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9930B1 -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930B1
KR101379930B1 KR1020110133103A KR20110133103A KR101379930B1 KR 101379930 B1 KR101379930 B1 KR 101379930B1 KR 1020110133103 A KR1020110133103 A KR 1020110133103A KR 20110133103 A KR20110133103 A KR 20110133103A KR 101379930 B1 KR101379930 B1 KR 101379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asalazine
composition
hyaluronic acid
cataract
inhibi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319A (ko
Inventor
백영준
주천기
이성희
최준섭
우구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국비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13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930B1/ko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국비엠아이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2/000205 priority patent/WO2013089307A1/ko
Priority to JP2014547077A priority patent/JP5843975B2/ja
Priority to US14/364,325 priority patent/US9364552B2/en
Priority to CA2858699A priority patent/CA2858699A1/en
Priority to EP12858133.7A priority patent/EP2792356A4/en
Priority to IN5738DEN2014 priority patent/IN2014DN05738A/en
Priority to CN201280069538.7A priority patent/CN104168901A/zh
Priority to BR112014014038A priority patent/BR112014014038A2/pt
Publication of KR2013006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9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2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2, e.g. pheniramine, bisacody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55Azo (—N=N—), diazo (=N2), azoxy (>N—O—N< or N(=O)—N<), azido (—N3) or diazoamino (—N=N—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수성 설파살라진; 높은 함량의 히알루론산; 및 수용액을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에 히알루론산 가루를 첨가하고 특정의 반응 조건으로 혼합하여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INHIBIT AFTER-CATARACT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발성 백내장의 발병률을 낮추어 후발성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의 상실 및 2차적 수술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약효 및 균질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체 백내장 수술 환자의 약 30%가 후발성 백내장(After-cataract, Posterior capsular opacity), 즉 남아있는 수정체 상피세포가 불규칙한 배열로 수정체 후낭(posterior capsule)으로 자라 들어가서 수정체가 다시 혼탁해지는 질환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후발성 백내장은 전 연령대에서 발생되는데, 특히 노령 환자층에 비하여 젊은 환자층에서 발명률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 및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내장 수술 후에 외부환경에 노출되면 수정체 상피세포는 계속적인 증식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정체 상피세포가 상대적으로 빈 공간인 수정체 후낭으로 이동하게 되고, 계속적인 세포 변형과 증식이 일어나면서 빛의 투과력 및 시력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러한 후낭에 모인 수정체 상피세포가 완전히 변형되면서 후발성 백내장이 발생하게 된다.
아직까지 후발성 백내장의 치료는 레이저(Nd-Yg Laser) 수술이 유일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레이져 시술 후에는 시야가 좁아지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후발성 백내장을 예방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 보다 더 효과적인데, 현재까지는 후발성 백내장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백내장 수술시 사용되는 인공수정체 지지부에 물리적인 변화를 가하거나 수정체낭 확장 고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을 뿐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490286호에는 설파살라진 또는 그 수용성 염을 활성성분으로 하여 녹내장에 의한 망막의 허혈, 당뇨병성 망막증에 의한 망막 손상, 포도막염에 의한 망막 신경의 퇴화 등을 치료할 수 있는 망막손상 치료용 안약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417623 호에는 설파살라진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파킨슨병, 헌팅톤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등의 뇌신경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에 의해서도 효과적으로 후발성 백내장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없었고, 백내장 수정체 상피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억제하여 후발성 백내장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후발성 백내장의 발병률을 낮추어 후발성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의 상실 및 2차적 수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약효 및 균질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친수성 설파살라진; 1.4 내지 2.0 %(w/v)의 히알루론산; 및 수용액을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파살라진을 친수화 시키는 단계;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에 히알루론산 가루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 및 히알루론산 가루를 33 내지 42℃에서 5 내지 24시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예에 따른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친수성 설파살라진; 1.4 내지 2.0 %(w/v)의 히알루론산; 및 수용액을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한국등록특허 제0894042호에서, 설파살라진-히알루론산 혼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후발성 백내장의 원인 수정체 상피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억제하여 수정체 후낭의 투명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후발성 백내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그런데, 히알루론산은 난용성 화합물로서 수용매 등에 대한 최대 용해도가 2% (w/v)에 불과하기 때문에, 설파살라진이 포함된 수용액과 2% (w/v)의 히알루론산의 포함된 수용액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다고 하여도, 제조되는 조성물 상에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안과 수술시 요청되는 농도, 예를 들어, 1.4~1.5% (w/v)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혼합물의 균질성 또한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계속 진행하여, 후술하는 특정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면 히알루론산을 안과 수술시 요청되는 수준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질성이 현저히 우수하면서도 동등 수준 이상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 효과를 갖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따라, 이러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은 후발성 백내장의 발병률을 현저히 낮추어 후발성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의 상실 및 2차적 수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약효 및 균질한 분산 상태를 갖는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험예 A 및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은 수정체 상피 세포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후발성 백내장의 발병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적용하면 NF-k B가 주 활성부위인 세포의 핵에서 발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2-Hydroxy-5-[[4-[(2-pyridinylamino)sulfonyl]azo]benzoic acid 또는 6-oxo-3-(2-[4-(N-pyridin-2-ylsulfamoyl)phenyl]hydrazono)cyclohexa-1,4-dienecarboxylic acid]은 설파피리딘 (Sulfapyridine)과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이 아조 결합(azo bond)하여 형성된 화합물로서, NF-kB(Nuclear factor kappa B)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설파살라진을 포함한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은 수정체 상피세포가 증식 및 이동을 할 때 발현되는 NF-k B의 활성을 억제하여 후발성 백내장의 발병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설파살라진은 수용액에 대하여 난용성이여서, 약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친수성 설파살라진으로 가용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친수성 설파살라진은 설파살라진에 염산,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을 첨가하여 산 부가염 또는 알칼리 부가염의 형태로 얻어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설파살라진을 페그화(PEGylation) 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상기 친수성 설파살라진은 페그화된 설파살리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그화(PEGylation) 된 설파살리진은 설파살리진을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염 균형 용액에 첨가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염 균형 용액은 다양한 분자량 및 농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는데, 30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380 내지 42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1%, 바람직하게는 5% (v/v) 이상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설파살라진의 농도는 0.1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2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mM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설파살라진의 농도가 0.1 mM미만이면 유효한 약효를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1.5mM 를 초과하면 장시간 안과 수술 시 수정체 상피 세포에 대한 독성이 과다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백내장 수술시 수정체낭의 모양을 유지시켜주고, 인공수정체 삽입시 윤활제 역할을 하며, 조성물의 투명도 및 점도를 증가시켜서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안구에 적용할 때 안정적 시술을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은 1.4 내지 2.0 %(w/v),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 %(w/v)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1.0%(w/v)를 초과하여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높인다고 하여도 조성물의 균질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그러나, 후술하는 특정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1.4 내지 2.0 %(w/v)이면서도 우수한 균질성을 갖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에서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1.4%(w/v) 미만인 경우, 수정체낭의 모양을 유지시키기 어렵고, 인공수정체 삽입시 윤활제 역할이 감소될 수 있으며, 설파살라진의 약효를 유효성 있게 전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의 점도가 저하되어 설파살라진이 수정체 상피세포에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안구용 제제로서 적절한 역할을 하기 어려워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에서는, 1.0*106 내지 4.0*106 g/몰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히알루론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에서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설파살라진 함량의 상대표준편차가 2이하 일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설파살라진 및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이 포함된 조성물에서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높이면 균질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설파살라진의 분산이 매우 불균질하게 되는 현상(예를 들어, 설파살라진 함량의 상대표준편차가 매우 커지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후술하는 실험예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구현예의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에서는 설파살라진 및 히알루론산이 매우 균질하게 분산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안과 시술 등에 적용하는 경우, 수정체 상피 세포 전 영역에 걸쳐 설파살리진이 균질하게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설파살리진이 특정 부분에 과농도로 접촉하여 수정체 상피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거나, 저농도로 접촉하여 유효한 약효가 발현되지 않는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매우 안정적인 안과 시술용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안과 시술 등에 적용하는 경우 설파살라진을 히알루론산과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수술시 2차적인 약물 투여의 번거로움 및 추가적인 독성에 대한 위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액을 포함하는 담체는 증류수,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균형염용액(Balanced Salt Solution), 생리식염수(Sal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염산,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설파살라진을 친수화 시키는 단계;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에 히알루론산 가루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 및 히알루론산 가루를 33 내지 42℃에서 5 내지 24시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연구를 계속 진행하여,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에 히알루론산 가루를 첨가하고 특정의 반응 조건으로 혼합하면,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균질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우수한 약효 및 안정성을 갖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 및 히알루론산 가루는 33 내지 42℃에서,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에서, 5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시간 동안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시의 온도가 33℃ 미만인 경우에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성분들이 균질하게 혼합되지 않을 수 있고, 42℃ 초과인 경에는 제제의 안정적인 조제가 쉽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혼합의 시간이 5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성분들이 균질하게 혼합되지 않을 수 있고, 24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의 점도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후술하는 실험예 D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 및 히알루론산 가루를 35 ℃(실시예4), 37 ℃(실시예1) 및 40 ℃(실시예3)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제조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은, 설파살라진 함량의 상대표준편차가 2이하로 나타나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성분들이 매우 균질하게 분산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혼합 온도가 25 ℃(비교예1)인 경우에는 20 % 이상의 높은 상대표준편차가 나타나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성분들이 매우 불균일하게 분산된다는 점이 확인된다.
상기 설파살라진을 친수화 시키는 단계에서는, 난용성 화합물을 가용화 시킥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른 것으로 알려진 방법 및 장치를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설파살라진을 페그화(PEGylation)시키는 단계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설파살라진을 페그화(PEGylation)시키는 단계는 설파살라진을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염 균형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 균형 용액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설파살리진을 페그화(PEGylation)하여 친수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설파살라진을 페그화하여 친수화 시키면, 화학적 구조의 변경 없이 수용성의 액체로 사용할 수 있고, 주사제 및 안과용 제제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설파살라진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내용과 같다.
상기 설파살라진을 친수화 시키는 단계에서는 설파살라진의 농도를 0.1 내지 1.5 mM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염 균형 용액에 적절한 양으로 설파살라진 용액을 첨가하여, 상기 설파살리진의 농도를 0.1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2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mM 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에 히알루론산 가루를 첨가하는 단계에서는 전체 조성물 상에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1.4 내지 2.0 %(w/v),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w/v)가 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 또는 상기 설파살라진이 첨가된 염 균형 용액에 적절한 양의 히알루론산 가루를 첨가하여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 가루의 물성, 형태, 크기 등에는 큰 제한이 없으며, 무균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담체 또는 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염은 상기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하는 과정에서 별 다른 제한 없이 첨가될 수 있으나,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 및 히알루론산 가루가 완전히 혼합된 이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발성 백내장의 발병률을 낮추어 후발성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의 상실 및 2차적 수술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약효 및 안정적인 제제를 제공할 수 있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후발성 백내장 발생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후발성 백내장 발명과 수정체 상피세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실시예에 의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수정체 상피세포의 이동을 억제하였는지 확인한 결과 및 이에 대한 통계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설파살라진의 농도별 세포에 대한 독성을 MTT assay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NF-k B가 세포질 및 핵에서 활성화 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및 이에 대한 통계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1, 실시예3, 실시예4 및 비교예1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균질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2 및 비교예2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균질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1
10%(v/v)의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Mw.400, 상품명:P3265, Sigma사)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Balanced salt solution) 500mL에 설파살라진을 0.5 m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실온에서 2시간 정도 혼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설파살라진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에 히알루론산 가루(Sodium Hyaluronate, NOVA Biotech) 15 g/L가 되게 37℃에서 12시간 동안 혼합하여, 설파살라진-히알루론산 혼합물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2
설파살라진을 1.0 mM의 농도가 되도록 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3
상기 설파살라진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 및 히알루론산 가루의 혼합 온도를 40℃로 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4
상기 설파살라진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 및 히알루론산 가루의 혼합 온도를 35℃로 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5
설파살라진을 0.3 mM의 농도가 되도록 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1
상기 설파살라진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 및 히알루론산 가루의 혼합 온도를 25℃로 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2
10%(v/v)의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Mw.400, 상품명:P3265, Sigma사)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Balanced salt solution) 500mL에 설파살라진을 1.0 m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정도 혼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설파살라진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에 2%의 히알루론산 용액을 50:50 중량비로 배합하고, 25℃에서 2시간 동안 혼합하여, 설파살라진-히알루론산 혼합물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3
설파살라진을 0.5m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점 외에는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은 얻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내지 3에서의 설파살라진 농도, 히알루론산의 사용량(농도) 및 설파살라진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 및 히알루론산 가루의 혼합온도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설파살라진
농도(mM)
히알루론산
(사용량, 농도)
설파살라진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 및 히알루론산 가루의 혼합온도
(℃)
실시예1 0.5 15g/L, 1.5%(w/v) 37
실시예2 1.0 15g/L, 1.5%(w/v) 37
실시예3 0.5 15g/L, 1.5%(w/v) 40
실시예4 0.5 15g/L, 1.5%(w/v) 35
실시예5 0.3 15g/L, 1.5%(w/v) 37
비교예1 0.5 15g/L, 측정불가 25
비교예2 1.0 용액의 1:1배합, 1.0%(w/v) 25
비교예3 0.5 용액의 1:1배합, 1.0%(w/v) 25
* 비교예 1의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파살라진과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이 매우 불균질하게 형성되고, 히알루론산의 상당 부분이 용해되지 않아 히알루론산의 정확한 농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 실험예 >
제조예1 . 사람 수정체의 상피세포 배양
Human lens epithelial B3 cell line(이하, 'HLE B3세포'라 한다) 수정체 상피세포를,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MEM, Invitrogen-Gibco, Grand Island, NY, USA)에 20% 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배양액에 넣고 5% CO2세포 배양기를 이용하여 37℃에서 배양하였다.
제조예2 . 수정체낭 배양
돼지 눈을 이용하며, 수정체를 분리후 수정체 낭의 전방을 직경 약 5mm정도로 잘라내고, 수정체낭 확장고리(Tension ring, CTR98-A, Lucid Korea, Korea)를 삽입한 후, 수정체의 내용물을 제거하였다. 이러한 수정체 낭을 혈청(serum)이 없는 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um(DMEM) 배양액에 넣고, 5% CO2세포 배양기를 이용하여 37℃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과 상기 제조예1에서 얻어진 사람의 수정체 상피 세포 배양액을 1:1 동량으로 섞은 후, 제조예2의 수정체 낭에 투여하여 효과를 관찰하였다.
효과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세포독성: MTT assay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2) 단백질 활성: Western blot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얻어진 모든 결과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은 one-way ANOVA test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A. 수정체 상피 세포의 이동 억제 여부 확인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설파살라진을 처리 하지 않은 대조군을 각각 상기 제조예1에서 얻어진 사람의 수정체 상피 세포 배양액을 1:1 동량으로 섞고 제조예2의 수정체 낭에 투여한 후, 수정체 상피 세포의 이동이 억제되는지를 현미경(AE-21, Pelco사) 및 현미경카메라(Digital 352 CCD, Motic사)이용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3에 나타내었다.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파살라진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2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에 의하여 수정체 상피 세포의 이동이 억제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2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비교예 2 및 3의 조성물(설파살라진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에 2%의 히알루론산 용액을 50:50 중량비로 배합)에 비하여 수정체 상피 세포의 이동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점도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도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각각 51.5%, 40.5% 의 수정체 상피세포의 이동 억제 및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데 반하여, 비교예 2 및 3의 조성물은 68.5%, 48.5% 에 불과한 수정체 상피세포의 이동 억제 및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점이 확인된다.
B. 설파살라진의 농도별 세포 독성 확인 실험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MTT assay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실시예 1,2 및 5의 조성물이 60.0 %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유의할 만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C. NF -k B의 발현 및 활성 억제 확인 실험
실시예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수정체 상피세포의 이동 중 NF-k B의 발현과 활성을 억제하는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우선, 전기 영동(electrophoresis) 실험을 통하여, NF-k B가 세포질 및 핵에서 활성화되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5-A에 나타내었다. 이때, Beta-tubulin은 세포질 마커로, Laminin A는 핵단백질 마커로 사용하였다.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정체의 상피 세포 이동 중 NF-k B가 세포질과 핵에서 발현되고, 주 활성 부위가 세포의 핵인 것이 확인된다(대조군). 이에 반하여, 실시예 1,2 및 5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에는, 주 활성부위인 세포의 핵에서 NF-k B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5-B에서 추가적으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적용하면, NF-k B의 핵으로의 이동을 30%이상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 설파살라진 -히알루론산 혼합물의 균질성 평가
(1) 설파살라진을 10% 폴리에틸렌글리콜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에 농도별로 녹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 그래프로 설파살라진 함량을 측정하여 직선의 검량선을 준비하였다(도 6-A).
(2) 그리고, 실시예1(37 ℃), 실시예3(40 ℃) 실시예4(35 ℃) 및 비교예1(25 ℃)의 조성물의 상, 중, 하 위치 별로 3개의 샘플을 취한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HPLC)를 이용하여 설파살라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함량 분석을 3회 반복하여, 이로부터 함량의 상대표준편차(RDS)를 계산하였다.
도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37 ℃), 실시예3(40 ℃) 및 실시예4(35 ℃)에서는 각각 0.87%, 1.30% 및 1.34%의 상대표준편차가 나타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매우 균질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1(25 ℃)은 28.35 %의 높은 상대표준편차를 나타내어,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매우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의 조성물에서는 히알루론산과 설파살라진이 매우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용된 히알루론산의 상당 부분이 용해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1.4(w/v)% 이상의 고농도의 히알루론산을 포함한 조성물로 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설파살라진을 10% 폴리에틸렌글리콜이 포함된 염 균형용액에 농도별로 녹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 그래프로 설파살라진 함량을 측정하여 직선의 검량선을 준비하였다(도 7-A).
실시예2 및 비교예2의 조성물의 상, 중, 하 위치 별로 3개의 샘플을 취한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HPLC)를 이용하여 설파살라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함량 분석을 3회 반복하여, 이로부터 함량의 상대표준편차(RDS)를 계산하였다.
도 7-B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은 0.59 %의 상대표준편차가 나타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이 매우 균질하게 분산되어 있는데 반하여, 비교예2는 6.84 % 의 상대표준편차가 나타내어 매우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친수성 설파살라진;
    1.4 내지 2.0 %(w/v)의 히알루론산; 및
    수용액을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며,
    조성물의 위치별 상기 친수성 설파살리진 함량의 상대표준편차가 2%이하인,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설파살라진은 페그화(PEGylation)된 설파살라진을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설파살라진의 농도가 0.1mM 내지 1.5mM인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을 포함하는 담체는 증류수, 인산완충액, 균형염용액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염산,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더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구 투여용 제제.
  7. 설파살라진을 친수화 시키는 단계;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에 히알루론산 가루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 및 히알루론산 가루를 33 내지 42℃에서 5 내지 24시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파살라진을 친수화 시키는 단계는 설파살라진을 페그화 (PEGylati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파살라진을 페그화(PEGylation)시키는 단계는 설파살라진을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염 균형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파살라진을 친수화 시키는 단계는 설파살라진의 농도를 0.1mM 내지 1.5 mM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화 된 설파살라진에 히알루론산 가루를 첨가하는 단계는 상기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1.4 내지 2.0 %(w/v)가 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10133103A 2011-12-12 2011-12-12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ctive KR10137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03A KR101379930B1 (ko) 2011-12-12 2011-12-12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4547077A JP5843975B2 (ja) 2011-12-12 2012-01-09 後発性白内障抑制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4/364,325 US9364552B2 (en) 2011-12-12 2012-01-09 Composition for inhibiting after-catarac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A2858699A CA2858699A1 (en) 2011-12-12 2012-01-09 Composition for inhibiting after-catarac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CT/KR2012/000205 WO2013089307A1 (ko) 2011-12-12 2012-01-09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12858133.7A EP2792356A4 (en) 2011-12-12 2012-01-09 COMPOSITION FOR INHIBITING AFTERSTA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IN5738DEN2014 IN2014DN05738A (ko) 2011-12-12 2012-01-09
CN201280069538.7A CN104168901A (zh) 2011-12-12 2012-01-09 后发性白内障抑制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BR112014014038A BR112014014038A2 (pt) 2011-12-12 2012-01-09 composição para inibição do pós-cirúrgico de catarata e método para preparação da mesm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03A KR101379930B1 (ko) 2011-12-12 2011-12-12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319A KR20130066319A (ko) 2013-06-20
KR101379930B1 true KR101379930B1 (ko) 2014-04-14

Family

ID=4861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103A Active KR101379930B1 (ko) 2011-12-12 2011-12-12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64552B2 (ko)
EP (1) EP2792356A4 (ko)
JP (1) JP5843975B2 (ko)
KR (1) KR101379930B1 (ko)
CN (1) CN104168901A (ko)
BR (1) BR112014014038A2 (ko)
CA (1) CA2858699A1 (ko)
IN (1) IN2014DN05738A (ko)
WO (1) WO2013089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30B1 (ko) 2011-12-12 2014-04-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12776B1 (ko) * 2013-03-11 2014-07-0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각결막염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95950B1 (ko) * 2015-12-18 2018-09-06 (주)한국비엠아이 골관절염 치료를 위한 친수화된 설파살라진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US11376266B2 (en) 2016-01-06 2022-07-05 Keio University Antitumor agent
US10385096B2 (en) * 2016-08-30 2019-08-20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Pro-Amb reverse turn restricted bioactive peptide analogues
WO2018085942A1 (en) 2016-11-10 2018-05-17 Medisca Pharmaceutique Inc. Pharmaceutical compounding methods and systems
US11026460B2 (en) * 2017-03-03 2021-06-08 Stormy McCowen TAYLOR Hair filler device
CN116172885A (zh) * 2021-12-17 2023-05-30 河南省人民医院 一种抗后发性白内障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042B1 (ko) * 2007-04-13 2009-04-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파살라진-히알루론산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얻어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3487A (en) * 1986-01-06 1992-03-03 Mobay Corporation Low viscosity high molecular weight filter sterilizable hyaluronic acid
KR100490286B1 (ko) * 2001-09-12 2005-05-17 주식회사 뉴로테크 설파살라진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망막손상 치료용 안약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WO2004014399A1 (en) * 2002-08-07 2004-02-19 Laboratoire Medidom S.A. Process for preparing a sterile high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formulation
KR20030069917A (ko) * 2003-06-27 2003-08-27 주식회사 뉴로테크 안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8802651B2 (en) 2004-06-30 2014-08-12 Abbott Medical Optics Inc. Hyaluronic acid in the enhancement of lens regeneration
CN102106838A (zh) * 2009-12-23 2011-06-29 上海信谊嘉华药业有限公司 一种柳氮磺吡啶肠溶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225220A (zh) * 2011-06-14 2011-10-26 天津晶明新技术开发有限公司 眼科手术粘弹剂
KR101379930B1 (ko) 2011-12-12 2014-04-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042B1 (ko) * 2007-04-13 2009-04-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파살라진-히알루론산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얻어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58699A1 (en) 2013-06-20
IN2014DN05738A (ko) 2015-04-10
KR20130066319A (ko) 2013-06-20
JP2015500334A (ja) 2015-01-05
US9364552B2 (en) 2016-06-14
EP2792356A4 (en) 2015-11-11
JP5843975B2 (ja) 2016-01-13
US20140378410A1 (en) 2014-12-25
WO2013089307A1 (ko) 2013-06-20
BR112014014038A2 (pt) 2017-06-13
EP2792356A1 (en) 2014-10-22
CN104168901A (zh)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930B1 (ko)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3152B1 (ko) 안과용 약물의 전달에 유용한 젤
EP3179982B1 (en) Method of increasing bioavailability and/or prolonging ophthalmic action of a drug
TW201105363A (en) Eye drop for macular edema treatment
US10279046B2 (en) Eye drop composition for treating ocular inflammatory diseas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2023075278A (ja) 薬剤送達用生体溶解性医薬ゲル
KR100894042B1 (ko) 설파살라진-히알루론산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얻어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후발성 백내장 억제용 조성물
KR20000049136A (ko) 후발 백내장 억제제
KR101840256B1 (ko) 레바미피드를 함유하는 새로운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및 이의 가용화 및 안정화 방법
US20100234336A1 (en) Ophthalmic Compositions
KR101723703B1 (ko) 안구 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케토롤락 트로메타민 조성물
KR101507504B1 (ko) 안구건조증 및 관련 안과 질환의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3043387A1 (en) Ophthalmic gel compositions
CA3088185C (en) Suspension compositions of multi-target inhibitors
US2025013484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cular disease comprising enavogliflozin
EP4282401A1 (en) Ophthalmic preparation administered by eye drops and use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ry macular degeneration and retinal light damage
AU202325500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cular disease comprising enavogliflozin
JP3504656B2 (ja) 水性医薬組成物
CN117503691A (zh) 一种具有减轻老视作用的长效眼用制剂
CN120305202A (zh) 一种硝酸毛果芸香碱眼用药物组合物
CN115919755A (zh) 一种低浓度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00013487A (ko) 글리코피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시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HK40003059A (en) Atropine-containing aqueous composition
TW200906386A (en) Compositions with anti-angiogenic activity
CZ326499A3 (cs) Kompozice použitelná v oční chirurg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