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686B1 - Simple access connector - Google Patents
Simple access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1686B1 KR101371686B1 KR1020120140503A KR20120140503A KR101371686B1 KR 101371686 B1 KR101371686 B1 KR 101371686B1 KR 1020120140503 A KR1020120140503 A KR 1020120140503A KR 20120140503 A KR20120140503 A KR 20120140503A KR 101371686 B1 KR101371686 B1 KR 101371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fiber
- holder frame
- housing
- coupled
- holl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17 pol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74 seb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02B6/3879—Linking of individual connector plugs to an overconnector, e.g. using clamps, clips, common housings comprising several individual connector plu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플 엑세스 커넥터는 제1중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중공내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측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어 상기 부트의 상기 제2중공을 통해 상기 홀더 프레임 내부로 삽입된 베어 광섬유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홀더 프레임에 대해 가압상태로 장착 및 가압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스플라이스 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게 노출되는 상기 홀더 프레임과 결합되어 광섬유케이블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홀더 프레임을 이루는 홀더프레임부재들의 분할부의 외측면에는 구속 돌기가 형성되고, 분할부와 결합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돌기가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연장된 제1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1가이드슬롯의 종단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속 돌기를 구속할 수 있게 형성된 제1구속슬롯을 갖게 형성된 탈착홈이 형성된 부트와, 상기 분할부의 상호 대응되는 단부측에 설치되는 광섬유케이블홀더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커넥터에 의하면, 현장에서 광섬유의 접속 및 분리시 버튼 조작만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광섬유 접속 및 분리 작업이 매우 간단해지고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access connector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a first hollow is formed; A holder frame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Mounted in a press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holder frame by manipulation of a button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lder frame and inserted into the holder frame through the second hollow of the boot to expose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splicing unit configured to release pressure, and a gripping unit coupled to the holder frame expos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o grip the optical fiber cable, wherein the gripping unit forms the holder frame. A first guide slo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vider of the holder frame members, the first guide slot has a hollow coupled to the divider and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llow the protrusion to enter the inner side, and the first guide slot Extend along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slot at the end of the guide slot; It is formed and provided with first constraint slot removable boot groove is formed is formed to have a formed can be bound to the restraint protrusion, parts of the optical fiber cable holder, which is installed on the end side on which the minute division of mutual correspondence.
According to the connector,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only button operation when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optical fiber in the field, thereby providing a very simple and reusable optical fiber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섬유를 현장에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 별도의 장비 없이 간단한 버튼의 조작만으로도 광섬유를 접속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된 심플 엑세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in the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ple access connector to be able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optical fiber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button without a separate equipment in the workplace.
일반적으로 광 커넥터는 정해진 파라메타에 맞게 절단한 광섬유를 공장에서 작업자가 광중심축이 맞도록 광섬유의 코어가 삽입된 페룰을 정렬하여 에폭시 본딩 및 단면 연마공정을 거쳐서 광 손실을 최소화하고, 양 끝단에 광 커넥터를 부착하여 패치코드라는 완제품 형태를 광선로 포설에 사용되어 왔다. 예컨데, LC, ST, FC 및 SC 광커넥터가 사용된다. In general, the optical connector aligns the ferrule in which the core of the optical fiber is inserted in the factory so that the optical fiber is cut to fit the optical center in the factory, and minimizes the optical loss through the epoxy bonding and the end face polishing process. Attached fiber connectors have been used to lay finished products called patch cords. For example, LC, ST, FC and SC optical connectors are used.
패치코드는 정해진 파라메타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진 완제품의 형태로 공장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광전송장비와 광섬유케이블 상호간에 접속 및 분리를 필요로 하는 광분배반, 광 단자함, 광 중간 절체함에서 광케이블간의 연결, 광분배반과 광 전송장치간의 연결, 광 전송장치 상호간의 연결에 있어 길이의 한계에 직면하였다. 이에, 패치코드의 양측에 마련된 광커넥터를 조립형으로 개조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길이의 패치코드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9-0065485호에는 스플라이스 요소를 갖는 현장 접속 가능광섬유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Since patch cords are manufactured at the factory in the form of finished products with a certain length according to the specified parameters,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tical cables in optical distribution boards, optical terminal boxes, optical intermediate switching boxes, etc.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tical distribution panel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tical transmission devices faced limitations of length. Accordingly, the optical connecto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tch cord are converted into an assembly type so that they can be easily assembled in the field and a patch cord having a desired length can be obtaine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65485 discloses a field connectable fiber optic connector having a splice element.
게시된 커넥터는 리셉 터클과 정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칼라 본체로서, 칼라 본체는 칼라 본체의 제1 단부 부분 내에 배치되는 섬유 스터브를 포함하고, 섬유 스터브는 제1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섬유는 페룰 내에 장착되고 페룰의 단부면에 인접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칼라 본체는 칼라 본체의 스플라이스 장치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기계식 스플 라이스 장치를 더 포함하고,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는 제2 광섬유에 섬유 스터브의 제2 단부를 스플 라이스 하도록 구성되는 칼라 본체와, 하우징 내에 칼라 본체를 보유하고, 작동 시 제2 광섬유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재킷부를 스플라이스하기 위해 섬유 재킷 스플라이스부를 포함하는 백본과, 백본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백본에 부착될 때 백본의 섬유 재킷 스플라이스부를 작동시키는 부트를 포함한다. The published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configured to mate with a receptacle and a collar body disposed within the housing, the collar body including a fiber stub disposed within a first end portion of the collar body, the fiber stub comprising a first optical fiber and Wherein the first optical fiber is mounted in the ferrule and has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adjacent to the end face of the ferrule, the collar body further comprising a mechanical splice device disposed in the splice device receiving portion of the collar body, The splice device comprises a collar body configured to splice the second end of the fiber stub on the second optical fiber, and a fiber jacket to splice the jacket portion that holds the collar body in the housing and surrounds a portion of the second optical fiber in operation. A backbone comprising a splice and a fiber material of the backbone, which can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backbone and when attached to the backbone It includes a boot that activates the kit splice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광 커넥터는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나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착부는 조임력을 이용하여 광 코어를 스플라이스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의 결합상태를 해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분리를 위한 지그가 필요하게 되고, 이 지그없이 분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작업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optical connec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assembled in the field, but the mechanical splice mounting portion has a structure for splicing the optical core using a tightening force, so that the coupling force is relatively weak and the coupling is not smoothly performed. In particular, in order to terminate the coupling state of the mechanical splice device requires a separate ji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is relatively poor because the separation operation is not made smoothly without this jig.
특히, 상기 종래의 광커넥터는 스플라이스부와 부트가 결합됨으로써 광섬유를 지지하고 있으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optical connector supports the optical fiber by combining the splice portion and the boo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aring capacity is relatively low.
조립형으로 개조된 광 커넥터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7543호에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광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플러그와, 플러그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코어정렬부재와, 코어정렬부재의 일부를 감싸며 플러그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코어정렬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과, 고정부재의 자유단을 감싸며 밀봉하는 보호덮개와,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코어정렬부재와 맞물려 부착 고정되고 보호덮개로부터 인출되는 광섬유를 코어정렬부재로 안내하는 광섬유 연결부재와, 광섬유 연결부재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보호덮개로부터 인입된 광섬유를 클립형태로 조여 광섬유 연결부재에 고정하는 조임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The prior art of the optical connector modified to the assembly type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507543. The published optical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a plug movab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using, a core aligning member movably inserted into the plug, a fixing member surrounding the portion of the core aligning member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lug, and a fixing member. A spring that is inserted and supports the core alignment member by an elastic force, a protective cover that surrounds and seals the free end of the fixing member, and an optical fiber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to be fixed to be engaged with the core alignment member and drawn out of the protective cover.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member to guide to, and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o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member by tightening the optical fiber introduced from the protective cover while being coupled or separated to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member in the form of a clip.
이러한 광커넥터는 광섬유 연결부재에 인입된 광섬유의 코어가 별도의 안내수단 없이 코어정렬부재에 끼워지기 때문에 광섬유의 코어를 코어정렬부재의 코어삽입홀에 정확하게 끼우기가 힘들었다. 즉, 대략 125㎛의 직경을 갖는 코어를 코어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 코어삽입홀에 코어를 별도의 안내수단 없이 정확하게 끼워넣는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이에, 코어정렬부재의 코어 삽입홀 내에서 코어의 접속이 정확히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으며, 나아가서는 현장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is optical connector is difficult to accurately insert the core of the optical fiber into the core insertion hole of the core aligning member because the core of the optical fiber drawn into the optical fiber connecting member is fitted into the core aligning member without separate guiding means. That is, it wa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insert the core into the core insertion hole having the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ore having a diameter of approximately 125 μm without a separate guide mea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nnect the core in the core insertion hole of the core alignment member, an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eld assembly is p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섬유의 접속 및 분리를 간단한 버튼의 조작만으로 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심플 엑세스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access connector that can be carried out in the field with a simple button operation and re-use of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optical fibe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분리지그 없이 광섬유 스플라이스 유닛의 분리가 가능하며, 광섬유 케이블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플 엑세스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access connector capable of separating an optical fiber splice unit without a separate separating jig and improving a supporting force of an optical fiber cab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심플 엑세스 커넥터는 제1중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imple access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rst hollow;
상기 제1중공내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측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홀더 프레임과;A holder frame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상기 홀더 프레임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어 부트의 제2중공을 통해 상기 홀더 프레임 내부로 삽입된 베어 광섬유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홀더 프레임에 대해 가압상태로 장착 및 가압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스플라이스 유닛;를 구비하고,Mounting and depressurization of the bare optical fiber against the holder frame by manipulation of a button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lder frame and inserted into the holder frame through the second hollow of the bo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splice unit adapted to allow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게 노출되는 상기 홀더 프레임과 결합되어 광섬유케이블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유닛을 구비하며,A gripping unit coupled to the holder frame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gripping an optical fiber cable;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홀더 프레임을 이루는 홀더프레임부재들의 분할부의 외측면에는 구속 돌기가 형성되고, 분할부와 결합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구속돌기가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연장된 제1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1가이드슬롯의 종단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속 돌기를 구속할 수 있게 형성된 제1구속슬롯을 갖게 형성된 탈착홈이 형성된 부트와, 상기 분할부의 상호 대응되는 단부측에 설치되는 광섬유케이블홀더부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The gripping un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ition of the holder frame members constituting the holder frame is formed with a convex projection, has a hollow coupled to the partition and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nfinement projection can enter inwards A detachable groove having a first guide slot formed therein and a first restriction slot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slot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slot and configured to restrict the restraint protru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rmed boot and an optical fiber cable holder provided on the en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portion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케이블홀더부는 상기 분할부의 후단측의 내부에 지지되어 광섬유케이블을 감싸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재가 광섬유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력을 제공하는 탄성파지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파지스프링은 상기 파지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있도록 찬넬형상을 가지며 탄성파지스프링의 단부에는 광섬유케이블을 클램핑 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구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fiber cable holder portion is supported in the rear end side of the split portion, the holding member surrounding the optical fiber cable, and the elastic wave coupled to the holding member to provide a holding force for holding the optical fiber holding the holding member It has a g-spring. The elastic gripping spring has a channel shap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ing member, and an end portion of the elastic gripping spring has a bent piece bent inward to clamp the optical fiber cable.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는 현장에서 광섬유의 접속 및 분리 시 버튼 조작만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광섬유 접속 및 분리 작업이 매우 간단해 지고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The optical fib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operation by only button operation when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optical fiber in the field provides a very simple and reusable operation of the optical fiber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플 엑세스 커넥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심플 엑세스 커넥터를 나타내 보인 일부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심플 엑세스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스플라이스 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5는 홀더프레임에 의해 스프라이스 유닛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심플 엑세스 커넥터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mple access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mple access connector of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imple access connector illustrated in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lice uni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lice unit is supported by the holder fram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imple access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심플 엑세스 커넥터는 현장에서 광섬유를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는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Simple access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in the field, shown in Figures 1 to 6 an embodiment.
도면들을 참조하면, 심플 엑세스 커넥터(100)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프레임(120)과, 상기 홀더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는 스플라이스 유닛(140)과, 상기 홀더프레임(120)의 후단부측에 설치되어 광섬유를 지지하는 클램핑 유닛(160)을 구비한다. 참조부호 10은 비사용 시 홀더 프레임(120)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삽입되는 보호캡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심플 엑세스 커넥터(100)를 구성요소 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프레임(120)은 스플라이스 유닛(140)과 페룰(151) 및 상기 클램핑 유닛에 의해 지지된 광섬유를 인라인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홀더 프레임(120)은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타측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며 내부에 후술되는 스플라이스 유닛(140)을 장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2)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The
홀더 프레임(120)은 상호 결합에 의해 수용공간(122)을 형성하도록 두 개의 홀더프레임부재(120a)(120b)가 상호 결합에 의해 몸체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후술되는 스플라이스 유닛(140)의 베이스 바디(141) 및 제2탄성바이어스 부재로 적용된 코일 스프링(147)이 구속되게 수용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슬라이딩 가능한 구속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페룰(151)이 삽입되는 베이스 바디(141)의 전방부분의 진퇴를 제한하는 제1제한턱(134)과 코일 스프링(147)이 구속되게 제1제한턱(134) 맞은편에 형성된 제2제한턱(미도시)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홀더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하우징의 제1중공(114)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홀(116)을 통해 결합될 수 있게 외측면에 결합편(128)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 프레임(120)을 이루는 홀더 프레임부재(120a)(120b)의 후단부에는 후술되는 부트가 결합되는 분할부(121)(121)가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여기서, 홀더 프레임(120)의 제1제한턱(134)과 제2제한턱(135) 사이의 공간은 스플라이스 유닛(140)이 일정길이 진퇴되는 거리내에서 구속될 수 있게 형성된 슬라이딩 구속홈에 해당한다. 또한, 홀더 프레임(120)은 베어광섬유(210)가 입출 될 수 있게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갖게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의 형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홀더프레임부재(120a)(120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가 홀더프레임부재(120a)(120b)중 일측의 홀더프레임부재(120a)의 상면에는 스플라이스 유닛(13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입홈(120c)이 형성된다. Her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limiting
스플라이스 유닛(1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프레임(120)의 제1제한턱(34)과 제2제한턱(135) 내의 슬라이딩 구속홈 내에 장착되어 코일 스프링(147)에 의해 페룰(151)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splice unit 130 is mounted in the sliding restraint groove in the first limiting jaw 34 and the second limiting
스플라이스 유닛(140)은 홀더 프레임(120)의 수용공간(132) 내에 장착되어 후술되는 부트(162)의 제2중공(162a)을 통해 홀더 프레임(120) 내부로 삽입된 베어 광섬유(210)와 페룰(151)에 지지되는 광섬유를 스플라이스 시킬 수 있다. The
스플라이스 유닛(140)은 베이스 바디(141), 버튼(145), 가압편(146), 클램프 스프링(149)을 구비한다.The
베이스 바디(141)는 하우징(110)의 진입구(112)와 대향되게 측에 페룰(151)이 삽입되는 장착홈(143)을 가진 페룰삽입부(141a)와, 페룰삽입부(141a)의 후방으로 연장되되 페룰삽입부(141a)의 장착홈(143)과 연통되되 동심상으로 연장된 브이 홈(144)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안착면을 갖는 정렬가이드부(141b) 및 베이스 바디(141)의 정렬가이드부(141b)를 중심으로 페룰삽입부(141a) 맞은편에는 브이 홈(144)과 동심상으로 베어광섬유(210)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게 제3중공(153)이 형성된 원통형의 진입 가이드부(141c)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상기 가압편(146)은 베이스 부재(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브이홈(144)에 지지된 베어광섬유들을 결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하면에 힌지(146a)가 형성되어 브이 홈(144)에 밀착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베이스 바디(141)의 정렬가이드부(141b)의 일 측면에 결합된다.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바디(141)의 상부측 즉, 상기 가압편(146)의 힌지(146a)가 설치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베이스 바디(141)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141)에 대해 가입편(146)을 회동시켜 페룰(151)에 지지된 베어광섬유와 광케이블의 베이광섬유를 스플라이스 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145)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버튼(145)은 베이스 바디(141)의 정렬가이드부(141b)의 가압편(146)이 힌지 결합된 부분에 대해 맞은편에서 힌지(145a)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의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가압편(146)이 브이홈(144)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편(146)과 브이홈(144)이 형성된 정렬가이드 부(141b)의 사이로 진입(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In more detail, the
여기서, 베이스 바디(141)의 정렬 가이드부(141b)의 버튼(145)이 결합되는 부분은 브이홈(144) 방향으로 내측으로 인입된 사이드홈(148) 내에 버튼(145)이 힌지 결합되어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이드홈(148)과 이격된 상태로 상단이 가압편(146)을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유지하고, 버튼(145)의 회동조작에 의해 버튼(145)의 상단(145a)이 사이드 홈(148)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 시 상단(145a)이 가압편(145)을 상방으로 밀어내는 높이로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Here, the portion to which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바디(141)에 힌지결합 된 가압편(146) 및 버튼(145)은 클램프 스프링(149)에 의해 상호 밀착된다. And the
상기 클램프 스프링(149)은 베이스 바디(141)에 가압편(146)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들의 사이를 벌릴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145)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측 즉, 베이스부재(141)의 하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베이스바디(141)에 대해 가압편(146)을 밀착시킴과 아울러 버튼(145)을 지지하게 된다. The
이러한 클램프 스프링(149)은 베이스 바디(141)의 하면과 대응되는 베이스부(149a)와 상기 베이스부(149a)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재의 측면과 가압편(146)의 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제1,2가압탄성부(149b)(149c)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바디(141)의 측면과 접촉되는 제 2가압탄성부(149c)의 일측단부 즉, 상기 버튼(145)의 부위와 대응되는 측에는 상기 제 2가압탄성부(149c)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버튼(145)을 가압하는 제 3가압탄성부(149d)를 구비한다. 상기 제 3가압탄성부(149d)는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 3가압탄성부(149d)의 측면으로부터 제 2가압탄성부(149c)로 인입된 인입홈(149e)이 형성된다. The
클램프 스프링(149)의 베이스 바디(141)로의 결합구조의 예로서는 클램프 스프링(149)이 결합되는 정열 가이드부(141b)의 저면에 내측으로 인입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정열 가이드부(141b)의 저면의 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게 클램프 스프링(149)의 대응되는 부분에는 끼움돌기(149f)가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그리고 파지유닛(160)은 베어광섬유와 연결되는 광섬유케이블(200)을 파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홀더프레임부재(120a)(120b)의 후단부 측에 마련된 분할부(121)(121)들과 결합되는 부트(162)를 구비한다. 상기 부트(162)는 하우징(1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게 노출되는 홀더 프레임부재의 분할부(121)(121)와 결합되어 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2중공(162a)을 갖는다. The holding
부트(162)의 제2중공(162a)은 홀더 프레임부재(120a(12b)의 분할부(121)(121)와 결합 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할 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분할부(121)(121)의 대응되는 내면에는 광섬유케이블의 가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광섬유를 가이드하기 위한 베어광섬유가이드부(163)가 형성된다. When the second hollow 162a of the
상기 부트(162)의 홀더 프레임(120)과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홀더 프레임(120)의 외측면에는 부트(162)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형성된 구속 돌기(129)가 마련되고, 상기 부트(162)에는 구속 돌기(129)가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연장된 제1가이드 슬롯(163a)과, 제1가이드슬롯(163a)의 일정깊이 진입된 종단에서 가이드 슬롯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돌기(129)를 구속할 수 있게 형성된 제1구속슬롯(163b)을 갖게 형성된 탈착홈(163)이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coupling and detachment of the
한편, 상기 피지유닛(160)은 상기 분할부(121)(121)의 상호 대응되는 단부측에 설치되는 광섬유케이블홀더부(170)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광섬유케이블홀더부(170)는 상기 분할부(121)(121)의 후단측의 내부에 지지되어 광섬유케이블을 감싸는 파지부재(171)와, 상기 파지부재(171)와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재(171)가 광섬유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력을 제공하는 탄성파지스프링(172)를 구비한다. 상기 파지부재(171)는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광섬유케이블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파지스프링(172)은 상기 개방부를 제외한 파지부재(171)의 외주면을 감싸는 있도록 찬넬형상을 가지며, 전면에는 탄성파지스프링(172)의 단부에는 광섬유케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172a)들을 구비한다. The optical
상기 하우징(110)은 일단은 결합대상체인 홀더프레임(120)을 수용할 수 있는 진입구(112)가 마련되어 있고, 진입구(112)로부터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중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홀더프레임(120)의 결합시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편(115)이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홀더 프레임(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편(128)이 외부로 돌출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홀(116)이 형성되어 있다.One end of the
또한, 하우징(110)에는 제1중공(114)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스플라이스 유닛(140)의 버튼(145)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관통홀(118)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이러한 광섬유 커넥터(100)는 현장에서 광섬유를 본 광섬유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145)을 외측으로 회동시켜 가압편(146)이 브이홈(14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광섬유케이블(200)로부터 탈피된 베어광섬유(210)를 부트(162)를 통해 진입가이드부(141c), 브이홈(144)까지 진입되게 한다. 이때에 상기 부트(162)는 홀더프레임(120)과 분리된 상태이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섬유케이블(20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지유닛(160)의 상기 광섬유케이블홀더부(170)의 파지부재(171)의 개방부로 광섬유케이블(200)이 삽입하고, 파지부재(171)와 파지력을 제공하는 탄성파지스프링(172)을 결합하여 광섬유케이블(200)을 파지한다. 따라서 탄성파지스프링(172)의 단부에 형성된 절곡편과 파지부재(171) 광섬유를 파지하게 된다. The
이 상태에서 버튼(145)에 가한 외력을 해제하면, 가압편(146)이 클램프 스프링(149)의 복원력에 의해 브이홈(144)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베어광섬유(210)를 스플라이스 유닛(140)에 가압상태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베어 광섬유(210)를 고정시킨 심플 엑세스 커넥터(100)는 타 광섬유가 장착된 결합대상체를 하우징(110)을 통해 결합하면 된다. 또한, 광섬유(200)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버튼(145)을 누른 상태에서 광섬유(200)를 분리되는 방향으로 인출시키면 된다.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유닛(140)에 의해 베어광섬유들 즉, 페룰에 지지된 베이광섬유과 연결하고자하는 광섬유케이블(200)의 베어광섬유가 연결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케이블의 탈피 시 외피의 저면에 위치한 얀(300)을 당겨 돌기(129)에 감고, 부트(161)을 홀더 프레임부재(120a)(120b)에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돌기(129)와 부트(161)에 마련된 탈착홈(163)을 결합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re optical fiber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심플 엑서스 커넥터는 현장에서의 광섬유 분리 및 결합이 별도의 분리지그 없이 버튼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광케이블의 연결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mple access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optical cable because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optical fiber in the field can be made by operation of a button without a separate separation ji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상기 제1중공내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측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어 부트의 제2중공을 통해 상기 홀더 프레임 내부로 삽입된 베어 광섬유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홀더 프레임에 대해 가압상태로 장착 및 가압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스플라이스 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게 노출되는 상기 홀더 프레임과 결합되어 광섬유케이블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홀더 프레임을 이루는 홀더프레임부재들의 분할부의 외측면에 구속 돌기가 형성되고, 분할부와 결합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구속돌기가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연장된 제1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1가이드슬롯의 종단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속 돌기를 구속할 수 있게 형성된 제1구속슬롯을 갖게 형성된 탈착홈이 형성된 부트와, 상기 분할부의 상호 대응되는 단부측에 설치되는 광섬유케이블홀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섬유케이블홀더부는 상기 분할부의 후단측의 내부에 지지되어 광섬유케이블을 감싸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재가 광섬유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력을 제공하는 탄성파지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파지스프링은 상기 파지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있도록 찬넬형상을 가지며, 탄성파지스프링의 단부에는 광섬유케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심플 엑세스 커넥터. A housing in which the first hollow is formed;
A holder frame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Mounting and depressurization of the bare optical fiber against the holder frame by manipulation of a button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lder frame and inserted into the holder frame through the second hollow of the bo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splice unit adapted to allow
And a holding unit coupled to the holder frame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o hold the optical fiber cable.
The holding unit is formed with a restraining protrus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vided portion of the holder frame members constituting the holder frame, has a hollow coupled with the divided portion and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llow the restraining protrusion to enter inwardly. A detachable groove having a first guide slot formed therein and a first restriction slot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slot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slot and configured to restrict the restraint protrusion. A boot formed, and an optical fiber cable holder part provided at an end side corresponding to the division part,
The optical fiber cable holder portion is provided in the rear end side of the split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ipping member surrounding the optical fiber cable, and an elastic gripping spring coupled with the gripping member to provide a gripping force to hold the optical fiber, ,
The elastic gripping spring has a channel shap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elastic gripping spring has a bent piece that is bent inward to clamp the optical fiber cable.
상기 스플라이스 유닛은
진입구와 대향되게 마련된 장착홈에 페룰을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된 페룰삽입부분과, 상기 페룰삽입부분의 상기 장착홈과 연통되되 동심상으로 연장된 브이 홈이 노출되게 형성된 안착면을 갖는 정렬가이드 부분을 갖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브이 홈에 밀착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브이 홈에 안착된 베어광섬유를 회동에 의해 밀착 및 이격될 수 있도록 된 가압편과;
상기 베이스 바디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편이 상기 브이홈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편과 상기 안착면 사이에 진입될 수 있게 설치된 버튼과,
상기 가압편이 상기 브이 홈에 장착된 베어 광섬유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킬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된 것으로, 베이스 바디의 하면과 대응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재의 측면과 가압편의 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제1,2가압탄성부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측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 2가압탄성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버튼을 가압하는 제 3가압탄성부을 가지는 클램프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플 엑세스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plice unit
A ferrule insertion portion formed to insert a ferrule in a mounting groove provided opposite to the entry hole, and an alignment guide portion having a seating surfac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mounting groove of the ferrule insertion portion and expose a concentrically extending v-groove. A base body having;
A pressing pie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body rotatab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 grooves are in close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the v groove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and spaced apart by rotating the bare optical fiber seated in the v grooves;
A button hinged to the base body and installed to enter between the pressing piece and the seating sur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groove by a user's manipulation;
The pressing piece is coupled to the base body so as to elastically bias the bare optical fiber mounted in the v-groove, and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side edges of the bas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body. A clamp spring having first and second pressing elastic portions contacting the side of the member and the side of the pressing piece, respectively, and a third pressing elastic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pressing elastic portion contacting the side of the base body to press the button. Simple access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503A KR101371686B1 (en) | 2012-12-05 | 2012-12-05 | Simple access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503A KR101371686B1 (en) | 2012-12-05 | 2012-12-05 | Simple access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1686B1 true KR101371686B1 (en) | 2014-03-07 |
Family
ID=5064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050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1686B1 (en) | 2012-12-05 | 2012-12-05 | Simple access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1686B1 (en)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61942A (en) * | 2018-01-26 | 2018-05-22 | 浙江中科光电有限公司 | A kind of mechanical optical fiber field connection device |
US10705300B2 (en) | 2017-07-14 | 2020-07-0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multi-purpose boot assembly |
US10718911B2 (en) | 2017-08-24 | 2020-07-2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ing a push-pull boot receptacle release |
KR102170637B1 (en) * | 2019-09-05 | 2020-10-27 | 주식회사 그루 | Field work optical fiber connector |
US10921531B2 (en) | 2018-09-12 | 2021-02-1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push/pull assembly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US10921530B2 (en) | 2018-09-12 | 2021-02-1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push/pull assembly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US11002923B2 (en) | 2017-11-21 | 2021-05-1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connector with cable boot release having a two-piece clip assembly |
US11073664B2 (en) | 2018-08-13 | 2021-07-2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Cable boot assembly for releasing fiber optic connector from a receptacle |
US11086087B2 (en) | 2018-09-12 | 2021-08-10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clip-on push/pull tab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US11280972B2 (en) | 2017-07-14 | 2022-03-22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ed as part of a reconfigurable outer housing |
US11314024B2 (en) | 2019-06-13 | 2022-04-2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ever actuated latch arm for releasing a fiber optic connector from a receptacle port and method of use |
US11340406B2 (en) | 2019-04-19 | 2022-05-24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resilient latching mechanism for securing within a hook-less receptacle |
US11822133B2 (en) | 2017-07-14 | 2023-11-2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
US12001064B2 (en) | 2017-07-14 | 2024-06-04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multi-purpose boot |
WO2024149125A1 (en) * | 2023-01-13 | 2024-07-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Photoelectric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mmunication device |
WO2025072632A1 (en) * | 2023-09-27 | 2025-04-03 | Ppc Broadband, Inc. | Coupler structurally configured to mechanically couple a fiber cable jacket with a mechanical fiber connector to enhance connection of an optical fiber to the fiber conn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5355A (en) | 2005-01-17 | 2006-07-27 | Sanwa Denki Kogyo Co Ltd | Optical fiber fixing mechanism of 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 |
KR100970441B1 (en) * | 2008-10-30 | 2010-07-15 | 최광성 | 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s |
KR101132835B1 (en) | 2010-08-30 | 2012-04-02 | 고려오트론(주) | Optical connector |
KR101180962B1 (en) * | 2012-04-09 | 2012-09-10 | 나노솔루션주식회사 | field assembly type optical fiber connecter |
-
2012
- 2012-12-05 KR KR1020120140503A patent/KR1013716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5355A (en) | 2005-01-17 | 2006-07-27 | Sanwa Denki Kogyo Co Ltd | Optical fiber fixing mechanism of 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 |
KR100970441B1 (en) * | 2008-10-30 | 2010-07-15 | 최광성 | 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s |
KR101132835B1 (en) | 2010-08-30 | 2012-04-02 | 고려오트론(주) | Optical connector |
KR101180962B1 (en) * | 2012-04-09 | 2012-09-10 | 나노솔루션주식회사 | field assembly type optical fiber connecter |
Cited B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85989B2 (en) | 2017-07-14 | 2023-02-2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multi-purpose boot |
US11809006B2 (en) | 2017-07-14 | 2023-11-0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ed as part of a reconfigurable outer housing |
US11474315B2 (en) | 2017-07-14 | 2022-10-18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ed as part of a reconfigurable outer housing |
US12228774B2 (en) | 2017-07-14 | 2025-02-18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
US12001064B2 (en) | 2017-07-14 | 2024-06-04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multi-purpose boot |
US11822133B2 (en) | 2017-07-14 | 2023-11-2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
US11340413B2 (en) | 2017-07-14 | 2022-05-24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ed as part of a reconfigurable outer housing |
US11061190B2 (en) | 2017-07-14 | 2021-07-13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multi-purpose boot assembly |
US10705300B2 (en) | 2017-07-14 | 2020-07-0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multi-purpose boot assembly |
US11280972B2 (en) | 2017-07-14 | 2022-03-22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ed as part of a reconfigurable outer housing |
US11487067B2 (en) | 2017-07-14 | 2022-11-0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
US11307369B2 (en) | 2017-07-14 | 2022-04-19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ed as part of a reconfigurable outer housing |
US10718911B2 (en) | 2017-08-24 | 2020-07-2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ing a push-pull boot receptacle release |
US11002923B2 (en) | 2017-11-21 | 2021-05-1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connector with cable boot release having a two-piece clip assembly |
US11480741B2 (en) | 2017-11-21 | 2022-10-2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connector with cable boot release |
CN108061942A (en) * | 2018-01-26 | 2018-05-22 | 浙江中科光电有限公司 | A kind of mechanical optical fiber field connection device |
US11073664B2 (en) | 2018-08-13 | 2021-07-2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Cable boot assembly for releasing fiber optic connector from a receptacle |
US11500164B2 (en) | 2018-09-12 | 2022-11-1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push/pull assembly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US11086087B2 (en) | 2018-09-12 | 2021-08-10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clip-on push/pull tab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US10921530B2 (en) | 2018-09-12 | 2021-02-1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push/pull assembly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US10921531B2 (en) | 2018-09-12 | 2021-02-1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push/pull assembly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US11340406B2 (en) | 2019-04-19 | 2022-05-24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resilient latching mechanism for securing within a hook-less receptacle |
US11314024B2 (en) | 2019-06-13 | 2022-04-2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ever actuated latch arm for releasing a fiber optic connector from a receptacle port and method of use |
KR102170637B1 (en) * | 2019-09-05 | 2020-10-27 | 주식회사 그루 | Field work optical fiber connector |
WO2024149125A1 (en) * | 2023-01-13 | 2024-07-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Photoelectric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mmunication device |
WO2025072632A1 (en) * | 2023-09-27 | 2025-04-03 | Ppc Broadband, Inc. | Coupler structurally configured to mechanically couple a fiber cable jacket with a mechanical fiber connector to enhance connection of an optical fiber to the fiber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1686B1 (en) | Simple access connector | |
RU2577388C2 (en) | Optical connector with splice element to terminate cable with protective shell in place of operation | |
CN107111076B (en) | Fiber Optic Connectors and Subassemblies Retained with Strength Members | |
EP2495590B1 (en) | Optical connector | |
US20150268423A1 (en) | Connector body for making crimp-less fiber optic cable connections | |
KR101105664B1 (en) | 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s | |
KR20150003858A (en) | Optical fiber connector | |
KR101469804B1 (en) |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 |
KR101762403B1 (en) |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 |
KR101065079B1 (en) | 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 | |
KR101132835B1 (en) | Optical connector | |
KR101180962B1 (en) | field assembly type optical fiber connecter | |
JP6159429B1 (en) |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 |
KR101792554B1 (en) |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 |
KR101330325B1 (en) | Optical connector | |
KR20160011739A (en) |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 |
KR100906489B1 (en) |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 |
KR101640792B1 (en) | Optical connector with free Type conversion | |
KR101900325B1 (en) | Optical jumper cord | |
KR100970441B1 (en) | 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s | |
KR100955504B1 (en) | Optical distributor | |
KR101026672B1 (en) | Mechanical Splicer for Fiber Optic Splice | |
JP4255803B2 (en) | Optical connector | |
KR101087037B1 (en) | Tool and protective case for mechanical splice | |
KR20080105216A (en) | Optical cable retaining clip for optical connector and opening mechanism for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