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715B1 - Tracheal tube - Google Patents
Tracheal tub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2715B1 KR101372715B1 KR1020120064729A KR20120064729A KR101372715B1 KR 101372715 B1 KR101372715 B1 KR 101372715B1 KR 1020120064729 A KR1020120064729 A KR 1020120064729A KR 20120064729 A KR20120064729 A KR 20120064729A KR 101372715 B1 KR101372715 B1 KR 1013727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baluns
- insertion tube
- conduits
- ballo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후두와 폐 사이의 기관강에 환기 삽입관을 고정하는 고정 위치를 수시로 바꿀 수 있도록 한 기관튜브가 개시된다. 기관 튜브는,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환기 삽입관; 및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환기 삽입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팽창될 때 환기 삽입관과 신체 내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발룬부;를 포함하고, 발룬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발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ndotracheal tube is disclosed which allows a frequent change of the fixation position for securing a ventilating cannula between the larynx and the lung. The tracheal tube includes a ventilation insertion tu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balun portion installed at one end of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so as to be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and the inside of the body when inflated. Each of th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baluns that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independent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호흡, 마취 등을 위해 기관(氣管; trachea) 내로 삽입되는 기관 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두와 폐 사이의 기관강(氣管腔)에 환기 삽입관(ventilation cannula)을 고정하는 고정 위치를 수시로 바꿀 수 있도록 한 기관 튜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heal tube inserted into a trachea for artificial respiration, anesthesia, and the like, and more specifically, a ventilation cannula in a tracheal cavity between the larynx and the lungs. It relates to a tracheal tube so that the fixing position to be fixed can be changed at any time.
일반적으로, 기관 튜브는 인공호흡, 마취 등을 위해 후두와 폐 사이의 기관강 내부로 삽입되는 환기 장치로서, 기관강 내부로 삽입되는 환기 삽입관, 및 환기 삽입관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커프(cuff) 또는 발룬(balloon)을 포함한다. In general, the tracheal tube is a ventilation device inserted into the tracheal cavity between the larynx and the lung for artificial respiration, anesthesia, and the like, a vent insertion tube inserted into the tracheal cavity, and a cuff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cuff) or balloon (balloon).
발룬은 통상 공기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된다. 발룬은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때 기관강, 예를 들면, 주기관지의 내벽과 접촉하여 환기 삽입관과 주기관지 사이의 공간을 차단함과 함께 환기 삽입관의 선단부를 주기관지의 내벽에 고정한다. 따라서, 환기 삽입관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인공호흡기를 통해 인공적으로 산소 공기를 폐 내부로 불어 넣을 때, 발룬은 폐 내부로 주입된 산소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The balloon is typically configured to expand or contract by the pressure of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injection. When the balloon is inflated by the pressure of air, the balloon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main bronchus, for example,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vent insertion tube and the main bronchus and fixes the tip of the vent insertion tube to the inner wall of the main bronchus. Therefore, when artificially blowing oxygen air into the lungs through a ventilato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the balun prevents oxygen air injected into the lungs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관 튜브는 통상 환기 삽입관의 선단부를 주기관지 내에 고정하기 위한 발룬이 하나만 구비된다. 따라서, 기관 튜브는 인공호흡 등의 응급조치를 위해 기관강에 삽관된 후 인공호흡이 불필요하여 환자의 기관으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하나의 발룬을 통해 주기관지의 내벽의 동일부위를 지속적으로 가압 자극하게 된다. 그 결과, 발룬과 접촉하는 주기관지의 부위는 맥관(vessel)을 통한 혈류순환이 방해되고, 그에 따라, 최저 혈류 공급, 경색증(infarction) 또는 해당 조직(tissue)의 사멸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 염증 반응에 의해 기관지 협착증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racheal tube is usually provided with only one balun for fixing the tip of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in the main bronchus. Therefore, the tracheal tube is inserted into the lumen of the trachea for emergency treatment such as artificial respiration, and the artificial respiration is unnecessary, so that the same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main bronchus is continuously stimulated through one balun until it is removed from the trachea of the patient. . As a result, the site of the main bronchus in contact with the balun interferes with the circulation of blood through the vessel, resulting in the lowest blood supply, infarction or death of the tissue and, in severe cases, the inflammatory response. This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bronchial stenosis.
이러한 맥락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적은 부피의 고압(low volume-high pressure) 발룬을 갖는 기관 튜브이다. 이러한 기관 튜브의 발룬은 수축된 상태에서 기관강의 지름에 미달하는 지름을 갖지만, 팽창된 상태에서는 보통의 경우 기관 밀폐를 위해 높은 압력으로 확장되어 맥관을 통한 혈류공급의 중단을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나의 발룬에 의해, 예를 들면, 일주일 이상의 장시간 동안 환기 삽입관의 선단부를 주기관지 내에 고정할 경우, 발룬에 인접한 조직과 구조들의 변성이 야기될 수 있다.Of particular concern in this context are tracheal tubes with low volume-high pressure baluns. The balloon of such tracheal tube has a diameter that is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tracheal cavity in the contracted state, but in the expanded state it can usually be extended to high pressure for tracheal closure, causing disruption of blood flow through the vessels. As a result, with one balun, for example, if the tip of the ventilating cannula is fixed in the main bronchus for a long time or longer, degeneration of tissues and structures adjacent to the balun can be caused.
따라서, 하나의 발룬에 의해 장시간 동안 환기 삽입관을 기관강에 고정할 때 발생하는 기관 및/또는 주기관지의 지속적인 가압 자극에 의한 혈류공급 차단 및 그에 따른 기관지협착증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기관 튜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refore, the use of a tracheal tube to prevent side effects such as blockage of blood flow due to continuous pressurization of the trachea and / or the main bronchus and subsequent bronchial stenosis caused by a single balloon with the ventilation lumen fixed to the bronchial cavity for a long time. Necessity is emerging.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후두와 폐 사이의 기관강에 환기 삽입관을 고정하는 고정 위치를 수시로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환기 삽입관을 기관강에 고정할 때 발생하는 기관 및/또는 주기관지의 지속적인 자극에 의한 혈류공급 차단 및 그에 따른 기관지협착증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도록 한 기관튜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fixing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to the tracheal cavity for a long time to be able to change the fixed position for fixing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to the tracheal cavity between the larynx and the lungs from time to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cheal tube to prevent side effects such as blockage of blood flow and subsequent bronchial stenosis caused by continuous stimulation of organs and / or main bronchus that occur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르면, 기관 튜브는,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환기 삽입관; 및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환기 삽입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팽창될 때 환기 삽입관과 신체 내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발룬부;를 포함하고, 발룬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발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tracheal tube,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balun portion installed at one end of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so as to be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and the inside of the body when inflated. Each of th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baluns that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independently.
복수 개의 발룬은 하나가 팽창된 상태에 유지될 때 나머지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aluns may be formed such that when one remains in an inflated state, the other remains in a contracted state.
또한, 복수 개의 발룬은 각각 팽창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신체 내부의 부위들이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aluns may be formed so that the parts inside the body contacting eac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expanded state do not overlap each other.
본 발명의 기관 튜브는 복수 개의 발룬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racheal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plurality of baluns.
이때, 공기주입부는 각각, 체크밸브가 배치된 제1 단부 및 복수 개의 발론의 각각과 연결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주입부는 각각, 복수 개의 도관에 배치되고 발룬 내부의 공기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공기압 감지 발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ir injec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its each having a first end having a check valve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alons. In this case, each of the air inj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ir pressure sensing balun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conduits and for checking the air pressure state inside the balun.
양호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발룬과 복수 개의 도관은 각각 2 개로 구성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aluns and the plurality of conduits may each consist of two.
선택적으로, 공기주입부는 체크밸브가 배치된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주 도관, 각각 복수 개의 발론과 연결된 제1 단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분기 도관, 및 주 도관의 제2 단부와 분기 도관들의 제2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주 도관의 제2 단부와 분기 도관들의 제2단부들 사이의 공기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공기방향 절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기주입부는 주 도관에 배치되고 발룬 내부의 공기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공기압 감지 발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air inlet comprises a main conduit having a first end with a check valve disposed therein, a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each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balons, and a second end of the main conduit and a second of the branch conduits. It may include an air direction switch disposed between the ends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air flow between the second end of the main conduit and the second ends of the branch conduits. In this case, the air injection unit may be disposed in the main conduit and may further include an air pressure sensing balun for checking the air pressure state inside the balloon.
양호한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발룬과 복수 개의 분기 도관은 각각 2 개로 구성되고, 공기방향 절환부는 삼방향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aluns and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each consist of two, and the air direction switch may be composed of a three-way valve.
본 발명의 기관 튜브에 의하면, 환기 삽입관의 일측 단부, 즉, 선단부를 기관강에 고정하는 발룬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발룬으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tracheal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that is, the baluns for fixing the distal end portion to the tracheal cavity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luns that can be independently expanded or contracted.
따라서, 본 발명의 기관 튜브는 복수 개의 발룬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번갈아 팽창되도록 작동하는 것에 의해 환기 삽입관을 후두와 폐 사이의 기관강에 고정하는 고정 위치를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바꿀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기관 튜브와 같이 하나의 발룬에 의해 장시간 동안 환기 삽입관을 기관강에 고정할 때 발생하는 기관 및/또는 주기관지의 지속적인 자극에 의한 혈류공급 차단 및 그에 따른 기관지협착증 같은 부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Thus, the tracheal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or periodically to secure the ventilating cannula to the tracheal cavity between the larynx and the lungs by operating the plurality of baluns to inflate frequently or periodically. As a result, side effects such as blockage of blood flow due to continuous stimulation of the trachea and / or main bronchus, which occur when the ventilating cannula is fixed to the bronchial cavity for a long time by a balun like a conventional tracheal tube, are prevented.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관 튜브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기관 튜브의 제1 및 제2 발론의 동작을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관 튜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rachea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lons of the tracheal tube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ngine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관 튜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racheal tub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관 튜브(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 a tracheal tub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기관 튜브(1)는, 인공호흡, 마취 등을 위해 후두와 폐 사이의 기관강 내부로 삽입되는 환기 장치로서, 환기 삽입관(10), 발룬부(20), 공기주입부(30)를 포함한다.The tracheal tub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ntilation device inserted into the tracheal cavity between the larynx and the lung for artificial respiration, anesthesia, and the like, and includes a
환기 삽입관(10)은 기관강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일정 각도, 예를 들면, 약 90°의 각도로 만곡 형성된다. 환기 삽입관(10)은 약 90°의 각도로 만곡 형성되므로, 환자의 기관 내에 삽입되었을 때 기관 내벽에 닿지 않아 환자의 기관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러한 환기 삽입관(10)은 PVC(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될 수 있다. The
환기 삽입관(10)이 기관강 내부로 삽입될 때 신체 외부에 위치되는 환기 삽입관(10)의 후단부에는 환기 삽입관(10)이 기관강 내부로 완전히 빠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11)가 설치된다. At the rear end of the
발룬부(20)는 환기 삽입관(10)이 신체의 기관강 내부로 삽입될 때, 예를 들면, 주기관지(5; 도 2a 및 도 2b 참조) 까지 삽입되는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삽입방향 기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공기주입부(3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된다. The
발룬부(20)는 팽창될 때 주기관지(5)의 내벽과 접촉하여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지(5)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밀폐함과 함께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한다. 따라서, 환기 삽입관(10)의 후단부(환기 삽입관(10)의 삽입방향 기준)의 지지부(11)에 연결되는 인공호흡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인공적으로 산소 공기를 폐 내부로 불어 넣을 때, 발룬부(20)는 폐 내부로 주입되는 산소 공기가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지(5)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The
이러한 발룬부(20)는 본 발명에 따라 후두와 폐 사이의 기관강에 환기 삽입관(10)을 고정하는 고정 위치를 수시로 바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발룬(21, 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발룬(21, 23)은 환기 삽입관(10)의 선탄부를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하기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21 또는 23)가 팽창된 상태에 유지될 때 나머지(23 또는 21)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본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발룬(21, 23)은 제1 발룬(21), 및 제2 발룬(23)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룬(21, 23)은 각각, 공기주입부(3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주기관지(5)의 내벽의 부위들(P1, P2)이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발룬(21)은 팽창된 상태(도 2a)에서 외주면이 주기관지(50)의 내벽의 제1 부위(P1)와 접촉하도록 환기 삽입관(10)의 후단부의 단부팁에 가까운 지점에 설치되고, 제2 발룬(23)은 팽창된 상태(도 2b)에서 외주면이 주기관지(5)의 내벽의 제2 부위(P2)와 접촉하도록 제1 발룬(21) 보다 환기 삽입관(10)의 후단부의 단부팁에서부터 더 떨어진 지점에서 제1 발룬(21)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first and
따라서, 제1 및 제2 발룬(21, 23)은 아래의 기관 튜브(1)의 사용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주입부(30)를 통해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번갈아 팽창되도록 작동됨으로서 주기관지(5)의 내벽에 대한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의 고정 위치를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바꿀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기관 튜브와 같이 하나의 발룬에 의해 장시간 동안 환기 삽입관(10)을 기관강에 고정할 때 발생하는 기관 및/또는 주기관지의 지속적인 자극에 의한 혈류공급 차단 및 그에 따른 기관지협착증 같은 부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and
이러한 제1 및 제2 발룬(21, 23)은 PVC를 사용하여 압출 블로우몰딩(extrusion blowmolding)하거나 폴리우레탄 또는 라텍스 용액에 계란 또는 구형의 숫형 금형을 담근 후 경화시키는 디핑법(dipping process)에 의해 형성한 후 형성된 발룬들을 접착제로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공기주입부(30)는 복수 개의 발룬(21, 23)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발룬(21, 23)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도관(31, 33)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도관(31, 33)은 제1 및 제2 발룬(21, 23)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도관(31, 33)을 포함한다The
제1 및 제2 도관들(31, 33)의 각각은 절반 이상이 환기 삽입관(10)의 내벽에 설치되고, 나머지가 환기 삽입관(10)의 뒷부분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환기 삽입관(10)이 기관강 내부로 삽입될 때 신체 외부에 위치된다. 이때, 환기 삽입관(10)의 내벽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도관(31, 33)의 부분들은 환기 삽입관(10) 내에 환기 삽입관(10)과 함께 압출 성형된 통로 형태로 형성되고, 환기 삽입관(10)의 뒷부분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제1 및 제2 도관(31, 33)의 부분들은 상기 압출성형된 통로에 연결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At least half of each of the first and
또한, 제1 및 제2 도관들(31, 33)의 각각은 후단부에는 일방향 밸브 또는 체크밸브(35)가 설치되고 선단부에는 대응하는 제1 및 제2 발룬(21, 23)의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 체크밸브들(35)은 공압 체크밸브로서 실린지와 같은 외부의 공기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 도관들(31, 33)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1 및 제2 도관들(31, 33)로부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제1 및 제2 발룬(21, 23) 내부의 공기압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주입부(30)는 복수 개의 공기압 감지 발룬(36, 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be able to check the air pressure state inside the first and
본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공기압 감지 발룬(36, 37)은 제1 및 제2 발룬(21, 23)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공기압 감지 발룬(36, 37)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air
제1 및 제2 공기압 감지 발룬(36, 37)은 각각, 제1 및 제2 도관(31, 33)의 후단부의 체크밸브들(3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공기압 감지 발룬(36, 37)은 각각, 체크밸브들(35)과 별도로 형성되어 체크밸브들(35)과 제1 및 제2 도관(31, 33)의 후단부 사이에 연결되거나 체크밸브들(35)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도관(31, 33)의 후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air
따라서, 제1 및 제2 공기압 감지 발룬(36, 37)은 외부의 공기공급장치에서 제1 및 제2 도관들(31, 33)의 체크밸브들(36)을 통해 제1 및 제2 발룬(21, 23)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때 제1 및 제2 발룬(21, 23)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압에 연동하여 팽창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공기압 감지 발룬(35, 37)의 팽창 정도에 따라 외부에서 제1 및 제2 발룬(21, 23) 내부의 공기압의 적정 유무가 판단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ai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관 튜브(1)는 발룬부(20)가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하나의 고정지점, 즉,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발룬(21, 23)을 포함하는 것으로만,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룬부(20)는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두 개 이상의 고정지점, 예를 들면, 주기관지(5)의 내벽과 기관(도시하지 않음)의 내벽에 고정할 경우,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발룬(21,23)으로 구성되는 제1 발룬 군, 및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기관의 내벽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발룬(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 제2 발룬 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발룬 군의 복수 개의 발룬은 상술한 복수 개의 발룬(21, 23)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tracheal tub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관 튜브(1)를 인공호흡 등을 위해 기관강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method of fixing the tracheal tub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fixed to the tracheal cavity for artificial respiration, as follows.
먼저, 환기 삽입관(10)은 후두경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선단부가 주기관지(5)의 내벽에 도달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환기 삽입관(10)은 선단부가 주기관지(5)의 내벽에 도달할 때 지지부(11)에 의해 기관 내부로 완전히 빠져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First, the
이후, 도 2a에 도시된 바 같이, 제1 발룬(21)을 사용하여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 외부의 공기공급장치는 제1 도관(31)을 통해 제1 발룬(21)에 적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1 도관(31)의 체크밸브(35)와 연결된다. 그 결과, 제1 발룬(21)은 주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초기 수축상태에서 외주면이 주기관지(5)의 내벽의 제1 부위(P1)와 접촉하는 팽창상태로 팽창된다. 따라서, 제1 발룬(21)은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기(5)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밀폐함과 함께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5) 내에 고정한다. 이때, 제2 발룬(23)은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지 않고 수축된 초기 상태로 유지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A,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이 상태에서, 인공호흡기는 환기 삽입관(10)의 후단부의 지지부(11)에 연결되어 환기 삽입관(10)을 통해 폐 내부로 산소 공기를 지속적으로 불어 넣는다. 이때, 제1 발룬(21)은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5)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폐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가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5)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In this state, the ventilator is connected to the
이후, 일정 시간, 예를 들면, 수 시간 내지 수 일이 경과하여, 주기관지(5)의 내벽에 대한 제1 발룬(21)의 지속적인 가압 자극에 의해 최저 혈류공급 또는 혈류공급 차단, 경색증, 또는 해당 조직의 사멸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기관지협착증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 같이,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의 고정위치, 즉,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제1 발룬(21)을 사용하여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하던 것을 제2 발룬(23)을 사용하여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하는 것으로 바꾸기 위해, 외부의 공기공급장치는 제2 도관(33)을 통해 제2 발룬(23)에 적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2 도관(33)의 체크밸브(36)와 연결된다. 그 결과, 제2 발룬(23)은 주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초기 수축상태에서 외주면이 주기관지(5)의 내벽의 제2 부위(P2)와 접촉하는 팽창상태로 팽창된다. 따라서, 제2 발룬(23)은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지(50)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밀폐함과 함께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한다. Subsequent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the lowest blood supply or blood supply blockage, infarction, or the corresponding by continuous pressure stimulation of the
이어서, 제1 도관(31)의 체크밸브(36)는 제1 발룬(21) 내의 공기를 제1 도관(31)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개방된다. 그 결과, 제1 발룬(21)은 팽창상태에서 수축상태로 수축된다. 이때, 제2 발룬(23)은 제1 발룬(21)을 대신하여 인공호흡기에 의해 폐 내부로 주입되는 산소 공기가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지(5)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The
이후, 다시 수시간이 경과하면,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의 고정위치, 즉,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제2 발룬(23)을 사용하여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하던 것을 제1 발룬(21)을 사용하여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하는 것으로 바꾸기 위해, 제1 발룬(21)은 위에서 도 2a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지(5)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밀폐함과 함께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한다.Then, after several hours have elapsed, the fixed posi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이어서, 제2 도관(33)의 체크밸브(35)는 제2 발룬(23) 내의 공기를 제2 도관(33)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개방된다. 그 결과, 제2 발룬(23)은 팽창상태에서 수축상태로 수축된다. The
이후, 다시 수 시간 내지 수 일이 경과하면,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의 고정위치를 바꾸기 위해, 위에서 도 2b와 관련하여 설명한 동작을 반복한다. Then, after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in order to change the fixed posi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이러한 동작은 환자의 인공호흡이 불필요하여 기관 튜브(1)가 기관강으로부터 제거될 때 까지 반복된다.This operation is repeated until the patient's ventilation is not necessary and the tracheal tube 1 is removed from the tracheal cavit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룬(21, 23)은 공기주입부(30)를 통해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번갈아 팽창되도록 작동됨으로서 주기관지(5)의 내벽에 대한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의 고정 위치를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바꿀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기관 튜브와 같이 하나의 발룬에 의해 장시간 동안 환기 삽입관(10)을 기관강에 고정할 때 발생하는 기관의 지속적인 자극에 의한 혈류공급 차단 및 그에 따른 기관지협착증 같은 부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관 튜브(1)는 공기주입부(30)가 복수 개의 발룬(31, 33)을 각각 별도로 외부의 공기공급장치와 연결하는 복수 개의 도관(31, 33)으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발룬(21, 23)을 하나로 묶어서 외부의 공기공급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공기주입부(30')는 주 도관(39), 복수 개의 분기 도관(31', 33'), 및 공기방향 절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tracheal tub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주 도관(39)은 후단부에서 일방향 밸브 또는 체크밸브(35')가 배치된다. 체크밸브(35')는 공압 체크밸브로서 실린지와 같은 외부의 공기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주 도관(39)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주 도관(39)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The
복수 개의 분기 도관(31', 33')은 각각 제1 및 제2 발룬(21, 23)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분기 도관(31', 33')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제1 및 제2 분기 도관(31', 33')은 대부분이 환기 삽입관(10)의 내벽에 설치되고, 나머지가 환기 삽입관(10)의 뒷부분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환기 삽입관(10)의 내벽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분기 도관(31', 33')의 부분들은 환기 삽입관(10) 내에 환기 삽입관(10)과 함께 압출 성형된 통로 형태로 형성되고, 환기 삽입관(10)의 뒷부분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제1 및 제2 분기 도관(31', 33')의 부분들은 상기 압출성형된 통로에 연결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분기 도관(31', 33')는 각각, 선단부에서 복수 개의 발론(21, 23)과 연결되고, 후단부에서 공기방향 절환부(40)에 의해 주 도관(39)의 선단부에 합체하여 연결된다. Most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conduits 31 ', 33' ar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공기방향 절환부(40)는 주 도관(39)의 선단부와 제1 및 제2 분기 도관(31', 33')의 후단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주 도관(39)의 선단부와 제1 및 제2 분기 도관(31', 33')의 후단부들 사이의 공기유동 방향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공기방향 절환부(40)는 제1 스위칭위치와 제2 스위칭 위치로 절환될 수 있는 삼방향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칭위치는 제1 발룬(21)을 팽창시켜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10)의 내벽에 고정하기 위해 주 도관(39)의 선단부와 제1 분기 도관(31')의 후단부 사이의 공기유동을 허용하는 위치이고, 제2 스위칭 위치는 제2 발룬(31)을 팽창시켜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10)의 내벽에 고정하기 위해 주 도관(39)의 선단부와 제2 분기 도관(33')의 후단부 사이의 공기유동을 허용하는 위치이다. The air direction switch 40 is disposed between the leading end of the
따라서, 제1 발룬(21)을 사용하여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10의 내벽의 제1 부위(P1)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 공기방향 절환부(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스위칭위치로 절환되고, 외부의 공기공급장치는 주 도관(39)과 제1 분기 도관(31')을 통해 제1 발룬(21)에 적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도록 주 도관(39)의 체크밸브(35')와 연결된다. 그 결과, 제1 발룬(21)은 주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외주면이 주기관지(10)의 내벽의 제1 부위(P1)와 접촉하지 않는 수축상태에서 외주면이 주기관지(10)의 내벽의 제1 부위(P1)와 접촉하는 팽창상태로 팽창된다. 따라서, 제1 발룬(21)은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지(5)의 내벽의 제1 부위(P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함과 함께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한다. Therefore,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또한, 제2 발룬(23)을 사용하여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5)의 내벽의 제2 부위(P2)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 먼저, 공기방향 절환부(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스위칭위치로 절환된다. 그 다음, 외부의 공기공급장치는 주 도관(39)과 제2 분기 도관(33')을 통해 적정 압력의 공기가 제2 발룬(23) 내부로 주입되도록 다시 주 도관(39)의 체크밸브(35')와 연결된다. 그 결과, 제2 발룬(23)은 주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외주면이 주기관지(5)의 내벽의 제2 부위(P2)와 접촉하지 않는 수축상태에서 외주면이 주기관지(5)의 내벽의 제2 부위(P2)와 접촉하는 팽창상태로 팽창된다. 따라서, 제2 발룬(23)은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와 주기관지(5)의 내벽의 제2 부위(P2) 사이의 공간을 밀폐함과 함께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를 주기관지(5)의 내벽에 고정한다. In addition,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이어서, 공기방향 절환부(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스위칭위치로 절환된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공급장치는 주 도관(39)의 체크밸브(35')로부터 분리되고, 주 도관(39)의 체크밸브(35')는 제1 발룬(21) 내의 공기가 주 도관(39)과 제1 분기 도관(31')을 통해 제거되도록 오픈된다. 그 결과, 제1 발룬(21)은 팽창상태에서 수축상태로 수축된다. Subsequently, the air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발룬(21, 23)은 공기주입부(30')를 통해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번갈아 팽창되도록 작동됨으로서 주기관지(5)의 내벽에 대한 환기 삽입관(10)의 선단부의 고정 위치를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바꿀 수 있다. As such, the first and
외부의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제1 또는 제2 발룬(21, 또는 23)에 공기를 주입할 때 제1 및 제2 발룬(21, 23) 내부의 공기압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주입부(30')는 주 도관(39)의 후단부(환기 삽입관(10)의 삽입방향 기준)에 배치되고 발룬 내부의 공기압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압 감지 풍선(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or
이상에서, 본 발명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all reasonable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to the present invention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기관 튜브 10: 환기 삽입관
20: 발룬부 21, 23: 발룬
30: 공기주입부 31 33: 도관
31', 33': 분기 도관 35, 35': 체크밸브
36, 36', 37: 공기압 감지 발룬 39: 주 도관
40: 공기방향 절환부1: tracheal tube 10: ventilation insertion tube
20:
30:
31 ', 33':
36, 36 ', 37: air pressure sensing balun 39: main conduit
40: air direction switch
Claims (10)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환기 삽입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팽창될 때 상기 환기 삽입관과 상기 신체 내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발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룬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발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발룬은 공기주입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공기주입부는 체크밸브가 배치된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주 도관; 각각 상기 복수 개의 발론과 연결된 제1 단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분기 도관; 및 상기 주 도관의 제2 단부와 상기 분기 도관들의 제2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주 도관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분기 도관들의 상기 제2단부들 사이의 공기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공기방향 절환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튜브.
A ventilation insertion tu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so that it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when expanded the balun portion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ventilation insertion tube and the inside of the body;
The baluns each include a plurality of baluns that can be independently expanded or contracted, the plurality of baluns are supplied with air through the air injection,
The air inlet comprises: a main conduit having a first end at which a check valve is disposed; A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each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with the plurality of balons; And an air direction section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nd of the main conduit and the second ends of the branch conduits and controlling an airflow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end of the main conduit and the second ends of the branch conduits. Tracheal tub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복수 개의 발룬은 하나가 팽창된 상태에 유지될 때 나머지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튜브.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plurality of baluns are formed such that when one remains in an inflated state, the other remains in a constricted state.
상기 복수 개의 발룬은 각각 팽창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신체 내부의 부위들이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튜브.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balloon is a tracheal tub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expanded state so that the parts inside the body in contact with each outer peripheral surface do not overlap.
상기 공기주입부는 각각, 체크밸브가 배치된 제1 단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발론의 각각과 연결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튜브.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air injection por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conduits each having a first end at which a check valve is disposed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alons.
상기 공기주입부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도관에 배치되고 발룬 내부의 공기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공기압 감지 발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튜브.6. The method of claim 5,
The air injection unit, each of the tracheal tube i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conduits and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air pressure sensing balloon for checking the air pressure state inside the balloon.
상기 복수 개의 발룬은 2 개의 발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도관은 2 개의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튜브.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baluns includes two baluns,
And said plurality of conduits comprises two conduits.
상기 공기주입부는 상기 주 도관에 배치되고 발룬 내부의 공기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공기압 감지 발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튜브.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inlet is disposed in the main conduit and the engine tube further comprises an air pressure sensing balloon for checking the air pressure state inside the balloon.
상기 복수 개의 발룬은 2 개의 발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기 도관은 2 개의 분기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방향 절환부는 삼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튜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baluns includes two baluns,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comprises two branch conduits,
The air direction switch is a tracheal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ee-way val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4729A KR101372715B1 (en) | 2012-06-18 | 2012-06-18 | Tracheal tub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4729A KR101372715B1 (en) | 2012-06-18 | 2012-06-18 | Tracheal tub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41773A KR20130141773A (en) | 2013-12-27 |
KR101372715B1 true KR101372715B1 (en) | 2014-03-11 |
Family
ID=4998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47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2715B1 (en) | 2012-06-18 | 2012-06-18 | Tracheal tub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271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5855B1 (en) * | 2018-08-30 | 2021-02-16 | (주)리젠케어 | Intubation tub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3651U (en) * | 1991-12-24 | 1993-07-20 |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 Balloon catheter for mounting medical devices |
JPH11267222A (en) * | 1998-03-19 | 1999-10-05 | Sumitomo Bakelite Co Ltd | Airway securing tool for emergency anabiosis |
KR20000006713A (en) * | 1999-10-20 | 2000-02-07 | 한송욱 | pressure controller of endotracheal intubation tube cuff |
JP2000237314A (en) * | 1999-02-16 | 2000-09-05 | Sophia Kai Miyata Naika Iin | Intra-trachea tube |
-
2012
- 2012-06-18 KR KR1020120064729A patent/KR1013727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3651U (en) * | 1991-12-24 | 1993-07-20 |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 Balloon catheter for mounting medical devices |
JPH11267222A (en) * | 1998-03-19 | 1999-10-05 | Sumitomo Bakelite Co Ltd | Airway securing tool for emergency anabiosis |
JP2000237314A (en) * | 1999-02-16 | 2000-09-05 | Sophia Kai Miyata Naika Iin | Intra-trachea tube |
KR20000006713A (en) * | 1999-10-20 | 2000-02-07 | 한송욱 | pressure controller of endotracheal intubation tube cuf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41773A (en) | 2013-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7621B2 (en) | Dual lumen endobronchial tube device | |
US7121280B2 (en) |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selectively and alternately isolating bronchi or lungs | |
EP1814620B1 (en) | Secretion clearing ventilation catheter and airway management system | |
US8978657B2 (en) | Dual-lumen tracheal tube with shaped lumen divider | |
US8584678B2 (en) | Medical tubes for selective mechanical ventilation of the lungs | |
US7694681B2 (en) | Variable size endotracheal tube | |
US10625037B2 (en) | Intubating airway device | |
US20130047992A1 (en) | Endotracheal tube comprising corrugated cuff | |
US20120180791A1 (en) | Ventilator Attachment Fitting Usable on an Endotracheal Tube Having an Integrally Formed Suction Lumen and Method of Making And/Or Using the Same | |
US20130025602A1 (en) | Tracheal tube positioning devices and methods | |
CN204181987U (en) | A kind of single chamber four bag bronchial catheter | |
US20200030557A1 (en) | Medical tubes for selective mechanical ventilation of the lungs | |
KR101213030B1 (en) | The endotracheal tube comprising sealing cuffs | |
KR101372715B1 (en) | Tracheal tube | |
CN208481837U (en) | A kind of air bag expansion formula trachea cannula | |
US20210052840A1 (en) | Tracheal tube | |
CN220530066U (en) | Bronchus obstruction device | |
KR101647972B1 (en) | Endotracheal tube | |
CN210078522U (en) | Formula of can letting out trachea shutoff type trachea cannula | |
CN207785616U (en) | Flexible air flue guide-tube structure and laryngeal mask device for laryngeal mask device | |
CN222777525U (en) | A visual single-lumen endobronchial tube | |
CN208989952U (en) | Trachea and bronchus oxygen supplying tube | |
KR20200025381A (en) | Intubation tube | |
CN201012219Y (en) | Large balloon small inner diameter anesthesia endotracheal tube | |
KR101208731B1 (en) | Endotracheal Tube Comprising Corrugated Cuf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903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30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