller 150 is a shape based on the machining site, the remaining parts other than the machining site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as needed. The machining part will be described later.

원추형롤러(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원추형롤러(150)는 동일선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비가공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가공하기 위한 구성이며, 일측만 가공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원추형롤러(150)를 지지판(100)의 일측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비가공부위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Conical roller 150 may be provided with two, one on each side of the support plate 100 as shown in the figure. At this time, the conical roller 15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same line. However, this structure is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to be wider toward both sides around the unprocessed portion, when only one side needs to be processed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conical roller 150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00. The unprocessed por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원추형롤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의 폭 방향으로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직물원단의 비가공부위와 가공부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원추형롤러(150)의 이송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판(100)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가이드레일 등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롤러(130)를 따라 원추형롤러(15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원추형롤러(150)의 접촉면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접촉길이만 조절하는 것이다. 원추형롤러(150)는 외측면이 지지판(100)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원추형롤러(15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롤러 축(155)은 지지판(100)에 대하여 내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도 2참조). 그러므로 원추형롤러(150)가 롤러 축(155)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접촉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지지판(100)으로 부터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원추형롤러(150)는 그대로 두고 이를 지지하는 하부가 이송되도록 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ical roller 150 may be provided to be transported inward or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as shown in FIG. Thus, the widths of the unprocessed and processed parts of the fabric fabric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the conveying of the conical roller 15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provided with a guide rail or the lik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to move the conical roller 150 along the feed roller 130. can do. That is, only the contact length is adjusted while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ical roller 150 is maintained as it is. Conical roller 150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100). Therefore, the roller shaft 155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conical roller 150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lower toward the inner sid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100 (see Fig. 2). Therefore, when the conical roller 150 moves along the roller shaft 155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tact state is not maintain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100. Therefore, the conical roller 150 is to be left as it is to be transported to the lower portion.

원추형롤러(150)는 지지판(100)의 상부면에 가볍게 밀착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때 원추형롤러(150)는 내측끝단의 지름은 전술하여 설명한 이송롤러(13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원추형롤러(150)의 내측끝단에서는 직물원단이 거의 늘어지지 않고, 외측으로 갈수록 늘어나는 길이가 점점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가공부위의 늘어지는 길이를 급격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원추형롤러(150)의 내측끝단의 지름을 이송롤러(130)의 지름보다 다소 크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ical roller 150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0, wherein the conical roller 150 is configur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is the same or somewha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eed roller 130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us, at the inner end of the conical roller 150, the fabric fabric is hardly stretched, and the length that extends toward the outside can be increased. When it is necessary to sharply reduce the length of the processing site,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conical roller 150 may be somewha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eed roller 130, of course.

지지판(100)의 상부로 전술하여 설명한 이송롤러(130)의 전방에는 원단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직물원단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접히거나 말리는 것을 방지한다.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170 supporting the fabric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transfer roller 130 described abov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This prevents the fabric from folding or curling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fabric.

지지판(100)의 하부에는 히터(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히터(190)는 지지판(100)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원단이 용이하게 늘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heater 190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support plate 100. The heater 190 may heat the support plate 100 to a constant temperature to easily stretch the fabric.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가공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진 직물원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abric fabric made by the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가공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직물원단(200)은 가공부위(210)와 비가공부위(230)로 구분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fabric fabric 200 is made by a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rocessing portion 210 and the unprocessed portion 230.

비가공부위(230)는 유입된 원단이 원래의 상태로 유지되는 부분을 말하며, 가공부위(210)는 원추형롤러(150)에 의하여 늘어난 부분을 말한다. 비가공부위(230)의 폭은 원추형롤러(15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결정되며, 가공부위(210)의 늘어나는 양은 원추형롤러(150)의 경사진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The non-processing part 230 refers to a part in which the introduced fabric is maintained in its original state, and the processing part 210 refers to a part extended by the conical roller 150. The width of the unprocessed portion 23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conical rollers 150, and the amount of stretching of the processed portion 2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clined angle of the conical roller 150.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가공장치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직물원단 가공장치의 전방에서 원단이 연속적으로 유입되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판(100) 위의 원단은 이송롤러(13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게 되며, 이송롤러(130)의 전방에서는 지지롤러(1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직물원단(200)은 완전히 평편한 원단보다는 주름진 원단을 이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이다. 주름진 원단을 이용할 경우에 원단이 늘어나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is continuously introduced from the front of the fabric processing apparatus is moved to the rear. At this time, the fabric on the support plate 100 is transported at a constant speed by the feed roller 130, the front of the feed roller 1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ller 170. Fabric fabric 200 is more effective when using a wrinkled fabric than a completely flat fabric. When using a wrinkled fabric has the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the fabric increases.

지지판(100)의 하부에 구비된 히터(190)는 지지판(100)의 온도를 올려주어 직물원단이 용이하게 늘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히터(190)의 온도는 원단의 종류와 형상, 원추형롤러(150)에 의하여 늘어나는 양 및 원단의 이송속도에 따라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진 원단을 가공하는 경우에 히터(190) 및 지지판(100)의 온도는 200℃내외로 유지될 수 있다.The heater 190 provided below the support plate 100 ma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support plate 100 so that the fabric fabric can be easily stretche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90 may be specif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fabric, the amount of stretching by the conical roller 150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fabric. For example, when processing the corrugated fabric,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90 and the support plate 100 may be maintained at about 200 ° C.

이송롤러(130)를 통과한 원단은 원추형롤러(150)에 의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늘어나게 된다. 이송롤러(130)는 원단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후방에서 원추형롤러(150)에 의하여 직물원단이 당겨질 경우에 이를 일정한 속도가 유지되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원추형롤러(150)는 내측끝단의 지름이 이송롤러(130)와 동일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추형롤러(150)가 회전할 경우에 직물원단은 상기 원추형롤로의 내측끝단과 상기 원추형롤러(150)가 닿지 않는 부분은 이송롤러(130)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하지만, 상기 원추형롤러(150)의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기 때문에 이송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그런데, 전방에 구비된 이송롤러(130)에 의하여 직물원단의 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직물원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더 강하게 당겨져서 늘어나게 된다. 그리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롤러(150)가 닿지 않는 부분은 원래의 직물원단이 그대로 유지되고, 원추형롤러(150)가 닿는 부분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많이 늘어나게 된다.The fabric passing through the feed roller 130 is increased by a constant ratio toward the outside by the conical roller 150. The feed roller 130 serves to transport the fabric and at the same time, to hold the fabric when the fabric is pulled by the conical roller 150 at the rear to hold it at a constant speed. As described above, the conical roller 1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is the same as the feed roller 130 and th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conical roller 150 is rotated, the fabric fabric is the inner end of the conical roller and the portion that does not touch the conical roller 150 is transferred at the same speed as the feed roller 130, the conical roller 150 The larger the diameter toward the outside of the feed rate is faster. By the way, since the speed of the fabric fabric is always kept constant by the transport roller 130 provided in the front, the fabric fabric is pulled more and more stronger toward the outside. Thus, as shown in Figure 3, the portion of the conical roller 150 does not touch the original fabric is maintained as it is, the portion of the conical roller 150 touches more and more toward the outside.

직물원단(200)의 비가공부위(230)는 원추형롤러(1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원추형롤러(150)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면 비가공부위(230)의 폭이 좁아지고, 원추형롤러(15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면 비가공부위(230)의 폭은 넓어지게 된다.
The unprocessed portion 230 of the fabric fabric 200 may be variously set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conical rollers (150). In other words, if the interval between the conical rollers 150 is narrowed, the width of the unprocessed portion 230 is narrowed. If the interval between the conical rollers 150 is widened, the width of the unprocessed portion 230 is widen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무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지지판
130: 이송롤러
150: 원추형롤러
170: 지지롤러
190: 히터
200: 직물원단
210: 가공부위
230: 비가공부위
100: Support plate
130: feed roller
150: conical roller
170: support roller
190: heater
200: fabric
210: machining area
230: unprocessed part

Claims (7)

원단이 이송하는 통로가 되는 지지판(100);
상기 지지판(100)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단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30);
상기 이송롤러(13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100)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단의 특정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늘일 수 있는 원추형롤러(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물원단 가공장치.
A support plate 100 serving as a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fabric;
A feed roller 130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0 to transfer the fabric;
A conical roller 15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eed roller 130 and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100 to extend a specific portion of the fabric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롤러(150)는 외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지름이 증가하도록 구성되고, 내측끝단의 지름이 상기 이송롤러(13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가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ical roller 150 is configured to increase in diameter at a constant rate toward the outside, the fabric of the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is the same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eed roller 13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의 상부로 상기 이송롤러(130)의 전방에는 원단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1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가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abric suppor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170 for further supporting the fabric in front of the transfer roller 130 to the top of the support plate 100 is further provid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의 하부에는 히터(19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가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ter (19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롤러(150)는 상기 지지판(1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가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ical roller 150 is a textile fabric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two each on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10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롤러(150)는 상기 지지판(100)의 폭 방향으로 따라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어 직물원단(200)의 가공부위 또는 비가공부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가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ical roller 150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fabric fabric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adjust the width of the processing site or unprocessed site of the fabric fabric (200).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비가공부위와 상기 비가공부위의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가공부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A fabric fabric, which is made by the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non-processed portion and a processed portion length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non-processed portion.
KR1020130037092A 2013-04-04 2013-04-04 Textile manufacturing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1380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92A KR101380045B1 (en) 2013-04-04 2013-04-04 Textile manufact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92A KR101380045B1 (en) 2013-04-04 2013-04-04 Textile manufactur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045B1 true KR101380045B1 (en) 2014-04-04

Family

ID=5065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0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0045B1 (en) 2013-04-04 2013-04-04 Textile manufactu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0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592B1 (en) * 2015-03-11 2016-06-01 (주)에스엠텍스타일 Fabric suppl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660A (en) * 1991-08-31 1993-03-09 Bando Chem Ind Ltd Wide-angle 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00076447A (en) * 1999-01-14 2000-12-26 투테 에. Stretching device for a fabric web
JP2001517272A (en) * 1997-03-28 2001-10-02 ソシエテ・ナシオナル・デテユード・エ・ドウ・コンストリユクシオン・ドウ・モトール・ダヴイアシオン、“エス.エヌ.ウ.セ.エム.アー.” Method of manufacturing a ring-shaped fibrous structure forming a part of a composite 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660A (en) * 1991-08-31 1993-03-09 Bando Chem Ind Ltd Wide-angle 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1517272A (en) * 1997-03-28 2001-10-02 ソシエテ・ナシオナル・デテユード・エ・ドウ・コンストリユクシオン・ドウ・モトール・ダヴイアシオン、“エス.エヌ.ウ.セ.エム.アー.” Method of manufacturing a ring-shaped fibrous structure forming a part of a composite material
KR20000076447A (en) * 1999-01-14 2000-12-26 투테 에. Stretching device for a fabric we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592B1 (en) * 2015-03-11 2016-06-01 (주)에스엠텍스타일 Fabric suppl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2190B (en) Production method of warp knitted fabrics, warp knitted fabrics and work clothes
US31752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ubular knitted fabric by lateral distention
US2583630A (en) Apparatus for shrinking and condensing textile fabrics
US2262268A (en) Apparatus for preshrinking fabric
CN10646025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iber yarn
KR101380045B1 (en) Textile manufacturing device
US964088A (en) Fabric-stretching machine.
CN104003250B (en) A kind of silk thread transfer
US24402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ishing and shrinking textile fabrics
CN203904666U (en) Open-width knitting pre-shrinking machine
WO2011138810A1 (en) Method for treating an open width fabric and related processing line
US3402443A (en) Cloth straightening apparatus
US3618226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drying web material especially textile material
US3126606A (en) Feeder for tubular knit fabrics
US3436796A (en) Apparatus for spreading tubular fabric
CZ297909B6 (en) Steaming machine for treating, dyeing, finishing, washing or the like of at least one moving band
KR20060098413A (en) Capping cylinder device of pile processing machine
CN104944193B (en) Open-width heat-setting machine deviation rectifying device and open-width heat-setting machine deviation rectifying system
CN106676807A (en) Single-roller two-time natural lustre finishing machine
US27732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textile fabrics
US2742685A (en) Weft-straightening apparatus
KR20100111594A (en) Fabric moving device for heater setting machine
CN203582126U (en) Cloth singeing cloth discharging plaiting device
CN206279346U (en) A kind of forming machine tight cloth apparatus of selvage guide
US2190860A (en) Fabric fee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