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9676B1 -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676B1
KR101369676B1 KR1020070074773A KR20070074773A KR101369676B1 KR 101369676 B1 KR101369676 B1 KR 101369676B1 KR 1020070074773 A KR1020070074773 A KR 1020070074773A KR 20070074773 A KR20070074773 A KR 20070074773A KR 101369676 B1 KR101369676 B1 KR 10136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computer
output device
auxiliary input
application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323A (ko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6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6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10)에 구비되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로 구동되는 보조 입출력 장치(20)에 있어서, 수신된 실행명령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명령을 실행하는 컨트롤러(22)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와 상기 보조의 입출력장치(2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별로 ID(Identification) 와 PW(pass word)가 구분되어 저장된 메모리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22)는,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메모리부929)로부터 ID 및 PW를 독출하여 로그인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협소한 보조입출력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별도의 로그인 없이도, 로그인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70074773
ID, 패스워드, 보조입출력장치, 통신모듈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Auxiliary IO apparatus of portable computer and Operatimg method of application using of auxiliary IO apparatus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ID/PW 룩 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용 컴퓨터 11 : 중앙처리장치(CPU)
13 : 저장부 15 : 통신모듈
20 : 보조 입출력장치 22 : 컨트롤러
23 : 비디오 출력부 25 : RAM
27 : 오디오 출력부 29 : 메모리부
본 발명은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는 본체 덮개 내부에 구비되는 LCD 디스플레이 창과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컴퓨터 전체를 구동시켜야 하고, 또한, 디스플레이가 필요없는 작업의 수행시에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동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모든 작업시에 휴대용 컴퓨터 전체가 구동되므로 전력의 소비가 증가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가능 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휴대용 컴퓨터의 덮개를 덮은 채로 특정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없으므로, 이동시 휴대용 컴퓨터를 이동이 편리하도록 덮개를 덮은 채로 음악을 듣는 등의 간단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의 메인 OS가 종료된 이후에도 독자적인 OS를 갖는 보조입출력장치를 구비되어 상기 보조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중 사용자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ID 및 PW의 입력 없이도 로그인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되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로 구동되는 보조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실행명령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명령을 실행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상기 보조의 입출력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별로 ID(Identification) 와 PW(pass word)가 구분되어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ID 및 PW를 독출하여 로그인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ID 및 PW는, 룩 업 테이블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통신모듈의 활성 여부를 판별하여 활성화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의 활성화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CPU를 구동시킴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실행명령의 실행은,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실행명령을 상기 CPU로 전달하여 실행되도록 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용컴퓨터의 CPU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저장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상기 통신모듈의 활성화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활성화시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용컴퓨터의 통신모듈과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저장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인증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는, 상기 실행명령의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상면 일 측에 구비되는 LCD(Liquid cristal display)로 구성된 비디오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 다.
또는. 상기 비디오 출력부는,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되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로 구동되는 보조입출력장치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을 입력받는 명령수신단계와; 입력된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로그인단계; 그리고 상기 실행명령을 실행하는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그인 과정은, 상기 보조입출력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ID 및 PW를 독출하여 수행되는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명령수신단계 수행 후, 입력된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인증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인증단계 수행 후 입력된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통신모듈의 활성여부를 판별하여 통신모듈을 활성화하는 활성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로그인 단계 수행 후, 사용자로부터 업 데이트 명령을 입력받아, 업 데이트를 실행하는 업데이트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주식계좌, 인터넷 뱅킹 또는 메신저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되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로 구동되는 보조입출력장치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실행명령이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저장부에 애플리케이션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ID 및 PW를 독출하여 로그인을 실행하여 상기 실행명령을 실행하는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협소한 보조입출력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별도의 로그인 없이도, 로그인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ID/PW 룩 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0)에는 외면 일 측에 보조 입출력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는 디스플레이창(23)(비디오 출력부)과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21)가 구비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창(23)과 입력부(21)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0)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0)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한다)(1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CPU(11)에는 휴대용 컴퓨터(10)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3)가 연결된다. 상기 저장부(13)는 일반적으로는 하드 드라이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부(13)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에서 실행되는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되는데, 예를 들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메일 문서 등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CPU(11)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10)가 외부와 통신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15)이 구비된다. 대표적인 통신모듈(15)은 유/무선 랜 모듈이나, 공지된 다른 통신형태의 모듈일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15)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웹사이트에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0)에는 자체 OS로 구동되는 보조 입출력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입출력장치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컨트롤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22)는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실행명령을 실행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22)는 상기 실행명령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사용자에게만 허락되어야 하는 것이라면, 시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과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입력부(21)가 협소한 관계로 문자를 이용하는 방법보다는 지문인식, 홍채 인식, 음성확인 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암호(문자/기호) 입력 등의 문자입력(자판을 이용한) 이외의 방법이 사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웹사이트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상기 웹사이트 접속을 위하여 통신모듈(15)을 활성화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15)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CPU(11)를 구동시켜 상기 통신 모듈(15)을 활성화하는 방법과, 상기 컨트롤러(22)가 직접 상기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후자의 경우를 다른 실시예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22)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CPU가 수행할 명령을 상기 CPU(11)로 전달하여, 상기 CPU(11)가 작동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22)에는 두 개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데, 그 중 하나는 상기 컨트롤러(22)와 상기 휴대용컴퓨터(10)의 CPU(11)를 연결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컨트롤러(22)와 후술할 휴대용 컴퓨터(10)의 저장부(13)를 연결 하는 제 2 인터페이스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22)가 상기 통신모듈(15)을 직접 컨트롤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인터넷 접속을 수행한다(도 3 참조).
이 경우,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제 1 인터페이스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2)와 통신모듈(13)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컨트롤러(22)의 로드가 줄어들어, 고 사양의 칩이 탑재되지 않아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휴대용 컴퓨터910)가 구동되어 전력소모 등에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휴대용 컴퓨터(10)의 구동이 없어 작동이 간소화 되는 반면에, 상기 컨트롤러(22)의 로드가 증가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2)는 상기 사용자명령의 종류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 접속 후, 사용자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로그인 절차는 후술할 메모리부(29)에 저장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ID 및 PW의 저장은 이하에서 상기 메모리부(29)를 설명함에 있어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922)는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접속된 인터넷을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13)에 저장된 이메일 내용만을 열람할 수도 있지만, 상기 업데이트 명령을 입력하여 새로운 메일을 업데이트하여 열람할 수도 있다. 이때,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자체내의 저장공간을 이용하는 아웃룩과 같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22)에는 RAM(25)이 연결되는데, 상기 RAM(25)은 상기 컨트롤러(22)의 구동에 필요한 임시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도 1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는 비디오 출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2)는 오디오 출력부(27)와 연결된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27)는 휴대용 컴퓨터(10)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 모듈일 수도 있고, 별도로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에 구비되는 오디오 출력 모듈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10)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 모듈을 보조입출력장치의 오디오 출력부(27)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독자적인 휴대용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체적인 오디오 출력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27)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는 메모리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29)는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의 데이터 저장공간으로, 애플리케이션 별로 구분된 ID 및 PW가 저장된다. 상기 ID 및 PW가 저장된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D 및 PW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를 수 있고(물론,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도 있다), 이들 ID 및 PW는 룩 업 테이 블로 정리되어 저장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시된 테이블에서 E-mail1,2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하고, Stock은 주식거래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Bank1,2는 인터넷 뱅킹 애플리케이션을 말하고, Messenger1,2는 매신져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또한, 상기 ID 및 PW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가 로그인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ID 및 PW를 상기 룩 업 테이블로부터 독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조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의 OS 전환 방법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조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이 입력됨에 의해 시작된다(S100). 상기 실행명령은 각각 애플리케이션 별로 구분되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도 각각 다른 실행명령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내에서도 수신되어 저장된 메일의 내용을 살펴보는 사용자 명령이 있을 수도 있고, 이와 함께 인터넷에 접속하여 새로운 메일을 수신하여 새로운 메일의 내용을 열람하는 사용자 명령이 공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22)는 상기 사용자명령의 실행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사용자명령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10). 이때, 사용자인증이 필요한 사용자 명령이라 함은, 상기 사용자 명령이 사용자 개인의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명 령인 경우나, 자산의 유동을 유발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인지 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이메일이나 주식정보 등은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사용자명령에 속하고, 단순 저장파일의 열람이나 재생(문서파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은 사용자 인증이 필요없는 사용자명령일 수 있다.
이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일반적인 문서라 하여도 공개를 원치않는 사용자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춰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1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인증과정을 실행한다(S112). 이때, 상기 사용자 인증과정은 지문인식과 같이, 자판을 이용한 긴 문자의 입력이 없는 인식방법을 통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20)는 그 크기가 작으므로 다양한 키 버튼을 구비할 수 없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상에서 하나하나의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간소화된 방법으로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각각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도록 하겠다.
상기 사용자 인증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모듈(15)의 활성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120).
즉, 위에서 예를 든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명령이 기 저장된 이메일의 내용을 열람하는 것이라면 상기 통신모듈(15)은 활성화될 필요가 없지만, 상기 사용자명령이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새로 수신된 메일을 열람하는 것이라면 상기 통신모듈(15)을 활성화해야 한다.
상기 제 120 단계의 판단결과, 통신모듈(15)의 활성화가 필요하면, 상기 통신모듈을 활성화 한다(S112). 이때, 상기 통신모듈(15)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휴대용 컴퓨터(10)의 CPU(11)를 구동시키는 방법과, 상기 컨트롤러(22)가 상기 통신모듈(15)을 직접 제어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22)는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130). 이때,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란 상기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웹사이트 접속이 필요한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서 로그인을 요구하는 경우를 말한다.
상기 제 130 단계의 수행결과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22)는 사기 메모리부(29에) 저장된 ID/PW 테이블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ID 및 PW를 독출한다(S132). 그리고 상기 ID 및 PW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S134).
한편, 상기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업데이트를 실행한다(S140, S142). 상기 업데이트 과정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 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업데이트 과정이 로그인 과정 이후에 실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통신모듈(22)이 활성화된 이후이면 어느 단계에서든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식시세의 열람이 사용자 명령인 경우 로그인이 필요 없을 수도 있고(물론, 자신의 보유종목만을 알고자 하는 경우 로그인이 필요), 새로운 메일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로그인 과정 이후에 업데이트가 실행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인증단계, 활성화단계, 로그인 단계 및 업 데이트 단계의 순서는 일 예를 든 것에 불과하고, 상기 인증과정이 활성화 단계 이후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에만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업 데이트 단계가 통신모듈 활성화 단계 이후에 실행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단계, 활성화단계, 로그인 단계 또는 업 데이트 단계 중 상기 사용자명령 실행에 필요한 과정을 마친 상기 컨트롤러는 입력된 실행명령을 실행한다.
이때, 실행이라 함은, 명령을 수행하고 수행된 결과를 출력부(23,27)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명령의 실행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별도의 OS를 가진 보조 입출력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므로, 휴대용 컴퓨터의 OS를 종료하고, 소량의 전력을 소비하는 보조 입출력장치를 이용해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입력 공간이 협소한 보조입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명령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ID 및 PW를 테이블로 저장하여 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되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로 구동되는 보조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실행명령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컨트롤러와,
    휴대용 컴퓨터와 보조의 입출력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통신모듈의 활성 여부를 판별하여 활성화하고, 통신모듈의 활성화는 컨트롤러가 휴대용 컴퓨터의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별로 ID와 PW가 구분되어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의 필요여부를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ID 및 PW를 독출하여 로그인을 싱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입출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D 및 PW는 룩 업 테이블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용컴퓨터의 통신모듈과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저장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인증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 인증절차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출력장치는, 실행명령의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휴대용 컴퓨터의 상면 일 측에 구비되는 LCD(Liquid cristal display)로 구성된 비디오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출력부는,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12.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되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로 구동되며, 실행 명령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보조입출력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을 입력받는 명령수신단계와;
    상기 명령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명령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단계; 그리고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컨트롤러가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의 필요여부를 판별하여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로그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그인 과정은 보조입출력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ID 및 PW를 독출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수신단계 수행 후, 입력된 상기 실행명령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인증의 필요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 입력출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단계 수행 후, 사용자로부터 업 데이트 명령을 입력받아, 업 데이트를 실행하는 업데이트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주식계좌, 인터넷 뱅킹 또는 메신저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7. 삭제
KR1020070074773A 2007-07-25 2007-07-25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Active KR10136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73A KR101369676B1 (ko) 2007-07-25 2007-07-25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73A KR101369676B1 (ko) 2007-07-25 2007-07-25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23A KR20090011323A (ko) 2009-02-02
KR101369676B1 true KR101369676B1 (ko) 2014-03-04

Family

ID=4068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773A Active KR101369676B1 (ko) 2007-07-25 2007-07-25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3580B2 (en) 2007-09-24 2015-01-27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US8600120B2 (en) 2008-01-03 2013-12-03 Apple Inc.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11165963B2 (en) 2011-06-05 2021-11-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US9898642B2 (en)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US11914419B2 (en) 2014-01-23 2024-02-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mpting a log-in to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CN111488111B (zh) 2014-01-23 2023-10-20 苹果公司 虚拟计算机键盘
US9483763B2 (en) 2014-05-29 2016-11-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AU2017100879B4 (en) * 2016-07-29 2017-09-28 Apple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user interface controls at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DK179978B1 (en) 2016-09-23 2019-11-27 Apple Inc. IMAGE DATA FOR ENHANCED USER INTERACTIONS
EP4156129B1 (en) 2017-09-09 2025-07-23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enrollment
US11170085B2 (en) 2018-06-03 2021-11-09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1100349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udio assisted enrollment
US10860096B2 (en) 2018-09-28 2020-12-08 Apple Inc.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EP4264460A1 (en) 2021-01-25 2023-10-25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2216754B2 (en) 2021-05-10 2025-02-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thenticating to perform secure oper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38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덮개에 보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휴대정보단말 장치
KR20030082712A (ko) * 2002-04-18 2003-10-23 주식회사 바롬테크 오디오파일재생기능이 구비된 시디롬 드라이브
KR20050052949A (ko) * 2003-12-01 2005-06-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로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38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덮개에 보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휴대정보단말 장치
KR20030082712A (ko) * 2002-04-18 2003-10-23 주식회사 바롬테크 오디오파일재생기능이 구비된 시디롬 드라이브
KR20050052949A (ko) * 2003-12-01 2005-06-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로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23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676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EP3593347B1 (en) Method for operat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6718307B1 (en) Speech input device with attention span
US9852731B2 (en) Mechanism and apparatus for seamless voice wake and speaker verification
JP5816693B2 (ja) セキュアリソース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355223B1 (en) Unlock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270903B (zh) 通过语音识别控制终端的锁定/解锁状态的方法和设备
US7185211B2 (en) Power management in computing applications
US6727830B2 (en) Time based hardware button for application launch
EP3646318B1 (en)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deciding duration of receiving voice input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JP2007004789A (ja) 生物信号入力装置、生物信号入力装置を備え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US7657731B2 (en) Computer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device
JP2006092547A (ja) 基本入出力システムを具え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322467B1 (ko) 다중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원격 제어 방법
CN107422976A (zh) 基于黑屏手势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EP3953810B1 (en) Application with self-configuring accessibility settings
CN101194456A (zh) 计算机的安全快速导航和功率控制
US200602302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6195599A (ja) セキュリティを確保した決済対応アプリケーション
US8842025B2 (en) Method of setting specific scan codes for manual input device
JP473810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63174A (ko)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개인단말과 그 제어방법
JP418939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認証制御方法
US20080218530A1 (en) Displaying data sensitive targets
US79452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adio conn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