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332B1 -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3332B1 KR101373332B1 KR1020070076585A KR20070076585A KR101373332B1 KR 101373332 B1 KR101373332 B1 KR 101373332B1 KR 1020070076585 A KR1020070076585 A KR 1020070076585A KR 20070076585 A KR20070076585 A KR 20070076585A KR 101373332 B1 KR101373332 B1 KR 1013733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pattern portion
- mounting surface
- antenna radiator
- antenna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EZNEXFPRSOYPL-UHFFFAOYSA-N (bis(trifluoroacetoxy)iodo)benzene Chemical compound FC(F)(F)C(=O)OI(OC(=O)C(F)(F)F)C1=CC=CC=C1 PEZNEXFPRSOY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42—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tun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형의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공간적 제약이 많은 휴대 단말기에 여러 통신 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방사체들을 갖도록 하되, 이들이 집약적인 배치를 이루도록 하면서도 저 대역에서 방사 이득을 확보하고 높은 주파수에서 넓은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는 내장형의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antenna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which is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terminal, and has a radiator capable of operating in various communication bands in a space-constrained portable terminal, while making them intensive arrangement and low b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t-in antenna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which can secure a radiation gain and secure a wide bandwidth at a high frequ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형의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antenna assembly embedded in th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한꺼번에 탑재됨으로써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portable terminal also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These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at once to implement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 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mobile terminals. In addition,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의 일 측면은 무선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과 전송속도의 비약적인 증가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한 안테나는 이동중에도 대량의 무선데이터를 깨끗한 품질로 수신해줄 것을 요구한다. On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es a dramatic increase in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and the transmission speed. To do this, the antenna needs to receive a large amount of wireless data in a clean quality while moving.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무선 서비스, 예를 들어, 셀룰라 이동통신, 디지털 방송의 수신, 블루투스를 비롯한 근거리 통신 등의 제공에 따라 요구되는 안테나 숫자가 증가되기도 한다. 이들은 대역을 달리하므로 멀티 공진형 안테나를 필요로 한다.The number of antennas required by various wireless services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reception of digital broadcasting,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may increase. They differ in band and require multi-resonant antennas.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공간적 제약에 따라 하나의 평면에 각 서비스를 만족하는 안테나 패턴을 전부 구성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all the antenna patterns satisfying each service in one plane due to the spatial constraints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공간적 제약이 많은 휴대 단말기에 여러 통신 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방사체들을 갖는 내장형의 안테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ilt-in antenna assembly having radiators operable in various communication bands in space-constrained portable terminal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테나를 지지하는 캐리어의 구조를 통하여 여러 방사체를 공간적으로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체적을 절약하는 안테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assembly that saves volume by appropriately arranging various radiators through a structure of a carrier for supporting the antenna.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고 대역(high band)을 위한 방사체와 저 대역(low band)을 위한 방사체를 효율적인 배치와 형상을 통하여 우수한 무선특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adiator for the high band and the radiator for the low band to express excellent radio characteristics through efficient arrangement and shap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라운드면에 대해 제1높이로 형성되는 제1장착면 및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로 형성되는 제2장착면을 갖는 유전질의 캐리어와, 제1장착면에 장착되는 제1안테나 방사체 및, 제2장착면에 장착되며 제1안테나 방사체보다 높은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2안테나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제1안테나 방사체는 그라운드면에 대해 제2안테나 방사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저 대역에서 방사 이득을 확보하는데 유리하고, 제2안테나 방사체는 그라운드면과의 의존성을 줄이는 대신 높은 주파수에서 넓은 대역폭을 확보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이러한 안테나 어셈블리는 하이브리 드 형태로 불릴 수도 있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electric carrier having a first mounting surface formed at a first height relative to the ground surface and a second mounting surface formed at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and the first mounting surface. An antenna assembly including a first antenna radiator mounted on a surface and a second antenna radiator mounted on a second mounting surface and operating in a resonant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ntenna radiator is proposed. Since the first antenna emitter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antenna emitt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plane,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the radiation gain in the low band, and the second antenna emitter secures a wide bandwidth at high frequency instead of reducing the dependency on the ground plane. To do so. Such an antenna assembly may be called hybrid.
제1안테나 방사체와 제2안테나 방사체는 캐리어 상에서 적층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서로 다른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방사체가 작은 공간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어 공간절약을 기대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radiator and the second antenna radiator may be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on a carrier, and antenna radiators operating in different bands may be concentrated in a small space, thereby conserving space.
캐리어는 수평지지부와 수직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는 그 외면이 제1장착면을 형성하고 그 내면이 제2장착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직지지부는 수평지지부를 그라운드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로 지지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지지력 또는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The carrier may comprise a horizontal support and a vertical support.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its outer surface forms a first mounting surface and its inner surface forms a second mounting surface, and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can secure stable support or fixing force by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t a consta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
제1안테나 방사체는 급전을 위한 시그널급전부 및 그라운드면에 단락되는 그라운드급전부를 포함함으로써, 일종의 평판 역 에프 안테나(PIFA) 또는 그 일종의 안테나로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그널급전부 및 그라운드급전부는 탄성스프링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인 접촉성을 확보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킨다.The first antenna radiator may be designed to operate as a flat plate inverted antenna (PIFA) or a kind of antenna by including a signal feeding portion for feeding and a ground feeding portion shorted to the ground plane. In this case, the signal feed portion and the ground feed portion are formed in the form of elastic springs to ensure stable contactability and improve assembly.
제2안테나 방사체는 급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패드가 형성되며 제2장착면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안테나기판과, 안테나기판에 고정되며 안테나기판에 수직을 이루는 수직면을 따라 형성되는 도전성 제1패턴부를 포함한다. The second antenna radiator has at least one connection pad for feeding and an antenna substrate fixed in parallel to the second mounting surface, and a conductive first pattern portion fixed along the vertic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ntenna substrate and fixed to the antenna substrate. Include.
안테나기판의 하면에는 안테나기판에 고정되는 칩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패턴부의 단부가 칩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하여 제1패턴부가 공간적으로 여러 형상 또는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 chip structure fixed to the antenna substrat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tenna substrate, and the end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may be fixed to the chip structure so that the first pattern portion may be spatially adjusted in various shapes or positions.
칩구조물의 표면에는 제1패턴부 또는 제2패턴부에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는 도전성의 제3패턴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제2안테나 방사체의 무선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2패턴부를 제1패턴부에 대해 커패시턴스(capacitance) 성분이 발현되도록 길이와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제2안테나 방사체의 공진 대역을 넓히고 보다 많은 서비스 가능대역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urface of the chip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third pattern portion that is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or the second pattern portion, thereby improving radio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antenna radiator.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widen the resonance band of the second antenna radiator and to secure more serviceable bands by setting the length and the interval so that the capacitance component is expres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그라운드면은 메인피씨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피씨비에는 제2안테나 방사체의 안테나기판에 형성되는 연결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기 위한 탄성연결부가 부착되는 예가 가능하다. 이로써, 제2안테나 방사체의 연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면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킨다.The ground plane may be formed on the main PC ratio, and the main PC ratio may have an example in which an elastic connection portion for elastic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d formed on the antenna substrate of the second antenna radiator is attached. As a result, the assemblability is improved while stably securing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antenna radiator.
제2방사체의 안테나기판에는 제1안테나 방사체의 신호를 매칭시키는 매칭부가 구비될 수 있다. 매칭부는 안테나기판에 실장 가능한 소자를 납땜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매칭부를 메인피씨비에 두는 것보다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The antenna substrate of the second radiator may be provided with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a signal of the first antenna radiator. The matching unit fixes the element mountable on the antenna substrate by soldering or the like. Therefore, space can be saved than putting the matching part in the main PC ratio.
안테나 어셈블리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따라서, 경박단소해지는 휴대 단말기의 한정된 공간에 여러 대역에서 충분히 동작 가능한 적용예를 얻을 수 있다.The antenna assembly is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an application example which can fully operate in various bands can be obtained in a limited space of a light and short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캐리어의 양 장착면에 각각 제1안테나 방사체와 제2안테나 방사체를 두는 것이므로 통신을 위한 저대역과 다양한 무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고대역에 적당한 안테나 배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ntenna assembly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ntenna radiator and the second antenna radiator are placed on both mounting surfaces of the carrier, the low band and various wireless services for communication are received. There is an effect of obtaining a suitable antenna placement in the high band.
이들 안테나 방사체는 캐리어가 제공하는 장착면에 적층된 형태로 배치되므로 안테나 배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나 쉴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되어 그만큼 작고 슬림한 휴대 단말기의 구현에 유리하다.Since the antenna radiators are arranged in a stacked form on a mounting surface provided by a carrier,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pace for antenna placement or a separate space for shielding, which is advantageous for implementing a small and slim mobile terminal.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휴대 단말기(1)는 단말기바디(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5), 음향출력부(16), 영상입력부(17) 또는 제1조작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부(15)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음향출력부(16)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영상입력부(17)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프론트 케이스(11) 또는 리어 케이스(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조작부(21), 음향입력부(24), 외부 인터페이스(25)가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제1 및 제2조작부(20,21)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and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20)는 시작, 종료, 또는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 및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조작부(21)는 영상입력부(17)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functional terms, the
음향입력부(24)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외부 인터페이스(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25)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하여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나,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2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3)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3)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단말기바디(1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8)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8)는 단말기바디(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 type shown in FIG. 1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nd a swing typ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to show an antenna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말기바디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 스(12)로 분리될 수 있으며, 안테나 어셈블리(30)는 메인피씨비(31)의 일측에 배치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erminal body may be separated into the
안테나 어셈블리(30)는 다른 부품이나 도체 등에 의한 전자기적 간섭을 줄이고, 사용자의 손이나 머리 등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석 쪽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안테나 어셈블리(30)가 제1조작부(20) 쪽 구석에 배치된 예를 보였다. 다만, 이와 달리 안테나 어셈블리(30)는 음향출력부(16) 쪽 구석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안테나 어셈블리(30)는 그라운드면(G)이 형성되는 회로기판(wiring board;)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방사 성능의 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그라운드면(G)은 안테나 어셈블리(30)의 주변에서 배제되고 있다.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안테나 어셈블리(30)는 그 상면에 제1안테나 방사체(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안테나 방사체(40)는 캐리어(32)에 지지되어 있다.The
도 4는 도 3의 안테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안테나 어셈블리(30)는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제1안테나 방사체(40), 캐리어(32), 제2안테나 방사체(50) 및 메인피씨비(31)를 포함하고 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of FIG. 3. As shown in FIG. 4, the
캐리어(32)는 제1안테나 방사체(40)와 제2안테나 방사체(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제1안테나 방사체(40)와 제2안테나 방사체(50)의 방사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레진(resin) 또는 세라믹(ceramics)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The
캐리어(32)가 갖는 유전율(εr)은 제1안테나 방사체(40)와 그라운드면(G) 사이에 커패시턴스(capacitance) 성분을 증가시킴으로써 공진 대역폭을 확장시키도록 공기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ielectric constant epsilon r of the
제1안테나 방사체(40)는 도전성의 금속 시트(sheet)나 플레이팅 또는 인쇄된 금속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캐리어(32)의 상면에는 제1안테나 방사체(40)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1장착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제1장착면(34)은 제1안테나 방사체(40)가 안착된 후 동일한 외면을 이룰 수 있도록 제1안테나 방사체(40)의 두께만큼 단이 져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안테나 방사체(40)는 제1장착면(34)에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구간에서는 캐리어(32)에 접촉되지 않고 진행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제1장착면(34)에는 제1안테나 방사체(40)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들(34a)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안테나 방사체(40)에는 돌기들(34a)이 삽입되는 삽입홀들(4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안테나 방사체(40)가 제1장착면(34)에 안착되면 제1안테나 방사체(40)의 삽입홀(40a) 밖으로 돌출된 돌기들(34a)의 끝단부는 눌려져서 제1안테나 방사체(40)를 캐리어(32)에 고정하게 된다. 이외에도 제1안테나 방사체(40)는 후크(hook) 구조에 의하여 캐리어(32)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안테나 방사체(40)는 이동통신을 위한 여러 대역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역에서 동작될 수 있는 길이, 예를 들어 반 파장(λ/2) 또는 사분의 일 파장(λ/4) 등과 같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안테나 방사체(40)는 메인 스트립(strip)에 수직으로 덧붙여진 스터브(stub)나 고역대(higher band)를 위한 패턴(pattern)을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The
제1안테나 방사체(40)는 급전을 위한 시그널급전부(41) 및 그라운드급전부(42)에 단락되는 그라운드급전부(42)를 포함하고 있다. 시그널급전부(41) 및 그라운드급전부(42)는 희망하는 공진 주파수 및 대역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3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시그널급전부(41) 및 그라운드급전부(42) 사이의 거리는 조정될 수 있다.The
정확한 접촉을 위하여 시그널급전부(41) 및 그라운드급전부(42)는 탄성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메인피씨비(31)에는 시그널급전부(41) 및 그라운드급전부(42)가 접촉되기 위한 접촉패드(38)가 구비된다. 따라서, 안테나 어셈블리(30)가 조립되면, 시그널급전부(41) 및 그라운드급전부(42)는 접촉패드(38)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signal feed
캐리어(32)의 안쪽에는 제2안테나 방사체(50)가 수용되어 있다. 도 4에 의하면, 제2안테나 방사체(50)는 안테나기판(51), 제1패턴부(53), 제2패턴부(55), 칩구조물(57) 및 제3패턴부(59)를 구비하고 있다.The
안테나기판(51)은 캐리어(32)에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캐리어(32)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장착면(34)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군데군데 삽입홀(56)이 형성되어 있다. The
제1패턴부(53)는 안테나기판(51)에 일정 형태로 동박 등이 패터닝되어 있으며, 제1패턴부(53)의 단부는 안테나기판(51)에 형성되는 스루홀 또는 비 아(via)(54) 등에 의하여 제2패턴부(55)에 연결된다.The
제2패턴부(55)는 그 몸체가 안테나기판(51)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공간상에서 미엔더라인(meander line) 형태로 패터닝된 모습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의하면, 제2패턴부(55)는 안테나기판(51)에 대하여 수직인 면에 평행하게 진행되고 있다. The
안테나기판(51)의 하면에는 제2패턴부(55)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칩구조물(57)이 형성되어 있다. 칩구조물(57)은 일정한 유전율을 갖는 박스(box)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제2패턴부(55)가 쉽게 용접될 수 있도록 금속도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이들 도면에 의하면, 캐리어(32)는 수평지지부(32a)와 수직지지부(32b)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다. 수평지지부(32a)는 그라운드면(G)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면이 제1장착면(34)을 형성하고 그 내면이 제2장착면(35)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안테나 방사체(40)와 제2안테나 방사체(50)는 캐리어(32)의 수평지지부(32a)의 제1장착면(34)과 제2장착면(35)을 통하여 적층된 형태를 띠고 있다. 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수직지지부(32b)는 수평지지부를 그라운드면(G)에 대해 일정한 높이로 지지시킨다. 이들 수평지지부(32a)와 수직지지부(32b)는 캐리어(32)를 몰딩하는 과정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제2패턴부(55)의 끝단부는 칩구조물(57)의 측면에 위치되고 있으며, 칩구조물(57)의 하면에는 제2패턴부(55)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electromagnetic coupling)되는 제3패턴부(59)가 구비되어 있다. An end portion of the
제3패턴부(59)는 제1패턴부(53) 또는 제2패턴부(55)에 대해 커패시턴스(capacitance) 성분을 확보할 수 있는 거리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3패턴부(59)는 제1패턴부(53) 또는 제2패턴부(55)에 대해 커패시턴스 성분을 생성함으로써 제2안테나 방사체(50)가 갖는 공진 대역폭을 넓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는, 특히 제2안테나 방사체(50)가 고대역을 담당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이로써 제2안테나 방사체(50)가 담당하는 대역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The
안테나기판(51)의 일측에는 이렇게 제1패턴부(53), 제2패턴부(55) 및 제3패턴부(59)를 갖는 제2안테나 방사체(50)를 급전시키기 위한 급전패드(52)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피씨비(31)에는 급전패드(52)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스프링 형태의 탄성연결부(37)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안테나 어셈블리(30)가 장착되면, 제1안테나 방사체(40)의 시그널급전부(41)와 그라운드급전부(42) 및 탄성연결부(37)가 탄성적으로 구부려지면서 접촉패드(38)에 각각 접촉된다.The
안테나기판(51)에는 제2안테나 방사체(50)의 신호를 매칭시키는 매칭부(58)가 배치될 수 있다. 매칭부(58)는 인덕턴스 성분 또는 커패시턴스 성분을 갖는 소자(element)들이 안테나기판(51)에 표면실장(Surface Mounting Technology;SMT)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거나 금속 자체를 안테나기판(51)에 패터닝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안테나 방사체(50)의 무선특성은 안테나기판(51)에 직접 배치되는 매칭부(58)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조절된다.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안테나 방사체(40)와 제2안테나 방사체(50)는 캐리어(32) 상에서 담당하는 대역에 따라 공간적으로 적절히 배치됨으로써 각자의 방사특성을 확보하면서도 안테나 어셈블리(30)의 용적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만큼 휴대 단말기(1)는 작고 슬림화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무선특성을 보이기 위한 것으로 정재파비(VSWR) 도표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nding wave ratio (VSWR) chart for showing radio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의하면, 안테나 어셈블리(30)는 넓게는 두 개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있는 것이 확인된다. 즉, 저역대에서 3dB 이하로 나온 부분은 824 ~ 894 MHz의 CDMA DCN 대역(A)에서 충분히 동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고역대에서는 1850 ~ 1990 MHz의 CDMA US-PC 대역(C), 1710 ~ 1755 MHz의 AWS(Advanced Wireless Services)1 대역(B) 및 2110 ~ 2150 MHz의 AWS2 대역(D)에서 모두 동작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안테나 어셈블리(30)는 저역대에서 고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편, 고역대의 여러 무선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럼에도 안테나 어셈블리(30)의 용적이나 사이즈는 상대적으로 장대화되지 않는다.According to FIG. 7, it is confirmed that the
도 7은 몇 가지의 특정 대역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안테나 어셈블리(30)를 이루는 제1안테나 방사체(40) 및 제2안테나 방사체(50)는 조정될 수 있다.7 illustrates some specific band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8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는 복수의 무선통신모듈(71,72,73), 조작부(20,21), 영상입력부(17), 음향입력부(24), 디스플레이부(15), 음향출력부(16), 외부 인터페이스(25), 방송수신 모듈(75), 메모리(74), 전원공급부(23) 및 제어부(70)를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71, 72, 73), the control unit (20, 21), the
제어부(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각 무선통신 모듈(71,72,73)은 각각의 안테나 방사체(40,50,60)를 통하여 외부의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통신 모듈(71,72,73)은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Each
조작부(20,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70)에 제공한다. 조작부(20,21)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영상입력부(17)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5)로 출력된다.The
영상입력부(17)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7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71,72,73)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음향입력부(2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 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71,72,7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7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The
음향입력부(2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5)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음향출력부(16)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71,72,73)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7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또한, 음향출력부(16)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6)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외부 인터페이스(25)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 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2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메모리(74)는 제어부(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7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방송수신 모듈(7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출력부(16), 디스플레이부(15)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7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7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7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23)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휴대 단말기(1)는 제공되는 무선 서비스를 증가시킴에 따라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71,72,73)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를 도 4 내지 도 6에 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안착면 및 제2안착면에 각각 장착되는 형태에서 나아가 보다 많은 안착면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각 안테나 방사체는 복수의 대역에서 동작 가능하게 패터닝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ntenna assembly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whole or in part in order to enable various modifications. It may alternativel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to show an antenna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조립 사시도Figure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안테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of FIG.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를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enna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ack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무선특성을 보이기 위한 것으로 정재파비 도표7 is a standing wave ratio chart for showing the radio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8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6585A KR101373332B1 (en) | 2007-07-30 | 2007-07-30 |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6585A KR101373332B1 (en) | 2007-07-30 | 2007-07-30 |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620A KR20090012620A (en) | 2009-02-04 |
KR101373332B1 true KR101373332B1 (en) | 2014-03-10 |
Family
ID=4068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65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3332B1 (en) | 2007-07-30 | 2007-07-30 |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333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40535A1 (en) * | 2018-06-14 | 2019-12-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ntenna including conductive patter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8733B1 (en) * | 2009-03-03 | 2011-09-28 | 주식회사 아모텍 |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KR101667714B1 (en) * | 2010-03-11 | 2016-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
KR101107956B1 (en) * | 2010-01-14 | 2012-01-31 | 주식회사 아모텍 | Antenna Units for Laptop Computers |
KR101113458B1 (en) * | 2010-01-14 | 2012-02-29 | 주식회사 아모텍 |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KR101589066B1 (en) * | 2011-07-11 | 2016-0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KR101360561B1 (en) | 2012-06-28 | 2014-02-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ntenna apparatus |
KR102553108B1 (en) * | 2018-12-14 | 2023-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antenna modu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2082A (en) * | 2003-12-19 | 2005-06-23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Inter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60068741A (en) * | 2004-12-17 | 2006-06-21 | 코마테크 주식회사 | Flat station f antenna structure |
KR20070022060A (en) * | 2004-04-30 | 2007-02-23 | 제으떼/으엔에스떼 브레따뉴 | Planar antenna having a conductive stud extending from the ground plane and / or at least one radi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0742098B1 (en) | 2006-07-19 | 2007-07-24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 Antenna using slit skirt |
-
2007
- 2007-07-30 KR KR1020070076585A patent/KR10137333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2082A (en) * | 2003-12-19 | 2005-06-23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Inter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70022060A (en) * | 2004-04-30 | 2007-02-23 | 제으떼/으엔에스떼 브레따뉴 | Planar antenna having a conductive stud extending from the ground plane and / or at least one radi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60068741A (en) * | 2004-12-17 | 2006-06-21 | 코마테크 주식회사 | Flat station f antenna structure |
KR100742098B1 (en) | 2006-07-19 | 2007-07-24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 Antenna using slit skir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40535A1 (en) * | 2018-06-14 | 2019-12-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ntenna including conductive patter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1114747B2 (en) | 2018-06-14 | 2021-09-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ntenna including conductive patter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620A (en) | 2009-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4785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373332B1 (en) |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10177440B2 (en) | Mobile terminal | |
US8049670B2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624559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73127B1 (en) |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918990B1 (en) |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8525740B2 (en) | Mobile terminal | |
CN102870276A (en) | Cavity-backed slot antenna with near-field-coupled parasitic slot | |
KR101510700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017179A (en) |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bing it | |
KR20040049984A (en) |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US8462055B2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95161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110010416A (en) | Mobile terminal | |
KR101595349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90004235A (en) | Handheld terminal | |
KR101360211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0976377B1 (en) | Handheld terminal | |
KR101415765B1 (en) | Mobile terminal | |
KR20090017907A (en) | Antenna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 |
KR101604715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899971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392921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04203B1 (en) |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