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0201B1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201B1
KR101370201B1 KR1020070090189A KR20070090189A KR101370201B1 KR 101370201 B1 KR101370201 B1 KR 101370201B1 KR 1020070090189 A KR1020070090189 A KR 1020070090189A KR 20070090189 A KR20070090189 A KR 20070090189A KR 101370201 B1 KR101370201 B1 KR 10137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udio
capabilities
communication channel
vd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114A (ko
Inventor
박은영
이의성
장원빈
이정수
하주호
원종필
홍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2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2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통신 채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루투스, VDP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us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중에 무선으로 AV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블루투스는 하위 계층 기술과 상위 계층 기술로 구성된다.
하위 계층 기술은 라디오(Radio), 베이스 밴드(Base band), 링크 매니저(Link manager) 등 주로 하드웨어(Hard ware)와 이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펌웨어(Firm ware)와 관련된 기술이다.
상위 계층 기술은 컴퓨터(computer),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폰(Mobile Phone) 등에 서 동작하는 프로토콜 및 응용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기술이다.
A/V(Audio/Video) 시스템과 관련된 블루투스 A/V 시스템은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에서 표준화한 A2DP(Advanced Audio Distributed Protocol), VDP(Video Distributed Protocol) 및 AVRTP(Audio Video Remote Protocol) 프로파일이 있다.
A2DP 및 VDP 프로파일은 A/V 데이터를 소유한 A/V 소스기기로부터 A/V 데이터를 랜더링(Rendering)하는 A/V 싱크기기로 실시간 A/V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VDP채널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A2DP 채널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A/V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두개의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본 발명은 VDP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통신 채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VDP 기반으로 전송할 수 있는 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정의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오디오 채널인 A2DP와 비디오 채널인 VDP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VDP 채널만을 설정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 전송할 수 있어 A2DP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VDP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카메라 를 장착한 단말기를 웹 카메라로 이용하여 화상전화 또는 화상채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VDP를 기반으로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전송할 수 있어 다양한 부가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통신 채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은 'Get Capabilities'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리먼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은 'Set Configuration'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리먼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VDP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여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VDP는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에 의해 통신 채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 서비스는 촬영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화상전화 또는 화상채팅용으로 이용하거나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실시간 송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송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통신 채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은 'Get Capabilities'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리먼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은 'Set Configuration'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리먼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송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송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입력받는 카메라(camera)모듈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하거나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오디오/비디오 코 덱(audio/video codec)모듈과,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미디어 파일로 저장하거나 저장된 파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리딩(reading) 및 파싱(parsing)하는 미디어 파일 포맷(media file format)모듈과,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실시간 스트리밍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 채널은 'Get Capabilities'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레멘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여 VDP 기반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 채널은 'Set Configuration'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레멘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여 VDP 기반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신장치는 VDP 기반으로 실시간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모듈과, 상기 블루투스(bluetooth)모듈로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 가능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으로 생성하는 캡쳐 소스 필터(Audio/Video Capture Source Filter)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화상전화, 화상채팅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 채널은 'Get Capabilities'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레멘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여 VDP 기반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 채널은 'Set Configuration'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레멘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여 VDP 기반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블루투스(Bluetooth)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며, 상기 블루투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로 지칭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의 전송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a)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를 소스 장치(Source Device)(11)로 지칭하고,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장치를 싱크 장치(Sink Device)(12)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소스 장치(11) 및 싱크 장치(12)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향에 따라 소스 장치 및 싱크 장치로 변경되어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b)는 AVDTP(Audio/Video Distribution TransportProtocol)의 프로파일 스텍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기저 대역(Baseband)층, LMP층, L2CAP층, SDP층 및 AVDTP층,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에서 기저 대역층, LMP층, L2CAP층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기본 참조 모델의 제1층 및 제2층에 상당한다.
SDP층은 블루투스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규정하는 프로토콜이며 블루투스 기기들을 자동으로 검색한다.
AVDTP(Audio/Video Distribution Transport Protocol)층은 블루투스 피코넷 (piconet)내에서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처리 수순이나 메시지 교환을 규정하는 프로토콜층으로서, 데이터 스트림의 파라미터의 네고시에이션(negotiation)을 행하는 시그널링 엔티티(entity)와, 데이터 스트림 자체를 취급하는 트랜스포트 엔티티로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층은 소스 장치(11) 또는 싱크 장치(12)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나 트랜스포트 서비스의 각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엔티티로 구성되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규정의 패킷 포맷에 적합하게 하는 처리도 수행한다.
상기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의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인 AVDTP는 시그널링(signaling)과 스트리밍(streaming)이라는 2개의 기능으로 나누어진다.
스트리밍은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규정하며, 시그널링은 소스 장치로부터 송신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싱크 장치측에서 수신 처리할 수 있도록 포맷 등의 네고시에이션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토콜 스텍 구조를 이용하여 종래에는 소스 장치(11)와 싱크 장치(12)간에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A2DP 채널을 설정하고,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VDP 채널을 설정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VDP 채널(13)만을 이용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c)는 AVDTP 프로토콜에서의 접속 확립 수속(Connection Establishment)의 시퀀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소스 장치(11)는 싱크 장치(12)와 AVDTP 시그널링 채널(signaling channel)을 연결한다.
여기서, AVDTP의 시그널링 패킷(signaling packet)의 구조는 도 2와 같고, 신호 패킷을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 포맷(Signaling message format for single packets), 스타트 패킷을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 포맷(Signaling message format for start packets) 및 유지와 종료 패킷을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 포맷(Signaling message format for continue and packets)을 정의한다.
상기 연결된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Stream End Point Discovery' 절차(procedure)(S11)와 'Get Capabilities' 절차(S12)를 수행하여 싱크 장치(12)가 어떤 계통의 스트림에 대응하고 있는지 및 싱크 장치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스 트림에 대한 정보를 가져온다.
여기서, 상기 'Get Capabilities'절차(S12)의 응답(Response) 메시지의 구조는 도 3과 같으며, 서비스 가능 정보 구성(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31)을 통해 미디어 타입(Media Type)(32), 미디어 코덱 타입(Media Codec Type)(33)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미디어 타입(32)이 오디오 타입인 경우와 비디오 타입인 경우만을 정의함으로써 미디어 코덱 타입(33)도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만을 지원하고 있다.
본 발명은 미디어 타입(32)이 멀티미디어인 경우에 멀티플렉스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는 도 4와 같은 Vender specific extension(이하, Non-VDP)의 Vender specific codec으로 멀티미디어 코덱을 정의하며,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계속한다.
소스 장치(11)는 'Get Capabilities' 절차(S12)를 통해 얻은 싱크 장치(12)의 오디오/비디오 스트림 정보와 소스 장치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 정보를 이용하여 'Set Configuration' 절차(S13)를 수행하여 실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 송수신될 스트리밍 채널(streaming channel)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Set Configuration' 절차(S13)의 요청(Request)메시지는 도 5와 같다.
상기 소스 장치(11)는 '오픈' 절차(S14)를 싱크 장치(12)로 전송함으로써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는 모두 '오픈' 상태(S15)가 되어 실시간으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송수신할 수 있는 스트리밍 채널이 연결된다.
상기 도 1(c)와 같은 시퀀스를 통해 소스 장치(11)와 싱크 장치(12)는 A2DP와 VDP 채널이 연결되어 오디오 스트림은 A2DP 채널로 송수신되고 비디오 스트림은 VDP 채널로 송수신되지만, 본 발명은 상기 'Get Capabilities' 절차(S12)에 Vender specific codec을 정의함으로써 VDP 채널만을 설정하고 상기 VDP 채널로 멀티플렉스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 송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6은 싱크 장치(12)의 VDP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가져오기 위한 'Get Capabilities' 응답(Response) 메시지와, 'Set Configuration'의 커맨드(Command) 메시지 구조에 해당하는 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의 Vender specific codec 구조이다.
예를 들면, 도 6의 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61)는 도 3에서와 같이 미디어 타입(62)과 미디어 코덱 타입(63)을 포함하고 도 4에서 정의한 사용자에게 지원되는 Vender specific extension을 이용하여 VenderID(64)와, Vender Specific Codec ID(65), Video Codec Specific information(66), Audio Codec Specific information(6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VenderID(64)는 Vender specific codec를 정의한 Vender들의 아이디 이며 다양한 Vender들에 따라 변경가능한 값이다.
또한, Vender Specific Codec ID(65)는 미디어 타입에 따라 Vender Specific Audio Codec ID(65-1), Vender Specific Video Codec ID(65-2), Vender Specific Multimedia Codec ID(65-3)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VDP 채널만을 설정하여 비디오 스트림으로 MPEG-4 Simple Profile 코덱을 사용하고, 오디오 스트림으로 QCELP/EVRC 코덱을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전송하는 경우의 'Get Capabilities' 응답(Response) 메시지와, 'Set Configuration'의 커맨드(Command) 메시지에 포함되는 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는 도 7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미디어 타입(71)은 멀티미디어(Multimedia)로 설정되고, 미디어 코덱 타입(72)은 정의되지 않는다(undefined). VenderID(73)는 미디어 타입(71)에 따른 Vender specific codec을 정의한 사용자 ID(LGE)가 설정되고, Vender Specific Codec Type(74)은 비디오 스트림으로 MPEG-4 Simple Profile 코덱이 사용되고 오디오 스트림으로 QCELP 코덱이 사용됨을 설정한다.
Video Codec Specific information(75)에는 VDP에 기반한 MPEG-4 Simple Profile의 레벨을 설정하고, VBR(76)은 비트 레이트(bit rate), 채널(channel)(77)은 채널 수, Rate Type(78)은 인코딩 레이트(encoding rates), Sampling Frequency(79)는 샘플링 주파수(sampling frequency), Bit rate(80)에는 인코딩 비트 레이트(encoding bit rate)를 설정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비디오 스트림으로 MPEG-4 Simple Profile 코덱을 사용하고, 오디오 스트림은 MPEG-1,2 또는 MPEG-2,4 AAC 코덱을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전송하는 경우의 'Get Capabilities' 응답(Response) 메시지와, 'Set Configuration'의 커맨드(Command) 메시지에 포함되는 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는 도 8과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와 비디오 스트림을 두개의 별도 채널로 분리하여 전송할 필요없이 멀티플렉스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는 Vender specific extension을 이용하여 Vender specific codec을 정의함으로써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VDP 채널만을 이용하여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소스 장치(Source Device)의 블루투스 모듈은 커넥터(connector)(91), 스트림 버퍼(stream buffer)(92), 스트리머(streamer)(93), 멀티플렉서(Multiplexer)(9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넥터(91)는 싱크 장치와 연결을 설정 및 해지하며, 스트림 버퍼(92)는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시간순으로 버퍼링한다.
스트리머(93)는 스트리밍 타임에 따라 주기적으로 스트림 버퍼(92)로부터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읽어오고,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의 크기가 최대 전송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프레임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미디어 패킷(media packet)을 생성한다.
여기서, 스트리머(93)는 미디어 패킷 헤더(media packet header)의 페이로드 타입(payload type) 필드에 오디오 프레임인지 비디오 프레임인지 구분하여 표시한다.
멀티플렉서(94)는 스트리머(93)로부터 출력되는 미디어 패킷에 대해 헤더의 타임 스탭프(time stamp)값을 이용하여 시간 순서대로 미디어 패킷을 멀티플렉 싱(multiplexing)하고, 상기 멀티플렉싱된 미디어 패킷은 프로토콜 스텍(Protocol stack)을 통해 VDP 기반으로 싱크 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싱크 장치(Sink Device)는 커넥터(connector)(95), 스트림 버퍼(Stream Buffer)(96), 스트리머(Streamer)(97),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9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넥터(95)는 소스 장치와 연결을 설정 및 해지하며, 디멀티플렉서(98)는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패킷을 오디오 패킷과 비디오 패킷으로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여 스트리머(97)로 출력한다.
스트리머(97)는 미디어 패킷을 파싱(parsing)하고 분할(fragmentation)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어셈블(assemble)한 후에 스트림 버퍼(96)에 저장한다.
스트림 버퍼(96)는 타임 스탭프(time stamp)값을 이용하여 플레이되는 시간에 맞게끔 오디오/비디오 코덱 또는 상위 응용 프로그램으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출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예:블루투스)으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1)가 소스 장치로 동작하며 노트북(12)이 싱크 장치로 동작하여, 이동 단말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특정 단말로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화상채팅, VOD, AOD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0(a)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로 녹화되는 영상을 노트북으로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가 화상 채팅을 위한 웹 카메라로 이용되며, 도 10(b)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노트북으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와 화상 전화, 화상 채팅 및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수행하는 동작은 이미 공지된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도 11(a)는 소스 장치로서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camera) 모듈(111)과,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하거나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오디오/비디오 코덱(audio/video codec) 모듈(113)과, 디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재생하는 플레이어(palyer) 모듈(112)과,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미디어 파일로 저장하거나 저장된 파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reading/parsing하는 미디어 파일 포맷(media file format) 모듈(114)과,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외부장치로 실시간 스트리밍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비디오 코덱(audio/video codec) 모듈(113)은 카메라 모듈(111)로부터 녹화되는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하는 인코더(encoder)와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디코더(decode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카메라 모듈(111)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파일 포맷(media file format) 모듈(114)은 인코딩된 오디오/비 디오 프레임을 미디어 파일(예:mp4, 3g2, 3gp 등)로 저장하는 라이터(writer)와 저장된 미디어 파일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리딩(reading) 및 파싱(parsing)하여 오디오/비디오 코덱(audio/video codec) 모듈(113)과 블루투스(bluetooth) 모듈(115)로 출력하는 리더(reader)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bluetooth) 모듈(115)은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VDP 기반으로 싱크 장치로 전송하고, 블루투스 모듈(115)의 구성요소는 도 9(a)에서 설명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소스 장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카메라를 장착한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은 내장형으로 포함되거나 외장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11(b)는 싱크 장치로서, VDP 기반으로 소스 장치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116)과, 상기 블루투스(bluetooth) 모듈(116)로부터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여 응용 프로그램(예:화상전화, 화상채팅 프로그램 등)에서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캡쳐 소스 필터(Audio/Video Capture Source Filter) 모듈(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6)은 도 9(b)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비디오 캡쳐 소스 필터(video capture source filter) 모듈(119)은 블루투스 모듈(116)에서 수신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과 인코딩된 비디오 프레임으로 분리하는 오디오/비디오 스플리터(audio/video splitter)와,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의 타입 스탬프(time stamp)값을 이용하여 타임 싱크(time sync)를 동기화하는 오디오/비디오 타임싱크(audio/video timesync)와, 인코딩된 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와,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 가능한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비디오 스트리머(video stream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캡쳐 소스 필터(audio capture source filter) 모듈(118)은 오디오/비디오 스플리터에서 분리된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와,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 가능한 오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오디오 스트리머(audio stream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제 1실시 예의 동작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디지털 카메라를 화상 채팅, 화상 통화를 위한 웹 카메라로 사용하기 위한 동작 절차이다.
소스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115)와 싱크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116)는 프로토콜 스텍을 통하여 시그널링 채널(signaling channel)로 연결되고, 소스 장치는 Discovery, Get Capabilities 절차(procedure)를 통해 싱크 장치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여기서, 싱크 장치의 정보는 싱크 장치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타입(예:오디오/비디오/멀티미디어) 코덱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후, 소스 장치는 싱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Set configuration 절차를 통해 스트리밍 채널(streaming channel)을 설정하고, Open 절차를 통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간에 미디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스트리밍 채널 즉, VDP 채널을 연결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8에서 제안한 Get Capabilities, Set configuration구조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스트리밍 채널인 VDP 채널을 연결한다.
상기 VDP 채널이 연결되면 소스 장치는 카메라 모듈(111)로부터 녹화되는 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raw audio/video stream)을 설정된 코덱 타입으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은 미디어 파일 모듈(114)로 저장되고 동시에 블루투스 모듈(115)의 스트림 버퍼에 저장된다.
블루투스 모듈(115)의 스트리머(streamer)는 스트리밍 타임에 따라 주기적으로 스트림 버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읽어오고,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의 크기가 최대 전송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프레임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미디어 패킷(media packet)을 생성한다.
여기서, 스트리머는 미디어 패킷 헤더(media packet header)의 페이로드 타입(payload type) 필드에 오디오 프레임인지 비디오 프레임인지 구분하여 표시한다.
멀티플렉서(multiplexer)는 스트리머로부터 출력되는 미디어 패킷에 대해 헤더의 타임 스탭프(time stamp)값을 이용하여 시간 순서대로 미디어 패킷을 멀티플 렉싱(multiplexing)하고, 상기 멀티플렉싱된 미디어 패킷은 프로토콜 스텍(Protocol stack)을 통해 VDP 채널을 거쳐 싱크 장치로 전송한다.
싱크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116)은 소스 장치로부터 미디어 패킷을 수신하면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를 통해 오디오 패킷과 비디오 패킷을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여 스트리머로 출력하고, 스트리머는 미디어 패킷을 파싱(parsing)하고 분할(fragmentation)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어셈블(assemble)한 후에 스트림 버퍼에 저장한다.
또한, 비디오 캡쳐 소스 필터(video capture source filter) 모듈(119)은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에 따라 스트림 버퍼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읽어오고, 오디오/비디오 스플리터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은 오디오 캡쳐 소스 필터(118)의 오디오 디코더로 출력하고 비디오 프레임은 비디오 디코더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는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스트리머와 비디오 스트리머로 출력하고, 오디오 스트리머와 비디오 스트리머는 디코딩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메신저, 화상전화 등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위 응용 프로그램으로 출력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제 2실시 예의 동작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소스 장치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싱크장치로 전송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동작 절차이다.
소스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115)과 싱크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116)은 프로토콜 스텍을 통하여 시그널링 채널(signaling channel)로 연결되고, 소스 장치는 Discovery, Get Capabilities 절차(procedure)를 통해 싱크 장치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여기서, 싱크 장치의 정보는 싱크 장치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타입(예:오디오/비디오/멀티미디어) 코덱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후, 소스 장치는 싱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Set configuration 절차를 통해 스트리밍 채널(streaming channel)을 설정하고, Open 절차를 통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간에 미디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스트리밍 채널 즉, VDP 채널을 연결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8에서 제안한 Get Capabilities, Set configuration 구조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스트리밍 채널인 VDP 채널을 연결한다.
상기 VDP 채널이 연결되면 소스 장치의 플레이어 모듈(112)은 미디어 파일 포맷 모듈(114)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에 대해 open/read를 요청하고, 미디어 파일 포맷 모듈(114)에서 reading/parsing된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은 오디오/비디오 코덱 모듈(113)로 출력되고 동시에 블루투스 모듈(115)의 스트림 버퍼에 저장된다.
여기서, 소스 장치에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지 않고 파일만 싱크 장치로 스트리밍 하는 경우에는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오디오/비디오 코덱 모 듈(113)로는 출력하지 않고 블루투스 모듈(115)로만 출력하여 스트림 버퍼에 저장한다.
상기 오디오/비디오 코덱 모듈(113)은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타입 스탬프 값과 함께 플레이어 모듈(112)로 전달하고, 플레이어 모듈(112)은 타임 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rendering/play 한다.
블루투스 모듈(115)의 스트리머는 스트리밍 타임에 따라 주기적으로 스트림 버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읽어오고,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의 크기가 최대 전송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프레임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미디어 패킷(media packet)을 생성한다.
여기서, 스트리머는 미디어 패킷 헤더(media packet header)의 페이로드 타입(payload type) 필드에 오디오 프레임인지 비디오 프레임인지 구분하여 표시한다.
멀티플렉서(multiplexer)는 스트리머(streamer)로부터 출력되는 미디어 패킷에 대해 헤더의 타임 스탭프(time stamp)값을 이용하여 시간 순서대로 미디어 패킷을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고, 상기 멀티플렉싱된 미디어 패킷은 프로토콜 스텍(Protocol stack)을 통해 VDP 채널을 거쳐 싱크 장치로 전송한다.
싱크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116)은 소스 장치로부터 미디어 패킷을 수신하면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를 통해 오디오 패킷과 비디오 패킷을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여 스트리머로 출력하고, 스트리머는 미디어 패킷을 파 싱(parsing)하고 분할(fragmentation)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어셈블(assemble)한 후에 스트림 버퍼에 저장한다.
또한, 비디오 캡쳐 소스 필터(video capture source filter)(119)는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에 따라 스트림 버퍼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읽어오고, 오디오/비디오 스플리터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은 오디오 캡쳐 소스 필터(118)의 오디오 디코더로 출력하고 비디오 프레임은 비디오 디코더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는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스트리머(audio streamer)와 비디오 스트리머(video streamer)로 출력하고, 오디오 스트리머와 비디오 스트리머는 디코딩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위 응용 프로그램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VDP 기반으로 전송할 수 있는 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정의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오디오 채널인 A2DP와 비디오 채널인 VDP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VDP 채널만을 설정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 전송할 수 있어 A2DP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VDP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카메라 를 장착한 단말기를 웹 카메라로 이용하여 화상전화 또는 화상채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VDP를 기반으로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전송할 수 있어 다양한 부가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의 전송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VDTP의 시그널링 패킷(signaling packet)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Get Capabilities' 절차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ender specific extension(Non-VDP)의 Vender specific codec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et Configuration' 절차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on-VDP의 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on-VDP의 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의 구조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 1실시 예의 동작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 2실시 예의 동작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18)

  1.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통신 채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는
    Get Capabilities 절차를 통해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는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모두 식별하는 벤더 스페시픽 멀티미디어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은 'Get Capabilities'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리먼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은 'Set Configuration'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리먼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방법.
  4.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VDP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여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는
    Get Capabilities 절차를 통해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는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모두 식별하는 벤더 스페시픽 멀티미디어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VDP는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에 의해 통신 채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서비스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화상전화 또는 화상채팅용으로 이용하거나 스트리밍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방법.
  7.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송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통신 채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는
    Get Capabilities 절차를 통해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는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모두 식별하는 벤더 스페시픽 멀티미디어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은 'Get Capabilities'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 리티 인포페이션 엘리먼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은 'Set Configuration'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리먼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방법.
  10.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송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채널은 Get Capabilities 절차를 통해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연결되며,
    상기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는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모두 식별하는 벤더 스페시픽 멀티미디어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입력받는 카메라(camera)모듈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하거나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오디오/비디오 코덱(audio/video codec)모듈과,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미디어 파일로 저장하거나 저장된 파 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리딩(reading) 및 파싱(parsing)하는 미디어 파일 포맷(media file format)모듈과,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실시간 스트리밍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Get Capabilities'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레멘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여 VDP 기반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Set Configuration'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레멘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여 VDP 기반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14. 벤더 스페시픽 익스텐션(Vender specific extension)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하여 VDP 기반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채널은 Get Capabilities 절차를 통해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연결되며,
    상기 Get Capabilities 응답 메시지는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모두 식별하는 벤더 스페시픽 멀티미디어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VDP 기반으로 실시간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모듈과,
    상기 블루투스(bluetooth)모듈로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프레임을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 가능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으로 생성하는 캡쳐 소스 필터(Audio/Video Capture Source Filter)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화상전화, 화상채팅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Get Capabilities' 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레멘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여 VDP 기반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Set Configuration'메시지의 서비스 캐패빌리티 인포페이션 엘레멘트(Service Capabilities Information Elements)부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설정하여 VDP 기반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KR1020070090189A 2007-09-05 2007-09-0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7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189A KR101370201B1 (ko) 2007-09-05 2007-09-0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189A KR101370201B1 (ko) 2007-09-05 2007-09-0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114A KR20090025114A (ko) 2009-03-10
KR101370201B1 true KR101370201B1 (ko) 2014-03-05

Family

ID=4069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1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0201B1 (ko) 2007-09-05 2007-09-0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19911A (zh) * 2009-11-24 2010-06-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过蓝牙传输多媒体数据并实时播放的方法、设备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369A (ko) * 2004-12-2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티브에서의 동영상 재생 장치
KR100679835B1 (ko) * 2006-03-02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뷰 데이터 소스장치의 다중연결 지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369A (ko) * 2004-12-2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티브에서의 동영상 재생 장치
KR100679835B1 (ko) * 2006-03-02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뷰 데이터 소스장치의 다중연결 지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114A (ko)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3730B (zh) 使用蓝牙传输运动图像流的装置和方法
US8125507B2 (en) Video call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925350B (zh) 一种处理数据的方法和系统
KR100800716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동영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송수신 장치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20150172892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N-Way Communication Throug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EP1897373A1 (en) Audio and video synchronization
CN104115500A (zh) 经由用户输入返回信道的双向隧穿用于无线显示
JP2005033664A (ja) 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200701193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중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94972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ve stream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170134451A (ko) 멀티 계층 타이밍 동기화 프레임워크
TWI225343B (en) Method for video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CN108809924A (zh) 执行网络实时通信的方法和装置
KR101370201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JP4130542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変換装置およびテレビ電話端末
JP2006165935A (ja) 制御情報の変換装置及び制御情報の変換方法
CN115714881A (zh) 一种基于FFmpeg的音视频传输系统及方法
JP2004165949A (ja) テレビ電話システム
CN104184570A (zh) 通讯系统和方法
CN101166279A (zh) 使用视频呼叫的内容传输方法和设备
TWI798890B (zh) 用於產生立體聲語音效果的藍牙語音通信系統及相關的電腦程式產品
JP4818309B2 (ja) テレビ電話端末
Du et al. Architecture design of video transmission between UMTS and WSN
WO2005006754A1 (ja) 送信した低品質a/vデータに対応する高品質a/vデータの送信
KR101148072B1 (ko) 멀티미디어 지원 시스템 및 그 지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