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8425B1 - 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425B1
KR101368425B1 KR1020120017849A KR20120017849A KR101368425B1 KR 101368425 B1 KR101368425 B1 KR 101368425B1 KR 1020120017849 A KR1020120017849 A KR 1020120017849A KR 20120017849 A KR20120017849 A KR 20120017849A KR 101368425 B1 KR101368425 B1 KR 101368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ver
water tank
sterilizing
e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6422A (en
Inventor
배수호
신유진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425B1/en
Publication of KR2013009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42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살균수를 물탱크로 공급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의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살균수를 가장자리로 분산시켜,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을 따라 살균수가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제2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수를 물탱크에 공급할 때 그 살균수가 물탱크의 내부 벽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도록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소량의 살균수를 사용하면서도 물탱크 전체를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first cover is formed with an inlet for supplying the external sterilization water to the water tank, and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and is supplied through the inlet Dispers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edge, and includes a second cover to guide the sterilizing water flows down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eriliz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the sterilizing water flows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entire water tank can be sterilized and washed while using a small amount of the sterilized water.

Description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수처리장치의 물탱크의 내부 벽면을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easily steriliz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산업발달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정수기로 정화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As water pollution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becomes serious, distrust in tap water increases, and recently, purified water with a water purifier is used as drinking water or commercially available bottled water as drinking water.

상기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수기는 일반가정용 및 업소용뿐만 아니라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료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water purifier is made to remove heavy metals and othe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through the process of sedimentation,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of raw water such as tap water, and such water purifier is not only for general household and commercial use, but also for cutting-edge scientific industry or high precision It is also widely used for cleaning or medical parts.

종래의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와, 상기 원수밸브를 통과한 원수 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게 되는 전처리 침전 필터와, 원수 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카본 필터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를 통과한 원수 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멤브레인 필터와, 상기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한 정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카본 필터와,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또는 중공사막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Conventional water purifiers include a raw water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aw water such as tap water and natural water, a pre-treatment sediment filter for filtering the residue in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aw water valve, and a free for removing chlorine components and odors in the raw water. A carbon filter, a membrane filter for removing ionic heavy metals remaining in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precarbon filter, a post carbon filter for removing chlorine components and odors contained in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membrane filter, and It consists of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passed through the post carbon filter. The membrane filter may be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or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소비자가 즉시 이용하지 않고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물탱크 내부에 세균이 증식될 수 있는 환경이 되므로, 이러한 물탱크의 살균 또는 세정처리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If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not used immediately by the consumer for a long time, and the environment can grow bacteria inside the water tank,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the sterilization or cleaning treatment of such a water tank.

예를 들어 공개특허 10-2010-0047529호와 같이 물탱크 내에 세균 박멸제를 내장하는 구조나, 공개특허 10-2005-0091564호와 같이 물탱크 내의 물을 유동시키며, 살균볼을 장착하여 물탱크 내의 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bactericidal agent is embedded in a water tank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47529, or water in a water tank as show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91564, and a sterilization ball is mounted to the water tank.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water in the interio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주기적으로 살균제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저장된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가 증가하게 되고, 살균제를 직접 물에 넣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에서 살균제의 냄새가 날 수 있으며, 물탱크의 내부 벽면을 처리하는 특별한 구성이 없어 물탱크의 내부 벽면이 오염된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살균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are inconvenient to replace the disinfectant periodically,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because the power is used to flow the stored water, and when the sterilizer is directly put into the water, There may be a smell, there is no special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effectively sterilized if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is contaminated.

또한 종래의 정수기에 적용된 다른 살균 시스템은, 물탱크 내부에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물탱크 측벽에 살균수 공급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살균수 공급구멍을 통해 살균수가 물탱크 내부로 흘러나와 물탱크를 살균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nother sterilization system applied to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has a sterilizing water supply hole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to supply steriliz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and the sterilizing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hole. Systems are being used to sterilize tanks.

그러나 물탱크는 내부 벽면에 오염이 심하게 발생하는데 상기한 종래의 살균 시스템에 의하면 물탱크 내부 벽면 전체를 살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물탱크 내부 벽면 전체를 살균하기 위해서는 살균수를 물탱크 만수위까지 채워야 하므로 물탱크 살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다량의 살균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ater tank is heavily polluted on the inner wall.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erilization system, it is difficult to sterilize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In order to sterilize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the sterilizing water must be filled up to the full level of the water tank. Therefore, it takes a long time to sterilize the water tan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sterilization water is required.

또한, 정수에 살균수를 혼합하여 살균하는 경우에는 살균수의 농도가 저하되므로 살균이 완전히 되지 않고 세균이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terilizing by mixing the sterilizing water in the purified water, since the concentration of the sterilizing water is lowe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erms remain without being completely sterilized.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살균수의 공급유로의 구조를 변경하여 물탱크의 내부 벽면 전체를 최소한의 살균수를 사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ater treatment that can quickly and easily sterilize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using a minimum of sterilizing water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supply passage of the sterilizing wa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ile water supply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의 살균수를 물탱크로 공급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의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살균수를 가장자리로 분산시켜,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을 따라 살균수가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제2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cover is formed with an inlet for supplying the external sterilization water to the water tank, and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the steriliz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Dispersed by the edge, it may include a second cover to guide the sterilizing water flows down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상기 제2덮개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살균수를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로 유도하기 위한 제1유로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second cover may be formed with a first flow path groove for guiding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to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상기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2유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로홈은 상기 제2덮개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제1유로홈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A second flow path groove may be formed around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to uniformly supply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In this case, the second flow path groove may be to interconnect the end of the first flow path groove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cover to the edge.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유출시키는 제1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outflow hole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second cover to allow the sterilized water to flow out to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상기 제2덮개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살균수를 가장자리로 균일하게 흐르게 하는 집수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may have a water collecting protrusion for uniformly flowing the steriliz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to the edge.

상기 제2덮개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v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edge from the center.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 외측면와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유출시키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에는 상기 제1유출공과 연통하는 제2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에는 상기 제2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유출공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 packing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edg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In this case, a first outflow hole for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second cover, and a second outflow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flow hole may be formed in the packing. In addition, the packing may be formed with a guide portion protruding further outward than the first outlet hole to guide the sterilized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second outlet hol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상기 제2덮개의 제1유출공 하부면에는 상기 제1유출공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outlet hole of the second cover may be formed with a guide portion protruding further outward than the first outlet hole.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하향 돌출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2유로홈을 형성하며, 상기 패킹에는 상기 절곡부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는 실링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A bent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is formed around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and the inner space of the bent portion forms a second flow path groove for uniformly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Sealing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에 공급되는 살균수가 물탱크의 내부 벽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도록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소량의 살균수를 사용하면서도 물탱크 전체를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flow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entire water tank can be sterilized and washed while using a small amount of sterilized water.

또한 본 발명은 살균수를 만수위까지 공급하지 않고도 물탱크 전체를 살균 및 세척할 수 있으므로 살균 및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erilize and wash the entire water tank without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full water level,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sterilization and washing.

아울러 본 발명은 물탱크의 상부 개방부를 덮는 덮개를 상하 이중 구조로 하여, 덮개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물탱크 외부온도의 영향을 차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ver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up and down double structure, by forming an insulating space between the cover,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water tank external temperat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공급장치가 적용된 수처리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2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제2덮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제1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패킹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device to which a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ver in FIG. 1. FIG.
3 is a rear view of the second cover.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ver in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ing in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공급장치가 적용된 수처리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2덮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제2덮개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제1덮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패킹의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device to which a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ver in FIG. 1, and FIG. 3 is a rear view of the second cover.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ver in FIG. 1,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ing in FIG. 1.

도 1 내지 도 6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는, 외부의 살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형성된 제1덮개(20)와, 상기 제1덮개(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덮개(20)의 유입구(21)를 통해 공급된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10)의 내부 벽면 측으로 분산시키는 제2덮개(30)와, 상기 제2덮개(30)에서 분산된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게 하는 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6,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20 is formed with an inlet 21 through which the external sterilization water flows, and the first cover A second cover 30 disposed below the 20 and dispersing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 of the first cover 20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water tank 10; It comprises a packing 40 for flowing down the sterilized water dispersed in the cover 30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상기 제2덮개(30)는 상기 제1덮개(20)가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단턱(31)과, 상기 제1덮개(20)의 유입구(21)를 통해 공급된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으로 분산시키는 유로부(32)와, 상기 유로부(32)를 따라 분산되는 살균수를 외부로 균일하게 유출시키는 제1유출공(33)을 포함한다.The second cover 30 is a coupling step 31 to which the first cover 20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steriliz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 of the first cover 20. A flow path part 32 for dispers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ank 10 and a first outflow hole 33 for uniformly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distributed along the flow path part 32 to the outside.

상기 패킹(40)은 상기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에 밀착되어 외부와 밀폐하는 실링부(41)와, 상기 제1유출공(33)과 연통되는 제2유출공(42)과, 상기 제2유출공(42)을 통해 공급되는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3)를 포함한다. The packing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and sealed to the outside, the second outlet hole 42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utlet hole 33, and And a guide part 43 for guiding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outlet hole 42 to flow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여기서, 상기 유로부(32), 상기 제1유출공(33) 및 상기 제2유출공(42)은 상기 물탱크(10)의 내부 벽면 전체를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형성하여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low path part 32, the first outflow hole 33 and the second outflow hole 42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o as to sterilize and wash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10 appropriately Can be deployed.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물탱크(10)는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는 구조로, 수처리장치에서 필터를 거치면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된 정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탱크(10)의 내측에는 정수와 냉수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어느 일측에는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코일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action 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water tank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open, the raw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t serves to store purified water from which heavy metals and othe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ner side of the water tank 1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ng plate for separating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either side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coil for cooling the stored water.

상기 물탱크(10)의 개방부에는 제1덮개(20)와 제2덮개(30)가 덮여 있으며, 제1덮개(20)와 제2덮개(30)는 서로 가장자리에서만 맞닿아 있으며, 중앙부분은 상호 이격 되어 있다.The opening part of the water tank 10 is covered with a first cover 20 and a second cover 30, the first cover 20 and the second cover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ly at the edge, the central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덮개(20)는 중앙부에 유입구(21)가 형성된 판상의 구조이며, 상기 제2덮개(30)는 가장자리가 절곡된 판상의 구조이며, 그 절곡된 부분이 상기 물탱크(10)의 개방부 가장자리에 걸쳐져 개방부를 덮으며, 그 절곡된 부분에서 중앙측으로 상기 제1덮개(20)가 안착되는 결합단턱(31)을 구비한다.The first cover 20 is a plate-like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21 is formed in the center, the second cover 30 is a plate-like structure of the bent edge, the bent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Covering the opening over the edge of the open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coupling step 31, the first cover 20 is seated from the bent portion to the center side.

이때, 상기 제1덮개(20)와 제2덮개(30)는 물탱크(10)의 개방부를 덮도록 구비되어 이물질의 유입 및 공기중의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1덮개(20)와 제2덮개(30) 사이의 공간은 단열공간으로 기능하여 물탱크 외부온도의 영향을 차단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cover 20 and the second cover 30 is provid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water tank 10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infiltration of bacteria in the air, the first cover 20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ver 30 serves as a thermal insulation space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water tank.

상기 유입구(21)는 상하 관통된 통공을 구비하며, 외부의 살균수 유입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통공의 주변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구(21)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돌출된 형태가 아닌 관통홀 형태도 가능하다.The inlet 2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the top and bottom,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sterilization water inlet pipe. The structure of the inlet 21 is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orm a through hole rather than a protruding form.

상기 제2덮개(30)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공급된 살균수를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으로 분산하는 유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부(32)는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공급된 살균수를 일시 저장하는 중앙의 집수홈(36)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뻗은 제1유로홈(34)과, 상기 제1유로홈(34)들의 끝단이 상호 연결되는 제2유로홈(3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로홈(34)은 평탄한 홈일 수 있으나 살균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상기 제2덮개(3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바닥면이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사를 따라 상기 제1덮개(20)의 유입구(21)를 통해 공급되는 살균수를 상기 제2유로홈(35)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집수홈(36)의 중앙부에는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공급되는 살균수가 방사형으로 균일하게 흐르게 하기 위하여 중앙부가 원추형으로 상향 돌출된 집수돌출부(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30 is formed with a flow path portion 32 for dispersing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In detail, the flow path part 32 includes a first flow path 34 extending radially in an edge direction from a central water collecting groove 36 for temporarily storing steriliz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 and the first flow path. End of the flow path grooves 34 includes a second flow path groove 35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flow path 34 may be a flat groove, but in order to smoothly flow the sterilizing water, the first channel 34 may be inclined to gradually lower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cover 30 to the edge there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 of the first cover 20 is moved to the second flow path groove 35. A central portion of the collecting groove 36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ng protrusion 37 having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upward in a conical shape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 flows uniformly in a radial manner.

상기 제2유로홈(35)은 상기 결합단턱(31)의 안쪽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이며, 상기 집수홈(36)에 일시 집수되어 제1유로홈(34)을 따라 유도된 살균수를 둘레 방향으로 확산시키고, 상기 제2유로홈(35)의 외측에 형성된 다수의 제1유출공(33)을 통해 살균수가 균일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flow path groove 35 is a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step 31, and is temporarily collected in the collection groove 36 to surround the sterilized water guided along the first flow path groove 34. Diffusion in the direction, and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outlet holes 33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flow path groove 35 to allow the sterilized water to flow out uniformly.

상기 제2덮개(3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절곡된 절곡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38)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제2유로홈(35)을 형성하게 된다.A bent portion 38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and bent along an edge of the second cover 30, and an inner space of the bent portion 38 forms the second flow path groove 35.

상기 제2덮개(30)의 측면둘레에는 패킹(40)이 결합되는데, 상기 패킹(40)에는 상기 제1유출공(33)과 상호 연통되는 제2유출공(42)이 형성되어, 제2유로홈(35)의 살균수가 제1유출공(33)과 제2유출공(42)을 통과한 후 물탱크(10)의 벽면측으로 흐르게 된다. A packing 40 is coupled to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ver 30, and the packing 40 is formed with a second outlet hole 4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hole 33. The sterilizing water of the flow path groove 35 passes through the first outlet hole 33 and the second outlet hole 42 and then flows to the wall surface side of the water tank 10.

그리고, 상기 제2유출공(42)의 상부측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부(41)가 형성되어,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에 밀착되어 밀폐를 이루어, 외부의 이물질 유입 및 공기중의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a sealing portion 41 protruding outwardly along a circumference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second outlet hole 4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to seal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air from the outside. Prevents bacteria from penetrating.

또한, 제2유출공(42)의 하부측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43)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43)는 상기 물탱크(10)의 내부 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틈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그의 끝단은 하측으로 구배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outlet hole 42 is formed with a guide portion 43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the guide portion 43 is a gap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protrudes outward to have, and its end is formed to be sloped downward.

이를 통해, 상기 제2유출공(42)을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으로 유도하여, 살균수가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바닥으로 흐르게 한다.Through this,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hole 42 is guid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flows to the bottom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이때, 상기 제1유출공(42) 및 상기 제2유출공(42)은 물탱크(10)의 내부 벽면 전체를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형성하여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outflow hole 42 and the second outflow hole 42 may be appropriately disposed by forming a plurality in order to sterilize and wash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10.

따라서 살균수를 만수위로 공급하지 않고도,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을 살균 및 세척 할 수 있게 되어, 살균수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살균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was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without supplying sterilizing water to the full water level,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sterilizing water used and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sterilization treatment.

한편, 상기 패킹(40)에는 상기 제2덮개(30)의 절곡부(38) 하부에 밀착 결합되는 실링지지부(4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실링지지부(44)는 상기 절곡부(38)가 그 내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절곡부(3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43)는 상기 실링지지부(44)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유출공(33)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cking 40 is formed with a sealing support portion 44 is tight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38 of the second cover 30, the sealing support portion 44 is the bent portion 38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38 to be fitted therein, the guide portion 43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ealing support portion 44 to protrude further outward than the first outflow hole (33) do.

상기 실링지지부(44)는 상기 패킹(40) 전체가 견고하게 상기 제2덮개(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43)와 제2유로홈(35)의 절곡부(38)의 사이를 밀폐하여 살균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지지부(44)가 절곡부(38)의 하부에 밀착되어 있어 제1유출공(33) 및 제2유출공(42)을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가 원활하게 상기 물탱크(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흐르도록 할 수 있다.The sealing support 44 allows the entire packing 40 to be firmly coupled to the second cover 30, as well as the bent portion 38 of the guide 43 and the second flow path 35. ) Can be sealed to prevent the sterilization water from leaking. That is, the sealing support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38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hole 33 and the second outlet hole 42 may be smoothly formed in the water tank 10. It can flow along the inner wall.

본 실시예에서는 살균수를 물탱크(100)의 내부 벽면에 근접한 위치까지 유도하기 위해 패킹(40)에 가이드부(43)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패킹(40)에서 가이드부(43)를 없애고 제2덮개(30)의 제1유출공(33) 하부면을 제1유출공(33) 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이드부를 구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ortion 43 is formed in the packing 40 to guide the sterilizing water to a position clos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0, but the guide portion 43 is removed from the packing 40. By removing and protru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outlet hole 33 of the second cover 30 in an outward direction more than the first outlet hole 33, a guide part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guide part 43 may be configured. .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집수돌출부(37)는 원추형으로 상향 돌출된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집수돌출부(37)를 오목한 형상이 되도록 하향 돌출된 것으로 구성하면 일정량의 살균수가 저장된 후 방사형으로 균일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tchment protrusion 37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in a conical shape, but when the catchment protrusion 37 is configured to protrude downward so as to have a concave shape, a certain amount of sterilizing water is stored to uniformly flow radially. Can b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a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는, 물탱크(100)의 개방부를 덮어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외부에서 살균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210)가 마련된 제1덮개(200)와, 상기 제1덮개(200)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덮개(200)에 결합수단(220)으로 결합되되, 상기 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살균수를 외측으로 분산시켜,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 벽면을 따라 흐르게 하는 제2덮개(300)와, 상기 제1덮개(200)의 하부측에서 하향 돌출된 결합가이드(230)의 외측에 구비되는 패킹(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n opening of the water tank 100 to block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nd an inlet for introducing sterilizing water from the outside ( 2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220 to the first cover 200 and the first cover 20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200, through the inlet 210 The second cover 300 and the coupling guide 23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ver 200 by dispersing the introduced sterilized water to the outside to flow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cking 400 provided on the outside.

상기 결합수단(220)은 볼트이거나, 볼트결합 이외에 억지 끼움, 후크 결합 등 다양한 수단을 사용함이 가능하다. The coupling means 220 is a bolt, it i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means, such as interference fitting, hook coupling in addition to the bolt coupling.

먼저, 상기 제1덮개(200)는 판상의 구조로, 외부의 살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210)는 상하 관통된 통공의 주변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거나 관통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cover 200 has a plate-like structure, the inlet 210 is formed in which the external sterilization water is introduced, the inlet 210 is formed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r through holes It can be formed in the form.

여기서, 상기 유입구(210)의 위치는 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살균수가 제2덮게(300)를 통해 물탱크(100)의 내부 벽면쪽으로 방사형으로 균일하게 흐르도록 상기 제 1덮개(200)의 중앙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osition of the inlet 210 is the first cover 200 so that the sterilized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210 flows radially uniformly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0 through the second cover 300.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e center part of the.

또한, 상기 제1덮개(200)에는 상기 제2덮개(300)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덮개(200)로 물탱크(100)의 개방부를 덮을때,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정확한 결합을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230)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ver 200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part 240 to which the second cover 300 is coupled, and when covering the opening of the water tank 100 with the first cover 200, Coupling guide 230 to guide the correct coupling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이와 같은 제1덮개(200)의 형상은 상기 도 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덮개(20)와 일부 차이가 있으나, 이는 제2덮개(300)와의 조립방식의 차이에 따른 구조의 변경이며, 제1덮개(200)에 형성된 유입구(210)를 통해 살균수가 공급되는 기능적인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shape of the first cover 20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ver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like, but this is a change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assembly method with the second cover 300, The func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steriliz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0 formed in the first cover 200 is substantially the same.

상기 제1덮개(200)의 하부에는 상기 유입구(210)의 하부에서 가장자리 쪽으로갈수록 경사진 판상 구조의 제2덮개(300)가 결합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1덮개(200)와 상기 제2덮개(30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2덮개(300)는 상기 물탱크(100) 내부 벽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틈을 가지도록 구비된다.The lower cover of the first cover 200 is coupled to the second cover 300 of the plate-like structure inclined toward the edg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210, the first cover 200 and the second cover The spac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between the 300, the second cover 300 is provided to have a gap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이 상기 공간과 경사진 판상 구조에 의해 상기 유입구(210)를 통해 공급된 살균수는 그 제2덮개(300)의 상면을 따라 가장자리 단부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상기 제2덮개(300)의 가장자리 단부와 상기 물탱크(100) 내부 벽면 사이의 틈으로 배출된 후,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면서, 물탱크(100)의 내부 벽면 전체를 살균 및 세척하게 된다.As such,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0 by the spaced and inclined plate structure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edge en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300, and thus After being discharged into the gap between the edge end and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100,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100 is sterilized and cleaned while flowing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100.

상기 제2덮개(3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덮개(200)의 제1결합부(2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240)와 제2결합부(31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며, 그 예로는 나사결합, 억지끼움, 후크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구조를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A second coupling part 31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300 to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240 of the first cover 200. The first coupling portion 24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10 is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for example, various coupling structures such as screw coupling, interference fit, hook coupling can be applied as necessary.

또한, 상기 제1덮개(200)의 결합가이드(230)의 외측에는 패킹(400)이 결합되되, 상기 패킹(400)의 외측면 일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 벽면에 접하는 실링부(41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acking 40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guide 230 of the first cover 200,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ing 400 is protruded along the circumference, the water tank 100 The sealing part 410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이를 통해, 상기 실링부(410)는 상기 물탱크(100)와 상기 제1덮개(200)의 사이를 밀폐하여 이물질의 유입 및 공기중의 세균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rough this, the sealing part 410 seals between the water tank 100 and the first cover 200 serves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the penetration of bacteria in the air.

이처럼 상기 제1덮개(200)가 물탱크(100)의 개방부를 덮어 이물질의 유입 및 공기중의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1덮개(200)와 제2덮개(300)의 사이 공간은 단열공간으로 기능하여 물탱크 외부온도의 영향을 차단한다.As such, the first cover 200 covers the opening of the water tank 100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penetration of bacteria in the air, an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ver 200 and the second cover 300 is It functions as an insulated space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water tank.

상기의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은 제1덮개와 제2덮개 및 패킹을 사용하여 물탱크의 개방부를 밀폐함과 아울러 살균수를 가장자리로 분산시켜 물탱크의 내부 벽면을 따라 흐르게 함으로써, 살균수를 만수위까지 공급하지 않고도 물탱크의 내부 전체를 살균 및 세척할 수 있어 살균수 사용량을 줄이며, 살균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게 된다.As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irst cover, the second cover, and the packing to seal the opening of the water tank and disperse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edge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flow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wash the entire inside of the water tank without supplying water to the full water level, thus reducing the amount of sterilized water used and shortening the sterilization tim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00:물탱크 20,200:제1덮개
21,210:유입구 30,300:제2덮개
31:결합단턱 32:유로부
33:제1유출공 34:제1유로홈
35:제2유로홈 36:집수홈
37:집수돌출부 38:절곡부
40,400:패킹 41,410:실링부
42:제2유출공 43:가이드부
44:실링지지부 220:결합수단
230:가이드 240:제1결합부
310:제2결합부
10,100: water tank 20,200: first cover
21,210: Inlet 30,300: Second cover
31: coupling step 32: euro part
33: First outflow 34: First Euro home
35: second euro home 36: catchment home
37: catchment part 38: bending part
40,400: Packing 41,410: Sealing part
42: second outflow hole 43: guide part
44: sealing support 220: coupling means
230: guide 240: first coupling portion
310: second coupling part

Claims (12)

외부의 살균수를 물탱크로 공급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1덮개; 및
상기 제1덮개의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살균수를 가장자리로 분산시켜,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을 따라 살균수가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제2덮개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A first cover having an inlet for supplying external sterilizing water to the water tank; And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and the dispersing the steriliz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to the edge,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to guide the sterilizing water flows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A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second cover that forms a gap between the wal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살균수를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로 유도하기 위한 제1유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ver is sterilized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low path for guiding the steriliz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to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상기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2유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flow path groove is formed around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to uniformly supply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홈은 상기 제2덮개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제1유로홈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flow path groove is sterilized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interconnecting the end of the first flow path groove radially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유출시키는 제1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the first outlet hole for outflow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살균수를 가장자리로 균일하게 흐르게 하는 집수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ver is sterilized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collecting projections for flowing the sterile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to the edge even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ver is sterilized water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toward the edge from the ce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 외측면와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cover and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to maintain the airtigh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유출시키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에는 상기 제1유출공과 연통하는 제2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Steriliza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utlet hole for outflow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the second outlet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utlet hole is formed in the packing; Water supp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에는 상기 제2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유출공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acking is sterilized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is further protruded outward than the first outlet to guide the sterilized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outlet hol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의 제1유출공 하부면에는 상기 제1유출공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5,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protruding further outward than the first outlet ho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outlet hole of the second co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하향 돌출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살균수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 벽면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2유로홈을 형성하며, 상기 패킹에는 상기 절곡부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는 실링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bent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is formed around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and the inner space of the bent portion forms a second flow path groove for uniformly supplying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KR1020120017849A 2012-02-22 2012-02-22 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Active KR101368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849A KR101368425B1 (en) 2012-02-22 2012-02-22 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849A KR101368425B1 (en) 2012-02-22 2012-02-22 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422A KR20130096422A (en) 2013-08-30
KR101368425B1 true KR101368425B1 (en) 2014-03-03

Family

ID=4921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849A Active KR101368425B1 (en) 2012-02-22 2012-02-22 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4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311A (en) * 2003-06-05 2004-12-24 Yoko Uruma Lid for drain pipe
KR101054836B1 (en) * 2011-03-29 2011-08-05 (주)엠앤에스시스템 Wafer Clean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311A (en) * 2003-06-05 2004-12-24 Yoko Uruma Lid for drain pipe
KR101054836B1 (en) * 2011-03-29 2011-08-05 (주)엠앤에스시스템 Wafer Clean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422A (en)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9274B1 (en) a water purifier of self management type
KR101308124B1 (en)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ner Flow Path in Water Purifier
KR20240162021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20130104089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101181632B1 (en) sterilization and filter unit of water purifier
KR20140081629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368425B1 (en) 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US10905986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765669B1 (en)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ner Flow Path in Water Purifier
KR101521937B1 (en) A washing kit for water purifier
KR101198652B1 (en) Purifier apparatus equipped with self-sterilizing and Sterilization Method having the same
KR102462653B1 (en) Water purifi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using carbonated water
KR101373057B1 (en) Supplies for disinfection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849088B1 (en)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ner Flow Path in Water Purifier
KR100824078B1 (en) water purifier
KR101325119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cleaning of Service water purifier and the Service water purifier
CN220502763U (en) Electrode sterilizing device for water purifier
KR101447963B1 (en) Water treatment method
KR20140022937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20140071834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101476323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20130016551A (en) Sterilization method of ice tank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120009243A (en) Water Purifier Filter Assembly with UV Lamp
KR20250070680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equipped with UV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