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281B1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batch processing of data created in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batch processing of data created in mobi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3281B1 KR101373281B1 KR1020070043690A KR20070043690A KR101373281B1 KR 101373281 B1 KR101373281 B1 KR 101373281B1 KR 1020070043690 A KR1020070043690 A KR 1020070043690A KR 20070043690 A KR20070043690 A KR 20070043690A KR 101373281 B1 KR101373281 B1 KR 1013732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processing
- date
- diary
- ty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그 단말기 자체에서 또는 다른 정보처리기기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데이터를 날짜기반으로 분류하고 일괄 처리하여 다양한 방식에 의해 표시하는 데이터 통합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특정 날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그 유형에 상관없이 획득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처리조건에 따라 통합 처리하여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integration processing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from the terminal itself or to an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lassifying and collectively displaying all data based on a date regardless of the type of data and displaying them in various ways. Relates to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is executed,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te may be obtained regardless of its type, and integrated according to a preset processing condition and displayed together with a specific screen of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is, for example, a life diary application.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 날짜기반, 통합처리,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Handheld terminal, generated data, date based, integrated processing, life diary applic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및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nu and a screen configuration of a life diary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초기 메뉴 및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menu and a main screen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전화번호부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one book screen of FIG.
도 4는 도 1의 일정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hedule screen of FIG. 1.
도 5는 도 1의 브라우저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rowser screen of FIG.
도 6은 도 1의 콘텐츠 제작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ent creation screen of FIG.
도 7은 도 1의 일기목차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ary table of contents screen of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generate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generate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일부 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10 is a flowchart detailing some steps of FIG. 9;
도 11은 도 9의 후속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1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ubsequent steps of FIG.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방 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generation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generated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그 단말기 자체에서 또는 다른 정보처리기기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데이터를 날짜기반으로 분류하고 일괄 처리하여 다양한 방식에 의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합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cessing technology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data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tself or to an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o that all data are dated regardless of the type of dat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tegr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batch processing to display in various ways.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 단말기들의 보급 및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이동방송 수신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전자사전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종류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문자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전통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 사진촬영, 영상통화, 멀티미디어 데이터통신, 무선인터넷, 근거리 무선통신, 이동 방송 수신 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새롭게 부가되고 있다.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today, the spread and use of various mobile terminals are rapidly increasing. For example, mobile phones, digital camer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MP3 player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mobile broadcast receivers, navigation, electronic dictionaries, etc. are innumerable. .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have reached the stage of mobile convergence, which does not stay in the conventional inherent domain but covers other terminals. In the case of mobile phones, various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video calling, multimedia data communication, wireless interne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broadcasting reception are newly added in addition to traditional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voice call and text message service.
휴대 단말기들은 수많은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휴대폰의 경우, 통화 송수신이나 메시지 송수신 등의 기록인 로그 데이터, 스케줄이나 메모 등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데이터, 이미지나 동영상 또는 사운드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 무수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의 유형 및 수가 늘어나면서, 이러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Portable terminals can generate and store a lot of data. For example, the mobile phone has a lot of data such as log data such as a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a user-created data such as a schedule or a memo, and multimedia data such as an image, a moving picture or a sound. As the type and number of data increases, a data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classifying and displaying such data is required.
그런데 종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데이터를 각 유형별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다룬다. 일례를 들어, 통화 로그는 통화 로그끼리만 시간 순으로 정렬되고 표시될 뿐이며, 다른 유형의 데이터와 함께 처리되지 않는다. 또한, 통화 로그는 관련 메뉴의 접근을 통해서만 볼 수 있을 뿐이며, 해당 화면에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데이터 유형이나 수가 많지 않을 때는 별 문제가 없었으나, 데이터의 유형과 수가 다양해지는 요즘에 이르러서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각종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ata processing method, data is divided into individual types and handled independently. For example, call logs are sorted and displayed in chronological order only among the call logs, and are not processed with other types of data. In addition, the call log can only be viewed through the access of the related menu, and other types of data a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These data processing methods have not had any problems when there are not many types or numbers of data, but nowadays the types and numbers of data become diverse, which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s and decrease utilizat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integrally processing various data generated by the portable terminal.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다양하게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classify and variously display data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통합 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lly process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그 단말기 자체에서 또는 다른 정보처리기기로 전송하여 각각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terminal itself or to an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o as to process the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 편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tilization of data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an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기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onfigure a user's diary using data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그 유형에 상관없이 날짜기반으로 분류하고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다양한 방식에 의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합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integrated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are classified based on the date and processed in a batch, regardless of the type, and displayed in various ways.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데이터 및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특정 날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날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유형에 상관없이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처리조건에 따라 통합 처리하는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과, 상기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실행시키고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generated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nd a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ata and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A data integration processing module for selecting a specific date, acqui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e from the storage unit regardless of the type, and integrating the acquired data according to a preset processing condition; And an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for calling and executing from a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processed data along with a specific screen of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이러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생성 모듈과, 유무선 방식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ata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corresponding data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and store the generated data in the storage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or receive the data by wire or wireless metho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특정 날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날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유형에 상관없이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처리조건에 따라 통합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cessing data generated i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executing a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selecting a specific date, and selec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e. Irrespective of whether the data is acquired, integrated processing the acquired data according to a preset processing condition, and displaying the processed data together with a specific screen of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이러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 전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를 생성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의 통합 처리 단계 후에,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nd storing corresponding data when an event occurs before the execution of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and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at generated the dat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after the data integration step.
또한, 이러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표시 단계 후에, 키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key input signal after the data displaying step, determining a type of the key input signal,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key input signal.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와,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 특정 날짜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날짜의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처리조건에 따라 통합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cessing data generated in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conn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executing a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and specifying the portable terminal; Requesting data of a date, receiving data of the specific date from the mobile terminal, integrat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a preset processing condition, and integrating the processed data into the data integration process And displaying together with the specific screen of the application.
이러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통합 처리 단계 후에,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의 표시 단계 후에, 키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after the integration processing of the data, and after the displaying of the data, receiving a key input sig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type of the key input signal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key input signal.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다.I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is, for example, a life diary application.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하면서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반복하지 않고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que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omit the unnecessary description so as to convey the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without fading. In addition, while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verlapping contents may be omitted without repeating the description. On the other h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accompanying drawings.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실시예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fined as follows.
1. 생성 데이터(created data): 데이터 유형에 상관없이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로그 데이터를 비롯하여 메시지 내용, 이메일 내용, 스케줄, 메모, 알람,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일기 등을 포함한다. 생성의 의미는 사용자 본인이 직접 작성하거나 제작하는 것뿐만 아니라 타인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다운로드받는 경우까지 포함한다. 생성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라 칭할 수도 있다.1.created data: A generic term for all data generated from a mobile device regardless of data type.It includes log data, message content, email content, schedule, memo, alarm, image, video, sound, diary, etc. It includes. The meaning of creation includes not only writing or producing by the user, but also receiving or downloading from another person. The generated data may be referred to as user data.
2. 로그 데이터(log data): 휴대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사용기록으로서, 통화 송수신, 부재중 통화수신, 메시지 송수신, 이메일 송수신, 메신저 이용 등의 사용기록을 의미한다.2. Log data: The usage data generated when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means the usage records such as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missed call reception, message transmission, e-mail transmission, and messenger use.
3. 데이터 유형(data type): 데이터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으로서, 통화, 메시지, 이메일, 스케줄, 메모, 알람,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일기 등을 일컫는다.3. Data type: A type of data. Call, message, email, schedule, memo, alarm, image, video, sound, and diary.
4. 데이터 속성(data attribute): 각 데이터의 유형, 생성일시, 크기, 형식, 생성자 등을 의미한다. 예컨대, 생성일시는 2007년 1월 1일, 크기는 360 Kbyte, 형식은 txt, jpg, avi, mp3 등이다. 생성자는 생성 데이터를 만든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제작한 데이터는 사용자 본인이 되며, 타인으 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그 데이터의 발신인이 된다.4. Data attribute: The type, creation date, size, format, constructor, etc. of each data. For example, the creation date and time is January 1, 2007, the size is 360 Kbyte, the format is txt, jpg, avi, mp3 and the like. The creator refers to the person who created the generated data. The data created or produced by the user becomes the user himself, and the data received from others becomes the sender of the data.
5. 데이터 태그(data tag): 각 데이터마다 사용자가 기재한 간단한 설명을 지칭한다. 일반적인 색인어와 같은 의미이다.5. Data tag: Refers to a short description written by the user for each data. It has the same meaning as a general index word.
6. 이벤트(event):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원인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통화 송수신, 부재중 통화수신, 메시지 송수신, 이메일 송수신, 메신저 이용, 스케줄 작성, 메모 작성, 알람 설정, 이미지 촬영 또는 수신, 동영상 촬영 또는 수신, 사운드 녹음 또는 수신, 일기 작성 또는 수신 등을 포함한다.6. event (general) refers to the cause of generating data in a mobile terminal, call transmission, missed call reception, message transmission, email transmission, use of messenger, schedule, memo, alarm setting, image shooting or reception, Video recording or reception, sound recording or reception, diary creation or reception, and the like.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Life Diary Application)Life Diary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장치는 날짜기반의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일례로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및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The apparatus for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generate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 date-based integrated data processing application. An example of such an application is a life diary application, and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nu and a screen configuration of a life diary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은 나의 일기(110), 전화번호부(120), 나의 일정(130)으로 이루어진 초기 메뉴(100)를 가진다. 초기 메뉴(100) 중에서 나의 일기(110) 항목을 선택하면 도 2와 같이 메인 화면(200)이 나타난다. 도 2는 도 1의 초기 메뉴(100) 및 메인 화면(200)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Referring to FIG. 1, the life diary application has an
한편, 초기 메뉴(100) 중에서 전화번호부(120) 항목을 선택하거나 나의 일정(130) 항목을 선택하면 도 3 또는 도 4의 화면(300, 400)이 나타난다. 도 3은 도 1의 전화번호부 화면(300)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정 화면(400)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Meanwhile, when the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화면(200)은 아날로그 느낌을 주는 일기장 형태로 표시되고, 그 좌측 상단에 초기 메뉴(100)가 표시된다. 메인 화면(200)은 크게 좌측 영역(210)과 우측 영역(220)으로 나뉜다.1 and 2, the
좌측 영역(210)은 기본정보(211), 금일 데이터 통계(212), 인간관계 정보(213), 금일 콘텐츠(214), 금일 등장인물(215), 달력(216)으로 구성된다. 한편, 우측 영역(220)은 필터/소트(221),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 일기편집 메뉴(223), 상단 탭(224), 우측 탭(225)으로 구성된다.The
메인 화면(200)의 좌측 영역(210)에서 기본정보(211)는 디폴트(default) 값으로 오늘 날짜를 표시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달력(216) 중에서 다른 날짜를 선택하거나, 후술할 일기목차에서 다른 날짜의 일기를 선택하면, 기본정보(211)는 그 날짜를 표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기본정보(211)에 오늘 날짜가 표시된 것으로 가정한다. 기본정보(211)에는 오늘 날짜 외에도 오늘의 날씨와 사용자의 기분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날씨나 사용자 기분은 웹(Web)으로부터 자동으로 전송받거나, 생성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도출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정해진다.In the
금일 데이터 통계(212, 도 2에는 'Today's Total'로 표시됨)는 오늘 날짜로 생성된 모든 데이터의 유형별 통계치를 보여준다. 이때 통화의 경우에는 송신, 수신, 부재중 수신으로 구분하여 세부 통계치를 보여줄 수 있고, 메시지나 이메일의 경우에는 송신과 수신으로 구분하여 세부 통계치를 보여줄 수 있다. 금일 데이터 통계(2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되거나, 이와 달리 그래픽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금일 데이터 통계(212)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아이 콘(icon)을 선택하여 표시 형식을 바꿀 수 있다. 금일 데이터 통계(212) 중에서 특정 유형을 선택하면 브라우저(browser) 화면(500)이 나타나면서 오늘 생성된 데이터 중에서 해당 유형의 데이터만을 자세히 볼 수 있다. 브라우저 화면(50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oday's data statistics 212 (indicated as 'Today's Total' in FIG. 2) show statistics for each type of data generated on today's date. At this time, in case of a call, detailed statistics can be shown by dividing into transmission, reception, and missed reception, and in case of a message or email, detailed statistics can be shown by dividing in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day's
인간관계 정보(213)는 사용자의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통 상대방별로 인간관계 추이를 알려준다. 즉, 사용자가 소통한 상대방별로 최근의 인간관계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이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2007-36237호의 '개인 통신 단말기의 로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간관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그 기재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간혹 상기 출원과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이 서로 다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의미상의 동일성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금일 콘텐츠(214, 도 2에는 '오늘의 컨텐츠'로 표시됨)는 오늘 날짜의 생성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제작한 데이터들을 하나씩 보여준다. 즉, 금일 콘텐츠(214)는 데이터 속성 중 생성자가 사용자 본인인 오늘 생성 데이터들을 개별적으로 표시한다. 사용자가 금일 콘텐츠(214)의 하단에 표시된 좌우 버튼을 누르면 순서상 현재 표시된 데이터의 이전 또는 다음에 위치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 대상의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순환하면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현재 표시 중인 데이터를 선택하면 브라우저 화면(500)이 나타나면서 선택된 데이터를 자세히 볼 수 있다. 브라우저 화면(50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 하여 후술한다.Today's content 214 (indicated as 'content of the day' in FIG. 2) shows data created or produced by the user one by one among today's generated data. That is, today's
금일 등장인물(215, 도 2에는 '내 인생의 등장인물'로 표시됨)은 오늘 날짜의 생성 데이터들과 관련된 타인들을 집계 순위에 따라 보여준다. 즉, 금일 등장인물(215)은 데이터 속성 중 생성자가 타인인 오늘 생성 데이터들을 생성자별로 분류하여 집계하고 그 집계 결과를 순위에 따라 보여준다. 금일 콘텐츠(214)와 마찬가지로, 좌우 버튼을 눌러 이전 또는 다음 사람을 표시하거나, 표시 대상이 되는 모든 사람들이 자동으로 순환하면서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현재 표시 중인 특정 사람을 선택하면 브라우저 화면(500)이 나타나면서 선택된 사람과 관련된 오늘 생성 데이터들 모두를 자세히 볼 수 있다. 브라우저 화면(50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oday's character (215 (indicated as 'character of my life' in FIG. 2)) shows others related to today's creation data according to the aggregate ranking. That is, today's
달력(216)은 오늘이 속하는 월, 오늘을 전후하여 1주일씩, 오늘로부터 10일전까지 등과 같이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특정 기간의 날짜 목록을 보여준다. 달력(216)에서 특정 날짜를 선택하면, 전술한 기본정보(211), 금일 데이터 통계(212), 금일 콘텐츠(214), 금일 등장인물(215)이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바뀌게 된다.The
메인 화면(200)의 우측 영역(220)에서 필터/소트(221, filter/sort)는 오늘 날짜의 생성 데이터를 데이터 유형별로 필터링(filtering)하거나, 시간, 형식, 사람별로 소팅(sorting)하여 선별적으로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에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유형별 필터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유형을 선택함으로써 오늘 생성된 데이터 중 선택된 유형의 데이터만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소팅은 오늘 생성된 데이터를 시간, 형식, 사람에 따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것이다. 형식별 소팅이나 사람별 소팅의 경우에는 유형별 필터링과 같은 필터링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e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은 오늘 생성된 데이터를 목록 형태로 일일이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시간 순으로 나열되며, 전술한 필터/소트(221)를 이용하여 선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의 각 데이터에는 데이터 속성과 데이터 태그 중의 일부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되며, 로그 데이터나 타인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경우에는 상대방 이름이 표시되기도 한다. 한편, 특정 상대방 이름을 선택하면 해당 데이터와 관련된 기능이 실행된다.Today's
사용자가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에 표시된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데이터의 바로 아래에 데이터 상세보기(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데이터 상세보기는 해당 데이터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다시 데이터 상세보기를 선택하면 화면에서 사라진다. 이와 달리, 데이터 상세보기를 선택하면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브라우저 화면(500)이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selects specific data displayed in the
일기편집 메뉴(223)는 일기작성(223a), 일기수정(223b), 일기삭제(223c)를 포함한다. 일기작성(223a)을 누르면 콘텐츠 제작 화면(600)이 나타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새로운 일기(610)를 작성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화면(600)과 사용자 작성 일기(61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기수정(223b)을 누르면 이미 작성된 일기(610)가 콘텐츠 제작화면(600)에 나타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기 존의 일기(610)를 수정할 수 있다. 일기삭제(223c)를 누르면 현재 표시 중인 일기(610)를 삭제할 수 있다.The
상단 탭(224)은 금일 데이터 탭(224a, 도 2에는 'Life Data'로 표시됨)과 일상일기 탭(224b)으로 이루어진다. 금일 데이터 탭(224a)을 선택하면 도 2와 같이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이 표시되고, 일상일기 탭(224b)을 선택하면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 대신에 사용자가 작성한 일기(610)가 표시된다.The
우측 탭(225)은 오늘일기 탭(225a)과 일기목차 탭(225b)으로 구성된다. 오늘일기 탭(225a)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작성한 오늘 날짜의 일기(610)가 표시된다. 일기목차 탭(225b)을 선택하면 일기목차 화면(700)이 나타나고, 다른 날짜를 선택하면 그 날짜의 일기(610)가 표시된다. 일기목차 화면(700)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이상 설명한 메인 화면(200) 및 관련 기능은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2007-43600호의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에도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그 기재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간혹 상기 출원과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이 서로 다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의미상의 동일성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메뉴(100)에서 전화번호부(120) 항목을 선택하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화번호 화면(300)이 나타난다. 전화번호부 화면(300)은 메인 화면(도 2의 200)과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느낌을 주는 책자 형태로 표시되고, 휴대 단말기, 컴퓨터, 웹 서버, 웹상의 단말기 등 다른 정보처리기기에 연동 가능 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초기 메뉴(100)에서 나의 일정(130) 항목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화면(400)이 나타난다. 일정 화면(400)도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느낌을 주는 책자 형태로 표시되며, 휴대 단말기, 컴퓨터, 웹 서버, 웹상의 단말기 등 다른 정보처리기기에 연동 가능하다.When the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브라우저 화면(5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브라우저 화면(500)은 사용자가 다양한 생성 데이터를 감성적으로 보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특히, 브라우저 화면(500)은 오늘 생성된 데이터 중에서 상황에 맞게 서로 다른 데이터들을 선별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도 2의 메인 화면(200)에서 금일 데이터 통계(212)의 특정 유형을 선택하면 해당 유형의 오늘 데이터만을 볼 수 있고, 금일 콘텐츠(214)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오늘 작성하거나 제작한 데이터만을 볼 수 있으며, 금일 등장인물(215)을 선택하면 다른 사람과 관련된 오늘 데이터만을 볼 수 있다. 브라우저 화면(500)은 메인 화면(200) 위에 검은색의 투명한 창을 깔고 그 위에 팝-업(pop-up)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브라우저 화면(500)을 닫으면 바로 바탕에 있는 메인 화면(200)을 다시 보여준다.The
브라우저 화면(500)은 여러 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좌측의 목록 영역(510)은 현재 선택된 데이터들이 아이콘 또는 섬네일(thumbnail) 형태로 시간 순에 따라 배치되는 목록 창이다. 목록 영역(510)에서 데이터들은 위아래로 배열되며 그 중앙에 위치한 데이터가 상세표시 영역(520)에 자세히 표시된다. 또한, 목록 영 역(510)은 중앙의 데이터를 가장 크게 표시하고 위아래로 갈수록 데이터를 일정 비율로 축소하여 표시한다. 사용자가 목록 영역(510)에 배열된 데이터를 검색할 때, 데이터들은 사용자의 스크롤 조작에 대응하여 이른바 물레방아 식으로 회전한다.The
브라우저 화면(5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세표시 영역(520)은 목록 영역(510)에 배열된 데이터 목록 중에서 선택된 특정 데이터를 자세히 표시한다. 상세표시 영역(520)은 전체화면으로 전환 가능하며, 하단에 표시된 좌우 버튼의 입력에 따라 전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브라우저 화면(500)의 우측에는 달력(530), 필터(540), 속성 및 태그(550), 검색 입력창(560)이 배치된다. 달력(530)에는 상세표시 영역(520)에 현재 표시된 데이터의 생성일시에 해당하는 날짜가 다른 날짜와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된다. 또한, 달력(530)에는 목록 영역(510)에 배열된 데이터들의 생성일시에 해당하는 날짜들도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필터(540)는 목록 영역(510)에 배열된 데이터들의 유형별 통계치를 보여준다. 필터(540)에서 특정 유형을 선택하면 목록 영역(510)에 배열 중인 데이터들 중에서 선택된 유형의 데이터들만 재배열된다. 속성 및 태그(550)는 상세표시 영역(520)에 현재 표시된 데이터의 속성과 태그를 보여준다. 검색 입력창(560)은 특정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창이다.The
이상 설명한 브라우저 화면(500) 및 물레방아식 데이터 배열 방법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2007-36785호의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컨텐츠 관리 방법'과 한국특허출원 제2007-42157호의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컨텐츠 관리 방 법'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그 기재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간혹 상기 출원들과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이 서로 다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의미상의 동일성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출원들에서는 본 발명의 브라우저 화면을 '사용자 컨텐츠 검색 화면'으로 지칭하고 있다.For the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콘텐츠 제작 화면(6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콘텐츠 제작 화면(600)은 전술한 도 2의 메인 화면(200)에서 일기편집 메뉴(223)를 통해 일기를 작성하거나 수정할 때 나타나는 화면이다. 콘텐츠 제작 화면(600)은 좌측 영역(620), 우측 영역(630), 데이터 목록(640), 툴바(650, tool bar)로 이루어진다. 좌측 영역(620)은 메인 화면(200)의 좌측 영역(210)과 동일하며, 우측 영역(630)은 메인 화면(200)의 우측 영역(220)에 해당하되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 대신 일기(610)를 표시한다.The
데이터 목록(640)은 생성 데이터들을 날짜별로 배치한다. 이때 데이터 표시는 아이콘 또는 섬네일을 이용한다. 데이터 목록(640)에 나타나는 데이터는 일단 연월별로 선택할 수 있고, 검색 기능, 필터 및 소트 기능, 태그별 선택 기능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데이터 목록(64)에 표시된 데이터들 중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에 의해 우측 영역(630)에 입력할 수 있다. 툴바(650)는 우측 영역(630)에서 일기(610)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 또는 데이터 목록(64)으로부터 끌어온 개개의 데이터를 편집할 때 사용되는 각종 기능의 모음이다.The
이상 설명한 콘텐츠 제작 화면(600) 및 데이터 목록(640)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2007-43599호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장치 및 방법'과 한국특허출원 제2007-43601호의 '시간 기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그 기재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의 출원에 기재되어 있듯이, 본 발명은 일기 작성시 콘텐츠 제작 화면을 제공하기 전에 '콘텐츠 선택 화면'을 먼저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주제의 템플릿(template)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간혹 상기 출원들과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이 서로 다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의미상의 동일성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For the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일기목차 화면(7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weather table 70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전술한 도 2의 메인 화면(200)에서 일기목차 탭(225b)을 선택하면 일기목차 화면(700)이 나타난다. 일기목차 화면(700)은 우측 영역인 일기목차 영역(710)과 좌측 영역인 태그 클라우드(tag cloud) 영역(720)으로 구성된다. 일기목차 영역(710)은 사용자가 작성한 일기들의 목차를 날짜순으로 보여주며 검색 기능도 제공한다. 특정 날짜의 일기를 선택하면 메인 화면(200)으로 전환하면서 메인 화면(200)의 우측 영역(220)에 선택 날짜의 일기(도 6의 610)가 표시된다.When the
태그 클라우드 영역(720)은 일기와 관련된 태그 정보들을 그 빈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보여주며 직관적인 방식으로 태그를 통해 일기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태그 클라우드는 사용자가 작성한 일기에 포함된 태그의 빈도에 따라 몇 단계로 차등화하여 태그들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특정 태그를 선택하면 일기 목차 영역(710)에는 해당 태그를 포함하는 일기들의 목차가 나타난다. 태그 클라우드는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2007-37435호의 '휴대 단말기 및 인간관계 표시 방법'에 기재된 피플 클라우드의 원리를 응응할 수 있다.The
태그 클라우드 영역(720)의 상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기찾기 탭이나 일기달력 탭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이 탭들은 메인 화면(200) 상태에서도 나타나며, 메인 화면(200)에서 일기목차 화면(700)으로 전환하지 않고 간단히 일기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기찾기 탭은 선택시 메인 화면(200)에서 팝업 형태의 일기목차를 제공하며, 일기달력 탭은 선택시 달력을 표시하여 날짜 단위로 일기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at the top of th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화면 구성, 기능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 따른 날짜기반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한 예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날짜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매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So far, the menu, screen configuration, functions, and the like of the life diary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life diary application is an example of a date-based data integration process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pplications that integrate data based on date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가 생성되는 휴대 단말기 자체에서 직접 실행될 수도 있고, 데이터 생성 단말기와 별개의 단말기 또는 정보처리기기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 자체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휴대폰의 생성 데이터를 다른 휴대 단말기나 컴퓨터, 웹 서버, 웹에 연결가능한 단말기 등에 전송하여 그 장치에서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 다. 따라서 데이터를 통합처리하고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역시 특정의 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life diary application may be executed directly in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the data is generated, or may be executed in a terminal 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parate from the data generating termi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for a mobile phone to run a life diary application using data generated by itself, but the generated data of the mobile phone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mobile terminal, a computer, a web server,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eb,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diary application running. Therefore, the data processing device for integrating the data and executing the life diary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evice.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 처리 장치Mobile terminal generation data processing device
이상의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데이터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데이터를 날짜기반으로 분류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life diary applicatio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ll data is classified based on a date and displayed in various manners regardless of the type of data.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gener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장치(800, 이하 '데이터 처리 장치'로 간략함)는 통신부(810), 입력부(820), 저장부(830), 표시부(840), 제어부(850)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850)는 데이터 생성 모듈(852),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처리 장치(800)는 이 밖에도 카메라 모듈과 영상 처리부, 스피커 및 마이크와 오디어 처리부 등 공지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장치(800)는 각종 휴대 단말기 및 정보처리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예로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PDA, MP3 플레이어, PMP, 이동방송 수신기, 내비게이션, 전자사전 등이 있으며, 정보처리기기의 예로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웹서버(web server), 웹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 등이 있다.The
통신부(810)는 다른 휴대 단말기 또는 정보통신기기와 유무선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며, 특히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선 방식은 USB, IEEE 1394 등이 가능하고, 무선 방식은 CDMA, GSM, WCDMA, UMTS, 무선랜,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지그비(ZigBee), UWB 등이 가능하다. 통신부(810)는 유선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와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무선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통신 모듈과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The
입력부(82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850)로 전송한다. 입력부(820)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키패드(keypad),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터치스크린(touchscreen) 등의 통상적인 입력장치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820)는 생성 데이터를 통합 처리할 우선기준이 되는 특정 날짜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그 신호를 제어부(850)로 전송한다.The
저장부(830)는 제어부(850)의 제어 하에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저장부(830)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나 다른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며, 소프트웨어 형태의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860)을 저장한다.The
표시부(840)는 제어부(850)의 제어 하에 화면상에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표시부(840)는 액정 표시 장치(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LED), 브라운관(CRT) 등의 통상적인 표시장치 중의 하나를 사용 한다. 특히, 표시부(840)는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각종 화면을 표시하며, 날짜를 기반으로 통합 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맞추어 표시한다.The
제어부(850)는 데이터 처리 장치(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데이터 생성 모듈(852)은 이벤트 발생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부(83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810)를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되면 데이터 생성 모듈(852)은 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유형이 메시지나 이메일인 경우에는 메시지나 이메일 내용을 작성하고 수신된 내용을 획득하는 것도 포함한다. 그 밖의 데이터 유형의 경우에는 각각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획득한다.The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은 처리기준이 되는 날짜가 정해지면 저장부(830)로부터 해당 날짜의 데이터들을 획득한 후 획득 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처리조건에 따라 일괄 처리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은 저장부(830)로부터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860)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은 또한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받아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860)의 특정 화면과 함께 표시부(840)에 표시한다.The data
이상 설명한 데이터 처리 장치(800)의 구성과 기능은 이어서 설명할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 처리 방법How to handle mobile device-generated data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나 타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gener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와 도 8을 참조하면, 이벤트가 발생할 때(단계 S910), 데이터 생성 모듈(852)은 해당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920). 이벤트는 통화 송수신, 부재중 통화수신, 메시지 송수신, 이메일 송수신, 메신저 이용, 스케줄 작성, 메모 작성, 알람 설정, 이미지 촬영 또는 수신, 동영상 촬영 또는 수신, 사운드 녹음 또는 수신, 일기 작성 또는 수신 등이며, 이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는 로그 데이터, 메시지, 이메일, 스케줄, 메모, 알람,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일기 등이다. S920 단계에서 데이터 생성 모듈(852)이 생성한 데이터는 저장부(830)에 저장된다.9 and 8, when an event occurs (step S910), the
이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이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860)을 실행시키면(단계 S930),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은 데이터의 통합처리 기준이 되는 날짜를 선택한다(단계 S940).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860)은 저장부(830)에 저장되어 있다가 S9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의 호출에 의해 실행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이 어플리케이션(860)을 호출하는 시점은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 미리 정해진 때,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될 때 등이 가능하다. S940 단계에서 날짜 선택은 디폴트 값으로 할당된 오늘 날짜를 선택하는 것과 사용자 요청에 의해 임의의 날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Subsequently, when the
이어서,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은 선택된 날짜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저장부(830)로부터 획득하고(단계 S950), 획득한 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처리조건에 따라 통합 처리한다(단계 S960). 구체적으로, S950 단계에서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은 저장부(83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검색하여 생성일시의 날짜가 S940 단계에서 선택된 날짜와 동일한 데이터들만을 추출한다. 또한, S960 단계에서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은 데이터 유형에 상관없이 일괄 획득한 특정 날짜의 모든 데이터를 대상으로 소정의 처리조건에 따라 분류, 집계, 추출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은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받아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860)의 특정 화면과 함께 표시부(840)에 표시한다(단계 S970).Subsequently, the data
도 10은 S960 단계와 S970 단계의 세부 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한 가지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S960 단계에서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은 먼저 처리조건을 판별한다(단계 S961). 처리조건은 적어도 둘 이상이며, 예컨대 유형별 통계, 특정 속성의 데이터 표시 등이 있다.10 shows an example of detailed steps of steps S960 and S970. Referring to FIG. 10, in step S960,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module first determines processing conditions (step S961). There are at least two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type-specific statistics and data display of specific attributes.
유형별 통계는 특정 날짜의 데이터들에 대하여 유형별로 통계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특정 속성의 데이터 표시는 특정 날짜의 데이터들 중 특정 속성에 해당하는 데이터들만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인 화면(도 2의 200)의 금일 데이터 통계(212), 브라우저 화면(도 5의 500)의 필터(540)는 전자에 해당하고, 메인 화면(도 2의 200)의 금일 콘텐츠(214), 금일 등장인물(215)은 후자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일 콘텐츠(214)는 생성자가 본인인 특정 날짜의 데이터를, 금일 등장인물(215)은 생성자가 타인인 특정 날짜의 데이터를 표시한다.The type-specific statistics are for representing statistics by type with respect to data of a specific date, and the data display of a specific attribute is for displaying only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ttribute among data of a specific date. In the above-described life diary application, the
처리조건이 유형별 통계인 경우,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은 획득한 데이터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단계 S962), 유형별 데이터의 수를 각각 집계한다(단계 S963). 반면에 처리조건이 특정 속성의 데이터 표시인 경우,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은 획득한 데이터들을 속성별로 분류하고(단계 S964), 특정 속성에 해당하는 데이터들만을 추출한다(단계 S965).If the processing condition is statistics by type,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module classifies the acquired data by type (step S962), and aggregates the number of data by type (step S963). On the other hand, if the processing condition is a data display of a specific attribute,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module classifies the acquired data by attributes (step S964) and extracts only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ttribute (step S965).
이상의 설명에서 처리조건의 판별 결과에 따라 이후 절차들을 달리 수행한다는 것은 두 가지 절차들 중 반드시 하나만을 선택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가지 절차 모두를 각각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금일 콘텐츠와 금일 등장인물의 예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유형의 처리조건에서 여러 절차들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인 화면(도 2의 200)의 금일 데이터 전체목록(222)과 같이 처리조건을 부여하지 않고 선택된 날짜의 모든 데이터를 시간 순으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differently performing the subsequent procedur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only one of the two procedures is select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both of them separately. 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the examples of today's content and today's characters, various procedures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under the same type of processing conditions. Also,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in the life diary application, all data of the selected date may b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without giving processing conditions as in the
다음으로, S97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받아 표시 방식을 결정한다(단계 S971 및 S974). 즉, 처리조건이 유형별 통계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집계된 유형별 데이터 수를 텍스트와 그래픽 중 어느 방식으로 표시할 것인지 결정한다(단계 S971). 또한, 처리조건이 특정 속성의 데이터 표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추출된 특정 속성의 데이터들을 개별 표시와 순환 표시 중 어느 방식으로 표시할 것인지 결정한다(단계 S974).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표시 방식이 결정되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결정된 방식에 따라 표시부 화면에 데이터들을 표시한다(단계 S972, S973, S975, S976).Next, in step S970, the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receives the processed data from the data integration processing module and determines the display method (steps S971 and S974). That is, when the processing condition is the statistics for each type, the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determines whether to display the aggregated number of data for each type by text or graphic (step S971). In addition, when the processing condition is the data display of the specific attribute, the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determines whether to display the extracted specific attribute data in individual display or circular display (step S974). When the display method is determined for each case, the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displays data on the display unit scre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ethod (steps S972, S973, S975, and S976).
이상 설명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데이터 표시 단계(S970) 이후에 후속 단계를 더 가질 수 있다. 도 11은 그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11과 도 8을 참조하면, 입력부(820)로부터 키 입력신호가 수신될 때(단계 S980), 제어부(850)는 키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별하고(단계 S990), 판별한 키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절차를 수행한다(단계 S950, S1000, S960, S1010, S1020, S1030).The data processing method described above may further have a subsequent step after the data display step S970. 11 is a flowchart in that case. 11 and 8, when a key in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820 (step S980), the
먼저, 키 입력신호가 다른 날짜의 선택이라면,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은 전술한 S950 단계로 돌아가 저장부(830)로부터 해당 날짜의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후속 절차를 다시 수행한다. 전술한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도 2의 200)에서 달력(216)의 다른 날짜를 선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First, if the key input signal is a selection of a different date, the data
키 입력신호가 상세표시 요청이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은 저장부(830)로부터 브라우저 화면을 호출하여 표시부(840)에 표시하고, 현재 표시 대상인 데이터들을 브라우저 화면에 자세히 표시한다(단계 S1000). 상세표시 요청의 예로는 전술한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도 2의 200)에서 금일 데이터 통계(212)의 특정 유형을 선택하는 경우, 금일 콘텐츠(214)에 현재 표시 중인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 금일 등장인물(215)에 현재 표시 중인 특정 사람을 선택하는 경우 등이다.If the key input signal is a detailed display request, the
키 입력신호가 필터나 소트 중의 하나이면, 데이터 통합처리 모듈(854)은 전술한 S960 단계로 돌아가 선택된 필터나 소트에 대응하는 처리조건에 따라 다시 데이터들을 처리한다. 전술한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도 2의 200)에서 필터/소트(221)를 선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If the key input signal is one of a filter or a sort, the data
키 입력신호가 일기편집이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은 저장부(830)로부터 콘텐츠 제작 화면을 호출하여 표시부(840)에 표시한다(단계 S1010). 전술한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도 2의 200)에서 일기편집 메뉴(223)를 선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 단계(S101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은 일기 작성시 콘텐츠 선택 화면을 먼저 또는 함께 제공할 수 있고, 일기 수정시 미리 작성된 일기를 같이 제공한다.If the key input signal is a diary edit, the
키 입력신호가 일기호출이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은 저장부(830)로부터 특정 날짜의 일기를 호출하여 표시부(840)에 표시한다(단계 S1020). 전술한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도 2의 200)에서 상단 탭(224)의 일상일기 탭(224b)이나 우측 탭(225)의 오늘일기 탭(225a)을 선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If the key input signal is a diary call, the
키 입력신호가 일기목차이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856)은 저장부(830)로부터 일기목차 화면을 호출하여 표시부(840)에 표시한다(단계 S1030). 전술한 라이프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도 2의 200)에서 우측 탭(225)의 일기목차 탭(225b)을 선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If the key input signal is the diary table, the
지금까지 설명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데이터 생성과 처리가 동일한 장치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데이터가 생성되는 휴대 단말기와 별개의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어서 설명할 두 실시예는 그러한 경우에 해당한다.The data processing method described so far is when data generation and processing are performed in the same apparatus. However,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 device separate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which data is generated, and the tw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correspond to such a cas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방 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generation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데이터 생성 단말기(1100)와 데이터 처리 장치(1110)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단계 S1120). 일례를 들어, 휴대폰이 USB나 블루투스에 의해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2, first, the
데이터 생성 단말기(1100)의 연결을 감지한 데이터 처리 장치(1110)는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단계 S11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생성 단말기의 연결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데이터 처리 장치(1110)는 데이터 생성 단말기(1100)에 특정 날짜의 데이터를 요청한다(단계 S1140). 이때 특정 날짜란 오늘 날짜가 디폴트 값으로 할당된 경우에는 오늘 날짜가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날짜가 된다.Aft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데이터 요청을 받은 데이터 생성 단말기(1100)는 해당 날짜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1110)로 전송한다(단계 S1150). 즉, 데이터 생성 단말기(110)는 데이터 유형에 상관없이 데이터 처리 장치(1110)가 요청한 날짜에 해당하는 모든 데이터를 보낸다.The
데이터 처리 장치(1110)는 데이터 생성 단말기(1100)가 전송한 특정 날짜의 데이터를 받아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처리조건에 따라 데이터 통합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160). 이 단계는 전술한 도 9 및 도 10의 데이터 통합처리 단계(S960)에 대응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이어서, 데이터 처리 장치(1110)는 처리된 데이터를 받아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과 함께 표시부에 표시한다(단계 S1170). 이 단계는 전술한 도 9 및 도 10의 데이터 표시 단계(S970)에 대응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Subsequently, the
한편, 이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데이터 통합처리 단계(S1160) 후에 데이터 표시 단계(S1170)와 별도로 데이터들을 데이터 생성 단말기(1100)로 전송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표시 단계(S1170) 후에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후속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perform a step (not shown) of transmitting data to the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generation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데이터 생성 단말기(1200)와 데이터 처리 장치(1210)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단계 S1220).Referring to FIG. 13, first, the
연결 후, 데이터 생성 단말기(1200)는 생성 데이터 전부를 데이터 처리 장치(1210)로 전송한다(S1230).After connection, the
단말기(1200)의 생성 데이터를 받은 데이터 처리 장치(1210)는 이를 저장하고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단계 S12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은 생성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되고 나서 생성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도 가능하다.The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데이터 처리 장치(1210)는 특정 날짜를 선택한다(단계 S1250). 특정 날짜의 선택은 디폴트 값으로 할당된 오늘 날짜 또는 사용자가 입 력한 날짜이다.After executing the application, the
특정 날짜가 선택되면, 데이터 처리 장치(1210)는 해당 날짜의 데이터를 획득하고(단계 S1260), 미리 설정된 처리조건에 따라 데이터 통합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270). 이 단계는 전술한 도 9 및 도 10의 데이터 통합처리 단계(S960)에 대응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f a specific date is selected, the
이어서, 데이터 처리 장치(1110)는 처리된 데이터를 받아 데이터 통합처리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과 함께 표시부에 표시하고(단계 S1280), 그 데이터를 데이터 생성 단말기(1200)에 전송한다(단계 S1290). S1280 단계는 전술한 도 9 및 도 10의 데이터 표시 단계(S970)에 대응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데이터 표시 단계(S1280) 후에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후속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생성 데이터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So far,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obile terminal gener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rough embodiment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그 유형에 상관없이 통합하여 날짜기반으로 분류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표시한다. 따 라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날짜에 생성된 데이터들의 유형별 분포가 어떤지, 특정 날짜에 생성된 특정 유형의 데이터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특정 날짜에 사용자가 생성한 데이터는 무엇이고 타인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무엇인지, 특정 날짜에 누가 어떤 데이터들을 보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regardless of the type, classifies the data based on the date, and displays the data in various ways. Therefore, various types of data can be managed efficiently and utiliz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at is the distribution of the types of data generated on a particular date, what are the types of data generated on a particular date, what data the user created on a particular date, what data is received from others, It's easy to see who sent what data on a particular date, and so on.
또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날짜에 기반을 두고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사용자의 일기 작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므로 텍스트 위주의 일기 작성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일기 작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cesses data based on the dat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creating a user's diary, and since various types of data are integrated,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various multimedia data to escape from text-based diary creation. Diary can be made.
아울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그 단말기 자체에서 또는 다른 단말기나 컴퓨터, 웹 서버와 같은 정보처리기기로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확장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scalability because the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can be transferred to the terminal itself or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nother terminal, computer, or web server for processing.
Claims (41)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3690A KR101373281B1 (en) | 2007-05-04 | 2007-05-04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batch processing of data created in mobile device |
EP08155053.5A EP1988694B1 (en) | 2007-05-04 | 2008-04-23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integrated processing of data in mobile terminal |
EP10194485A EP2312817A1 (en) | 2007-05-04 | 2008-04-23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based integrated processing of data in mobile terminal |
CN2008101314477A CN101345791B (en) | 2007-05-04 | 2008-04-30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integrated processing of data in mobile terminal |
US12/115,265 US8150382B2 (en) | 2007-05-04 | 2008-05-05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integrated processing of data in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3690A KR101373281B1 (en) | 2007-05-04 | 2007-05-04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batch processing of data created in mobi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8251A KR20080098251A (en) | 2008-11-07 |
KR101373281B1 true KR101373281B1 (en) | 2014-03-12 |
Family
ID=4024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36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3281B1 (en) | 2007-05-04 | 2007-05-04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batch processing of data created in mobile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3281B1 (en) |
CN (1) | CN101345791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23470B2 (en) | 2014-02-17 | 2019-09-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ary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
WO2024029797A1 (en) * | 2022-08-05 | 2024-02-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photographing date and time of image file in same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92468B2 (en) * | 2009-09-29 | 2013-05-08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
CN102253788A (en) * | 2010-05-17 | 2011-11-23 | 上海复旦天臣新技术有限公司 | Method for display memo by using mobile phone software |
CN101938560A (en) * | 2010-09-02 | 2011-01-05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ssage management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N102821191A (en) * | 2011-09-22 | 2012-12-12 | 西北大学 | Method for creating electronic diaries by using smart phone |
CN103258127A (en) * | 2013-05-07 | 2013-08-21 | 候万春 | Memory auxiliary device |
CN105260087A (en) * | 2015-11-25 | 2016-01-20 |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
WO2019088309A1 (en) * | 2017-10-31 | 2019-05-09 | 정하석 | Interconnection service system for interconnecting individuals with business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3735A (en) * | 2001-11-27 | 2003-06-06 | Pioneer Electronic Corp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information processing |
JP2005244815A (en) | 2004-02-27 | 2005-09-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terminal device |
KR20060130810A (en) * | 2005-06-08 | 2006-12-20 | (주) 엘지텔레콤 | How to manage diary using calendar of mobile device |
KR20070006699A (en) * | 2003-12-22 | 2007-01-11 | 노키아 코포레이션 | Calendar content sharing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2005011261D1 (en) * | 2005-06-03 | 2009-01-08 | Research In Motion Ltd | Messages display on portable devices |
-
2007
- 2007-05-04 KR KR1020070043690A patent/KR1013732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4-30 CN CN2008101314477A patent/CN10134579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3735A (en) * | 2001-11-27 | 2003-06-06 | Pioneer Electronic Corp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information processing |
KR20070006699A (en) * | 2003-12-22 | 2007-01-11 | 노키아 코포레이션 | Calendar content sharing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
JP2005244815A (en) | 2004-02-27 | 2005-09-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terminal device |
KR20060130810A (en) * | 2005-06-08 | 2006-12-20 | (주) 엘지텔레콤 | How to manage diary using calendar of mobile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23470B2 (en) | 2014-02-17 | 2019-09-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ary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
WO2024029797A1 (en) * | 2022-08-05 | 2024-02-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photographing date and time of image file in same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345791A (en) | 2009-01-14 |
KR20080098251A (en) | 2008-11-07 |
CN101345791B (en) | 2011-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328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batch processing of data created in mobile device | |
EP198869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e-based integrated processing of data in mobile terminal | |
US20250225154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US873871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presenting program messages | |
CN100476818C (en) | Search and name items based on metadata | |
EP1983416A1 (en) | Editing of data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491592B1 (en) | Terminal and its content display method | |
US20130167082A1 (en) | Category search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 |
CN10411363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nchecked messages in a terminal | |
US20090164942A1 (en) | User interfa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16502188A (en) | Desktop display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CN107765945A (en) | A kind of file management method, devic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WO2022083594A1 (en) |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 |
CN112948844B (en) | Control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20100035474A (en) |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list of portable terminal | |
CN111556191A (en) | Display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 |
KR101402792B1 (en) | Methods for managing user data in communication terminal | |
WO2021121141A1 (en) | Desktop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 |
WO2022000829A1 (en) |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CN110166619B (en) | Picture downloading method and client | |
CN116627293A (en) | Desktop content sorting method and device | |
CN110502484B (en) |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displaying file information on mobile terminal | |
CN107885887A (en) | A kind of file memory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CN115700431A (en) | Desktop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CA2768418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5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