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837B1 -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2837B1 KR101372837B1 KR1020110147308A KR20110147308A KR101372837B1 KR 101372837 B1 KR101372837 B1 KR 101372837B1 KR 1020110147308 A KR1020110147308 A KR 1020110147308A KR 20110147308 A KR20110147308 A KR 20110147308A KR 101372837 B1 KR101372837 B1 KR 101372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shape data
- voice
- data
- electronic docu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서 터치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명령어 분석서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구현되는 UI 화면으로서 특히 도형을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2: 통신망
3: 명령어 분석서버
10: 입력부
20: 터치스크린
30: 마이크
40: 문서편집-기능단
50: 문서보정-기능부
51: 음성-입력기능단
52: 명령어-분석기능단
53: 이펙트-적용기능단
60: 제어부
70: 송수신부
80: 저장부
90: 이펙트저장부
Claims (6)
- UI 화면으로 구현된 전자문서 입력창에 직접 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원시 형상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 1 단계;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제공받는 제 2 단계;
상기 음성 신호가 등록된 음성 명령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등록된 음성 명령어에 해당하면 상기 등록된 음성 명령어에 따른 보정이펙트를 산출하고, 상기 판단 결과 등록된 음성 명령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라면 명령어 분석서버를 액세스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자연어 분석을 요청하여 상기 명령어 분석서버로부터 자연어 분석 결과를 제공받으면 상기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신규 보정이펙트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해 음성 인식 처리를 수행하여 보정이펙트를 산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보정이펙트를 적용하여 상기 원시 형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그에 대응되는 내용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4 단계;
상기 변환을 통해 획득된 내용 데이터를 UI 화면으로 구현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시 형상 데이터는 도형-형상 데이터와 문자-형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 데이터는 도형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
- UI 화면으로 구현된 전자문서 입력창에 직접 입력 방식으로 원시 형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원시 형상 데이터를 위한 연속적 직접 입력이 단절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마이크(30)를 통한 음성 신호의 입력을 대기하도록 제어하는 문서편집-기능단(40);
상기 원시 형상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마이크(30)로 음성 신호를 제공받는 음성-입력기능단(51);
상기 음성 신호가 등록된 음성 명령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된 음성 명령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등록된 음성 명령어에 따른 보정이펙트를 산출하는 한편, 등록된 음성 명령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명령어 분석서버를 액세스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자연어 분석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자연어 분석 결과를 제공받으면 상기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신규 보정이펙트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 처리를 통해 보정이펙트를 산출하는 명령어-분석기능단(52);
상기 보정이펙트를 적용하여 상기 원시 형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그에 대응되는 내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내용 데이터를 UI 화면으로 구현하는 이펙트-적용기능단(5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삭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시 형상 데이터는 도형-형상 데이터와 문자-형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 데이터는 도형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7308A KR101372837B1 (ko) | 2011-12-30 | 2011-12-30 |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7308A KR101372837B1 (ko) | 2011-12-30 | 2011-12-30 |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8391A KR20130078391A (ko) | 2013-07-10 |
KR101372837B1 true KR101372837B1 (ko) | 2014-03-13 |
Family
ID=4899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73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2837B1 (ko) | 2011-12-30 | 2011-12-30 |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28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29934A1 (ko) * | 2015-02-12 | 2016-08-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핸드라이팅 인식 방법 및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5184B1 (ko) * | 2019-07-04 | 2021-09-27 | 주식회사 포시에스 | 다양한 입력 방식 전환을 통한 전자문서 표시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49655A (ja) * | 2003-07-29 | 2005-02-24 | Nippon Hoso Kyokai <Nhk> | 文字データ修正装置、文字データ修正方法および文字データ修正プログラム |
-
2011
- 2011-12-30 KR KR1020110147308A patent/KR10137283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49655A (ja) * | 2003-07-29 | 2005-02-24 | Nippon Hoso Kyokai <Nhk> | 文字データ修正装置、文字データ修正方法および文字データ修正プログラム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29934A1 (ko) * | 2015-02-12 | 2016-08-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핸드라이팅 인식 방법 및 장치 |
KR20160099497A (ko) * | 2015-02-12 | 2016-08-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핸드라이팅 인식 방법 및 장치 |
US10438080B2 (en) | 2015-02-12 | 2019-10-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
KR102559028B1 (ko) * | 2015-02-12 | 2023-07-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핸드라이팅 인식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8391A (ko) | 2013-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98604B2 (en) | Typing assistance for editing | |
US936128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user interface | |
US11217239B2 (en) | Computer proxy messaging bot | |
JP2020118955A (ja) | 非表音文字体系を使用する言語のための音声支援型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トタイプの試験中の音声コマンドマッチング | |
US11163377B2 (en) | Remote generation of executable code for a client application based on natural language commands captured at a client device | |
US20180341466A1 (en) | Voice-enabled user interface framework | |
JP4942970B2 (ja) | 音声認識における動詞誤りの回復 | |
KR20140094744A (ko) | 휴대 단말의 음성 인식 결과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 |
CN105975256A (zh) | 一种应用程序的操作引导方法及系统 | |
CN103177724A (zh) | 语音控制文本操作的方法、装置及终端 | |
KR101158679B1 (ko) | 직접입력 방식의 전자문서 상의 도형입력 방법, 그리고 직접입력 방식의 전자문서 상의 도형입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
KR101372837B1 (ko) |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
US20190279623A1 (en) |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dictation and correction by spelling input, system and storage medium | |
US11462208B2 (en) | Implementing a correction model to reduce propagation of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errors | |
KR20240119134A (ko) | 포인팅 장치와 키보드 액션을 사용하여 컴퓨터 제어 학습 | |
CN112102820B (zh) | 交互方法、交互装置、电子设备和介质 | |
TWI770395B (zh) | 語音控制電視版銀行轉帳之裝置與方法 | |
DE102019007797A1 (de) | Abgleichen von Stimmbefehlen während des Testens von stimmunterstützten App-Prototypen für Sprachen mit nichtphonetischen Alphabeten | |
US11886801B1 (en) |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multimodal text editing | |
US2025005449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a voice query | |
US1221667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writing feedback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 |
Saurabh et al. | AI Voice Commands Assistant (ZEUS) | |
WO2024130384A1 (en) |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multimodal text editing | |
CN115440213A (zh) | 语音控制方法、装置、设备、车辆及介质 | |
CN118535713A (zh) | 一种软件系统智能交互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