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761B1 - Steam boiler - Google Patents
Steam boi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2761B1 KR101372761B1 KR1020120096000A KR20120096000A KR101372761B1 KR 101372761 B1 KR101372761 B1 KR 101372761B1 KR 1020120096000 A KR1020120096000 A KR 1020120096000A KR 20120096000 A KR20120096000 A KR 20120096000A KR 101372761 B1 KR101372761 B1 KR 1013727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water
- pipe
- generating means
- steam gene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9/00—Water-tube boilers of combined horizontally-inclined type and vertical type, i.e. water-tube boilers of horizontally-inclined type having auxiliary water-tube sets in vertical or substantially-vertical arrang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 또는 석유 또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숯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고온/고압의 스팀을 만들어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한 스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을 갖는 프레임(102)과;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통(104)과; 상기 물통(104)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물통(104)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한 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수단(106)과;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으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저장수단(108)과; 상기 물통(104)과 스팀생성수단(106)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물통(104) 속에 있는 물을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관(110)과; 상기 스팀생성수단(106)과 스팀저장수단(108)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112)과;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에 저장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boiler capable of heating by making water of high temperature / high pressure by heating water using charcoal without using coal, petroleum, or electric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102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nd; A bucket 104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2 to supply water; Steam generating means 106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2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water tank 104 and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104 to heat the water, and then generates steam.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2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to store the steam received from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and to discharge the stored steam to the outside Means 108; A water supply pipe 110 connected between the water tank 104 and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to supply water in the water tank 104 to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A steam supply pipe 112 connected between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and the steam storing means 108 to supply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to the steam storing means 108;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am storage means 108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pipe 114 for discharging the steam stored in the steam storage means 108 to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탄 또는 석유 또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숯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고온/고압의 스팀을 만들어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한 스팀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am boiler capable of heating by heating water using charcoal without using coal, petroleum or electricity to make hot / high pressure steam.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석유, 석탄, 도시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물에 전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화력발전용·선박 등의 동력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는 증기터빈에 고온고압의 증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나 각종 공장의 작업용으로, 또는 일반의 난방용 등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일러의 주요부는 물과 증기를 담는 강철제용기(보일러 본체)와 연료의 연소장치 및 화로로 되어 있다.In general, a boiler is a device that generates steam by burning fuel such as petroleum, coal, city gas, and transmitting the heat of combustion to water. BACKGROUND ART It is widely used to supply steam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steam turbines used as power devices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and ships, for work in various factories, or to supply steam for general heating. The main part of the boiler consists of a steel vessel (boiler body) containing water and steam, a combustion device and a furnace.
이 밖에 본체 관계에서는 증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과열기(過熱器)나 재열기(再熱器), 연소가스가 가지는 여열(餘熱)을 될 수 있는 대로 이용하기 위한 절탄기(節炭器)와 공기예열기 등의 부속장치와 안전조작을 위한 안전밸브·압력계·수면계 및 그 밖의 밸브·계기류가 필요하며, 연소실 관계에서는 화격자·스토커·버너 및 통풍장치 등이 요구된다.
In addition, in the main body relations, the superheater, reheater, and the fever of the combustion ga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the pelletizer and air to use as much as possible Accessories such as preheaters, safety valves, pressure gauges, water gauges and other valves and instruments for safe operation are required, and grate, stocker, burner and ventilator are required in the combustion chamber relationship.
그리고, 상기한 보일러는 대한민국 특허청이 다 수건이 출원되어 있으며, 그 중 2009년 10월 13일자, 출원번호 10-2009-0097031(발명의 명칭 : 전기 보일러장치)를 살펴보면, 상기 전기 보일러는 설계에 따라 정해진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외주면상의 설계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제1용수공급구(14)와 제2용수공급구(16) 및 제1용수배출구(18)와 제2용수배출구(20)가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케이스(12)와;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케이스(12)상의 제1용수공급구(14)와 파이프(P)로 연결되는 용수유입구(22a)가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제1용수배출구(18)와 파이프로 연결되는 2개의 용수유출구(22b)(22c)가 형성된 난방보일러(22)와; 상기 난방보일러(22)의 설치위치를 벗어난 케이스(12) 내부의 다른쪽에 설치되며, 외주면상의 정해진 위치에는 각각 케이스(12)상의 제2용수공급구(16) 및 제2용수배출구(20)와 파이프(P)로 연결되는 용수유입구(24a) 및 용수유출구(24b)가 형성된 급탕보일러(24)와; 상기 난방보일러(22)상에 형성된 어느 일측의 용수유출구(22b)와 케이스(12)상의 제1용수배출구(18) 사이에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다수회 감겨진 제1난방용수 순환파이프(26)와; 상기 난방보일러(22)상에 형성된 다른 일측의 용수유출구(22c)와 케이스(12)상의 제1용수배출구(18) 사이에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이루어져 다수회 감겨진 제2난방용수 순환파이프(28)와; 상기 난방보일러(2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면서 난방보일러(22)의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물을 가열시키는 다수의 제1히터(30)와; 상기 급탕보일러(24)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면서 급탕보일러(24)의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물을 가열시키는 단일 또는 다수의 제2히터(32)와; 상기 케이스(12)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스(12)에 형성된 제1용수공급구(14)와 파이프로 연결되는 물탱크(34)와; 상기 물탱크(34)로부터 제1용수공급구(14)와 연결된 파이프(P)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난방보일러(22)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순환펌프(36)와; 상기 케이스(12)의 외측에서 제1용수배출구(14)와 파이프로 연결되며, 실내의 바닥이나 벽체의 내부에 형성된 난방배관과 연결되어 난방보일러(22)로부터 가열된 난방용수를 난방배관쪽으로 공급하는 다수의 공급밸브(38)와; 상기 물탱크(34)와 순환펌프(36) 사이에 해당되는 파이프(P)상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난방배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난방배관을 통하여 순환된 난방용수를 다시 난방보일러(22)로 순환공급하는 순환밸브(40)와; 상기 케이스(12)의 외측에서 제2용수공급구(16)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급탕보일러(24)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급탕용수 공급관(42)과; 상기 케이스(12)의 외측에서 제2용수배출구(20)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급탕보일러(24)에서 가열된 급탕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급탕용수 배출관(44)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oiler is patented by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the towel is applied, of which the date of October 13, 2009, application number 10-2009-0097031 (name of the invention: electric boiler device), the electric boiler is in the design The first water supply port 14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ort 16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port 18 and the secon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size, the interior is empty, and according to the desig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case 12 formed with the water outlet 20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The water inlet 22a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ort 14 and the pipe P on the case 12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water outlet 18 is formed on the other side. Heating boiler 22 having two water outlets 22b and 22c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nside the case 12 outsid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eating boiler 22,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ort 16 and the second water outlet 20 on the case 12, respectively; A hot water boiler 24 having a water inlet 24a and a water outlet 24b connected to the pipe P; Connected between the water outlet 22b of either side formed on the heating boiler 22 and the first water outlet 18 on the case 12, the first heating water circulation wound a plurality of times consisting of a relatively short length Pipe 26; Connected between the water outlet 22c of the other side formed on the heating boiler 22 and the first water outlet 18 on the case 12, the second heating water circulation wound a plurality of times consisting of a relatively long length A pipe 28; A plurality of first heaters 30 that he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eating boiler 22 while generating hea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urrent in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boiler 22 is f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 single or a plurality of second heaters 32 that he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t water boiler 24 while being hea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urrent in a state in which the hot water boiler 24 is f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 water tank 34 connected to a pipe with a first water supply port 14 formed in the case 12 in a state in which the case 12 is installed outside; Circulation pump 36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heating boiler 22 while being driven by application of electric current while being installed on a pipe P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ort 14 from the water tank 34. Wow;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14 and the pipe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2, and connected to the heating pipe formed in the floor or the wall of the room to supply the heating water heated from the heating boiler 22 toward the heating pipe. A plurality of supply valves 38; I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pipe (P) corresponding between the water tank 34 and the circulation pump 36, the heating water circulated through the heating pipe in the state connected with the heating pipe back to the heating boiler 22. A circulation valve 40 for circulating supply; A hot water supply pipe 42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ort 16 outside the case 12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may flow into the hot water boiler 24; The hot water supply pipe 44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port 20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2 so as to discharge the hot water for heating from the hot water boiler 24.
그러나, 상기한 전기 보일러장치는 전기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전기 보일러장치의 주변에 항상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를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electric boiler apparatus needs to use electricity,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of having an outlet capable of always plugging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boiler apparatus.
특히, 상기한 전기 보일러장치 스팀을 발생하기 위한 예열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과 전기소모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eheating time takes a long time to generate the electric boiler device steam and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a lo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석탄 또는 석유 또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숯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고온/고압의 스팀을 만들어 난방을 함으로써,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스팀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eat water using charcoal without using coal, petroleum or electricity to produce high temperature / high pressure steam. It is to provide a steam boiler that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making and heating.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는,
수용공간을 갖는 프레임(102)과;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통(104)과; 상기 물통(104)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물통(104)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한 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수단(106)과;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으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저장수단(108)과; 상기 물통(104)과 스팀생성수단(106)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물통(104) 속에 있는 물을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관(110)과; 상기 스팀생성수단(106)과 스팀저장수단(108)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112)과;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에 저장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4)을 포함한 스팀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은,
연소환기구(116)를 갖는 연소숯제거통(118)과;
상기 연소숯제거통(118)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의 내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숯불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4)(126)과;
상기 제1수직용 물관(124)과 제2수직용 물관(126)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숯불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제1, 제2 및 제3수평용 물관(128)(130)(132)과;
상기 제1수직용 물관(124)과 제2수직용 물관(126)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3수평용 물관(132)의 상면에 위치되고, 몸체의 외면 일측에 뚜껑(120)을 구비하며, 토출구를 통해 본체의 바닥면에 숯불을 위치시켜 수직용 물관과 수평용 물관을 가열시키는 연소통(133)과;
상기 연소통(133)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8)(130)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용 공간(132)과;
상기 스팀발생용 공간(132)과 연통 되게 상기 연소통(133)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스팀발생용 공간(132)으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스팀저장수단(108)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112)과;
상기 연소통(133)의 일측에 설치되어 숯불로부터 생성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A combustion
A
First and second
First, second and third
Located between the first
A
A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는 이동이 용이하며, 숯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고온/고압의 스팀을 만들어 난방을 함으로써,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ove, and by heating the water using charcoal to make a high-temperature / high-pressure steam for heat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management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를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요부도,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스팀 보일러의 내부에 숯불이 들어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main parts of FIG. 1,
3a to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coal in the interior of the steam boiler of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요부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스팀 보일러의 내부에 숯불이 들어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c is a main view of Figure 1, Figures 3a to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coal in the steam boiler of Figure 1 .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100)는,As shown in Figure 1 to 3b the
수용공간을 갖는 프레임(102)과;A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통(104)과;A
상기 물통(104)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물통(104)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한 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수단(106)과;Steam generating means 106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으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저장수단(108)과;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물통(104)과 스팀생성수단(106)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물통(104) 속에 있는 물을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관(110)과;A
상기 스팀생성수단(106)과 스팀저장수단(108)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112)과;A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에 저장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am storage means 108 is configured to include a
그리고,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은,And,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연소환기구(116)를 갖는 연소숯제거통(118)과;A combustion
상기 연소숯제거통(118)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본체(122)와;A
상기 본체(122)의 내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숯불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4)(126)과;First and second
상기 제1수직용 물관(124)과 제2수직용 물관(126)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숯불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제1, 제2 및 제3수평용 물관(128)(130)(132)과;First, second and third
상기 제1수직용 물관(124)과 제2수직용 물관(126)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3수평용 물관(132)의 상면에 위치되고, 몸체의 외면 일측에 뚜껑(120)을 구비하며, 토출구를 통해 본체의 바닥면에 숯불을 위치시켜 수직용 물관과 수평용 물관을 가열시키는 연소통(133)과;Located between the first
상기 연소통(133)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8)(130)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용 공간(132)과;A
상기 스팀발생용 공간(132)과 연통 되게 상기 연소통(133)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스팀발생용 공간(132)으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스팀저장수단(108)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112)과;A
상기 연소통(133)의 일측에 설치되어 숯불로부터 생성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상기 연통(134)의 일측에는,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제거물(도시는 생략함)이 설치되고, 연기를 조정하는 연기조절수단(도시는 생략함) 등이 설치된다.
On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은,And, the steam storage means 108,
상기 스팀공급관(112)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공급관(112)으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스팀저장통(136)과;A first
상기 제1스팀저장통(13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스팀저장통(138)과;A second
상기 제1스팀저장통(136)과 제2스팀저장통(138)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팀저장통(136)으로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제2스팀저장통(138)으로 공급하는 제1연결관(140)과;A first connecting
상기 제2스팀저장통(1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3스팀저장통(142)과;A
상기 제2스팀저장통(138)과 제3스팀저장통(14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스팀저장통(138)으로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제3스팀저장통(142)으로 공급하는 제2연결관(144)과;A
상기 제3스팀저장통(14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스팀저장통(142)에 저장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제3스팀저장통(142)의 외면에는, 안전변, 압력게이지 등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safety valve, a pressure gauge, and the like a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hird
그리고, 상기 배출관(114)의 일측에는 조절밸브(도시는 생략함)가 설치되어 있다.
And, one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100)의 설치과정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의 설치과정은 설치자에 따라 그 설치순서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in any order according to the installer.
먼저, 수용공간을 갖는 프레임(102)을 위치시킨 후,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물통(104)을 설치한다.First, after placing the
그리고, 상기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스팀생성수단(106)과 스팀저장수단(108)을 설치한다.Then,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and the steam storage means 108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물통(104)과 스팀생성수단(106) 사이에 물공급관(110)을 설치하고, 상기 스팀생성수단(106)과 스팀저장수단(108) 사이에 스팀공급관(112)을 설치한 후,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의 일측에 배출관(114)을 설치한다.Then, after installing the
여기서,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은, 연소환기구(116)를 갖는 연소숯제거통(118)과; 상기 연소숯제거통(118)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의 내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숯불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4)(126)과; 상기 제1수직용 물관(124)과 제2수직용 물관(126)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숯불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제1, 제2 및 제3수평용 물관(128)(130)(132)과; 상기 제1수직용 물관(124)과 제2수직용 물관(126)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3수평용 물관(132)의 상면에 위치되고, 몸체의 외면 일측에 뚜껑(120)을 구비하며, 토출구(도시는 생략함)를 통해 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숯불을 본체의 바닥면에 위치시켜 수직용 물관과 수평용 물관을 가열시키는 연소통(133)과; 상기 연소통(133)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8)(130)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용 공간(132)과; 상기 스팀발생용 공간(132)과 연통 되게 상기 연소통(133)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스팀발생용 공간(132)으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스팀저장수단(108)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112)과; 상기 연소통(133)의 일측에 설치되어 숯불로부터 생성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the combustion
그리고, 상기 스팀저장수단(108)은,And, the steam storage means 108,
상기 스팀공급관(112)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공급관(112)으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스팀저장통(136)과; 상기 제1스팀저장통(13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스팀저장통(138)과; 상기 제1스팀저장통(136)과 제2스팀저장통(138)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팀저장통(136)으로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제2스팀저장통(138)으로 공급하는 제1연결관(140)과; 상기 제2스팀저장통(1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3스팀저장통(142)과; 상기 제2스팀저장통(138)과 제3스팀저장통(14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스팀저장통(138)으로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제3스팀저장통(142)으로 공급하는 제2연결관(144)과; 상기 제3스팀저장통(14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스팀저장통(142)에 저장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 firs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100)의 설치가 완료되면,When the installation of the
먼저, 물통(104)이 스팀생성수단(106)의 본체(122)의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4)(126)으로 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제1, 제2 및 제3수평용 물관(128)(130)(132)으로 물을 공급한다.First, the
상기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4)(126)과 제1, 제2 및 제3수평용 물관(128)(130)(132)에 물이 채워지면,When water is filled in the first and second
뚜껑(120)을 열고, 연소통(133)의 내부를 통해 본체(122)의 내부에 숯불을 위치시킨다. 이때, 숯불이 제1수평용 물관(128)과 제2수평용 물관(130) 사이에 위치된다.
Open the
상기 숯불에 의해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4)(126), 제1, 제2 및 제3수평용 물관(128)(130)(132)의 내부에 있는 물이 가열되고,By the charcoal, the water inside the first and second
상기 제1수직용 물관(124)과 제2수직용 물관(126)에서 가열된 물이 스팀발생용 공간(132)에 접촉하게 되면, 스팀발생용 공간(132)에 스팀이 생성된다.
When the water heated in the first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용 공간(132)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공급관(112)으로 공급되고,And, the steam generated in the
상기 스팀공급관(112)은 스팀을 스팀저장수단(108)의 제1스팀저장통(136)으로 공급한다.
The
따라서, 스팀은 제1스팀저장통(136), 제1연결관(140), 제2스팀저장통(138), 제2연결관(144), 제3스팀저장통(142) 및 배출관(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Therefore, the steam is passed through the
한편, 숯불에서 발생 되는 연기는 연소통(133)과 연결된 연통(13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charcoa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merely exemplary of the invention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스팀 보일러
102 : 프레임
104 : 물통
106 : 스팀생성수단
108 : 스팀저장수단
110 : 물공급관
112 : 스팀공급관
114 : 배출관100: steam boiler
102: frame
104: bucket
106: steam generating means
108: steam storage means
110: Water supply pipe
112: steam supply pipe
114: discharge pipe
Claims (3)
상기 스팀생성수단(106)은,
연소환기구(116)를 갖는 연소숯제거통(118)과;
상기 연소숯제거통(118)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의 내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숯불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4)(126)과;
상기 제1수직용 물관(124)과 제2수직용 물관(126)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숯불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제1, 제2 및 제3수평용 물관(128)(130)(132)과;
상기 제1수직용 물관(124)과 제2수직용 물관(126)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3수평용 물관(132)의 상면에 위치되고, 몸체의 외면 일측에 뚜껑(120)을 구비하며, 토출구를 통해 본체의 바닥면에 숯불을 위치시켜 수직용 물관과 수평용 물관을 가열시키는 연소통(133)과;
상기 연소통(133)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수직용 물관(128)(130)으로부터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용 공간(132)과;
상기 스팀발생용 공간(132)과 연통 되게 상기 연소통(133)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스팀발생용 공간(132)으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스팀저장수단(108)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112)과;
상기 연소통(133)의 일측에 설치되어 숯불로부터 생성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13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보일러.A frame 102 having a receiving space; A bucket 104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2 to supply water; Steam generating means 106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2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water tank 104 and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104 to heat the water, and then generates steam.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2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to store the steam received from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and to discharge the stored steam to the outside Means 108; A water supply pipe 110 connected between the water tank 104 and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to supply water in the water tank 104 to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A steam supply pipe 112 connected between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and the steam storing means 108 to supply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to the steam storing means 108; In the steam boiler including a discharge pipe 11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am storage means 108 to discharge the steam stored in the steam storage means 108 to the outside,
The steam generating means 106,
A combustion charcoal removal container 118 having a combustion ventilation mechanism 116;
A main body 122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rcoal removing container 118;
First and second vertical water pipes 124 and 126 form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2 to heat water by charcoal;
First, second and third horizontal water pipes 128 and 13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vertical water pipe 124 and the second vertical water pipe 126 to heat water by charcoal. 132;
Locat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water pipe 124 and the second vertical water pipe 126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horizontal water pipe 132, and has a lid 120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 combustion cylinder 133 for heating the vertical water pipe and the horizontal water pipe by placing the charco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steam generating space 132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ylinder 133 to generate steam from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water pipes 128 and 130;
A steam supply pipe 112 installed at one side of an out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ylinder 13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team generating space 132 and supplying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ing space 132 to the steam storage means 108; ;
The boil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mbustion cylinder 133,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134 for discharging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charcoal to the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000A KR101372761B1 (en) | 2012-08-31 | 2012-08-31 | Steam boi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000A KR101372761B1 (en) | 2012-08-31 | 2012-08-31 | Steam boi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8821A KR20140028821A (en) | 2014-03-10 |
KR101372761B1 true KR101372761B1 (en) | 2014-03-11 |
Family
ID=5064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60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2761B1 (en) | 2012-08-31 | 2012-08-31 | Steam boi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27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02829B (en) * | 2016-12-01 | 2018-09-28 | 浙江滨特热能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industrial steam stove that heat utilization rate is high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1702A (en) * | 1994-10-21 | 1996-05-1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team generator |
JPH11511236A (en) * | 1995-08-23 | 1999-09-28 |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Steam generator |
KR200249614Y1 (en) | 2001-06-13 | 2001-11-16 | 삼양무지개 보일러 주식회사 | Electric steam generator apparatus |
KR20100131048A (en) * | 2009-06-05 | 2010-12-15 | 주식회사 쌍마기계 | Electric Steam Boiler with Automatic Water Supply Structure |
-
2012
- 2012-08-31 KR KR1020120096000A patent/KR10137276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1702A (en) * | 1994-10-21 | 1996-05-1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team generator |
JPH11511236A (en) * | 1995-08-23 | 1999-09-28 |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Steam generator |
KR200249614Y1 (en) | 2001-06-13 | 2001-11-16 | 삼양무지개 보일러 주식회사 | Electric steam generator apparatus |
KR20100131048A (en) * | 2009-06-05 | 2010-12-15 | 주식회사 쌍마기계 | Electric Steam Boiler with Automatic Water Supply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8821A (en) | 2014-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8671B1 (en) | Induction steam heating boiler | |
KR101372761B1 (en) | Steam boiler | |
KR101281697B1 (en) | Electric hot water/steam boiler | |
KR101939708B1 (en) | Electric hot water boiler | |
KR20110024746A (en) | Hot water boiler using heat medium | |
CN214468523U (en) | Quick steam generating device | |
KR20120015898A (en) | Waste Heat Recovery Machine for Boiler | |
KR101642351B1 (en) | boiler | |
KR101675550B1 (en) | Hot-water boiler using carbon heater | |
KR102530495B1 (en) | Double Heated Electric Boiler | |
CN208635336U (en) | A kind of heat conducting oil boiler | |
CN106679178A (en) | Electric heating system for heating roller | |
CN202692003U (en) | Full-automatic pressure and water level control steam generator | |
KR200451625Y1 (en) | Electric steam boiler | |
KR101870944B1 (en) | A clean steam boiler | |
KR20200035931A (en) | Hot water generator | |
CN104101084A (en) | Direct gas-fired liquid heating device | |
JP2016156594A (en) | Boiler system | |
CN210921335U (en) | Tube-in-tube fuel oil gas steam generator | |
JP5868810B2 (en) | Water heater | |
KR101485400B1 (en) | Heat and open generating steam device and method | |
KR20190141287A (en) | Hot water generator | |
US1052080A (en) | Automatic feed-water steam-generator. | |
KR101635193B1 (en) | Boiler | |
CN210951255U (en) | Horizontal boiler convenient to automatic water fee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