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3529B1 -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529B1
KR101373529B1 KR1020120087952A KR20120087952A KR101373529B1 KR 101373529 B1 KR101373529 B1 KR 101373529B1 KR 1020120087952 A KR1020120087952 A KR 1020120087952A KR 20120087952 A KR20120087952 A KR 20120087952A KR 101373529 B1 KR101373529 B1 KR 10137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circular
support
wall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421A (ko
Inventor
황혜자
이용춘
이근기
한창완
Original Assignee
황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자 filed Critical 황혜자
Priority to KR102012008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5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52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급탕용 이중관 배관 방식의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를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전후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벽돌쌓기 중에도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상하전후 위치조절이 미세하게 가능하며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수전구간 간격조절 및 좌우이동이 용이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급수급탕용 이중관배관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설치 배관후 공사중 건축 설계변경에 따른 건축마감두께 및 높이 변경에 따른 현장상황에 맞추어 결합될 수전의 높이와 전후좌우위치와 수전간 간격 조절변경이 용이하여 인건비 및 작업시간 절감과 하자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능률이 매우 우수하고 효율 및 안전성이 높은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는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봉을 가이드 삼아 상하로 소정간격 이동가능하며 소정위치에 고정가능케 하는 제1 구조와,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좌우측면에 결합되되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가능하며 소정위치에 고정가능케 결합되는 제2 구조를 일체로 갖고,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수전구통공이 좌우방향으로 조절하여 결합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전구통공의 상하부에 다수의 결합공을 형성하여, 사용처에 따라 원형수전구간 간격을 조절하고 원형수전구의 좌우위치 또한 일정간격 조절하여 고정가능한 제3 구조를 포함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를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Adjustable Fixing Structure of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and Circular Faucet Supporter}
본 발명은 급수급탕용 이중관배관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를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전후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벽돌쌓기 중에도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상하전후 위치조절이 미세하게 가능하며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수전구간 간격조절 및 좌우이동이 용이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급수급탕용 이중관배관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설치 배관후 공사중 건축 설계변경에 따른 건축마감두께 및 높이 변경에 따른 현장상황에 맞추어 결합될 수전의 높이와 전후좌우위치와 수전간 간격 조절변경이 용이하여 인건비 및 작업시간 절감과 하자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능률이 매우 우수하고 효율 및 안전성이 높은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으로부터 벽체로 연장되어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 수전구와 연결되는 급수급탕용 이중관의 배관시공은 바닥슬랩(Slab) 거푸집 설치후 바닥철근이 배근된 상태에서, 급수급탕용 이중관을 바닥철근에 소정길이의 철근으로 세워 고정하고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급수급탕용 이중관의 단부가 콘크리트 바닥 상부로 돌출되도록 매립하며 바닥 콘크리트가 양생된 이후에 거푸집 해체작업을 하고 벽체에 급수급탕용 이중관 배관 설치작업시에 상기 바닥 상부로 돌출된 급수급탕용 이중관을 연결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를 벽체가 설치될 위치에 설치하며 벽돌쌓기, 방수후 미장작업, 타일작업 등의 마감과 수전연결작업을 통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러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원형수전구 설치과정은 조적벽의 경우 수전함(110)을 고정하기 위하여 바닥에 하부가 고정된 철근(101)의 상부에 벽체매립형 수전함(110)을 철사로 묶어 고정해야 하는데 갑작스런 마감재 변경에 따른 수전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높이나 전후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 마감후 추가적인 가공이나 추가 부속을 필요로 하는 설치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원형수전구(128)의 경우에는 설치될 벽체내 배관위치에 설치하기 위하여 원형수전구 좌우에 바닥으로부터 철근을 세워 원형수전구(128)를 고정 설치하거나 별도로 제작된 강철제 지지대(120)를 바닥에 앵커볼트(122)로 박아 고정시켜야하는데 별도로 제작된 강철제 지지대(120)는 작업공정이 많으며 재료원가가 높고 가공비용이 높으며, 단구용 지지대(120a)나 2구용 지지대(120b) 모두 한 번 고정하면 수정이 불가하므로 설계대로 정확한 위치를 찾아 정확한 높이와 벽체마감두께에 맞추어야 하므로 설치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고정대에 배관설치 작업후 갑작스런 건축설계변경으로 인한 마감재 변경에 따른 건축마감두께 변경시에도 수전의 전후위치 수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특히 2구용 지지대(120b)의 경우 사용처마다 수전구 간격이 세면기의 경우 120mm, 욕조의 경우 150mm, 세탁실의 경우 200mm로 상이하고 건설사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 등 다양한 수전구 간격을 갖는 2구용 지지대(120b)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벽돌쌓기 중에도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상하전후 위치조절이 미세하게 가능하며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수전구간 간격조절 및 좌우이동이 용이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급수급탕용 이중관배관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설치 배관후 공사중 건축 설계변경에 따른 건축마감두께 및 높이 변경에 따른 현장상황에 맞추어 결합될 수전의 높이와 전후좌우위치와 수전간 간격 조절변경이 용이하여 인건비 및 작업시간 절감과 하자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능률이 매우 우수하고 효율 및 안전성이 높은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매립형 수전함(10a,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를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지지봉(30)과; 상기 지지봉(30)이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봉가이드(41)와, 상기 지지봉가이드(41)의 중앙 일측에 축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42)와, 상기 암나사부(42)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봉고정볼트(43)와, 상기 지지봉가이드(41)의 타측에 축방향에 수직하게 소정길이 신장된 뒤 직각방향으로 확장된 판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판(44)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40)는 벽체매립형 수전함(10a,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의 좌우측면에 결합하되 벽체매립형 수전함(10a,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를 상하전후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0)와 결합되는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10a)과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좌우측면은, 상기 가이드판(44)의 상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면서 일정간격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되는 가이드레일(1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0)와 결합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10a)과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좌우측면은, 상기 가이드판(44)의 후진 제한을 위해 가이드레일(11,21)의 후방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12,22)와; 전방에서 가이드부재(40)의 삽입은 용이하나 전방배출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레일(11,21)의 전방위치에 형성되는 직각삼각형 모양의 고정구(13,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0)의 가이드판(44)은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가이드통공(45)이 상부와 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통공(45)을 관통하여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수단(50)에 의해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를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 및 고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는 전면에 원형수전구(28)와 결합되는 수전구통공(24)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좌우측에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소정길이 신장되는 측부를 이루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부에 고정수단(50)과 결합되는 암나사공(25)이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0)는 한 쌍이 좌우대칭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되 후방 모서리와 이어진 판형의 배면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는 전면에 원형수전구(28)와 결합되는 수전구통공(24)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좌우측에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소정길이 신장되는 측부(26)를 이루는 판형이되, 상기 측부(26)에는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제2 가이드통공(27)이 상부와 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전후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40)와 간섭을 피하도록 절개부(271)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40)의 좌우측 가이드판(44)의 외주면에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측부(26)의 내주면이 맞닿아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측부(26)의 제2 가이드통공(27)을 관통하여 가이드판(44)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수단(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 및 고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는 전면에 원형수전구(28)와 결합되는 관통된 수전구통공(24)을 형성하되 좌우방향으로 조절하여 결합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전구통공(24)의 상하부에 다수의 결합공(241)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수전구(28)는 본체의 상하부에 상기 결합공(241)에 대응되는 볼트공(281)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가 설치될 사용처에 따라 수전구간 간격 및 수전구의 좌우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결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가 단구용일 경우에는 상기 장공의 수전구통공(24)과 다수의 결합공(241)을 이용하여 원형수전구(28)의 좌우 설치위치를 조절한 뒤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2구용일 경우에는 원형수전구(28)간 간격조절 및 각각의 원형수전구(28)의 좌우 설치위치를 동시에 조절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는 각각 사용처에 맞춘 수전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원형수전구(28)와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가 일체로 형성된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벽돌쌓기 중에도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상하전후 위치조절이 미세하게 가능하며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수전구간 간격조절 및 좌우이동이 용이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급수급탕용 이중관배관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설치 배관후 공사중 건축 설계변경에 따른 건축마감두께 및 높이 변경에 따른 현장상황에 맞추어 결합될 수전의 높이와 전후좌우위치와 수전간 간격 조절변경이 용이하여 인건비 및 작업시간 절감과 하자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능률이 매우 우수하고 효율 및 안전성이 높은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벽체매립형 수전함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를 상하전후 위치조절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 및 수전구간 간격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1의 고정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1에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 추가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1을 이용하여 상하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이는 개략도
도 6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2의 고정구조를 벽체매립형수전함에 적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개략도
도 7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2의 고정구조를 원형수전구 지지대에 적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개략도
도 8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3의 고정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급수급탕용 이중관 배관방식의 벽체매립형 수전함(10a,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의 수전 설치위치에 맞추어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는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봉(30)을 가이드 삼아 상하로 소정간격 이동가능하며 소정위치에 고정가능케 하는 제1 구조와, 벽체매립형 수전함(10a,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의 좌우측면에 결합되되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가능하며 소정위치에 고정가능케 결합되는 제2 구조를 일체로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의 수전구통공(24)이 좌우방향으로 조절하여 결합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전구통공(24)의 상하부에 다수의 결합공(241)을 형성하여, 사용처에 따라 원형수전구(28)간 간격을 조절하고 동시에 각 원형수전구(28)의 좌우위치도 조절하여 고정가능한 제3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 및 변형예가 이하 기술될 것이나, 상기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적용하는 어떠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다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지지봉(30)은 바닥에 직립되도록 고정된 것으로서, 통상 철근이나 전산봉(외주면 전체가 숫나사산이 형성된)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바닥을 뚫어 고정하거나 그 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바닥에 직립되도록 고정시킨 직립봉을 가리키며 본 발명은 지지봉의 설치방법이나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 아니므로 어떻게 설치하였는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1)
먼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은 가이드부재(40)와 양측면에 가이드레일(11,21)이 형성된 벽체매립형 수전함(10a)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를 미리 제조하여 준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40)는,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지지봉(30)이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봉가이드(41)와, 상기 지지봉가이드(41)의 중앙 일측에 축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42)와, 상기 암나사부(42)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봉고정볼트(43)와, 상기 지지봉가이드(41)의 타측에 축방향에 수직하게 소정길이 신장된 뒤 직각방향으로 확장된 판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판(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봉가이드(41)는 바닥에 직립 설치된 지지봉(30)을 원통형상의 내측에 삽입하여 지지봉(30)을 가이드 삼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케 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암나사부(42)와 지지봉고정볼트(43)는 상기 가이드부재(40)가 상하로 소정간격 이동한 뒤에 소정위치에서 지지봉고정볼트(43)를 죔으로써 지지봉(3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하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44)은 벽체매립형 수전함(10a)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측면에 미리 형성된 가이드레일(11,21)을 따라 삽입결합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11,21)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서 가이드레일(11,21)에 삽입된 가이드판(44)의 상하부 가장자리를 안내하면서 소정간격 가이드부재(4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40)와 결합되도록 가이드레일(11,21)이 형성된 벽체매립형 수전함(10a)과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좌우측면은, 상기 가이드판(44)의 후진 제한을 위해 가이드레일(11,21)의 후방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12,22)와; 전방에서 가이드부재(40)의 삽입은 용이하나 전방배출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레일(11,21)의 전방위치에 형성되는 직각삼각형 모양의 고정구(13,2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이드부재(40)를 벽체매립형 수전함(10a)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양측면의 가이드레일(11,21)에 각각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다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매립형 수전함(10a)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가 설치될 위치 하부 바닥에 직립되도록 설치된 지지봉(30)을 상기 가이드부재(40)의 지지봉가이드(41)에 삽입한다.
다음, 미리 설계된 높이에 따라 벽체매립형 수전함(10a)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를 상하이동시킨 뒤 지지봉고정볼트(43)를 죄어서 상하 위치를 고정시킨다.
다음, 벽체매립형 수전함(10a)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전후위치를 설계에 따라 적절하도록 이동시킨 뒤 가이드부재(4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수단(50)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다음, 급수급탕용 이중관 배관들(3)을 연결하고 타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타 공정을 진행하는 동안 시공상 발생되는 오차로 인하여 상기 수전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갑작스런 마감재 변경에 따른 마감두께가 달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생되는 오차에 따라 상하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지지봉고정볼트(43)를 풀어 벽체매립형 수전함(10a)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상하위치를 조절한 뒤 지지봉고정볼트(43)를 다시 죄어 고정하면 되고, 전후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부재(40)에 고정했던 고정수단(50)을 풀되 전부 풀지말고 반정도만 푼채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10a)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를 잡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전후위치를 조절한 뒤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수단(50)을 죄어줌으로써 상하전후위치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경우, 설치되는 사용처에 따라 수전구간의 간격이 상이한데, 수전구간 간격이 세면기의 경우 120mm, 욕조의 경우 150mm, 세탁실의 경우 200mm로 상이하고 건설사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어, 설계에 따라 현장상황에 따라 수전구간의 간격이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전면에 원형수전구(28)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수전구통공(24)을 좌우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전구통공(24)의 상하부에 다수의 결합공(241)을 형성하며, 상기 원형수전구(28)의 본체의 상하부에 상기 결합공(241)에 대응되는 볼트공(28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가 설치될 사용처에 따라 현장에서 수전구간 간격을 조절하고 동시에 각 수전구의 설치위치도 조절하여 고정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원형수전구지지대(20a)가 단구용일 경우에는 상기 장공의 수전구통공(24)과 다수의 결합공(241)을 이용하여 원형수전구(28)의 좌우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고, 2구용일 경우에는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원형수전구(28)간 간격을 조절함과 동시에 좌우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제조업체는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수전구간 간격을 갖는 제품들을 다수 생산하여 보유할 필요없이 1개의 모델로 된 제품을 생산하여 설계 및 현장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40)가 가이드레일(11,21) 내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판(44)의 상하부 소정위치에 가로방향으로 가이드홈(46)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1,21)에도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11,21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부재(40)를 가이드레일(11,21)에 밀어넣을 때, 상기 가이드판(44)의 가이드홈(46)이 상기 가이드레일(11,21)의 가이드돌기(111,211)를 따라 삽입되면서 가이드돌기(111,211)가 가이드홈(46)을 따라 이탈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2)
먼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2는 실시예1의 가이드부재(40)를 종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조를 변형한 것이다.
본 실시예2의 가이드부재(40)가, 지지봉가이드(41)와 암나사부(42)와 지지봉고정볼트(43)와 가이드판(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2는 이에 부가하여,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44)에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가이드통공(45)이 상부와 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통공(45)을 관통하여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수단(50)에 의해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를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 및 고정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1에서는 가이드레일(11,21)이 형성된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만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본 실시예2에서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에 모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44)은 종래 급수급탕용 이중관 배관방식의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의 측면에 밀착시켜 상기 가이드통공(45)을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수단(50)으로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의 측면에 결합하되, 반 정도만 조인 상태에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한 뒤 상기 고정수단(50)을 전부 죄어 단단히 고정하게 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2의 급수급탕용 이중관 배관방식의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의 경우도 실시예1에서와 마찬가지로 설치되는 사용처에 따라 수전구간의 간격이 상이하고 설계에 따라 현장상황에 따라 수전구간의 간격이 조절될 필요성이 있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의 전면에 원형수전구(28)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수전구통공(24)을 좌우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수전구통공(24)의 상하부에 다수의 결합공(241)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수전구(28)의 본체의 상하부에 상기 결합공(241)에 대응되는 볼트공(28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b)가 설치될 사용처에 따라 수전구간 간격을 조절하고 각 수전구의 위치도 조절하여 고정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원형수전구지지대(20a)가 단구용일 경우에는 상기 장공의 수전구통공(24)과 다수의 결합공(241)을 이용하여 원형수전구(28)의 좌우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고, 2구용일 경우에는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원형수전구(28)간 간격을 조절함과 동시에 좌우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게 된다.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지지봉(30)에 본 실시예2의 가이드부재(40)를 고정시키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실시예1과 동일하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정수단(50)을 반 정도만 조인 상태에서 가이드통공(45)을 따라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전후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수단(50)을 다 죄어서 전후위치를 조절 및 고정하게 된다.
물론, 타 공정을 진행하는 동안 시공상 발생되는 오차로 인하여 상기 수전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갑작스런 설계변경에 의한 마감재 변경에 따른 마감두께가 달라지는 등의 문제 발생시 발생되는 오차에 따라 상하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지지봉고정볼트(43)를 풀어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의 상하위치를 조절한 뒤 지지봉고정볼트(43)를 다시 죄어 고정하면 되고, 전후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부재(40)에 고정했던 고정수단(50)을 풀되 전부 풀지말고 반 정도만 푼채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를 잡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전후위치를 조절한 뒤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수단(50)을 죄어줌으로써 상하전후위치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는 전면에 원형수전구(28)와 결합되는 수전구통공(24)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좌우측에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소정길이 신장되는 측부를 이루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부에 고정수단(50)과 결합되는 암나사공(25)이 다수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3)
먼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3은 실시예1의 가이드부재(40)를 응용하여 한 쌍이 좌우대칭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되 후방 모서리와 이어진 판형의 배면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는 전면에 원형수전구(28)와 결합되는 수전구통공(24)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좌우측에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소정길이 신장되는 측부(26)를 이루는 판형이되, 상기 측부(26)에는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제2 가이드통공(27)이 상부와 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전후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40)와 간섭을 피하도록 절개부(271)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40)의 좌우측 가이드판(44)의 외주면에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측부(26)의 내주면이 맞닿아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측부(26)의 제2 가이드통공(27)을 관통하여 가이드판(44)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수단(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 및 고정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3의 가이드부재(40)가 갖는 지지봉가이드(41)와 암나사부(42)와 지지봉고정볼트(43)와 가이드판(44)의 구성은 실시예1,2의 구조 및 작동방법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3의 가이드부재(40)는, 좌우측이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 폭이 고정되는 형태이고 이에 결합되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폭 또한 고정되어 있어 상호 무리없이 포개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3에서는 전후방향 이동 및 고정을 위한 구조로서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좌우 측부(26)에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제2 가이드통공(27)을 상하부에 2개 형성하고 이를 관통하는 고정수단(50)이 상기 가이드부재(40)의 가이드판(44)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50)을 반 정도만 조인 상태에서 원형수전구 지지대(20c)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한 뒤 고정수단(50)을 다 죄어서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3의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경우도 실시예1,2에서와 마찬가지로 설치되는 사용처에 따라 수전구간의 간격이 상이하고 설계에 따라 현장상황에 따라 수전구간의 간격이 조절될 필요성이 있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전면에 원형수전구(28)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수전구통공(24)을 좌우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수전구통공(24)의 상하부에 다수의 결합공(241)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수전구(28)의 본체의 상하부에 상기 결합공(241)에 대응되는 볼트공(28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가 설치될 사용처에 따라 수전구간 간격을 조절하고 각 수전구의 위치도 조절하여 고정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형수전구지지대(20a)가 단구용일 경우에는 상기 장공의 수전구통공(24)과 다수의 결합공(241)을 이용하여 원형수전구(28)의 좌우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고, 2구용일 경우에는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원형수전구(28)간 간격을 조절함과 동시에 좌우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게 된다.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지지봉(30)에 본 실시예3의 가이드부재(40)를 고정시키되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실시예1,2와 동일하고,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전후위치를 설계에 따라 적절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정수단(50)을 반 정도만 조인 상태에서 제2 가이드통공(27)을 따라 원형수전구 지지대(20c)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전후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수단(50)을 다 죄어서 전후위치를 조절 및 고정하게 된다.
물론, 타 공정을 진행하는 동안 시공상 발생되는 오차로 인하여 상기 수전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갑작스런 마감재 변경에 따른 마감두께가 달라지는 등의 문제 발생시 발생되는 오차에 따라 상하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지지봉고정볼트(43)를 풀어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상하위치를 조절한 뒤 지지봉고정볼트(43)를 다시 죄어 고정하면 되고, 전후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부재(40)에 고정했던 고정수단(50)을 풀되 전부 풀지말고 반정도만 푼채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를 잡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전후위치를 조절한 뒤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수단(50)을 죄어줌으로써 상하전후위치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1,2,3에서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의 경우, 장공형상의 수전구통공(24)을 형성하여 수전구간 간격과 수전구의 좌우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전면에 장공형상이 아닌 단일의 배관간격으로 고정되어 원형수전구(28)가 결합된 종래의 원형수전구 지지대(도시없음)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실시예1,2,3에서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의 경우, 장공형상의 수전구통공(24)을 형성하여 수전구간 간격과 수전구의 좌우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각각 사용처에 맞춘 수전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원형수전구(28)와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가 일체로 형성된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철근 3: 배관 4: 바닥철근
10a,10b: 벽체매립형 수전함 20a,20b,20c: 원형수전구 지지대
11,21: 가이드레일 111,211: 가이드돌기
12,22: 스토퍼 13,23: 고정구 24: 수전구통공
241: 결합공 15,25: 암나사공 26: 측부
27: 제2 가이드통공 271: 절개부
28: 원형수전구 281: 볼트공 30: 지지봉
40: 가이드부재 41: 지지봉가이드 42: 암나사부
43: 지지봉고정볼트 44: 가이드판
45: 가이드통공 46: 가이드홈 50: 고정수단

Claims (7)

  1. 벽체매립형 수전함(10a,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를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지지봉(30)과;
    상기 지지봉(30)이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봉가이드(41)와, 상기 지지봉가이드(41)의 중앙 일측에 축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42)와, 상기 암나사부(42)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봉고정볼트(43)와, 상기 지지봉가이드(41)의 타측에 축방향에 수직하게 소정길이 신장된 뒤 직각방향으로 확장된 판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판(44)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40)는 벽체매립형 수전함(10a,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의 좌우측면에 결합하되 벽체매립형 수전함(10a,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를 상하전후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0)와 결합되는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함(10a)과 원형수전구 지지대(20a)의 좌우측면은,
    상기 가이드판(44)의 상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면서 일정간격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되는 가이드레일(1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0)와 결합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10a)과 원형수전구 지지대(10a)의 좌우측면은,
    상기 가이드판(44)의 후진 제한을 위해 가이드레일(11,21)의 후방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12,22)와;
    전방에서 가이드부재(40)의 삽입은 용이하나 전방배출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레일(11,21)의 전방위치에 형성되는 직각삼각형 모양의 고정구(13,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0)의 가이드판(44)은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가이드통공(45)이 상부와 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통공(45)을 관통하여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수단(50)에 의해 벽체매립형 수전함(10b) 또는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를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 및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b)는 전면에 원형수전구(28)와 결합되는 수전구통공(24)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좌우측에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소정길이 신장되는 측부를 이루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부에 고정수단(50)과 결합되는 암나사공(25)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0)는 한 쌍이 좌우대칭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되 후방 모서리와 이어진 판형의 배면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는 전면에 원형수전구(28)와 결합되는 수전구통공(24)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좌우측에 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소정길이 신장되는 측부(26)를 이루는 판형이되, 상기 측부(26)에는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제2 가이드통공(27)이 상부와 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전후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40)와 간섭을 피하도록 절개부(271)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40)의 좌우측 가이드판(44)의 외주면에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측부(26)의 내주면이 맞닿아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c)의 측부(26)의 제2 가이드통공(27)을 관통하여 가이드판(44)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수단(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 및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는 전면에 원형수전구(28)와 결합되는 관통된 수전구통공(24)을 형성하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전구통공(24)의 상하부에 다수의 결합공(241)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수전구(28)는 본체의 상하부에 상기 결합공(241)에 대응되는 볼트공(281)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수전구 지지대(20a,20b,20c)가 설치될 사용처에 따라 수전구간 간격 및 수전구의 좌우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KR1020120087952A 2012-08-10 2012-08-10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37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52A KR101373529B1 (ko) 2012-08-10 2012-08-10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52A KR101373529B1 (ko) 2012-08-10 2012-08-10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421A KR20140021421A (ko) 2014-02-20
KR101373529B1 true KR101373529B1 (ko) 2014-03-13

Family

ID=5026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9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3529B1 (ko) 2012-08-10 2012-08-10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58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870A (zh) * 2016-04-22 2016-07-20 中冶天工集团天津有限公司 用于控制暗敷管道预留丝头出墙长度的控制装置及方法
KR102077924B1 (ko) * 2018-07-13 2020-02-17 장명수 냉온수 공급관 분기 함체
KR102074371B1 (ko) * 2018-12-10 2020-02-06 박정호 수전 시공 지그
KR102530506B1 (ko) * 2022-03-10 2023-05-08 홍기 벽면부착식 선반형 샤워수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840B1 (ko) 2005-02-28 2006-08-25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100755249B1 (ko) 2007-04-12 2007-09-04 주식회사 피아이피 다양한 배관용 소켓을 수용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이용한 배관시공방법
KR100863155B1 (ko)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회피홈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20110105178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포스트쿨텍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840B1 (ko) 2005-02-28 2006-08-25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100755249B1 (ko) 2007-04-12 2007-09-04 주식회사 피아이피 다양한 배관용 소켓을 수용하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이용한 배관시공방법
KR100863155B1 (ko)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회피홈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20110105178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포스트쿨텍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58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351576B1 (ko) * 2020-06-12 2022-01-14 주식회사 정산애강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421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529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과 원형수전구 지지대의 위치조절가능한 고정구조
CN105762728A (zh) 一种预埋强弱电箱及电气配管的方法
US1930314A (en) Wall support for plumbing fixtures
CN204201296U (zh) 竖向泵管固定架
KR200457795Y1 (ko)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CN104453089B (zh) 一种钢结构房屋的钢横梁装置
KR102074371B1 (ko) 수전 시공 지그
CN205355726U (zh) 一种接线暗盒预埋组件
KR20120100553A (ko) 유로폼 지지파이프 고정장치
KR20130001712A (ko) 배관 거치대
CN201024665Y (zh) 管根堵洞用组合模板
KR101358896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정브라켓
KR20120106172A (ko) 배관 거치대
CN205242684U (zh) 墙体安装连接件
CN207296090U (zh) 一种建筑隔墙内支撑龙骨
KR20170003729U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KR101623728B1 (ko)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CN104669412A (zh) 混凝土模板的阴角模夹具、阳角模夹具及直板夹具
KR200475757Y1 (ko) 수전 고정대
CN205088839U (zh) 一种吊筋转接件及室内装修节点
KR200382026Y1 (ko) 수전이음쇠의 고정장치
KR20230039804A (ko) 기구물 부착을 위한 건식 벽체용 보강대
KR200475758Y1 (ko) 수전 고정대
KR101379949B1 (ko) 주름관 배관 고정구조와 이를 이용한 주름관 배관시공방법
CN202611015U (zh) 骑缝自锁式安装墙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