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706B1 - Local information 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Local information 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7706B1 KR101377706B1 KR1020120042099A KR20120042099A KR101377706B1 KR 101377706 B1 KR101377706 B1 KR 101377706B1 KR 1020120042099 A KR1020120042099 A KR 1020120042099A KR 20120042099 A KR20120042099 A KR 20120042099A KR 101377706 B1 KR101377706 B1 KR 101377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er
- wireless
- ship
- worker terminal
- management sy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은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 상기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 단말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이 근무자의 위치정보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위급 상황의 발생 시에 근무자가 착용하는 근무자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위급 상황의 발생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working in a ship, a worker terminal installed in each of the preset work zones in the ship, and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located in a specific work zone; The wireless repea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with the worker terminal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nagement server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worker based on the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working situation of the worker working in the shi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orker, and quickly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worker terminal worn by the worker in case of emergency By effectively transmit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emergency situ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선박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이 근무자의 위치정보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working situation of the worker working on the shi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orker.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의 운항을 위해서는 넓은 작업 공간에 여러 근무자가 산개하여 특정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operate a large ship,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spread out in a large work space to perform specific tasks.
이와 관련하여 선박 운항을 관리하기 위하여 근무자가 작업하는 공간에 근무자와 관제실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단말을 설치하고, 이 통신단말과 관제실 설비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관리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In connection with this,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ker and the control room is installed in the space where the worker works in order to manage the ship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rol room equipment are connected by wire to manage the work situation of the worker. It is becoming.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관제실과의 통신을 위해 근무자가 통신단말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해야 하고, 근무자가 통신단말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로 근무하는 경우, 관제실로부터의 응답 요청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어, 전반적인 선박 관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worker must move to the place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room, and when the worker works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orker cannot respond quickly to the request for response from the control room. It may occu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vessel management is lowered.
또한, 근무자가 자신에게 부여된 근무 영역에서 정상적으로 근무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제실에서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근무자의 신체에 응급 상황이 발생하여도 이에 대한 정보를 관제실에서 파악할 수 없어서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control room to find out whether the worker works normally in the work area assigned to him or her, and even if an emergency occurs in the worker's body, the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in the control room so that they can respond quickly to the emergenc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본 발명은 선박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이 근무자의 위치정보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position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working situation of the worker working in the shi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orker.
또한, 본 발명은 선박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근무자가 착용하는 근무자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위급 상황의 발생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icient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by transmit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quickly and effectively through the worker terminal worn by the worker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ship It is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은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 상기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 단말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re-set working area in the work station, the worker terminal worn by the worker working in the ship, And a management ser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ork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and the wireless repea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orker terminal being worn, and identifying the worker's position based on the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terminal. It is composed.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근무상황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근무상황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근무자 단말로부터 근무상황 응답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work status check request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work status of the worker at a predetermined cycle, the worker terminal received the work status check request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working situation of the worker on the basis of whether the work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는 선박 내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작업 스케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관리 서버는 근무자의 근무시간이 상기 작업 스케쥴 상의 근무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로 근무시간 초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stored the work schedule of the worker working in the vessel, the management server is that the working time of the worker exceeds the working time on the work schedule In this case, the overti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orker terminal worn by the worker.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는 선박 내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작업 스케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관리 서버는 근무자의 위치가 상기 작업 스케쥴 상의 근무구역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로 근무구역 이탈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stored in the work schedule of the worker working in the vessel, the management server is when the location of the worker leaves the working area on the work sche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departure zone information to the worker terminal worn by the worker.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 단말을 손목에 착용한 근무자가 미리 설정된 제1 패턴으로 손을 움직이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근무상황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the worker wearing the worker terminal on the wrist moves the hand in a first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s The work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in a manner of detecting a hand movement.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상기 근무자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온도 센서가 감지한 근무자의 체온 정보는 상기 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worker,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worke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management server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긴급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누름 버튼 방식의 긴급 키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는 상기 긴급 키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방식으로 상기 관리 서버로 긴급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key of the push button method f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the worker by pressing the emergency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emergency rescue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 단말을 손목에 착용한 근무자가 미리 설정된 제2 패턴으로 손을 움직이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긴급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the worker wearing the worker terminal on the wrist moves the hand in a second pattern is set in advance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s The emergency rescue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in a manner of detecting a hand movement.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긴급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누름 버튼 방식의 긴급 키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는 상기 긴급 키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상기 관리 서버로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key of the push button method f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the worker repeatedly pressing the emergency key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Characterized in that to transmit the pirate intrusion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 단말을 손목에 착용한 근무자가 미리 설정된 제3 패턴으로 손을 움직이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the worker wearing the worker terminal on the wrist moves the hand in a third pattern preset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s The pirate intrusion gen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in a manner of detecting a hand movement.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근무자 단말로부터 상기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전송한 근무자 단말이 위치하는 근무구역에 설치된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pirate intrusion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worker terminal, the camera installed in the working area where the worker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pirate intrus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loc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server.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선박에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위급 상황에 대한 정보와 상기 위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 조치 정보를 상기 근무자가 근무하는 근무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가 소지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the duty that the worker is working for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corresponding action information for 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s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worker terminal possessed by the worker through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the zone.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이 근무자의 위치정보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working situation of the worker working on the shi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orker.
또한, 선박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근무자가 착용하는 근무자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위급 상황의 발생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a ship, a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can be provided to efficient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by transmitting relevant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위험 지역별로 위험 등급이 설정된 상태로 선박 내에 구획되어 있는 근무구역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위험 지역내 근무 조건 설정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위험 지역내 근무 상황 감시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위험 지역내 근무자 실시간 감시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근무자별 근무 지역 및 근무 시간 설정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근무자가 자신의 근무구역 내에서 근무 중인지 여부를 감시하는 근무 상황 감시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근무자 이동경로 이력 관리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위험 상황별 등급 설정 및 원격 경보 설정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선박내 화재 및 폭발 발생시 안전 대피 경로 안내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해적 침입시 긴급 대피 경보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해적 침입시 동영상 정보를 육상 설비로 자동 전송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work zones partitioned within a ship in a state in which a risk level is set for each danger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working condition setting function in a danger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work situation monitoring function in a danger z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illustrating a real-time monitoring function of the worker in the danger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setting working area and working time for each employ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work situation monitoring function for monitoring whether a worker is working in his or her work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ployee movement path history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setting a risk level and a remote alarm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safety evacuation route guidance function in the event of fire and explosion in the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emergency evacuation warning function when pirates inv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video information to a land facility when a pirate inva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위험 지역별로 위험 등급이 설정된 상태로 선박 내에 구획되어 있는 근무구역들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is partitioned in the ship with the risk level is set for each danger zone Figures show the zones.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은 근무자 단말(10), 무선 중계기(20) 및 관리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선박은 복수의 근무 구역별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각의 근무 구역에는 이 구역을 담당하는 1개의 무선 중계기(20)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관리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30)에는 각각의 근무 구역에 대한 정보 및 이 구역을 담당하는 무선 중계기(2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근무 구역은 위험 등급 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The ship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orking zones, and each working zone is provided with one
근무자 단말(10)은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단말로서, 후술하는 무선 중계기(20)를 매개로 한 관리 서버(3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근무상황 및 선박에서 발생하는 비상 상황과 관련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예를 들어, 이러한 근무자 단말(10)은 손목시계와 같이 근무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방식의 단말일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110), 온도 센서(120), 긴급 키(130), 제어부(140), 무선통신모듈(150), 디스플레이(160), 알람 모듈(170) 및 진동 모터(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가속도 센서(110)는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패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근무자는 이러한 가속도 센서(110)가 설치되어 있는 근무자 단말(10)을 손목에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근무상황에 대한 정보 특히, 긴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미리 정해진 패턴대로 손을 움직이는 동작만으로 관리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e
온도 센서(120)는 근무자 단말(10)을 손목에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온도 센서(120)가 측정한 근무자의 체온 정보는 관리 서버(30)로 실시간 전송되며, 관리 서버(30)에서는 이 정보를 기초로 근무자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 파악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게 된다.The
긴급 키(130)는 위급상황의 발생 시에 근무자가 긴급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누름 버튼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긴급 키(130)를 조작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상황의 발생을 관리 서버(30)로 알릴 수 있다.The
제어부(140)는 근무자 단말(1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40)의 제어 동작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후술한다.The
무선통신모듈(150)은 근무자가 근무 중인 근무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중계기(20)를 매개로 관리 서버(30)에 구비되어 있는 내부통신모듈(310)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디스플레이(160)는 관리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근무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알람 모듈(170)과 진동 모터(180)는 관리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 예를 들어, 비상상황과 관련한 정보를 근무자에게 청각 또는 촉각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무선 중계기(20)는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1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근무자 단말(10)과 관리 서버(30) 간의 통신을 매개하기 위한 수단이다. 근무자가 근무하는 근무 구역별로 무선 중계기(20)를 1개씩 설치하고, 관리 서버(30)는 어느 무선 중계기(20)를 통해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관리 서버(30)는 무선 중계기(20)를 매개로 근무자 단말(10)과 무선통신하며, 근무자 단말(10)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20)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3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근무상황 확인 요청 정보를 근무자 단말(10)로 전송하고, 이 근무상황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근무자 단말(10)로부터 근무상황 응답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판단하며, 동시에, 근무자 단말(10)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20)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한다.More specifically, the
예를 들어, 이러한 관리 서버(30)는 내부통신모듈(310), 제어 모듈, 데이터베이스(330), 디스플레이 모듈(340) 및 외부통신모듈(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내부통신모듈(310)은 근무자가 근무 중인 근무 구역들마다 1개씩 설치되어 있는 무선 중계기(20)를 매개로 근무자가 소지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10)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제어모듈(320)은 관리 서버(3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데이터베이스(330)에는 도 3 및 도 8과 같이 선박 내의 공간을 위험 등급별로 구획하여 설정한 근무 구역에 대한 정보, 특정 시간대에 이 근무 구역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에 대한 정보, 근무자와의 주기적인 통신을 위한 설정 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근무자에게 제공되는 대응 조치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근무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와 근무자로부터 전송되는 근무상황에 대한 정보는 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되어 근무이력에 대한 정보로 관리된다. 또한, 도 11에 개시된 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위험상황이 발생한 경우 각각의 상황정보를 전파할 근무자 단말(10)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3 and 8, the
디스플레이 모듈(340)은 관리 서버(30)를 관리하는 근무자에게 선박 관리에 관련한 제반 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이러한 사항들 중에서 현재의 근무자 및 이 근무자의 현재 근무 구역에 대한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The
외부통신모듈(350)은 선박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서, 해적 침입과 관련한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운항과 관련한 각종 정보들을 위성 통신 등을 통해 미리 지정된 외부 설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들을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specific operations of the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4.
하나의 예로,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30)에 선박 내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근무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스케쥴을 미리 저장하고, 근무자의 근무시간이 작업 스케쥴 상의 근무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 서버(30)가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10)로 근무시간 초과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as disclosed in FIG. 8, a work schedule including information on working hours of a worker working in a ship is previously stored in the
다른 예로, 도 8 및 도 9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30)에 선박 내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근무구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스케쥴을 미리 저장하고, 근무자의 위치가 작업 스케쥴 상의 근무구역을 이탈하는 경우, 관리 서버(30)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10)로 근무구역 이탈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disclosed in FIGS. 8 and 9, in the
다른 예로,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가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근무상황 확인 요청 정보를 근무자 단말(10)로 전송하는 경우, 근무자 단말(10)을 손목에 착용한 근무자가 미리 설정된 제1 패턴으로 손을 움직이면 가속도 센서(110)가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근무상황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은 근무자가 자신의 손을 상하로 수회 움직이는 동작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disclosed in FIG. 6, when the
다른 예로, 근무자 단말(10)에 근무자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120)를 구비하고, 근무자 단말(10)은 온도 센서(120)가 감지한 근무자의 체온 정보를 관리 서버(30)로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5와 같이 사고 등으로 근무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the
다른 예로, 근무자 단말(10)에 근무자가 긴급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누름 버튼 방식의 긴급 키(130)를 구비하고, 긴급 상황의 발생 시에, 근무자가 긴급 키(130)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방식으로 긴급구조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다른 예로, 근무자 단말(10)에 가속도 센서(110)를 구비하고, 긴급 상황의 발생 시에, 근무자 단말(10)을 손목에 착용한 근무자가 미리 설정된 제2 패턴으로 손을 움직이면 가속도 센서(110)가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긴급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턴은 근무자가 자신의 손목을 180도 회전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다른 예로, 근무자 단말(10)에 근무자가 긴급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누름 버튼 방식의 긴급 키(130)를 구비하고, 선박에 해적이 침입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근무자가 긴급 키(130)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다른 예로, 근무자 단말(10)에 가속도 센서(110)를 구비하고, 선박에 해적이 침입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근무자 단말(10)을 손목에 착용한 근무자가 미리 설정된 제3 패턴으로 손을 움직이면 가속도 센서(110)가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패턴은 근무자가 자신의 손을 머리위에 일정 시간 이상 올린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다른 예로, 관리 서버(30)가 근무자 단말(10)로부터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관리 서버(30)는 이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전송한 근무자 단말(10)이 위치하는 근무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선박 내에 설치된 모든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다른 예로, 선박에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 서버(30)는 위급 상황에 대한 정보와 이 위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 조치 정보를 근무자가 근무하는 근무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중계기(20)를 매개로 근무자가 소지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an emergency occurs in the vessel,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이 근무자의 위치정보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a work situation of a worker working in a shi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orker is provided. .
또한, 선박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근무자가 착용하는 근무자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위급 상황의 발생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a ship, a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can be provided to efficient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by transmitting relevant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There i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yon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근무자 단말
20: 무선 중계기
30: 관리 서버
110: 가속도 센서
120: 온도 센서
130: 긴급 키
140: 제어부
150: 무선통신모듈
160: 디스플레이
170: 알람 모듈
180: 진동 모터
310: 내부통신모듈
320: 제어모듈
330: 데이터베이스
340: 디스플레이 모듈
350: 외부통신모듈10: worker terminal
20: wireless repeater
30: Management Server
110: acceleration sensor
120: Temperature sensor
130: emergency key
140:
15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display
170: alarm module
180: vibration motor
310: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320: control module
330: database
340: Display module
350: external communication module
Claims (12)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
상기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 단말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근무상황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근무상황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근무자 단말로부터 근무상황 응답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근무자의 근무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In the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working in a ship;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each of the preset working areas in the vessel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located in a specific working area; An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ork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and for determining a worker's position based on the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terminal.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work status check request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working status of the worker at a predetermined cycle,
The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work situation of the worker based on whether the work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orker terminal receiving the work situation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
상기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 단말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는 선박 내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작업 스케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관리 서버는 근무자의 근무시간이 상기 작업 스케쥴 상의 근무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로 근무시간 초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In the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working in a ship;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each of the preset working areas in the vessel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located in a specific working area; An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ork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and for determining a worker's position based on the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terminal.
The management server stores a work schedule of workers working in the ship,
The management server, if the working time of the worker exceeds the working time on the work sche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overtime information to the worker terminal worn by the worker, location-based wireless vessel management system.
상기 관리 서버에는 선박 내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작업 스케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관리 서버는 근무자의 위치가 상기 작업 스케쥴 상의 근무구역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로 근무구역 이탈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The management server stores a work schedule of workers working in the ship,
The management server, if the location of the worker leaving the work area on the work sche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work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worker terminal worn by the worker,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 단말을 손목에 착용한 근무자가 미리 설정된 제1 패턴으로 손을 움직이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근무상황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The worker who wears the worker terminal on the wrist moves the hand in a preset first patter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the work condition response information in a manner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worker's hand movement.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
상기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 단말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상기 근무자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온도 센서가 감지한 근무자의 체온 정보는 상기 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In the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working in a ship;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each of the preset working areas in the vessel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located in a specific working area; An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ork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and for determining a worker's position based on the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terminal.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worker,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work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l-time transmission to the management server, wireless vessel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cation.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
상기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 단말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긴급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누름 버튼 방식의 긴급 키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는 상기 긴급 키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방식으로 상기 관리 서버로 긴급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In the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working in a ship;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each of the preset working areas in the vessel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located in a specific working area; An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ork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and for determining a worker's position based on the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terminal.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key of the push button method f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The worker transmits emergency rescu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by pressing the emergency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location-based wireless vessel management system.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
상기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 단말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 단말을 손목에 착용한 근무자가 미리 설정된 제2 패턴으로 손을 움직이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긴급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In the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working in a ship;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each of the preset working areas in the vessel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located in a specific working area; An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ork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and for determining a worker's position based on the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terminal.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Position-based wirel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er wearing the worker terminal on the wrist moves the hand in a second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acceleration sensor generates the emergency rescue request information in a manner to detect the hand movement of the worker Ship management system.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
상기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 단말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긴급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누름 버튼 방식의 긴급 키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는 상기 긴급 키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상기 관리 서버로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In the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working in a ship;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each of the preset working areas in the vessel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located in a specific working area; An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ork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and for determining a worker's position based on the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terminal.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key of the push button method f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The worker transmits pirate intrusion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by repeatedly pressing the emergency key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선박 내에 근무하는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
상기 선박 내에 미리 설정된 근무 구역들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특정 근무 구역에 위치한 근무자가 착용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 단말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이 접속한 무선 중계기를 기준으로 근무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근무자 단말에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근무자 단말을 손목에 착용한 근무자가 미리 설정된 제3 패턴으로 손을 움직이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근무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In the loca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working in a ship;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each of the preset working areas in the vessel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orker terminal worn by a worker located in a specific working area; An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ork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and for determining a worker's position based on the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terminal.
The work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The worker wearing the worker terminal on the wrist moves the hand in a preset third patter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the pirate intrusion occurrence information in a manner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worker's hand movement, wireless based on location Ship management system.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근무자 단말로부터 상기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해적 침입 발생 정보를 전송한 근무자 단말이 위치하는 근무구역에 설치된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management server
When receiving the pirate intrusion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worker terminal,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installed in the working area where the worker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pirate intrusion occurrence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external server.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선박에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위급 상황에 대한 정보와 상기 위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 조치 정보를 상기 근무자가 근무하는 근무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근무자가 소지하고 있는 근무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management server
In the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vessel, a worker terminal possessed by the worker through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the work area where the worker works,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corresponding action information for 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Position-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099A KR101377706B1 (en) | 2012-04-23 | 2012-04-23 | Local information 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099A KR101377706B1 (en) | 2012-04-23 | 2012-04-23 | Local information 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9159A KR20130119159A (en) | 2013-10-31 |
KR101377706B1 true KR101377706B1 (en) | 2014-03-24 |
Family
ID=4963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2099A Active KR101377706B1 (en) | 2012-04-23 | 2012-04-23 | Local information 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770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0604A (en) * | 2022-12-23 | 2024-07-02 | 김종주 | Remote ship control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4988B1 (en) * | 2015-02-05 | 2016-08-09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Dashboard system for passenger of small and medium vessel |
DE102016200239B4 (en) * | 2016-01-12 | 2024-06-06 | Siemens Healthineers Ag | Method and system for localizing components and/or persons associated with an image recording device in a spatial environment |
KR20180042655A (en) * | 2016-10-18 | 2018-04-26 |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 Ship emergency response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506B1 (en) | 2008-02-04 | 2010-01-25 |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 Biometric Information Transfer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
2012
- 2012-04-23 KR KR1020120042099A patent/KR1013777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506B1 (en) | 2008-02-04 | 2010-01-25 |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 Biometric Information Transfer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0604A (en) * | 2022-12-23 | 2024-07-02 | 김종주 | Remote ship control method |
KR102766552B1 (en) * | 2022-12-23 | 2025-02-10 | 김종주 | Remote vessel 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9159A (en) | 2013-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9928B1 (en) | Integrat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cal information of worker | |
US9691254B2 (en) | Real-time alarm system for field safety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910480B1 (en) | Closed-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oT network | |
KR101212657B1 (en) | Inteligent safety management system | |
KR101645139B1 (en) | Management System at a work in plac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
KR101070715B1 (en) | Safe surveillance system of the management object | |
KR100966735B1 (en) | Boundary duty real-ti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vital signs | |
KR101385211B1 (en) | Integrated safety guard system of smart type | |
EP3848915B1 (en) | System for monitor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compliance | |
KR102570651B1 (en) | Wearing safety cap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movement line check systems | |
KR101340008B1 (en) | Removable Smart Module for Helmet | |
KR101377706B1 (en) | Local information based wireless ship management system | |
KR20170101385A (en) | Monitoring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and smartphone app | |
KR101643263B1 (en) |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Portable Beacon | |
KR20110109621A (en) |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KR20160112048A (en) |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 |
CN109502439A (en) | It is limited to enter region security system | |
KR101974281B1 (en) | Safety equipment wearing encour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088458B1 (en) | Worker management system | |
KR200494028Y1 (en) | Watch type device for port workers that can collect worker's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 |
JP6832289B2 (en) | Real-time remote control management using servers and clients for work related to the containment vessel of a nuclear power plant | |
EP2946371B1 (en) | A control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equipment devices | |
KR102440544B1 (en) | Private wireless communication smart safety platform | |
KR20200084589A (en) | Safety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KR20240069468A (en) | The AI based system for worker status check and mana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