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361B1 - Elbow Assembly Structure Having A Control Apparatus For Angle - Google Patents
Elbow Assembly Structure Having A Control Apparatus For Ang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6361B1 KR101376361B1 KR1020120056592A KR20120056592A KR101376361B1 KR 101376361 B1 KR101376361 B1 KR 101376361B1 KR 1020120056592 A KR1020120056592 A KR 1020120056592A KR 20120056592 A KR20120056592 A KR 20120056592A KR 101376361 B1 KR101376361 B1 KR 1013763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pipe
- jaw
- curved
- se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36964 tight binding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2—Bends; Siphons adapted to make use of special secur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방향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용 배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배관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배관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보다 결속력 있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설비의 안정성과 시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립형 엘보우에 관한 것이다.
일측에 형성된 접속턱(12)의 외주연 상에 결속부재(13)를 포함하는 제1 연결관(10);과, 일측에 형성된 곡선관 턱(23)의 외주연 상에 결속부재(25)가 위치하며, 반대편 일측에 형성된 곡선관턱 안착부(24)의 내주연 상에 결속돌기부재(21)가 형성되어 제1 연결관(10)의 결속부재(13)와 결속되도록 하는 곡선관(20);과, 상단에 형성된 체결턱(31)의 내주연 상에 결속돌기부재(32)가 형성되어 상기 곡선관(20)의 곡선관 턱(23)에 자리잡은 결속부재(25)와 결속되도록 하는 제2 연결관(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bow pipe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nection pipe used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flui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pipe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ipe,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elbow capable of maximizing the stability of a facility and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by adopting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easily and more cohesively.
A first connecting pipe 10 including a binding member 13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jaw 12 formed on one side; and a binding member 25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urved tube jaw 23 formed on one side. Is positioned, and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 2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urved jaw seating portion 24 formed on one side opposite to the curved tube 20 to bind with the binding member 13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10. And a binding protrusion member 3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jaw 31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binding member 25 located in the curved pipe jaw 23 of the curved pipe 20. The second connection pipe 30; provides an elbow tube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방향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용 배관인 엘보우를 구성함에 있어서, 배관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배관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보다 결속력 있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설비의 안정성과 시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bow pipe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onstruction of the elbow, which is a connection pipe used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flui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pipe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bow pipe assembly structure that can be angle-adjusted to maximize the stability of a facility and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by adopting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with ease and construction.
산업문명이 고도로 발전하고 인류의 생활양식이 다양하게 변화 및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설비와 시설이 설계를 거쳐 시공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발전 플랜트가 대규모 및 신기술로 건설되고 있으며, 이러한 설비를 설계대로 구현해 내기 위해선 기존보다 더욱더 복잡한 배관설계가 필요하다. 배관의 설계가 복잡해 질수록, 배관의 연결부에 필연적으로 굴곡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배관의 굴곡 부분에 사용되는 엘보우 배관의 신뢰성, 또한 배관시공작업의 효율성에 있어서 더욱더 부각성을 나타내고 있다.As industrial civilization develops highly and human life styles change and develop variously, various facilities and facilitie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example, power plants for new types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re being built with large-scale and new technologies, and more complex piping designs are needed to implement these facilities as designed. As the pipe design becomes more complex, inevitably more bending occurs in the pipe connection. The elbow pipe used for the bent portion of the pipe is showing more and more prominence in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pipe construction work.
하지만 기존의 엘보우 배관은 각도가 30, 45, 60, 90˚로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엘보우 배관을 가지고 배관 시공을 하면 배관설계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별도의 추가 작업공정이 필요하여 전체 시설물 공정 소요시간이 길어 지고, 작업의 효율성도 떨어진다. 이처럼 복잡한 배관 설비를 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엘보우 배관의 성능을 설계요건에 100% 충족시키는 데에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뒤따른다.However, the existing elbow pipe is limited to 30, 45, 60, 90 degrees angle. Piping work with these elbow pipes requires extra work steps to meet the piping design requirements, resulting in longer overall process times and less efficient work. In the case of such complex piping installations, it is difficult to meet the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유통 및 제작되고 있는 엘보우 배관의 각도조절에 대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시공자 또는 소비자가 설계서에 규정된 구조와 각도로 목적에 맞게 엘보우 배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하고, 시공방법 또한 간편하게 개선하여 배관 연결 작업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angle adjustment of the elbow pipe that is distributed and manufactured in the existing, the contractor or consumer to facilitate the angle adjustment of the elbow pipe to the purpose with the structure and angle specified in the design, construction The method will also be easily improv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pipework.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엘보우 배관을 시공시 설계 요건에 따라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일정한 단위 각도의 굴곡을 가지는 엘보우를 배관 설비의 환경에 맞게, 사용되는 엘보우의 수량을 달리하거나, 엘보우의 결합 시 배관의 결합 방향에 선택사항을 부여함으로써, 배관시공 설계도면에 부합되는 배관의 구성을 가능케 하면서도, 배관 연결 부위에 유체의 누수나 결합된 배관의 이탈이 없도록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엘보우관의 조립구조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effective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elbow having a bent angle of a certain unit angle to the environment of the plumbing installation,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manufacture the elbow pipe according to the design requirements when constructing, the number of elbows used Alternatively, by providing an option in the piping direction when the elbows are joine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pipe that conforms to the pipe construction design, while also providing a reliable and efficient way to prevent leakage of fluids or separation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ion area.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elbow tub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관의 첫 시작 연결부인 원통형 형태의 제1 연결관(10);과 배관의 곡선부를 구성하는 곡선관(20); 그리고 전체 엘보우 배관의 말단부인 제2 연결관(30);으로 엘보우 관(100)을 크게 구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connecting pipe (10) of the cylindrical shape which is the first starting connection of the pipe; and the
제1 연결관(10)은 원통형 형태로서 기존의 직선형 배관(40)과 결합되는 부위인 접속관(11)과, 곡선관(20)과 결합되는 부분인 접속턱(12)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접속턱(12)의 외주연 상에는 곡선관(20)과의 결합을 위해 결속부재(13)가 다수 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접속턱(12)의 내부에는 중공부(15)가 형성되어 있어, 배관 접속구(16)와 연결되어 배관 내부의 유체 이동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연결관(10)의 접속관(11)의 내측면의 형태는 원통형으로서 배관(40)의 외부 형태와 정확히 일치하는 구조를 가지는 배관 접속구(16)로 구성된다. 또한, 접속턱(12)의 직경은 접속관(11)의 직경보다 작게하여 제1 연결관(10)과 곡선관(20)의 결합시 두 배관의 외측면이 일치하도록 한다.The first connecting
곡선관(20)은 일정한 각도의 굴곡을 가진 배관으로서 수나사 부분에 해당하는 일측에 형성된 곡선관 턱(23)의 외주연 상에 결속부재(25)가 상기 결속부재(13)와 같은 수량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반대편 일측은 내부에 형성된 곡선관턱 안착부(24)의 내주연 상에 결속돌기부재(21)가 상기 결속부재(13)와 같은 수량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제1 연결관(10)의 접속턱(12)에 위치한 결속부재(13)와 결속된다. 또한, 상기 결속돌기부재(21)는 추가 연결되는 또 다른 곡선관(20)의 결속부재(25)와도 상호체결된다. 곡선관(20)의 중심관(22)의 내부에는 중공부(26)가 형성되며, 중공부(26)는 배관(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중공부의 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2 연결관(30)은 원통형 형태로서 곡선관(20)의 일측에 형성된 곡선관 턱(23)과 결합되는 부분인 제2 연결관(30)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턱(31)의 내주연 상에 결속돌기부재(32)가 결속부재(25)와 같은 수량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결속돌기부재(32)는 상기 곡선관 턱(23)에 자리잡은 결속부재(25)와 결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체결턱(31)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33)는 배관 접속구(34)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배관 내부의 유체 이동이 원할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턱(31)의 반대 측에는 기존의 직선형 배관(40)과 최종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인 접속관(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관(35)의 내측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배관 접속구(34)는 배관(40)의 외부 형태 및 크기와 동일하여야 한다.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언급된 결속부재(13, 25)는 한 쌍의 사다리꼴이 마주 본 형태로 배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분리방지막(13-3, 25-3)과, 서로 이격 배치되어 한 쌍의 사다리꼴이 반대 방향으로 서로 등을 맞댄 형태인 걸림막(13-2, 25-2)의 중심에 직사각형 형태의 안착막(13-1, 25-1)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결속부재(13, 25)는 안착막(13-1, 25-1)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어, 결속돌기부재(21, 32)가 2개의 결속부재(13, 25) 사이 홈에서 좌, 우 어느 방향으로 진행되더라도 결속부재(13, 25)와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관의 측방향에서 결합 방향을 좌, 우로 선택할 수 있어 더욱더 다양한 엘보우 관(100) 구성이 가능하다.The above-mentioned binding
상기 결속부재(13, 25)에서 분리방지막(13-3, 25-3)의 내측면인 제1 안착면(13-4, 25-4)과, 걸림막(13-2, 25-2)의 내측면인 제2 안착면(13-5, 25-5)은 미세한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결속돌기부재(21, 32)가 결속부재(13, 2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mounting surfaces 13-4 and 25-4, which are inner surface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films 13-3 and 25-3, and the locking membranes 13-2 and 25-2 of the
상기 결속부재(13, 25)의 제1 안착면(13-4, 25-4)과 제2 안착면(13-5, 25-5)은 각각 분리방지막(13-3, 25-3)의 외측면과 일정한 안착면 경사각(13-6, 25-6)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 안착면 경사각(13-6, 25-6)은 완만한 경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ating surfaces 13-4 and 25-4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s 13-5 and 25-5 of the binding
상기 결속부재(13, 25)는 도 8과 같이 결속부재의 형태가 함몰된 구조인 함몰형 결속부재로서 결속돌기부재(21, 32)가 결속부재(13, 25)의 홈으로 진입하기 위한 안내 역할을 하는 유도부(13-7, 25-7)를 거쳐, 상기 유도부(13-7, 25-7)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13-8, 25-8)로 진입하여, 상기 연결부(13-8, 25-8) 말단에서는 결속돌기부재(21, 32)와 결속부재(13, 25)의 긴밀한 결속을 위해 양측방향으로 갈라져 경사각을 형성하는 안착부(13-9, 25-9)의 말단까지 도달하여 결속부재(13, 25)와 결속된다. 이 때, 경사각은 결속을 더욱더 견고히 하기 위해 구성된다. 결속이 이루어지는 안착부(13-9, 25-9)에서 좌, 우 어느 방향으로든 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몰형의 결속부재(13, 25)에서 유도부(13-7, 25-7)의 내측면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nding
상기 결속돌기부재(21, 3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속돌기부재(21, 32)의 원통형 외면에는 미세한 톱니모양의 결로 이루어진 결속 돌기면(21-1, 32-1)이 있어, 결속부재(13, 25)의 제1 안착면(13-4, 25-4), 제2 안착면(13-5, 25-5)과 접촉시 마찰력이 발생하여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The
상기 언급된 해결수단을 통해 엘보우 배관 시공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결속부재와 결속돌기부재는 연결 배관의 결합부위를 더욱더 긴밀하게 하고, 동일한 엘보우를 다수 개 연결하여 각도를 다양화하며, 결속부재의 구조를 통해 배관내 유체 이동방향의 측방향에서 좌, 우 어느 방향으로든 배관을 회전시켜, 엘보우의 설치 방향을 측방향으로도 변경할 수 있어, 기존 연결배관 시공에 있어서 발생하는 엘보우 배관 시공의 불편함과 작업 소요 시간의 지연이 방지되어 엘보우 배관 설치공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When the elbow pipe construc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means, the binding member and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ipe more tightly, and connecting the same elbows to multiple angles, diversifying the angle, The structure of the elbow can be ch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rotating the pipe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luid movement direction in the pipe. The delay of the ship and work time can be preven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elbow pipe installation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엘보우 관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엘보우 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제1 연결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곡선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연결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엘보우 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결속부재와 결속돌기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8은 함몰형 결속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유도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함몰형 결속부재(5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general elbow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general elbow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e structure of a first connector;
4 shows the structure of a curved tube;
5 shows the structure of a second connector;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elbow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inding member and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
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cessed binding member.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cessed binding member 50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 the guide portion.
본 발명은 전체 엘보우 관(100)을 구성하는 곡선관(20)에서 중심관(22)의 휘어지는 각도를 곡선관(20)의 사용 수량을 달리하여 다양한 각도를 구현함에 따라 연결배관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동시에 엘보우관의 연결부위의 긴밀성과 결속성을 높여 배관 설비의 신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고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angle of the
본 원에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주요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의 역할 및 기능, 구성요소 간의 결합 및 실시 예에 대해 단계적으로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Based o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tep by step for the main components to be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e and function of each component,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mponents and embodiments.
후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원에서 기술한 여러 기본 원리를 토대로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와 배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에 관련된 산업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또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요지와 세부 사항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기술된 것일 뿐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and arrangements based on various basic principles described herein,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industrial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ly described to clearly convey the gist and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엘보우 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엘보우 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제1 연결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곡선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제2 연결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엘보우 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결속부재와 결속돌기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며, 도 8은 함몰형 결속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유도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함몰형 결속부재(5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general elbow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general elbow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or, Figure 4 is a curve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ube,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elbow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inding member and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 8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recessed binding member,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recessed binding member 50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 the induction part.
본 발명의 일반적인 실시 예에 대한 전체 형태를 도 2 내지 도 6 에서 표현하였다. 본 발명인 엘보우 관(100)은 크게 제1 연결관(10);과 곡선관(20);과 제2 연결관(30);으로 3 개의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상기 3 개의 구성 요소에서 곡선관(20)의 수량은 다수 개 이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The overall form of a gener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in FIGS. The
도 1은 엘보우 관(100)의 전체적인 외형적 결합형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고, 상기 결합형태를 단면상에 표현한 도면이 도 2이다. 도 2를 세부적으로 확인해 보면 엘보우 관(100)과 일반 직선형 배관(40)의 연결 시작부인 제1 연결관(10)이 결합되어 있다. 제1 연결관(10)과 배관(40)의 연결 부위에는 제1 연결관(10)의 접속관(11)이 형성되어 있어, 배관(40)이 상기 접속관(11)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제1 연결관(10)과 곡선관(20)의 연결 부위에는 제1 연결관(10)의 접속턱(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접속턱(12)의 외주연 상에는 결속부재(13)가 형성되어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의 내주연 상에 형성된 결속돌기부재(21)와 상호체결된다.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의 반대 측에 형성된 곡선관 턱(23)은 일반 직선형 배관(40)이 결합되는 제2 연결관(30)의 체결턱(31)과 결합하게 된다. 이 때, 곡선관 턱(23)의 외주연 상에 형성된 결속부재(25)가 상기 체결턱(31)의 내주연 상에 형성된 결속돌기부재(32)와 상호체결된다. 또한, 곡선관(20)이 다수 개 추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곡선관 턱(23)은 추가 연결되는 또 다른 곡선관(20)에 형성된 곡선관턱 안착부(24)와 상호체결되도록 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oupling form of the
엘보우 관(100)의 말단 연결부인 제2 연결관(30)은 접속관(35)이 형성되어 있어 배관(40)이 상기 접속관(35)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로서 전체적인 엘보우관(100)의 결합 상태를 기술하였다. 이제 엘보우 관(100)의 3 개 구성요소인 제1 연결관(10), 곡선관(20), 제2 연결관(30)에 대해 그 특징과 역할을 기술하고자 한다.
The
상기 제1 연결관(10)은 첨부된 도 3에서 상세히 표현되어 있다. 제1 연결관(10)의 전체적 형상은 직선형 배관(40)과 같은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제1 연결관(10)과 배관(40)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연결관(10)의 내부에는 일반 직선형의 배관(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배관 접속구(16)가 형성된다. 상기 배관 접속구(16)의 직경은 배관(40)의 외부 직경과 동일해야 엘보우 관(100)과 배관(40)의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연결관(10)의 외부에 해당하는 원통 형상의 접속관(11)에서 배관(40)이 연결되는 부위의 반대 방향 말단에는 원통 형상의 접속턱(12)이 형성된다. 접속턱(12)의 말단부 외주연 상에는 등간격 배치되는 결속부재(13)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결속부재(13)는 한 쌍의 사다리꼴이 마주 본 형태로 구비되는 분리방지막(13-3)과 서로 이격 배치되어 한 쌍의 사다리꼴이 서로 등을 맞댄 형태인 걸림막(13-2)의 중심에 직사각형 형태의 안착막(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부재(13)에서 분리방지막(13-3)의 내측면인 제1 안착면(13-4)과 걸림막(13-2)의 내측면인 제2 안착면(13-5)은 미세한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되어 마찰력을 제공하여,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에 형성된 결속돌기부재(21)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속부재(13)의 두께는 접속턱(12) 단면 두께의 최소 1/2 이상의 비율로 하여야 접속턱(12) 결합부위의 배관 영역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접속턱(12)은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와의 결속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관 접속구(16)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접속턱(12)의 내부에는 중공부(15)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중공부(15)의 직경은 배관(4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해야 한다. 상기 접속턱(12)의 직경은 접속관(11)의 직경보다 작아야 접속턱(12)과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가 결속되는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속턱(12)의 직경을 구성함으로써, 배관 접속구(16)와 중공부(15)가 접합되는 부위의 내벽에 배관 지지부(14)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접속구(16)에 삽입되는 배관(40)이 배관 지지부(14)에 안착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The
상기 곡선관(20)은 첨부된 도 4 에서 상세히 표현되어 있다. 엘보우 관(100)의 구성 요소에서 배관의 연결 각도를 결정하는 요소인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는 제1 연결관(10)의 접속턱(12)과 연결되거나, 추가로 배치되는 또 다른 곡선관(20)의 곡선관 턱(23)과 결속된다. 곡선관턱 안착부(24)의 내주연 상에는 결속돌기부재(21)가 제1 연결관(10)의 접속턱(12)에 형성된 결속부재(13)의 수와 동일한 수량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속돌기부재(21)의 두께는 결속부재(13)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상호결속이 긴밀하도록 한다. 상기 결속돌기부재(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속돌기부재(21)의 원통형 외면에는 미세한 톱니모양의 결로 이루어진 결속돌기면(21-1)이 형성되어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결속부재(13, 25)의 제1 안착면(13-4, 25-4), 제2 안착면(13-5, 25-5)과 긴밀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곡선관(20)의 외부를 형성하는 중심관(22)은 중공부(26)를 포함하는 만곡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관(22)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중심관(22)의 내부 직경은 배관(40)의 내경과 동일해야 한다. 상기 중심관(22)의 곡선관턱 안착부(24)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곡선관 턱(23)은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 또는 제2 연결관(30)의 체결턱(31)과 결속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곡선관 턱(23)의 외주연 상단부에는 상기 결속돌기부재(21)와 동일한 수량의 결속부재(25)가 형성되어 있다. 결속부재(25)는 상기 결속부재(1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The
상기 제2 연결관(30)은 첨부된 도 5에서 상세히 표현되어 있다. 제2 연결관(30)의 전체적 형상은 배관(40)과 같은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제2 연결관(30)과 배관(40)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2 연결관(30)의 내부에는 일반 직선형의 배관(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배관 접속구(34)가 형성된다. 상기 배관 접속구(34)의 직경은 배관(40)의 외부 직경과 동일해야 엘보우 관(100)과 배관(40)의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연결관(30)의 외부에 해당하는 원통 형상의 접속관(35)에서 배관(40)이 연결되는 부위의 반대 방향 말단에는 원통 형상의 체결턱(3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31)은 곡선관(20)에 형성된 곡선관 턱(23)과의 결속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체결턱(31)의 내주연 하부에는 등간격 배치되는 결속돌기부재(32)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돌기부재(32)는 상기 곡선관(20)의 결속돌기부재(2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결속돌기부재(32)의 원통형 외면에는 미세한 톱니모양의 결로 이루어진 결속 돌기면(32-1)이 형성되어 있어, 곡선관(20)의 곡선관 턱(23)에 형성된 결속부재(25)의 제1 안착면(25-4), 제2 안착면(25-5)과 긴밀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배관 접속구(34)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체결턱(31)의 내부에는 중공부(33)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중공부(33)의 직경은 배관(4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해야 한다. 상기 체결턱(31)의 직경은 접속관(35)의 직경보다 작아야 체결턱(31)과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가 결속되는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턱(31)의 직경을 형성함으로써, 배관 접속구(34)와 중공부(33)가 접합되는 부위의 내벽에 배관 지지부(36)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접속구(34)에 삽입되는 배관(40)이 배관 지지부(36)에 안착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The
이상과 같이, 전체 엘보우 관(100)을 구성하는 주요 3 구성 요소인, 제1 연결관(10), 곡선관(20), 제2 연결관(30)의 구조와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이제는 일반적인 엘보우 관(100)의 결합 상태를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고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and the role of the first three
실시예1.Example 1.
우선, 연결 배관의 시작부에 위치한 배관(40)의 일측은 제1 연결관(10)의 접속관(11) 내부에 형성된 배관 접속구(16)에 진입하여, 제1 연결관(10)의 접속턱(12)과 접속관(11)이 접하는 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배관 지지부(14)에 도달한다. 상기 배관 지지부(14)의 폭은 직선형 배관(40)의 단면적 두께와 일치하도록 하여, 배관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접속관(11)의 단면적 두께는 직선형 배관(40)의 단면적 두께와 일치하거나 조금 크게 구성하여, 배관(40)과 제1 연결관(10)의 연결부위 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로써, 배관(40)과 제1 연결관(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First, one side of the
제1 연결관(10)과 곡선관(20)이 결합되는 부위인 접속턱(12)은 접속관(11)의 상부 말단에 형성되는데, 접속턱(12)의 두께는 접속관(11)의 두께와 같거나 최소 1/2 이상으로 형성하여 접속턱(12)의 강도를 보장하여야 한다. 접속턱(12)의 외주연 상부에 구비되는 결속부재(13)의 두께는 접속턱(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결속부재(13)와 결속돌기부재(21)의 상호체결시 결합구조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다.The connecting
결속부재(13)의 분리방지막(13-3)은 접속턱(12) 내측으로 진행할 수록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는 내측면인 제1 안착면(13-4)을 가진다. 상기 분리방지막(13-3)과 서로 이격배치되어 있는 걸림막(13-2)의 내측면에는 제1 안착면(13-4)과 평행한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2 안착면(13-5)이 구성된다. 상기 제1 안착면(13-4)과 제2 안착면(13-5)에 구성된 안착면 경사각(13-6)은 2 내지 4˚로서 완만한 형태를 지닌다. 상기 안착면 경사각(13-6)이 급한 경사를 이룰 경우에는 결속부재(13)가 구비되는 접속턱(12)의 폭이 지나치게 커져, 배관의 연결부가 길어지는 형상이 되어 배관의 강도 및 신뢰성에 저하를 가져다 줄 수 있으므로, 가급적 완만한 경사각으로 안착면 경사각(13-6)을 구성하도록 한다.The separation prevention film 13-3 of the binding
상기 분리방지막(13-3)과 걸림막(13-2)의 중심부에는 결속돌기부재(21)가 결속부재(13)에 안착되어 걸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막(13-1)이 형성된다. 또한, 경사각을 이루는 상기 제1 안착면(13-4), 제2 안착면(13-5)으로 부터 결속돌기부재(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안착면(13-4)과 제2 안착면(13-5)에는 미세한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At the center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film 13-3 and the locking film 13-2, a seating film 13-1 for allowing the
상기와 같은 결속부재(13)의 전체적인 형상은 안착막(13-1)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어, 결속돌기부재(21)는 상기 결속부재(13)와의 결합 방향을 배관의 측방향에서 좌, 우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하여 결합이 가능하다.The overall shape of the binding
이제, 곡선관(20)과 제1 연결관(10)이 결합되는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가 상기 접속턱(12)에 접근을 한다. 이 때, 곡선관턱 안착부(24)의 내주연에 형성된 결속돌기부재(21)는 제1 연결관(10)의 접속턱(12)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속부재(13)들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한다. 상기 결속돌기부재(21)의 양 쪽에 위치하게 되는 2개의 결속부재(13) 중에 어느 한 쪽을 선택하여 곡선관(20)의 몸체를 좌, 우로 회전시켜 제1 안착면(13-4)과 제2 안착면(13-5) 사이의 통로로 진입하여, 안착막(13-1)까지 도달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로써, 곡선관(20)과 제1 연결관(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Now, the process of coupling the
상기 곡선관(20)의 곡선관 턱(23)에 형성된 결속부재(25)는 추가 배치되는 또 다른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에 형성된 결속돌기부재(21)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여, 곡선관(20)과 곡선관(20)이 상호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의 반대 측에 형성된 곡선관 턱(23)은 곡선관(20)의 외부를 형성하는 중심관(2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또 다른 곡선관(20)의 곡선관턱 안착부(24)의 내부로 포개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곡선관 턱(23)의 두께는 중심관(22)의 두께의 최소 1/2 이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중심관(22)은 다양한 단위 각도의 굴곡을 가지는 형태로 성형한다. 각도의 범위는 10 내지 30˚로 다양화할 수 있다. 곡선관(20)이 다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에, 곡선관(20)의 수량에 단위각도를 곱한 값만큼 각도 변화를 시킬 수 있어서, 다양한 각도로 엘보우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결속부재(25)는 상기 언급된 결속부재(13)와 동일한 형태로 곡선관 턱(23)의 외주연 상단에 다수 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결속부재(25)는 또 다른 곡선관(20)의 결속돌기부재(21)와 상기 언급된 결속부재(13)와 결속돌기부재(21)의 결합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된다.The binding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곡선관(20)들이 연결된 상태에서 마지막 단의 곡선관(20)은 제2 연결관(30)과 연결이 되어야 한다. 연결된 다수 개의 곡선관(20)들의끝단에는 곡선관 턱(23)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곡선관 턱(23)과 상호체결되는 부위인 제2 연결관(30)에 형성되는 체결턱(31)의 두께는 제2 연결관(30)의 외부를 형성하는 접속관(35) 두께의 최소 1/2 이상 되도록 구성하여, 체결 부위의 결합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체결턱(31)은 중공부(33)를 구비하고 있어, 제2 연결관(30)의 외부인 접속관(35)의 내부를 구성하는 배관 접속구(34)와 연결되어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곡선관 턱(23)에 형성된 결속부재(25)는 제2 연결관(30)의 체결턱(31)의 내주연 하단에 형성된 결속돌기부재(32)와 상호체결되어 곡선관(20)과 제2 연결관(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제2 연결관(30)의 접속관(35) 내부에 형성된 배관 접속구(34)에 직선형 배관(40)이 진입을 시작하여, 접속관(35)과 체결턱(31)의 접합부 내면에 위치한 배관 지지부(36)에 도달하여 제2 연결관(30)과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전체 엘보우 관(100)과 직선형 배관(40)이 완전한 결합상태를 이룬다.
The
실시 예2.Example 2.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실시 예1 에서 언급된 상기 결속부재(13, 25)의 구조 대신에 결속부재가 형성되는 면에서 함몰된 형태의 홈으로 구성된 결속부재를 제1 연결관(10)에 형성된 접속턱(12)과 곡선관(20)에 형성된 곡선관 턱(23)에 구성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stead of the structure of the binding
상기 결속부재(13, 25)는 K 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데, 결속돌기부재(21, 32)가 결속부재(13, 25)의 외측에 형성된 유도부(13-7, 25-7)에 진입하여, 결속부재(13, 25)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통로 역할을 하는 진입부(13-8, 25-8)를 통과해서 V 형의 안착부(13-9, 25-9)의 좌, 우 어느 한 방향으로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부(13-7, 25-7)의 역할은 결속돌기부재(21, 32)가 상기 결속부재(13, 25)들 사이의 홈에 대한 접근성을 좀 더 용이하게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도부(13-7, 25-7)의 내측면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좀 더 자연스럽게 결속돌기부재(21, 32)가 결속부재(13, 25)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The binding
상기와 같이 구성한 목적은, 유압이 비교적 강한 배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실시 예1과 같이 작은 크기로 성형된 결속부재의 강도가 저하되어 배관 연결 부위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면 전체에 압력이 분산 전달되는 함몰형 형태의 결속부재가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한 함몰형 결속부재는 대형배관이나 유압이 비교적 강한 연결배관 시공에 이용됨이 바람직하다.
The objec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reduce the strength of the binding member formed in a small size as in Example 1 as the service life increases in the case of using a pipe with relatively high hydraulic pressure,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of the pipe connection portion. . Therefore, in such a case, the recessed type binding member in which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surface on which the binding member is provided is more effective. Therefore, the recessed bin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used for construction of a large size pipe or a connection pipe having a relatively strong hydraulic pressure.
상기와 같이, 실시 예를 통해 엘보우 관(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와 결합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단위 각도로 휘어진 만곡 형태의 곡선관(20)을 통해 연결 배관의 각도를 조절하며, 결속부재(13, 25)에 형성된 안착면 경사각(13-6, 25-6)을 통해 결속돌기부재(21, 32)가 안착막(13-1, 25-1)까지 긴밀하게 결속되어 연결배관의 결합 신뢰성을 높이고, 함몰형 결속부재를 채택함으로써 결속부재의 강도를 개선하고, 상기 함몰형 결속부재에 형성된 유도부(13-7, 25-7)를 사용하여 결속부재와 결속돌기부재의 상호체결에 대한 편의성을 추구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and coupling method for each component of the
이상에서 기술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일반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동등한 수준의 타 실시 예의 구성이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 general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configurations of other embodiments equivalent thereto therefrom. It should be made clear that this is possible.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제1 연결관 11, 35: 접속관
12: 접속턱 13, 25: 결속부재
13-1, 25-1: 안착막 13-2, 25-2: 걸림막
13-3, 25-3: 분리방지막 13-4, 25-4: 제1 안착면
13-5, 25-5: 제2 안착면 13-6, 25-6: 안착면 경사각
13-7, 25-7: 유도부 13-8, 25-8: 연결부
13-9, 25-9: 안착부 13-10, 25-10: 외측면
14, 36: 배관 지지부 15, 26, 33: 중공부
16, 34: 배관 접속구 20: 곡선관
21, 32: 결속돌기부재 21-1, 32-1: 결속 돌기면
22: 중심관 23: 곡선관 턱
24: 곡선관턱 안착부 30: 제2 연결관
31: 체결턱 40: 배관
100: 엘보우 관10:
12:
13-1, 25-1: Settling film 13-2, 25-2: Blocking film
13-3, 25-3: Separation preventing film 13-4, 25-4: First seating surface
13-5, 25-5: Second seating surface 13-6, 25-6: Seating surface inclination angle
13-7, 25-7: guide part 13-8, 25-8: connection part
13-9, 25-9: Seating portion 13-10, 25-10: Outer side
14, 36:
16, 34: piping connection 20: curved pipe
21, 32: binding projection member 21-1, 32-1: binding projection surface
22: center tube 23: curved tube jaw
24: curved jaw seating portion 30: second connector
31: fastening jaw 40: piping
100: elbow tube
Claims (7)
상기 결속부재(13, 25)는 한 쌍의 사다리꼴이 마주 본 형태로 구비되는 분리방지막(13-3, 25-3)과, 한 쌍의 사다리꼴이 서로 등을 맞댄 형태로 구비되는 걸림막(13-2, 25-2)과, 상기 분리방지막(13-3, 25-3)과 걸림막(13-2, 25-2)의 중심에 결속돌기부재(21, 32)가 고정되게 하는 직사각형의 안착막(13-1, 25-1)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돌기부재(21, 32)와 좌, 우 어느 방향으로도 결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
The elbow pipe assembly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ipe 10 having a binding member 13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jaw 12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urved pipe jaw 23 formed on one side. A binding member 25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a binding protrusion member 2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urved jaw seating part 24 on the other side to bind the binding member 13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10. Curved curved tube 20 of the curved shape; and,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 32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jaw 31 formed laterally extending curved tube jaw 23 of the curved tube 20 The second connecting pipe 30 to be bound to the binding member 25 formed in the; consisting of, varying the quantity of use of the curved tube 20, or the binding member (13, 25) and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 21 In the elbow tube assembly structure varying the connection angle of the elbow tube by changing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left, right, 32,
The binding member (13, 25) is a separation prevention film (13-3, 25-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air of trapezoids facing each other, the locking film 13 is provided in a form of a pair of trapezoids back to each other -2, 25-2, and the rectangular shape for fixing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s (21, 32) in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film (13-3, 25-3) and the locking film (13-2, 25-2) Seating membrane (13-1, 25-1) is formed is an elbow tube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 (21, 32) can be bound in any direction.
상기 분리방지막(13-3, 25-3)의 내측면인 제1 안착면(13-4, 25-4)과 상기 걸림막(13-2, 25-2)의 내측면인 제2 안착면(13-5, 25-5)은 미세한 톱니모양의 돌기가 구비되어, 결속돌기부재(21, 32)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결속돌기부재(21, 32)가 유동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
The method of claim 3,
First seating surfaces 13-4 and 25-4, which are inner surface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films 13-3 and 25-3, and second seating surfaces, which are inner surfaces of the locking films 13-2 and 25-2, respectively. (13-5, 25-5) is provided with a fine jagged projections, by providing a friction force to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s (21, 32)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s (21, 32) do not flow Elbow tube assembly structure with adjustable angle.
상기 제1 안착면(13-4, 25-4)과 상기 제2 안착면(13-5, 25-5)은 각각 분리방지막(13-3, 25-3)의 외측면(13-10, 25-10) 단부로 부터 상기 안착막(13-1, 25-1) 방향으로 경사면을 제공하는 안착면 경사각(13-6, 25-6)을 구비하여, 결속부재(13, 25)와 결속돌기부재(21, 32)의 결합이 긴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eating surfaces 13-4 and 25-4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s 13-5 and 25-5 are outer surfaces 13-10, respectively, of the separation barriers 13-3 and 25-3. 25-10) having a seating surface inclination angle 13-6, 25-6 which provides an inclined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film 13-1, 25-1 from an end thereof, and is engaged with the binding members 13, 25. Adjustable angle elbow tube assembl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protrusion member (21, 32) is configured closely.
상기 결속부재(13, 25)는 함몰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기부재(21, 32)의 결속부재(13, 25)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주는 직사각형 홈인 유도부(13-7, 25-7)와, 상기 유도부(13-7, 25-7)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결속돌기부재(21, 32)가 진입하는 연결부(13-8, 25-8)와, 연결부(13-8, 25-8) 말단에서는 결속돌기부재(21, 32)와 결속부재(13, 25)의 긴밀한 결속을 위해 양측방향으로 갈라져 경사각을 형성하는 안착부(13-9, 25-9)로 구성되며, 좌, 우 어느 방향으로든 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binding members (13, 25) is formed in a recessed type, the guide portion (13-7, 25-7) which is a rectangular groove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to the binding members (13, 25) of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s (21, 32). And connecting parts 13-8 and 25-8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nters of the induction parts 13-7 and 25-7 to which the binding protrusion members 21 and 32 enter, and connecting parts 13-8, 25-8) at the end is composed of a seating portion (13-9, 25-9) which is divided in both directions to form an inclination angle for tight binding of the binding projection members (21, 32) and the binding members (13, 25), Adjustable angle elbow tube assembl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in any direction, left, right.
상기 유도부(13-7, 25-7)의 내측면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djustable angle elbow tube assembl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13-7, 25-7) has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6592A KR101376361B1 (en) | 2012-05-29 | 2012-05-29 | Elbow Assembly Structure Having A Control Apparatus For Ang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6592A KR101376361B1 (en) | 2012-05-29 | 2012-05-29 | Elbow Assembly Structure Having A Control Apparatus For Ang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3388A KR20130133388A (en) | 2013-12-09 |
KR101376361B1 true KR101376361B1 (en) | 2014-04-01 |
Family
ID=4998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65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6361B1 (en) | 2012-05-29 | 2012-05-29 | Elbow Assembly Structure Having A Control Apparatus For Ang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6361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5152B1 (en) * | 2014-06-23 | 2014-10-28 | 이수희 | Rain water pipe |
KR101636217B1 (en) | 2015-09-10 | 2016-07-08 | 주식회사 선주에어테크 | Elbow pipe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
KR101710470B1 (en) | 2016-05-17 | 2017-02-27 | 주식회사 선주에어테크 | Elbow pipe manufacturing method and elbow pipe manufactured by this same |
KR102615776B1 (en) | 2023-03-15 | 2023-12-19 | 황서윤 | Manufacturing equipment for connecting flanges of stainless steel curved connectors |
KR102766265B1 (en) * | 2024-10-22 | 2025-02-12 | 정병래 | Water gutter pipe connection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40023B (en) | 2014-03-13 | 2017-07-05 | Adey Holdings 2008 Ltd | Magnetic sleeve assembly for a magnetic separator |
JP6529893B2 (en) * | 2015-11-11 | 2019-06-12 | 未来工業株式会社 | Flexure protection cover and unit body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83342B1 (en) * | 1991-05-07 | 1996-10-30 | Joti Vvs A/S | An adjustable pipe bend for drain pipes |
JPH1030770A (en) * | 1996-05-15 | 1998-02-03 | Sekisui Chem Co Ltd | Pipe joint |
KR20000021090U (en) * | 1999-05-20 | 2000-12-15 | 박옥수 | A device for coupling hose |
KR20110008334U (en) * | 2010-02-19 | 2011-08-25 | 최육남 | Pipe branching apparatus |
-
2012
- 2012-05-29 KR KR1020120056592A patent/KR10137636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83342B1 (en) * | 1991-05-07 | 1996-10-30 | Joti Vvs A/S | An adjustable pipe bend for drain pipes |
JPH1030770A (en) * | 1996-05-15 | 1998-02-03 | Sekisui Chem Co Ltd | Pipe joint |
KR20000021090U (en) * | 1999-05-20 | 2000-12-15 | 박옥수 | A device for coupling hose |
KR20110008334U (en) * | 2010-02-19 | 2011-08-25 | 최육남 | Pipe branching apparatus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5152B1 (en) * | 2014-06-23 | 2014-10-28 | 이수희 | Rain water pipe |
KR101636217B1 (en) | 2015-09-10 | 2016-07-08 | 주식회사 선주에어테크 | Elbow pipe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
KR101710470B1 (en) | 2016-05-17 | 2017-02-27 | 주식회사 선주에어테크 | Elbow pipe manufacturing method and elbow pipe manufactured by this same |
KR102615776B1 (en) | 2023-03-15 | 2023-12-19 | 황서윤 | Manufacturing equipment for connecting flanges of stainless steel curved connectors |
KR102766265B1 (en) * | 2024-10-22 | 2025-02-12 | 정병래 | Water gutter pipe connection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3388A (en) | 2013-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6361B1 (en) | Elbow Assembly Structure Having A Control Apparatus For Angle | |
KR200467280Y1 (en) | Pipe branching apparatus | |
JP6979087B2 (en) | Wiring guides, modules and parts kits | |
JP6347530B2 (en) | Joints with arcuate rigid ribs | |
KR101409306B1 (en) | Device for connecting two rigid objects | |
WO2012008898A1 (en) | Sealing module for sealing around an elongated conduit | |
KR20200078690A (en) | Receiving device and cable harness | |
JP2003502607A (en) | In-line type water diversion valve with fluid passage capacity | |
JP5764405B2 (en) | Joint pipe fitting | |
JP6121107B2 (en) | Leg joint | |
KR101377198B1 (en) | One-touch injection pipe connection device with easy component assembly | |
CN107076338A (en) | pipe connection device | |
JP2019518922A (en) | Plastic valve that can prevent twisting | |
KR101424336B1 (en) | Assembly Elbow Having A Free Control Apparatus For Angle | |
KR20130133394A (en) | Assembly elbow having a free control apparatus for angle or length | |
KR101218352B1 (en) | Conneting device for pipe | |
JP5437779B2 (en) | Fluid device | |
KR101339734B1 (en) | Pipe connector of dual pipe type | |
RU189405U1 (en) | ANGULAR AIR FILTER WALL | |
KR20140064256A (en) | Clamp for pipe connection | |
JP2022146820A (en) | Universal pipe joint for fluid passage | |
CN104791570A (en) | Rotary composite pipe joint | |
KR102574825B1 (en) | Pipe connection device having flar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169679B1 (en) | Pipe connector | |
JP2016529451A (en) | Piping connec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