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1719B1 - 차량의 연료 필터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719B1
KR101371719B1 KR1020110130845A KR20110130845A KR101371719B1 KR 101371719 B1 KR101371719 B1 KR 101371719B1 KR 1020110130845 A KR1020110130845 A KR 1020110130845A KR 20110130845 A KR20110130845 A KR 20110130845A KR 101371719 B1 KR101371719 B1 KR 101371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tration
filter
water
filtration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301A (ko
Inventor
정장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
Priority to KR102011013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719B1/ko
Priority to JP2012074512A priority patent/JP2013119849A/ja
Priority to US13/487,796 priority patent/US20130146522A1/en
Priority to CN2012102161475A priority patent/CN103161628A/zh
Priority to DE102012108464A priority patent/DE102012108464A1/de
Publication of KR2013006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3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by the filter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 바이오 디젤 연료나 조악 연료 등이 주유되는 경우에도 연료 중의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및 연료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연료 필터{FUEL FIL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 디젤이나 조악 연료에 대응하여 연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유가 상승 및 석유자원의 감소 등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대체 에너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차량에서도 종전의 디젤 연료인 경유에 바이오 디젤의 혼합량을 점차 높여가려고 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바이오 디젤 연료는 수분과의 응집력이 종전의 경유 등에 비하여 강하여 연료필터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와 같이 연료 중의 수분이 충분히 분리되지 못한 상태로 엔진으로 공급되면, 연료시스템 및 엔진의 각종 작동부에 부식이 초래되고 내마모성이 약화되어 엔진과 연료시스템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현상은 조악 연료가 주유되는 경우에도 발생하는 바, 이러한 바이오 디젤 연료나 조악 연료가 주유되는 경우에도 수분을 연료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8-0071654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이오 디젤 연료나 조악 연료 등이 주유되는 경우에도 연료 중의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및 연료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연료 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연료 필터는
공급되는 연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친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여과부와;
상기 제1여과부를 통과한 연료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1여과부를 통과한 수분의 통과는 억제하는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여과부와;
상기 제2여과부를 통과한 연료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2여과부를 통과한 수분의 통과를 억제하는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3여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이오 디젤 연료나 조악 연료 등이 주유되는 경우에도 연료 중의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및 연료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필터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연료 필터 내부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연료 필터의 각 구성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의 연료 필터는, 공급되는 연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친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여과부(1)와;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한 연료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한 수분의 통과는 억제하는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여과부(3)와; 상기 제2여과부(3)를 통과한 연료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2여과부(3)를 통과한 수분의 통과를 억제하는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3여과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연료필터로 공급되는 연료가 친수성 소재의 제1여과부(1)를 통과한 후 방수성 소재의 제2여과부(3) 및 제3여과부(5)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제1여과부(1)에서 수분의 크기가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연료와 수분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한 상태에서 방수성 소재인 상기 제2여과부(3) 및 제3여과부(5)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중의 수분이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연료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여과부(3)는 제1차단판(7)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여과부(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한 연료가 상기 제1차단판(7)을 지나 상기 제1여과부(1)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여과부(3)를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여과부(5)는 상기 제2여과부(3)를 통과한 연료가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2여과부(3)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한 연료 및 수분을 하측으로 유동시키다가 상기 연료의 유동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제1여과부(1)의 하측에 상기 제2여과부(3) 및 제3여과부(5)를 배치함으로써, 연료로부터 입자크기가 커진 수분이 하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고 연료만 상기 제2여과부(3) 및 제3여과부(5)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여과부(3)에서 여과하지 못한 수분을 재차 분리하도록 상기 제3여과부(5)를 상기 제2여과부(3)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한다.
상기 제2여과부(3) 및 제3여과부(5)의 하측에는 제2차단판(9)으로 격리되어 연료로부터 분리된 수분을 저장하였다가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분집합실(11)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여과부(1)는 중공의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 친수성여과지로 구성되어, 상기 연료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여과부(3)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수성그물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3여과부(5)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3여과부(5)는 중공의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 방수성여과지로 구성되어, 상기 연료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제1여과부(1) 및 제2여과부(3)의 외측을 감싸는 필터케이스(13)와 상기 제1차단판(7) 사이에는 연료 및 수분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여과부(3)와 상기 필터케이스(13) 사이에는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하면서 크기가 증대된 수분이 하측의 수분집합실(11)로 분리되고 연료만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분리되는 제1수분리틈새(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여과부(3)와 제3여과부(5) 사이에는 상기 제2여과부(3)를 통과한 수분이 하측으로 분리되고 연료만 상기 제3여과부(5)를 통과하도록 하는 제2수분리틈새(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판(9)에는 상기 제1수분리틈새(15)에서 분리된 수분을 상기 수분집합실(11)로 드레인시키는 통로를 상기 필터케이스(13)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돌출된 드레인돌기(19)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분리틈새(17)에서 분리된 수분을 상기 수분집합실(11)로 드레인시키는 드레인홀(21)이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제2차단판(9)과 상기 필터케이스(13) 사이에는 상기 필터케이스(13)에 대하여 상기 제2차단판(9)을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3)이 설치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스프링(23)의 탄성력이 상기 제2여과부(3) 및 제3여과부(5)와 상기 제1차단판(7)을 거쳐 상기 제1여과부(1)에까지 영향을 주게 되어, 상기 필터케이스(13) 내의 상기 부품들이 모두 상기 탄성력에 의해 안정된 지지상태를 가지게 됨은 물론, 각 부품들간 적절한 기밀성이 확보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차량의 연료 필터는 도 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유입구(27)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상기 친수성 소재의 제1여과부(1)를 통과하면서 수분의 입자 크기를 크게 증대시켜서 상대적으로 연료로부터 분리되기 쉽게 한 후, 상기 연료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방수성 소재의 상기 제2여과부(3) 및 제3여과부(5)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연료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완전히 하측의 수분집합실(11)로 드레인되도록 하고, 상기 제3여과부(5)를 통과하여 완전히 여과된 연료는 중앙의 코어통로(25)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하면서 유출구(29)를 통해 배출되어 궁극적으로 엔진으로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제1여과부
3; 제2여과부
5; 제3여과부
7; 제1차단판
9; 제2차단판
11; 수분집합실
13; 필터케이스
15; 제1수분리틈새
17; 제2수분리틈새
19; 드레인돌기
21; 드레인홀
23; 지지스프링
25; 코어통로
27; 유입구
29; 유출구

Claims (8)

  1. 공급되는 연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친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여과부(1)와;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한 연료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한 수분의 통과는 억제하는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여과부(3)와;
    상기 제2여과부(3)를 통과한 연료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2여과부(3)를 통과한 수분의 통과를 억제하는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3여과부(5);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여과부(1)는 중공의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 친수성여과지로 구성되어, 상기 연료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여과부(3)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수성그물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3여과부(5)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3여과부(5)는 중공의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 방수성여과지로 구성되어, 상기 연료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부(3)는 제1차단판(7)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여과부(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한 연료가 상기 제1차단판(7)을 지나 상기 제1여과부(1)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여과부(3)를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여과부(5)는 상기 제2여과부(3)를 통과한 연료가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2여과부(3)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여과부(3) 및 제3여과부(5)의 하측에는 제2차단판(9)으로 격리되어 연료로부터 분리된 수분을 저장하였다가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분집합실(11)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터.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1) 및 제2여과부(3)의 외측을 감싸는 필터케이스(13)와 상기 제1차단판(7) 사이에는 연료 및 수분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여과부(3)와 상기 필터케이스(13) 사이에는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하면서 크기가 증대된 수분이 하측의 수분집합실(11)로 분리되고 연료만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분리되는 제1수분리틈새(15)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부(3)와 제3여과부(5) 사이에는 상기 제2여과부(3)를 통과한 수분이 하측으로 분리되고 연료만 상기 제3여과부(5)를 통과하도록 하는 제2수분리틈새(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판(9)에는 상기 제1수분리틈새(15)에서 분리된 수분을 상기 수분집합실(11)로 드레인시키는 통로를 상기 필터케이스(13)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돌출된 드레인돌기(19)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분리틈새(17)에서 분리된 수분을 상기 수분집합실(11)로 드레인시키는 드레인홀(21)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판(9)과 상기 필터케이스(13) 사이에는 상기 필터케이스(13)에 대하여 상기 제2차단판(9)을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3)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1)를 통과한 연료 및 수분을 하측으로 유동시키다가 상기 연료의 유동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제1여과부(1)의 하측에 상기 제2여과부(3) 및 제3여과부(5)를 배치하고;
    상기 제2여과부(3)에서 여과하지 못한 수분을 재차 분리하도록 상기 제3여과부(5)를 상기 제2여과부(3)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터.
KR1020110130845A 2011-12-08 2011-12-08 차량의 연료 필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371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45A KR101371719B1 (ko) 2011-12-08 2011-12-08 차량의 연료 필터
JP2012074512A JP2013119849A (ja) 2011-12-08 2012-03-28 車両の燃料フィルター
US13/487,796 US20130146522A1 (en) 2011-12-08 2012-06-04 Fuel filter for vehicle
CN2012102161475A CN103161628A (zh) 2011-12-08 2012-06-27 用于车辆的燃料过滤器装置
DE102012108464A DE102012108464A1 (de) 2011-12-08 2012-09-11 Kraftstofffilter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45A KR101371719B1 (ko) 2011-12-08 2011-12-08 차량의 연료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301A KR20130064301A (ko) 2013-06-18
KR101371719B1 true KR101371719B1 (ko) 2014-03-10

Family

ID=4846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8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1719B1 (ko) 2011-12-08 2011-12-08 차량의 연료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46522A1 (ko)
JP (1) JP2013119849A (ko)
KR (1) KR101371719B1 (ko)
CN (1) CN103161628A (ko)
DE (1) DE102012108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126B1 (ko) * 2015-06-12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필터
WO2019084440A1 (en) * 2017-10-27 2019-05-02 Cummins Filtration Ip, Inc. INTEGRATED MODULE WITH STAGE ONE AND TWO STAGE FILTERS COMBINED IN A SINGLE HOU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537A (ko) * 2005-02-08 2007-10-18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연료 필터 시스템
US20100314303A1 (en) * 2009-06-16 2010-12-16 Mann+Hummel Gmbh Three-stage fuel filter
JP4709893B2 (ja) * 2005-04-02 2011-06-29 マーレ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フィル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1441A1 (de) * 1988-04-06 1989-10-26 Karl Poetz Separatorelement
EP1606037B1 (de) * 2003-03-21 2011-12-28 MANN+HUMMEL GmbH Filtersystem für kraftstoff
KR101129713B1 (ko) 2010-05-28 2012-03-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을 깊이에 따라 계층별로 분리하여 히스토그램 매칭을 하는 다시점 영상의 조명보상 방법 및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537A (ko) * 2005-02-08 2007-10-18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연료 필터 시스템
JP4709893B2 (ja) * 2005-04-02 2011-06-29 マーレ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フィルター
US20100314303A1 (en) * 2009-06-16 2010-12-16 Mann+Hummel Gmbh Three-stage fuel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6522A1 (en) 2013-06-13
CN103161628A (zh) 2013-06-19
JP2013119849A (ja) 2013-06-17
KR20130064301A (ko) 2013-06-18
DE102012108464A1 (de)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76766A5 (ko)
JP5866382B2 (ja) フィルタ部品
CN102893015A (zh) 一种改进的内燃机过滤器组
CN103599649A (zh) 油水分离滤芯及高效燃油过滤装置
US201602009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and impurities from fuel oil
KR101371719B1 (ko) 차량의 연료 필터
KR101355943B1 (ko) 상부 유입구가 형성된 초기우수 저류조
CN203212356U (zh) 无动力油水分离装置
CN205663549U (zh) 一种耐用过滤型燃油滤清器
CN103089751A (zh) 一种改进的油过滤器
CN202927340U (zh) 过滤式分水器
KR20200116397A (ko) 유수분리 시스템
CN105330043A (zh) 一种雨水过滤装置
US20130062291A1 (en) Re-Entrainment Reduction Structure For Fluid Filter Assembly
CN204226178U (zh) 水泵扩散器
CN202315496U (zh) 内源自清洗滤元过滤装置
CN203540170U (zh) 一种过滤器
CN104653370A (zh) 精密燃油滤清器
CN202360515U (zh) 一种改进的油过滤器
CN202933541U (zh) 弹性过滤装置
CN103239932A (zh) 一种节油滤油器
CN105363243A (zh) 一种油水分离器
CN203842396U (zh) 一种搭配型复合滤芯
CN213270098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CN203114759U (zh) 一种应用于挖掘装载机的二次沉淀液压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