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5105B1 - 강으로 된 탈수관을 이용한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강으로 된 탈수관을 이용한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105B1
KR101375105B1 KR1020120062331A KR20120062331A KR101375105B1 KR 101375105 B1 KR101375105 B1 KR 101375105B1 KR 1020120062331 A KR1020120062331 A KR 1020120062331A KR 20120062331 A KR20120062331 A KR 20120062331A KR 101375105 B1 KR101375105 B1 KR 10137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belt
belts
dehydration
ch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605A (ko
Inventor
이정엽
Original Assignee
황정숙
최성호
양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숙, 최성호, 양기영 filed Critical 황정숙
Priority to KR1020120062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10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1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iltering bands, e.g. movable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B01D29/09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01D33/04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whereby the filtration and squeezing-out take place between at least two filter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5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 B30B9/24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co-operating with a drum or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 B30B9/247Pressing band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에 강(鋼)으로 된 다수의 사각관을 설치하여 벨트형으로 구성된 2개의 탈수벨트를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그 사이에 투입되는 슬러지(sludge), 제지원료와 같은 탈수대상물질을 압착하여 수분을 짜내는 방식으로 탈수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탈수효율을 증가시키고, 특히 탈수벨트가 화학성분에 강한 강으로 되어 있어서 탈수되는 수분에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손상을 받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수장치는 탈수관고정판(11a)이 피치길이마다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체인(11)과, 상기 체인(11)의 탈수관고정판(11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강(鋼)으로 되어 있고 외측벽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관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탈수관(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탈수벨트(10);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체인(11) 상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7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축(21)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스프로켓(20);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체인(11) 하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7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축(31)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스프로켓(30); 상기 좌우의 하부 스프로켓(30)의 회전축(31)을 구동하는 구동스프로켓(42)의 각각과 체인(41)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탈수벨트(10)를 각각 회전시키는 두개의 구동 모터(40);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탈수관(12)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탈수관(12) 내부에서 양 측면방향으로 빠져나오는 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두개의 배수관(50)(50'); 그리고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내측부분 사이에 탈수대상물질(s)이 투입되었을 때 이를 좌우에서 압착시키기 위해 두개의 탈수벨트(10)의 내측부분 안쪽에 각각 상하로 다수가 설치된 압착로울러(60)(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인에 강(鋼)으로 된 다수의 사각관을 설치하여 벨트형으로 구성된 2개의 탈수벨트를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그 사이에 투입되는 슬러지(sludge), 제지원료와 같은 탈수대상물질을 압착하여 수분을 짜내는 방식으로 탈수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탈수효율을 증가시키고, 특히 탈수벨트가 화학성분에 강한 강으로 되어 있어서 탈수되는 수분에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손상을 받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수장치는 탈수관고정판(11a)이 피치길이마다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체인(11)과, 상기 체인(11)의 탈수관고정판(11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강(鋼)으로 되어 있고 외측벽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관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탈수관(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탈수벨트(10);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체인(11) 상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7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축(21)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스프로켓(20);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체인(11) 하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7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축(31)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스프로켓(30); 상기 하부 스프로켓(30)의 회전축(31)을 구동하는 구동스프로켓(42)의 각각과 체인(41)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탈수벨트(10)를 각각 회전시키는 두개의 구동 모터(40);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탈수관(12)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탈수관(12) 내부에서 양 측면방향으로 빠져나오는 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두개의 배수관(50)(50'); 그리고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내측부분 사이에 탈수대상물질(s)이 투입되었을 때 이를 좌우에서 압착시키기 위해 두개의 탈수벨트(10)의 내측부분 안쪽에 각각 상하로 다수가 설치된 압착로울러(60)(60')를 포함하는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로울러(60)는 그 로울러축(61)의 양단에 구성된 베어링하우징(62)이 탄성스프링(63)을 이용한 탄력장치의 안내대(64)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으로 된 탈수관을 이용한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DEHYDRATION APPARATUS HAVING DEHYDRATION BELTS USING RECTANGULAR STEEL CHANNELS}
본 발명은 슬러지, 제지원료 등을 탈수하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체인에 강(鋼)으로 된 다수의 사각관을 설치하여 벨트형태로 구성된 2개의 탈수벨트를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그 사이에 투입되는 슬러지(sludge), 제지원료와 같은 탈수대상물질을 압착하여 수분을 짜내는 방식으로 탈수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탈수효율을 증가시키고, 특히 탈수벨트가 화학성분에 강한 강으로 되어 있어서 탈수되는 수분에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손상을 받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수장치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목재 또는 밀짚 등을 원료로 하는 화학펄프 제조공정 중에서 고온상태의 원료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그 외 많은 산업분야에서 탈수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탈수장치로서 " 합성수지 세사를 이용한 체인형 벨트 프레스의 슬러지 여과장치"를 개발하여 한국특허 제0330516호로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이 선등록의 탈수장치는 탈수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합성수지 세사(細絲)가 구비된 체인형 탈수벨트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그 위에 압착벨트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그 하부의 탈수벨트와 상부의 압착벨트 사이에 탈수대상물질을 투입하여 탈수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선등록의 탈수장치는 하나의 탈수벨트에 의하여만 탈수작용이 이루어지므로 탈수효과가 떨어지고, 회전하는 탈수벨트 윗부분에서 탈수된 물이 아랫부분에 떨어지도록 되어 있고 합성수지 세사에 함유하는 물이 탈수벨트가 아랫부분을 이동하는 동안에 신속하게 분리되지 못하여 탈수대상물체에서 제거된 물이 탈수벨트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채 다시 윗부분으로 이동함으로써 탈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탈수장치는 합성수지 세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수분에 화학성분이 함유한 탈수대상물질에 대하여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탈수장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두개의 탈수벨트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두개의 탈수벨트에서 탈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탈수된 물을 별도의 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탈수효율을 크게 증가시키고, 또한 탈수작용을 행하는 탈수벨트를 화학성분에 강한 강(鋼)으로 만들어 화학펄프의 제조 원료와 같이 화학성분이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는 탈수관고정판이 피치길이마다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체인과, 상기 체인의 탈수관고정판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강(鋼)으로 되어 있고 외측벽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관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탈수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탈수벨트;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의 체인 상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스프로켓;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의 체인 하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스프로켓; 상기 하부 스프로켓의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스프로켓의 각각과 체인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탈수벨트를 각각 회전시키는 두개의 구동 모터;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의 탈수관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탈수관 내부에서 양 측면방향으로 빠져나오는 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두개의 배수관; 그리고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의 내측부분 사이에 탈수대상물질이 투입되었을 때 이를 좌우에서 압착시키기 위해 두개의 탈수벨트의 내측부분 안쪽에 각각 상하로 다수가 설치된 압착로울러를 포함하는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로울러는 그 로울러축의 양단에 구성된 베어링하우징이 탄성스프링을 이용한 탄력장치의 안내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는 또한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의 탈수관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 배수관중 어느 하나의 배수관 내부의, 탈수대상물질이 압착상태에서 해제되기 직전 부분에 양측의 두개의 탈수관 내부로 압축공기를 불어주는 압축공기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는 또한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의 하부에, 탈수처리된 탈수대상물질이 하부로 낙하하지 않고 탈수관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기 위한 독타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탈수관의 외측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물체들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는 또한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의 회전속도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서로 차이가 나도록 하여 두개의 탈수벨트사이에서 압착되는 탈수대상물질에 전단력을 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두개의 탈수벨트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서 탈수대상물질이 압착하여 두개의 탈수벨트에서 탈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탈수된 물을 두개의 탈수벨트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탈수효율이 크게 증가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탈수작용을 행하는 탈수벨트의 재질이 화학성분에 강한 강(鋼)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화학펄프의 제조 원료와 같이 화학성분이 함유된 탈수대상물질을 처리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의 구성요소인 탈수벨트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의 구성요소인 탈수벨트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의 구성요소인 탈수벨트의 부분 평면도,
도 6은 도3 내지 도5의 탈수벨트를 구동하기 위하기 위한 스프로켓 및 그 회전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의 구성요소인 2개의 탈수벨트와, 그 사이에서 탈수대상물질을 압착하기 위한 압착로울러, 그리고 2개의 탈수벨트의 양측의 배수관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부분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의 구성요소인 탈수벨트와,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압착로울러, 그리고 탈수벨트의 양측의 배수관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탈수장치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탈수벨트(10), 하나 이상의 상부 스프로켓(20), 하나 이상의 하부 스프로켓(30), 구동 모터(40), 두개의 배수관(50)(50'), 그리고 압착로울러(60)(60')를 포함하고 있다.
두개의 탈수벨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탈수대상물질(s)은 두개의 탈수벨트(10)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수된다.
두개의 탈수벨트(10)는 무한궤도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관고정판(11a)이 피치길이마다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체인(11)과, 상기 체인(11)의 탈수관고정판(11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강(鋼)으로 되어 있고 외측벽에 다수의 탈수공(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관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탈수관(12)으로 이루어져 있다.
탈수관(12)의 내부벽은 체인(11)의 탈수관 고정판(11a)에 고정되며, 탈수관(12)의 양측은 개구되어 있다. 탈수관(12)의 외부벽에는 다수의 탈수공(12a)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3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관(12) 외부벽의 탈수공(12a)을 크게 형성하고 작은 크기의 탈수공(13a)이 다수 형성된 덧붙이(13)를 외부벽에 용접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덧붙이(13)는 탈수관(12)의 외부벽과 어긋나게 부착되어 체인(11)의 회전 도중에 탈수관(12)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더라도 그 틈새로 탈수대상물질(s)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스프로켓(20)은 상기 탈수벨트(10)의 체인(11) 상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7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21)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스프로켓(20)은 회전축(21)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6의 상부 스프로켓(20) 및 회전축(21)은 두개의 탈수벨트(10)의 각각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프로켓의 회전축(21)의 양단에는 베어링하우징(73b)이 설치되어 있으며, 베어링하우징(73b)은 고정대(73)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대(73)는 탈수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기둥에 장공(73d)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장공(73d)에 베어링하우징(73b)의 양측 돌출부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하우징(73b)의 하부에는 나사축(73a)이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나사축(73a)에 조절너트(7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너트(73c)를 돌리면 베어링하우징(73b)이 장공(73d)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상부 스프로켓(20)이 설치된 회전축(21)이 상하로 이동하여 탈수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하부 스프로켓(30)은 상기 탈수벨트(10)의 체인(11) 하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7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1)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스프로켓(30)도 상부 스프로켓(20)과 마찬가지로 회전축(31)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다.
두개의 구동 모터(40)는 상기 좌우의 회전축(31)의 끝단에 각각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42)의 각각과 체인(4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31) 및 하부 스프로켓(30)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탈수벨트(10)를 각각 회전시킨다.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회전속도는, 구동모터(40)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서로 차이가 나도록 하여 두개의 탈수벨트(10)사이에서 압착되는 탈수대상물질(s)에 전단력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상부에는 탈수대상물질(s)이 투입되는 호퍼(81)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배수관(50)(50')은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탈수관(12)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탈수관(12) 내부에서 양 측면방향으로 빠져나오는 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탈수관(12)의 내측에는 배수공(52a)이 형성된 지지판(52)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탈수관(12)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 배수관(50)(50')중 어느 하나의 배수관(50) 내부의, 탈수대상물질(s)이 압착상태에서 해제되기 직전 부분에 양측의 두개의 탈수관(12) 내부로 압축공기를 불어주는 압축공기노즐(51)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에는 압축공기노즐(51)이 일측의 배수관(50)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로울러(60)(60')는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내측부분 사이에 탈수대상물질(s)이 투입되었을 때 이를 좌우에서 압착시키기 위해 두개의 탈수벨트(10)의 내측부분 안쪽에 각각 상하로 다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일측의 압착 로울러(60)는 그 로울러축(61)의 양단에 구성된 베어링하우징(62)이 탄성스프링(63)을 이용한 탄력장치의 안내대(64)에 설치되어 있다.
탄력장치는 베어링하우징(62)에 탄력을 가하는 탄성스프링(63), 상기 탄성스프링(63)에 탄력을 가하고 해제하는 것으로서 프레임(70)에 나사결합 되어 있는 나사축(69a), 상기 나사축(69a)을 회전시키는 조절핸들(69), 그리고 상기 베어링하우징(62)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안내대(64)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압착로울러(60)는 탄성스프링(63)에 의하여 탈수벨트(10)에 탄력을 가하고 그에 따라 탈수대상물질(s)은 두개의 탈수벨브(10) 사이에서 탄력적인 압착력을 받게 된다.
타측의 압착로울러(60')는 상기와 같은 탄성스프링을 이용한 탄력장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측의 압착로울러(60)에 의한 압착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로울러(60)(60')에는 각각 체인(11)이 통과하기 위한 체인홈(65)이 설치되어 있는데, 체인홈(65)의 개수는 탈수벨트(10)를 구동하는 체인(11)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하부에는, 탈수처리된 탈수대상물질(s)이 하부로 낙하하지 않고 탈수관(12)에 부착되는 경우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독타(doctor)(7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탈수관(12)의 외측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물체들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7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탈수장치와 도 2의 탈수장치는 압착로울러(60)(60')의 개수와 탄성스프링(63)의 개수 등 일부분에 차이점이 있으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도2의 탈수장치에는 가장 하부의 압착로울러(60a)에 보다 큰 탄력을 가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두개의 압착로울러(60a)(60'a)의 지름을 크게 하고,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탄력장치(68)에 의하여 압착로울러(60a)가 탄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탄력장치(68)는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68a), 지렛대(68b), 받침대(68c), 탄성스프링(63)에 힘을 가하는 작동축(68d)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장치의 상부에는 탈수대상물질(s)이 투입되는 투입관(80)이 설치되고, 탈수장치의 하부에는 탈수된 찌꺼기를 받는 배출컨베이어(81)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탈수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두개의 구동모터(40)를 회전시키면서 두개의 탈수벨트(10)의 상부에 설치된 투입관(80)에 의하여 탈수대상물질(s)을 호퍼(82)로 투입한다. 탈수대상물질(s)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두개의 탈수벨트(10) 사이에 끼이게 된다. 두개의 탈수벨트(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탈수대상물질(s)은 두개의 탈수벨트(10)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수분은 탈수관(12)의 탈수공(13a)(12a)을 통하여 탈수관(12) 내부로 들어가고 나머지 찌꺼기는 하강을 계속하여 하부의 배출컨베이어(81)로 떨어져 별도의 장소로 이송된다.
두개의 탈수벨트(10) 내부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착로울러(60)(60')가 지지하고 있는데, 일측의 압착로울러(60)는 탄성스프링(63)에 의하여 일측의 탈수벨트(10) 내부에서 탄력을 가하고 있으므로 탈수대상물질(s)의 탈수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가장하부의 압착로울러(60a)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하여 보다 강하게 탄력을 가하고 있으며 미처 탈수되지 못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다.
본 발명의 탈수장치는 또한 두개의 구동모터(40)의 회전속도에 차이를 두어 두개의 탈수벨트(10) 사이에서 압착되는 탈수대상물질(s)에 전단력을 가하여 탈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탈수대상물질(s)의 압착상태에서 해제되기 직전에 압축공기노즐(51)로부터 압축공기를 탈수관(12) 내부에 불어 탈수관(12)의 내부의 물을 타측의 개구부를 통하여 깨끗하게 배출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탈수작용에 의하여 탈수관(12) 내부로 스며들어온 물은 양측의 개구부를 통하여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 배수관(50)(50')를 통하여 하부로 흐르고 하부의 수평배수관(55) 및 배수구(56)를 통하여 배출된다.
탈수가 완료된 찌꺼기는 탈수관(12)의 외부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들 찌꺼기들은 스프링을 이용하는 독타(71)에 의하여 제거되며, 또한 미세한 찌꺼기들은 브러쉬(72)에 의하여 깨끗하게 털어낸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설치된 동일한 두개의 탈수벨트(10)사이에서 탈수대상물질(s)을 압착하여 탈수작용을 행하고 탈수된 물은 탈수벨트(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배수관(50)(5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므로 탈수효율이 크게 증가된다.
또한 탈수작용을 행하는 탈수벨트(10)의 재질이 화학성분에 강한 강(鋼)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화학펄프의 제조 원료와 같이 화학성분이 함유된 탈수대상물질(s)을 처리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 탈수벨트 11 : 체인
12 : 탈수관 12a : 탈수공
13 : 덧붙이 13a : 탈수공
20 : 상부스프로켓 21: 회전축
30 : 하부스프로켓 31: 회전축
40 : 구동모터 41 : 체인
42 : 구동스프로켓
50, 50' : 배수관 51 : 압축공기노즐
52 : 지지판 52a : 배수공
55 : 수평배수관 56 : 배수구
60, 60a, 60', 60'a : 압착로울러 61 : 로울러축
62 : 베어링하우징 63 : 탄성스프링
64 : 안내대 65 : 체인홈
66, 67 : 안내롤라 68 : 탄력장치
68a : 실린더 68b : 지렛대
68c : 받침대 68d : 작동축
69 : 조절핸들 69a : 나사축
70 : 프레임 71 : 독타(doctor)
72 : 브러시 73 : 고정대
73a : 나사축 73b : 베어링하우징
73c : 조절너트 73d : 장공
80 : 투입관 81 : 배출컨베이어
82 : 호퍼 s : 탈수대상물질

Claims (5)

  1. 탈수관고정판(11a)이 피치길이마다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체인(11)과, 상기 체인(11)의 탈수관고정판(11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강(鋼)으로 되어 있고 외측벽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관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탈수관(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탈수벨트(10);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체인(11) 상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7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축(21)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스프로켓(20);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체인(11) 하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7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축(31)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스프로켓(30); 상기 하부 스프로켓(30)의 회전축(31)을 구동하는 구동스프로켓(42)의 각각과 체인(41)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탈수벨트(10)를 각각 회전시키는 두개의 구동 모터(40);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탈수관(12)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탈수관(12) 내부에서 양 측면방향으로 빠져나오는 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두개의 배수관(50)(50'); 그리고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내측부분 사이에 탈수대상물질(s)이 투입되었을 때 이를 좌우에서 압착시키기 위해 두개의 탈수벨트(10)의 내측부분 안쪽에 각각 상하로 다수가 설치된 압착로울러(60)(60')를 포함하는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로울러(60)는 그 로울러축(61)의 양단에 구성된 베어링하우징(62)이 탄성스프링(63)을 이용한 탄력장치의 안내대(64)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탈수관(12)의 양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 배수관(50)(50')중 어느 하나의 배수관(50) 내부의, 탈수대상물질(s)이 압착상태에서 해제되기 직전 부분에 양측의 두개의 탈수관(12) 내부로 압축공기를 불어주는 압축공기노즐(5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하부에, 탈수처리된 탈수대상물질(s)이 하부로 낙하하지 않고 탈수관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기 위한 독타(7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탈수관(12)의 외측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물체들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7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탈수벨트(10)의 회전속도는, 구동모터(40)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서로 차이가 나도록 하여 두개의 탈수벨트(10)사이에서 압착되는 탈수대상물질(s)에 전단력을 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KR1020120062331A 2012-06-11 2012-06-11 강으로 된 탈수관을 이용한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7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31A KR101375105B1 (ko) 2012-06-11 2012-06-11 강으로 된 탈수관을 이용한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31A KR101375105B1 (ko) 2012-06-11 2012-06-11 강으로 된 탈수관을 이용한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05A KR20130138605A (ko) 2013-12-19
KR101375105B1 true KR101375105B1 (ko) 2014-03-14

Family

ID=4998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3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5105B1 (ko) 2012-06-11 2012-06-11 강으로 된 탈수관을 이용한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4658B (zh) * 2022-06-09 2022-12-06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药渣脱水处理装置
CN118320516B (zh) * 2024-06-11 2024-08-27 中铝智能(杭州)安全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污水处理的泥水分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031Y1 (ko) 2000-04-06 2000-10-02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수분 제거용 압착탈수 롤러가 장착된 케이크 이송장치
KR20040024623A (ko) * 2002-09-12 2004-03-22 (주)보우엔테크 펠트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KR200365673Y1 (ko) * 2004-07-16 2004-10-27 남상진 슬러지 탈수장치
KR20080100747A (ko) * 2007-05-14 2008-11-19 오흥대 수분흡착벨트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케이크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031Y1 (ko) 2000-04-06 2000-10-02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수분 제거용 압착탈수 롤러가 장착된 케이크 이송장치
KR20040024623A (ko) * 2002-09-12 2004-03-22 (주)보우엔테크 펠트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KR200365673Y1 (ko) * 2004-07-16 2004-10-27 남상진 슬러지 탈수장치
KR20080100747A (ko) * 2007-05-14 2008-11-19 오흥대 수분흡착벨트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케이크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05A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7806B1 (en) Liquid separating device
JPH0386393A (ja) 脱水プレス
RU2601521C2 (ru) Раздел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архимедовым винтом для обработки навозной жижи
KR101375105B1 (ko) 강으로 된 탈수관을 이용한 체인형 탈수벨트를 구비한 탈수장치
CA2984004A1 (en) Device for treating pig slurry
RU27015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ссования
JP3974785B2 (ja) 固液分離装置
DE3303967A1 (de) Bandfilterpresse zum filtrieren einer truebe
KR19990030363A (ko) 진공 롤러 및 수분 흡착벨트를 이용한 슬러지의 고압 탈수시스템
KR102012301B1 (ko) 슬러지 절단기능을 갖는 스크루 프레스
KR200198031Y1 (ko) 수분 제거용 압착탈수 롤러가 장착된 케이크 이송장치
JP2014205179A (ja) ローラ式脱水装置
KR200365673Y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101180094B1 (ko) 벨트 프레스 탈수장치
JP7152009B2 (ja) 汚泥脱水装置
KR100571765B1 (ko)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고압탈수부
JPH0450120B2 (ko)
KR20040099760A (ko) 슬러지의 연속 압착 탈수 장치
KR200329224Y1 (ko) 벨트 프레스 탈수 여과포 세척장치
RU38635U1 (ru) Ленточный фильтр-пресс для обезвоживания осадка
KR200376690Y1 (ko)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고압탈수부
SU935312A1 (ru) Непрерывнодействующий ленточно-кольцевой пресс
RU187400U1 (ru) Ленточный фильтр-пресс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обезвоживания материала
KR200440308Y1 (ko) 저 함수율 슬러지 탈수장치
KR200484854Y1 (ko) 오니 건조 장치의 디스크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