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3841B1 - 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841B1
KR101373841B1 KR1020120015080A KR20120015080A KR101373841B1 KR 101373841 B1 KR101373841 B1 KR 101373841B1 KR 1020120015080 A KR1020120015080 A KR 1020120015080A KR 20120015080 A KR20120015080 A KR 20120015080A KR 101373841 B1 KR101373841 B1 KR 101373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unit
purified water
ice mak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3868A (en
Inventor
장평순
김진섭
심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2001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841B1/en
Publication of KR2013009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8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84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제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에서, 상기 제빙부는 얼음 생성부 및 정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생성부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틀 및 상기 제빙틀의 주변에 배열된 냉각관을 포함하며,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제빙틀에 정수를 공급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In the ice making unit and the ic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the ice making unit includes an ice generating unit and a purified water supply unit. The ice generating unit includes an ice making frame in which ice is generated and a cooling tube arranged around the ice making frame, and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supplies purified water to the ice making frame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ice generating unit. .

Description

제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과적인 제빙 및 탈빙이 가능한 제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ing unit and an ic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making unit capable of effective ice making and deicing and an ic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사용의 편의성 등으로 인해 얼음을 별도로 공급하는 얼음 정수기도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ice water purifiers which supply ice separately have become popular due to ease of use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얼음 정수기에서는 얼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얼음을 탈빙하기 위한 제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부는 외부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얼음을 탈빙하여 얼음 저장부로 제공하는 얼음 정수기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된다. In general, the ice purifier includes an ice making unit for generating ice and deicing the generated ice, wherein the ice making unit receives ice water from outside to generate ice and defrosts the generated ice to provide an ice storage unit. Corresponds to the component.

이를 위해, 상기 제빙부에서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냉각기능 및 생성된 얼음을 탈빙하기 위한 가열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하며, 탈빙된 얼음이 얼음 저장부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To this end, the ice making unit must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it can simultaneously perform a cooling function for generating ice and a heating function for defrosting the generated ice, and must be designed to accurately move the iced ice to the ice storage unit. There is.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제빙부의 구조에서는, 탈빙하기 위해 공급되는 열이 상기 제빙부의 제빙틀에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아 탈빙된 얼음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탈빙된 얼음이 얼음 저장부로 정확하게 낙하하지 않거나 얼음 저장부로 낙하하면서 얼음이 깨지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는 제빙부의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게 설계됨으로써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다. 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ice making unit developed to date, the problem is that the shape of the iced ice is not constant because the heat supplied to the ice making unit is not uniformly supplied to the ice making frame of the ice making unit. There is also a problem such as not falling correctly or the ice is broken while falling into the ice storag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by the excessively complex structure of the ice making unit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인 제빙 및 탈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this respe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ing un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 de-icing and de-icing and an ic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부는 얼음 생성부 및 정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생성부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틀 및 상기 제빙틀의 주변에 배열된 냉각관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제빙틀에 정수를 공급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generating unit and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The ice generator includes an ice making frame in which ice is generated and a cooling tube arranged around the ice making frame.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supplies purified water to the ice making frame, and is disposed to be detachabl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generat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정수가 이동되는 공급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배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supply pipe to which the purified water is moved, rotates around the supply pipe may be detachab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generat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분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틀에 정수를 분사하여 공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spraying unit, spray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ice making frame in a stat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generat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면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탈착되어 얼음 이동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탈빙된 얼음은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ice is generated in the ice generator,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may be detached from the ice generator to form an ice movement guide, and the ice desorbed from the ice generator i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Can be gu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관은 상기 제빙틀 내부의 정수를 냉각시키며, 상기 제빙틀의 측면 또는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oling tube may be arranged to cool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ice tray, and to contact the side or top surface of the ice tra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제빙틀에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탈빙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탈빙관은 상기 제빙틀에 열을 전달하여 상기 제빙틀의 얼음을 탈빙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ice generator may further include a ice making tube arranged to contact the ice making frame, and the ice making tube may defrost ice of the ice making frame by transferring heat to the ice making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빙관은 상기 제빙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ce tube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제빙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탈빙관과 상기 냉각관을 상기 제빙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ce generating unit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and may include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ice-colving tube and the cooling tube to the ice making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탈빙관 및 상기 냉각관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부 고정부, 및 상기 상부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탈빙관 및 상기 냉각관의 하면과 상기 제빙틀의 상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fix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ube and the cooling tube, and the upper fixing por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tube and the cooling tub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It may include a lower fixing portion in contact at the same ti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고정부들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탈빙관의 열이 상기 제빙틀의 상면 및 측면, 상기 제빙틀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까지 전달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and heat of the ice tube may be transferred to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ice making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part which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making frame. .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필터부, 제빙부 및 정수통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는 외부의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제공한다. 상기 제빙부는 상기 필터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아 얼음을 제빙한다. 상기 정수통은 상기 제빙부를 수납하며,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부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틀 및 상기 제빙틀의 주변에 배열된 냉각관을 포함하는 얼음 생성부, 및 상기 제빙틀에 정수를 공급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정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Ice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an ice making unit and a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The filter unit filters external raw water to provide an integer. The ice making unit receives ice water from the filter unit to ice the ice.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accommodates the ice making unit and includes an ice storage unit in which ic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unit is stored. The ice making unit is an ice generating unit including an ice making frame in which ice is generated and a cooling tube arranged around the ice making frame, and an integer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ice making frame and arranged to be detachable from a lower surface of the ice generating unit. It includes a supp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어 정수가 이동되는 공급배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배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to move the purified water, rotates around the supply pipe and may be detachab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generat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면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탈착되어 얼음 이동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탈빙된 얼음은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을 따라 상기 얼음 저장부로 가이드 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ice is generated in the ice generator,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may be detached from the ice generator to form an ice movement guide, and the ice desorbed from the ice generator i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It may be guided to the ice storag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통은 상기 얼음 저장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탈착되어 얼음이 상기 냉수 저장부로 가이드 되도록 얼음 이동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may include a cold water storage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ice storage unit for storing cold water, wherein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is detached from the ice generating unit to guide the ice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The movement guide can be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 공급부가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얼음이 모두 생성된 경우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므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용이하게 탈빙(脫氷)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ce generating unit, and all the ice is generated, it can be detached from the ice generating unit, so that the generated ice can be easily iced down from the ice generating unit. Iii) can be done.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 공급부가 얼음 생성부의 제빙틀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탈착시 상기 얼음 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가이드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얼음 가이드가 불필요하여 간단한 구조로 제빙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공급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얼음을 다른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으므로, 얼음을 필요에 따라 얼음 저장부 또는 냉수 저장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어 얼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may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ce making unit of the ice generating unit, and when the desorption unit serves as a guide of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generating unit, the ice making unit may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ice guide. In addition, since the ice may be guided in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the ice may be selectively moved to the ice storage unit or the cold water storage unit as needed to prevent waste of ice.

또한, 상기 분사부가 상기 제빙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제빙틀의 개구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빙틀에서 생성되는 얼음에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jection unit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ice tray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ice tr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 from being formed in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tray.

또한, 냉각관이 제빙틀의 측면 또는 상면에 접촉하므로, 제빙틀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어, 얼음 생성 속도 및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tub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the ice making frame can be cooled uniformly, and the ice production rate and uniformity can be improved.

또한, 탈빙관이 제빙틀에 접촉하며, 특히, 상기 탈빙관에 전달되는 열이 상기 고정부로 전도되면서, 상기 제빙틀의 상면, 측면 및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까지 전달되므로, 제빙틀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얼음을 균일하게 탈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ce-making tube contacts the ice-making frame, and in particular, as heat transmitted to the ice-making tube is conducted to the fixing part, i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the side surface of the ice-making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part. It can transfer a heat and evenly defrost 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정수기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에서 정수통을 생략하여 제빙부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을 절단한 선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을 절단한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빙부를 상부에서 관찰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ing unit by omitting a water purifier from the ice purifier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line cut along line II ′ of FIG. 2.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II ′ of FIG. 3.
FIG. 5 is a plan view of the ice making unit of FIG. 2 observed from above.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compris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figure, step, operation,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정수기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정수기(1)는 외부에 형성된 외부 커버(10), 얼음 출수부(11), 정수 출수부(12), 표시부(13) 및 물받침부(14)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정수통(20), 구동부(21), 필터부(22), 공급펌프(23), 냉수 재활용부(24) 및 방열부(2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ice wate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uter cover 10, an ice extracting unit 11, a purified water extracting unit 12, a display unit 13, and a water support 14 formed on the outside. ), And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tank 20, a driving unit 21, a filter unit 22, a supply pump 23, a cold water recycling unit 24, and a heat dissipation unit 25.

상기 외부 커버(10)는 상기 얼음 정수기(1)의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얼음 출수부(11) 및 상기 정수 출수부(12)를 통해 각각 얼음 및 정수(냉수 또는 온수를 포함함)가 출수되며, 상기 표시부(13)는 상기 얼음 정수기(1)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The outer cover 10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ice water purifier 1, and the ice and purified water (including cold or hot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the ice extracting unit 11 and the purified water extracting unit 12, respectively. The display unit 13 displays information regar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ice purifier 1.

상기 정수통(20)은 내부에 후술할 제빙부 등을 수납하며,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 및 정수를 각각 서로 분리된 공간에 저장한다. 상기 제빙부는 얼음 생성부(40) 및 정수 공급부(30)를 포함한다.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accommodates an ice mak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d stores ice and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ice making unit in separate spaces from each other. The ice maker includes an ice generator 40 and a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상기 구동부(21)는 상기 제빙부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성된 경우, 상기 제빙부의 정수 공급부(30)를 상기 제빙부의 얼음 생성부(40)로부터 탈착시킨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21)의 자세한 구동은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drive unit 21 detaches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of the ice making unit from the ice generating unit 40 of the ice making unit when the production of the ice is completed in the ice making unit. In this case, detailed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필터부(22)는 상기 정수통(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원수를 음용이 가능한 정수로 필터링 하는 복수의 필터들(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22)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공급배관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정수통(20)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배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22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 (not shown) which are disposed below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to filter external raw water into drinking wate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lter unit 22 may include separate pipes for transferring the filtered purified water to the supply pipe or for delivering the purified water pipe 20 into the water supply pipe 20.

상기 냉수 재활용부(24)는 상기 정수통(20)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정수통의 얼음 저장부에서 녹은 얼음을 임시로 저장하며, 상기 냉수 재활용부(24)에 저장된 녹은 얼음은 상기 얼음 생성부(40)에서 재활용될 수 있다. The cold water recycling unit 24 is disposed below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although not shown, temporarily stores the melted ice in the ice storage unit of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and melted stored in the cold water recycling unit 24 Ice may be recycled in the ice generator 40.

상기 방열부(25)는 상기 얼음 출수부(11) 및 상기 정수 출수부(12)가 형성된 측과 반대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냉매가 통과하는 냉각관을 냉각시킨다. The heat dissipation unit 2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ice extracting unit 11 and the purified water extracting unit 12 are formed, and although not shown, cools the cooling tub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한편, 상기 정수통(20), 필터부(22), 냉수 재활용부(24) 및 방열부(25)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the filter unit 22, cold water recycling unit 24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25 may be variously arr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에서 정수통을 생략하여 제빙부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FIG.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ing unit by omitting a water purifier from the ice purifier of FIG. 1.

도 1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정수통(20)은 내부에 제빙부를 수납하며, 상기 제빙부는 얼음 생성부(40) 및 정수 공급부(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상기 정수통(20)을 생략함으로써, 상기 정수통(2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제빙부, 곧 상기 얼음 생성부(40) 및 상기 정수 공급부(30)를 도시하였다. As described above in FIG. 1,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accommodates an ice making unit therein, and the ice making unit includes an ice generator 40 and a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n FIG. 2, the ice maker 20, the ice generator 40, and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which are accommodated in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are omitted by omitting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 공급부(30)는 공급배관들(31, 32, 33, 34)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배관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22)에서 필터링된 정수가 상기 정수 공급부(30) 내부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공급펌프(23)는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정수를 공급하며, 상기 정수 공급부(30)와 피드백되어 정수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만 상기 정수 공급부(30)에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펌프(23)에 의해 공급되는 정수는 상기 얼음 생성부(40)에서의 얼음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냉수일 수 있다. 2,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ncludes supply pipes 31, 32, 33, and 34, and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22 through the supply pipes is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s provided internally. On the other hand, the supply pump 23 supplies the purified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it is fed back to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can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only when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On the other hand, the purified water supplied by the supply pump 23 may be cold water to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ice in the ice generator 40.

이와 같이, 상기 필터부(22)에서 필터링 된 정수는 상기 공급펌프(23)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공급배관들(31, 32, 33, 34)을 통해 상기 정수 공급부(30) 내부로 전달된다. As such,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22 is transferred into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through the supply pipes 31, 32, 33, and 34 by the pressure of the supply pump 23. .

한편, 상기 구동부(21)는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부(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정수 공급부(30)도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21)는 상기 공급배관 중 일부(33)를 축으로 상기 정수 공급부(30)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정수 공급부(30)는 상기 얼음 생성부(4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회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e unit 21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the water supply unit 30 also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unit 21.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21 is driven to rotate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around a portion 33 of the supply pipe, so that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s detachable from the ice generator 40 It is rotated to make it possible.

도 3은 도 2의 I-I'을 절단한 선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line cut along line II ′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통(20)의 하부에는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부(26), 상기 얼음 저장부(26)와 인접하며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저장부(27, 28, 29)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는 별도로 구획되어 사용자에게 출수되는 냉수를 저장하는 공간, 사용자에게 출수되는 정수를 저장하는 공간, 누수된 냉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공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는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냉수가 저장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an ice storage unit 26 for storing ice and a cold water storage unit 27, 28, and 29 adjacent to the ice storage unit 26 and storing cold water are disposed below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Is formed.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cold water storage units 27, 28, and 29 are separately partitioned to store the cold water discharged to the user, a space to stor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to the user, and recycle the leaked cold water. It can be divided into a space for. Alternatively,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7, 28, 29 may be formed as one space to store cold water.

상기 정수통의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의 상부에는 상기 제빙부가 배치되며, 상기 정수 공급부(30) 및 상기 얼음 생성부(40)가 차례로 배치된다. The ice making unit is disposed above the cold water storage units 27, 28, and 29 of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and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and the ice generator 40 are sequentially disposed.

상기 정수 공급부(3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급배관(33)을 중심축으로 회전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rotates the supply pipe 33 about the center axis by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21.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 생성부(40)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생성된 얼음은 상기 정수통(20)의 얼음 저장부(26)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생성된 얼음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며, 이 때, 상기 구동부(21)가 도시된 화살표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공급배관(33)을 구동시켜 상기 정수 공급부(30)를 상기 얼음 생성부(40)로부터 탈착시킨다. Specifically, when the generation of the ice is completed in the ice generating unit 40, the generated ice is moved to the ice storage unit 26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and stored. To this end, the generated ice must be moved downward, and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21 drives the supply pipe 33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move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to the ice. Desorption from the generation unit 40.

이 경우, 상기 얼음 생성부(40)로부터 탈착된 상기 정수 공급부(30)의 상면은 얼음 이동 가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얼음 이동 가이드는 상기 얼음 저장부(26)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얼음 생성부(40)로부터 탈빙된 얼음은 상기 정수 공급부(30)의 상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얼음 저장부(26)로 이동된다. In this case, an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detached from the ice generating unit 40 forms an ice moving guide, and the ice moving guide is inclined to face the ice storage unit 26. Thus, the ice desorbed from the ice generator 40 is guid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and moved to the ice storage unit 26.

이 후, 생성된 얼음이 모두 상기 얼음 저장부(26)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부(21)는 화살표 방향의 반대인 시계방향으로 상기 공급배관(33)을 구동시켜 상기 정수 공급부(30)를 상기 얼음 생성부(40)에 밀착시킨다. After that, when all of the generated ice is moved to the ice storage unit 26, the driving unit 21 drives the supply pipe 33 in a clockwis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operate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ce generator 40.

한편, 상기 얼음 저장부(26)에 얼음이 만빙된 상태이거나,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에 냉수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상기 얼음 생성부(40)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구동부(21)가 도시된 화살표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공급배관(33)을 구동시켜 상기 정수 공급부(30)를 상기 얼음 생성부(40)로부터 탈착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ice is in the ice storage unit 26, or when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7, 28, 29, or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7, 28, 29) Ev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or 40 needs to be mov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s 27, 28, and 29, such as when cold water needs to be provided, the driving unit 21 may be used. The water supply unit 30 is detached from the ice generator 40 by driving the supply pipe 33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which the arrow direction is shown.

다만, 이 경우, 상기 구동부(21)는 상기 정수 공급부(30)의 회전량을 늘려, 상기 정수 공급부(30)의 상면이 형성하는 얼음 이동 가이드가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를 향하도록 상기 정수 공급부(30)를 구동한다. 그리하여, 상기 얼음 생성부(40)에서 탈빙된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26)가 아닌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로 이동된다. However,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21 increase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so that the ice movement guid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s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7, 28, 29) Drive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to face. Thus, the ice desorbed from the ice generator 40 is mov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s 27, 28, and 29 instead of the ice storage unit 26.

또한, 이 경우,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가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갖도록 구획된 경우라면, 필요한 기능에 맞도록 상기 정수 공급부(30)의 회전량을 변화시켜, 얼음이 필요한 냉수 저장부(27, 28, 29)의 각 구획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case where the cold water storage units 27, 28, and 29 are partitioned to have different functions, the cold water for which ice is required by changing the rotational amount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to suit the required function. It may be provided to each compartment of the storage (27, 28, 29).

이 후, 생성된 얼음이 모두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부(21)는 화살표 방향의 반대인 시계방향으로 상기 공급배관(33)을 구동시켜 상기 정수 공급부(30)를 상기 얼음 생성부(40)에 밀착시킨다. After that, when all of the generated ice is mov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27, 28, and 29, the driving unit 21 drives the supply pipe 33 in a clockwis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ce generator 40.

이와 같이, 상기 정수 공급부(30)가 상기 얼음 생성부(4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정수 공급부(30)의 상면이 얼음 이동 가이드를 형성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상기 얼음 생성부(40)에서 생성된 얼음이 필요에 따라 상기 얼음 저장부(26) 또는 상기 냉수 저장부(27, 28, 29) 각각으로 제공될 수 있어 상기 얼음 정수기(1)의 내부 구조를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As such,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s detachable from the ice generator 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s designed to form an ice movement guide, thereby generating the ice generator 40. The ice may be provided to each of the ice storage unit 26 or the cold water storage units 27, 28, and 29, as necessary, so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ce water purifier 1 may be configured simply and efficiently.

도 4는 도 3의 I-I'을 절단한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빙부를 상부에서 관찰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II ′ of FIG. 3. FIG. 5 is a plan view of the ice making unit of FIG. 2 observed from above.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30) 및 상기 얼음 생성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 공급부(30)는 상기 공급배관(33, 34) 외에, 제1 하부 프레임(35), 제1 상부 프레임(36) 및 분사부(38)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40)는 제2 상부 프레임(41), 제2 하부 프레임(42), 제빙틀(43), 탈빙관(50), 냉각관(60) 및 고정부(70)를 포함한다. 4 and 5, as described above, the ice making unit includes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and the ice generator 40, and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ncludes the supply pipes 33 and 34. In addition, a first lower frame 35, a first upper frame 36, and a sprayer 38 are included, and the ice generator 40 includes a second upper frame 41 and a second lower frame 42. , An ice making frame 43, a defrosting pipe 50, a cooling pipe 60, and a fixing part 70.

상기 정수 공급부(30)는 상기 얼음 생성부(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얼음 생성부(4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다.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s disposed below the ice generator 40, and as described above, may be detached from the ice generator 40 by driving the driver 21.

상기 제1 하부 프레임(35)은 상기 공급배관(34)과 연결되며, 상기 공급배관(34)은 상기 제1 하부 프레임(35)의 하면에 연결되어, 정수를 제공한다. The first lower frame 35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4, and the supply pipe 34 is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frame 35 to provide purified water.

상기 제1 상부 프레임(36)은 상기 제1 하부 프레임(35)의 상부에서 상기 제1 하부 프레임(35)과 고정된다. 상기 제1 상부 프레임(36)과 상기 제1 하부 프레임(35)이 서로 결합된 상기 정수 공급부(30)는 도 4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납작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수 공급부(30)의 면적은 후술할 상기 얼음 생성부(40)의 제빙틀(43)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The first upper frame 36 is fixed to the first lower frame 35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frame 35. Referring to FIG. 4,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n which the first upper frame 36 and the first lower frame 35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formed in a flat rectangular column shape. In addition, the area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rea of the ice making frame 43 of the ice generator 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 하부 프레임(35)은 내부에 저장부(37)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37)는 납작한 사각기둥 형상의 수납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37)에는 상기 공급배관(34)을 통해 제공된 정수가 임시로 저장된다. The first lower frame 35 has a storage unit 37 formed therein, and the storage unit 37 is formed as a storage space having a flat rectangular pillar shape. The storage unit 37 temporarily stores the purified water provided through the supply pipe 34.

상기 분사부(38)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36)에 고정되며, 상기 저장부(37)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얼음 생성부(40)로 분사한다. The sprayer 38 is fixed to the first upper frame 36, and sprays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7 to the ice generator 40.

한편, 상기 정수 공급부(30)의 상면(39)은 상기 얼음 생성부(40)의 제2 하부 프레임(42) 및 제빙틀(43)과 접촉하며, 상기 제빙틀(43)로 분사된 정수가 하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제빙틀(43)의 하부 공간을 차단하면서 상기 제빙틀(43)과 접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39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wer frame 42 and the ice tray 43 of the ice generator 40, the purified water injected into the ice tray 43 The lower space of the ice making frame 43 is blocked while contacting the ice making frame 43 so as not to leak downward.

상기 얼음 생성부(40)의 제2 하부 프레임(42) 및 제2 상부 프레임(41)은 서로 결합하며, 상기 제2 상부 및 하부 프레임들(41, 4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제빙틀(43), 상기 탈빙관(50), 상기 냉각관(60) 및 상기 고정부(70)가 배치된다. The second lower frame 42 and the second upper frame 41 of the ice generator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ice tray is formed in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upper and lower frames 41 and 42. 43, the ice tube 50, the cooling tube 60 and the fixing portion 70 is disposed.

상기 제빙틀(43)은 내부에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 공간(44)을 형성하도록 틀을 형성하며, 하부는 개구(open)된다. 상기 제빙틀(43)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수개가 2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부(38)도 상기 제빙틀(43)이 복수개라면 각각에 하나씩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ice making frame 43 forms a frame to form an ice making space 44 in which ice is form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making frame 43 is opened. A plurality of ice trays 43 may be formed, and for example, a plurality of ice trays 43 may be formed in two rows. In this case, the injection unit 38 may also be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ice making frame 43, one each.

한편, 상기 제빙틀(43)은 상부가 하부보다 단면이 작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생성할 얼음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틀(43)은 열 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얼음의 제빙 및 탈빙을 보다 빠르고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ce making frame 4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with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ice to be produced. In addition, the ice making frame 43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ice making and de-icing of ice can be made more quickly and uniformly.

상기 제빙틀(43)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분사부(38)가 배치되며, 이 경우 상기 분사부(38)는 상기 제빙 공간(44)의 내부까지 삽입되지는 않으며, 상기 개구와 대응되는 면까지 위치하여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빙틀(43) 내부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중앙부에 상기 분사부(38)의 삽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중공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되는 얼음이 상기 제빙틀(43)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틀(43)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 중, 상기 분사부(38)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은 상기 정수 공급부(30)의 상면(39)이 배치되어, 상기 제빙 공간(44)으로 분사된 정수가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injection part 38 is disposed in an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ing frame 43, and in this case, the injection part 38 is not inserted into the ice making space 44 and corresponds to the opening. Positioned to the side and fix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llows that may occur due to the insertion of the injection portion 38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box 43, the generated ice and the shape of the ice box 43 It may have a matching shape. In addition, an upper surface 39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30 is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tray 43 where the spray unit 38 is not located, and sprays into the ice making space 44. Prevents purified water from leaking to the bottom.

상기 탈빙관(50)은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빙틀(43)에 열을 전달하여 상기 제빙틀(43)에서 형성된 얼음이 탈빙되도록 한다. The ice pipe 50 is dispos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43, and transfers heat to the ice tray 43 so that the ice formed in the ice tray 43 is defrosted.

상기 냉각관(60)은 상기 제빙틀(43)의 상면 또는 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빙틀(43)에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제빙틀(43)내부로 분사되는 정수가 상기 제빙틀(43) 내부에서 결빙되도록 한다. The cooling tube 60 is dispos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43, and the purified water is delivered to the ice making frame 43 to be injected into the ice making frame 43. 43) Freeze internally.

이하, 탈빙관(50) 및 냉각관(60)의 배열 구조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제빙틀(43)이 제1 방향(D1)으로 복수개 배열되며,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인 제2 방향(D2)으로 2열 배열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탈빙관(50) 및 상기 냉각관(60)의 배열 구조는 상기 제빙틀(43)의 구조 및 배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편의상 도 4에서 왼쪽 열에 배열된 제빙틀(43)을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열에 배열된 것으로, 오른쪽 열에 배열된 제빙틀(43)을 제2 방향(D2)을 따라 제2 열에 배열된 것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ce-breaking tube 50 and the cooling tube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and 5, for example, a plurality of ice trays 43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D1 and arranged in two rows in a second direction D2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It will be describe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ce tube 50 and the cooling tube 6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ice making frame 43. Meanwhile, for convenience, the ice tray 43 arranged in the left column in FIG. 4 is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ice tray 43 arranged in the right column is dispos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It is described as being arranged in two columns.

구체적으로, 상기 탈빙관(50)은 가열된 수증기 또는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1 탈빙 파이프(51), 및 상기 제1 탈빙 파이프(5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하다가 다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2 탈빙 파이프(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탈빙 파이프들(51, 52)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명명한 것에 불과하며, 하나의 연결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detail, the defrosting pipe 50 may include a first defrosting pipe 51 introduced with heated water vapor or a fluid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direction D1,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desorbing pipe 52. The second defrosting pipe 52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included. The first and second ice pipes 51 and 52 are merely nam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formed in one connected pipe shape.

상기 제1 탈빙 파이프(51)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열에 배열된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2 탈빙 파이프(51)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제2 열에 배열된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접촉한다. 즉, 상기 탈빙관(50)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복수의 탈빙 파이프들(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탈빙 파이프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복수의 열들로 배열된 상기 제빙틀(43)의 열들의 상면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하여, 간단한 배열 구조로 모든 제빙틀(43)에 균일하게 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thawing pipe 51 contacts an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43 arranged in a first row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second thawing pipe 51 is in the second direction D2.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43 arranged in the second row along That is, the ice pipe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pipes 51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each ice pip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It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ws of the ice tray 43 arranged in each. Thus, heat can be uniformly provided to all the ice making frames 43 in a simple arrangement.

상기 냉각관(60)은 방열부(미도시)로부터 냉각된 냉매가 유입되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1 냉각 파이프(61), 상기 제1 냉각 파이프(61)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하다가 다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2 냉각 파이프(62), 상기 제2 냉각 파이프(62)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하다가 다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3 냉각 파이프(63), 상기 제3 냉각 파이프(63)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하다가 다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4 냉각 파이프(64), 상기 제4 냉각 파이프(64)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하다가 다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5 냉각 파이프(65), 및 상기 제5 냉각 파이프(65)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하다가 다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6 냉각 파이프(6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 냉각 파이프들(61, 62, 63, 64, 65, 6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명명한 것에 불과하며, 하나의 연결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cooling pipe 60 is a first cooling pipe 61 is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nt cooled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not shown),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first cooling pipe 61 Toward the second direction D2 from the second cooling pipe 62, the second cooling pipe 62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n again toward the second direction D2. Third cooling pipe 63 extending in D1), fourth cooling pipe 64 extending from the third cooling pipe 63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gain. , The fifth cooling pipe 65 extending from the fourth cooling pipe 64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fifth cooling pipe 65 from the fifth cooling pipe 65. The sixth cooling pipe 66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included. The first to sixth cooling pipes 61, 62, 63, 64, 65, and 66 are merely nam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formed in one connected pipe shape.

상기 제1 냉각 파이프(61)는 상기 제빙틀(43)과는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냉각 파이프(62)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제2 열에 배열된 상기 제빙틀(43)의 외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3 냉각 파이프(63)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및 제2 열들에 배열된 상기 제빙틀(43)의 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며, 상기 제4 냉각 파이프(64)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열에 배열된 상기 제빙틀(43)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제5 냉각 파이프(65)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제2 열에 배열된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6 냉각 파이프(66)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열에 배열된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접촉한다. The first cooling pipe 61 is not in contact with the ice tray 43, and the second cooling pipe 62 is arranged in the second row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The third cooling pipe 63 contacts the side surfaces of the ice tray 43 arranged in the first and second rows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fourth cooling pipe 63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cooling pipe 63. The cooling pipe 64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ice tray 43 arranged in the first row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In addition, the fifth cooling pipe 65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43 arranged in the second row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sixth cooling pipe 66 i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43 arranged in the first row along (D2) is in contact.

이와 같이, 상기 제2, 제3 및 제4 냉각 파이프들(62, 63, 64)은 상기 제빙틀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빙틀(43)을 냉각시키며, 상기 제5 및 제6 냉각 파이프들(65, 66)은 상기 제빙틀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빙틀(43)을 냉각시켜, 상기 제빙틀(43)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 파이프들을 배열함으로써, 상기 냉각 파이프들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가능한 많은 부분이 상기 제빙틀과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얼음 생성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ooling pipes 62, 63, and 64 contact the side surfaces of the ice tray to cool the ice tray 43, and the fifth and sixth cooling pipes. 65 and 66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to cool the ice making frame 43 to uniformly cool the ice making frame 43.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cooling pipes as described above, the cooling pipes can be designed so that as many parts as possible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ice making frame without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ce generation.

한편, 상기 고정부(70)는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탈빙관(50)과 상기 냉각관(60)을 상기 제빙틀(43)에 고정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art 7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43, to fix the ice-colving pipe 50 and the cooling tube 60 to the ice making frame 43.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70)는 상부 고정부(71) 및 하부 고정부(7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고정부(71)는 상기 탈빙관(50)의 상면 및 상기 냉각관(60)의 상면에 접촉한다. 즉, 상기 상부 고정부(71)는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제1 탈빙 파이프(51), 상기 제6 냉각 파이프(66), 상기 제5 냉각 파이프(65) 및 상기 제2 탈빙 파이프(52)의 상면들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In detail, the fixing part 70 includes an upper fixing part 71 and a lower fixing part 72. The upper fixing part 7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ube 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oling tube 60. That is, the upper fixing part 7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43, the first ice-breaking pipe 51, the sixth cooling pipe 66, the fifth cooling pipe 65 and the It is arrang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ice-breaking pipe 52.

상기 하부 고정부(72)는 상기 상부 고정부(71)와 결합되며, 상기 탈빙관(50)의 하면, 상기 냉각관(60)의 하면 및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동시에 접촉한다. 즉, 상기 하부 고정부(72)는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제1 탈빙 파이프(51), 상기 제6 냉각 파이프(66), 상기 제5 냉각 파이프(65) 및 상기 제2 탈빙 파이프(52)의 하면들, 및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The lower fixing part 72 is coupled to the upper fixing part 71 and simultaneously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removing tube 50, the lower surface of the cooling tube 6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43. That is, the lower fixing portion 7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43, the first ice-breaking pipe 51, the sixth cooling pipe 66, the fifth cooling pipe 65 and the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ice-breaking pipes 5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43 ar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고정부(70)는 상기 탈빙관(50)과 상기 냉각관(6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탈빙관(50)과 상기 냉각관(60)을 동시에 고정시키도록 설계되어, 고정의 효율성 및 구조의 간단성을 도모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70 may be formed in a number sufficient to fix the position of the ice tube 50 and the cooling tube 60, and simultaneously fix the ice tube 50 and the cooling tube 60 at the same time. It is designed to make it possible to achieve the fixing efficiency and the structure simplicity.

한편, 상기 고정부(70)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탈빙관(50)을 통해 상기 제빙틀(43)의 상부에서 공급되는 열이, 상기 상부 및 하부 고정부들(71, 72)을 통해 전도되어, 상기 제빙틀(43)의 측면 및 상기 제빙틀(43)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39)까지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탈빙관(50)은 비록 상기 제빙틀(43)의 상면에 접촉되지만, 열전도에 의해 상기 제빙틀(43)의 전체에 균일하게 열이 전달되어, 생성된 얼음이 균일하고 빠르게 탈빙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art 70 includes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Thus, the heat su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ce tray 43 through the ice pipe 50 is conduct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71 and 72,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ice tray 43 and It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39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making frame 43. As a result, although the ice pipe 5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43, heat is uniformly transferred to the whole of the ice tray 43 by heat conduction, so that the ice generated is evenly and quickly defrosted. Can b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정수 공급부가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얼음이 모두 생성된 경우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므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용이하게 탈빙(脫氷)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ice generating unit, and all the ice is generated can be detached from the ice generating unit, the generated ice is lowered from the ice generating unit It can be easily defrosted in the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 공급부가 얼음 생성부의 제빙틀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탈착시 상기 얼음 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가이드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얼음 가이드가 불필요하여 간단한 구조로 제빙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공급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얼음을 다른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으므로, 얼음을 필요에 따라 얼음 저장부 또는 냉수 저장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어 얼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may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ce making unit of the ice generating unit, and when the desorption unit serves as a guide of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generating unit, the ice making unit may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ice guide. In addition, since the ice may be guided in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the ice may be selectively moved to the ice storage unit or the cold water storage unit as needed to prevent waste of ice.

또한, 상기 분사부가 상기 제빙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제빙틀의 개구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빙틀에서 생성되는 얼음에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jection unit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ice tray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ice tr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 from being formed in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tray.

또한, 냉각관이 제빙틀의 측면 또는 상면에 접촉하므로, 제빙틀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어, 얼음 생성 속도 및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tub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the ice making frame can be cooled uniformly, and the ice production rate and uniformity can be improved.

또한, 탈빙관이 제빙틀에 접촉하며, 특히, 상기 탈빙관에 전달되는 열이 상기 고정부로 전도되면서, 상기 제빙틀의 상면, 측면 및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까지 전달되므로, 제빙틀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얼음을 균일하게 탈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ce-making tube contacts the ice-making frame, and in particular, as heat transmitted to the ice-making tube is conducted to the fixing part, i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the side surface of the ice-making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part. It can transfer a heat and evenly defrost ice.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정수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Ice water purifi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in water purifiers used for home and business.

1 : 얼음 정수기 20 : 정수통
30 : 정수 공급부 40 : 얼음 생성부
50 : 탈빙관 60 : 냉각관
70 : 고정부
1: ice water purifier 20: water purifier
30: purified water supply unit 40: ice generator
50: ice tube 60: cooling tube
70: fixed part

Claims (14)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틀 및 상기 제빙틀의 주변에 배열된 냉각관을 포함하는 얼음 생성부; 및
상기 제빙틀에 정수를 공급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정수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제빙틀에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탈빙관(脫氷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탈빙관은 상기 제빙틀에 열을 전달하여 상기 제빙틀의 얼음을 탈빙하며, 상기 제빙틀의 상면에는 고정부를 배치하여, 상기 탈빙관과 상기 냉각관을 상기 제빙틀에 고정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탈빙관 및 상기 냉각관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부 고정부, 및
상기 상부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탈빙관 및 상기 냉각관의 하면과 상기 제빙틀의 상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부.
An ice generating unit including an ice making frame in which ice is produced and a cooling tube arranged around the ice making frame; And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ice making frame, and includes a purified water supply unit arranged to be detachab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generating unit,
The ice gener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ice making tube (脫 氷 管) arranged to contact the ice making frame, the ice removing tube transfers heat to the ice making frame to defrost ice of the ice making fram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A fixing part is disposed in the fixing part to fix the ice removing tube and the cooling tube to the ice making frame,
An upper fixing par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removing tube and the cooling tube;
And a lower fix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fixing part and simultaneously contacting a lower surface of the ice removing tube and the cooling tub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정수가 이동되는 공급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배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부.The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supply pip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is moved, rotates around the supply pipe, an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ice generat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분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틀에 정수를 분사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부. 3. The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includes an injection unit, and supplies purified water to the ice making frame while being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ice generat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면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탈착되어 얼음 이동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탈빙(脫氷)된 얼음은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을 따라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부.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of claim 2, wherein when the ice is generated in the ice generator,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is detached from the ice generator to form an ice movement guide, and the ice desorbed from the ice generator is used for the purified water supply unit. Ice 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guided along the upp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은 상기 제빙틀 내부의 정수를 냉각시키며, 상기 제빙틀의 측면 또는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부. The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ling tube cools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ice making frame and is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r an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빙관은 상기 제빙틀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부.The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removing tube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고정부들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탈빙관의 열이 상기 제빙틀의 상면, 측면, 및 상기 제빙틀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까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heat of the ice tub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the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tray. Ice 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15080A 2012-02-15 2012-02-15 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3738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80A KR101373841B1 (en) 2012-02-15 2012-02-15 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80A KR101373841B1 (en) 2012-02-15 2012-02-15 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868A KR20130093868A (en) 2013-08-23
KR101373841B1 true KR101373841B1 (en) 2014-03-17

Family

ID=4921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0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3841B1 (en) 2012-02-15 2012-02-15 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8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72955A1 (en) * 2017-12-22 2023-08-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837A (en) * 1999-01-26 2000-08-02 Hoshizaki Electric Co Ltd Ice making water tank for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20100011185U (en) * 2009-05-07 2010-11-17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KR20110003731A (en) * 2009-07-06 2011-01-13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Ice feeder for cold and hot water machine
KR20110054759A (en) * 2009-11-18 2011-05-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Ice ma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837A (en) * 1999-01-26 2000-08-02 Hoshizaki Electric Co Ltd Ice making water tank for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20100011185U (en) * 2009-05-07 2010-11-17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KR20110003731A (en) * 2009-07-06 2011-01-13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Ice feeder for cold and hot water machine
KR20110054759A (en) * 2009-11-18 2011-05-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Ic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868A (en)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en) Ice water purifier with two drip trays
KR20130110874A (en) Ice maker
CN102470297B (en) With the water purifier of ice machine
KR20130110875A (en) Ice maker
US10859303B2 (en) Refrigerator with ice mold chilled by air exchange cooled by fluid from freezer
CN103512295A (en) Refrigerator
CN102878744A (en) Ice maker
KR101795424B1 (en) Ice and cold water maker
KR102319031B1 (en) Ice maker
KR102186818B1 (en) Ice maker
KR101373841B1 (en) 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220037822A (en) Spherical or Polyhedral Ice Maker,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KR20150015562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20105662A (en) Ice and cold water maker and making method
KR20110069248A (en) Ice water purifier
KR101552059B1 (en) Ice Flakes Manufacture Apparatus
KR2014000153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water
KR101443984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10054760A (en) Ice maker
KR20090103023A (en) Ice making system
KR20110054759A (en) Ice maker
KR101281799B1 (en) Ice making module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KR20130047433A (en) Ice maker
KR20130047432A (en) Ice maker
KR20160012253A (en) Apparatus for supplying cold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