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8358B1 -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358B1
KR101368358B1 KR1020120054367A KR20120054367A KR101368358B1 KR 101368358 B1 KR101368358 B1 KR 101368358B1 KR 1020120054367 A KR1020120054367 A KR 1020120054367A KR 20120054367 A KR20120054367 A KR 20120054367A KR 101368358 B1 KR101368358 B1 KR 10136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rib
meat
plat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502A (ko
Inventor
김경신
Original Assignee
김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신 filed Critical 김경신
Priority to KR102012005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35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35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육류를 구워먹기 위해 사용되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구이판은, 복수 개의 제1살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제1살대에 기름받이홈이 길게 형성된 하부 가열판; 및 고기가 놓여지는 복수 개의 제2살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하부 가열판 위에 안착되는 상부 가열판;을 포함하며, 상부 가열판이 하부 가열판에 안착될 때 제2살대는 제1살대와 동일방향으로 위치되며 제1살대의 수직 상방에 제1살대와 이격되게 위치된다.

Description

구이판{ROAST PLATE}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육류를 구워먹기 위해 사용되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숯불 등을 이용해 고기를 직화구이 형태로 구워먹는데 사용되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구이라 함은 화력이 고기에 직접 닿도록 하여 고기를 굽는 방식을 말하며, 육류를 덩어리째로 꼬챙이 등에 끼워 장작불 등에 통째로 굽는 바비큐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바비큐는 많은 사람들에게 고기를 대접하거나 야외에서 고기를 구워먹는데 이용된다. 바비큐 형태로 고기를 굽게 되면 고기의 맛뿐 아니라 고기를 굽는 모습 자체만으로도 사람들에게 기쁨을 준다.
바비큐는 구비되는 장비가 크기 때문에 식당이나 일반 가정에서 이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식당이나 일반 가정에서는 숫불을 이용하여 얇게 썬 고기를 굽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숯은 참나무 등의 나무를 태워 만들기 때문에 숯을 태울 때 나는 연기가 고기에 스며들어 고기의 맛을 더해주므로 직화구이의 화력을 제공하는 용도로 많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숯불 등을 이용해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된 구이판은 화력이 올라와 고기에 직접 닿을 수 있도록 철망 형태로 형성되거나 철판에 다수의 구멍을 뚫는 형태로 형성된다.
종래에는 숯불 구이판으로 황동재로 된 구이판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발암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나 현재는 사용이 기피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알루미늄재, 스텐레스재 또는 주철재로 된 구이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숯불 구이판은 철망 형태로 형성되거나 철판에 구멍이 뚫린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기를 구울 때 고기가 가지고 있는 수분이나 기름, 또는 고기에 바르거나 고기와 버무리는 양념이 숯불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수분이나 기름, 양념이 숯불로 떨어지게 되면 숯불에서 연기가 발생하여 고기가 까맣게 타거나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건강상 해로운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식당에서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로 퍼지지 않도록 식탁이나 식탁 위쪽에 강제배기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고기를 구울 때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이판이 개발되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제2001-0025415호, 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매연 발생이 없는 구이판’이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선행문헌에 따른 구이판의 종단면도이다.
선행문헌에 따른 구이판은 수직 금속판(1)이 일방향으로 반복되어 평행하게 형성된 상부 석쇠판(2)과, 수직 금속판(6)이 일방향으로 반복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 석쇠판(2)의 아래에 위치되는 하부 석쇠판(3)으로 구성된다.
상부 석쇠판(2)의 수직 금속판(1)은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을 가진다. 하부 석쇠판(3)의 수직 금속판(6)은 윗부분에 V자형 홈(5)을 가진다. 상부 석쇠판(2)를 구성하는 수직 금속판(1)의 좁은 하단(4) 바로 밑에 V자형 홈(5)이 위치되며, 수직 금속판(1)의 하단은 V자형 홈(5)의 내측 중심에 접촉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행문헌에 따른 구이판에 의하면, 화력이 수직 금속판(1)(6) 사이의 간극(7)(7′)을 통해 상승한 후 상부 석쇠판(2)의 수직 금속판(1) 위에 올려져 있는 고기와 접촉하여 고기를 가열하게 된다. 고기를 가열하면서 발생되는 기름은 상부 석쇠판(2)의 수직 금속판(1)을 따라 흘러내린 후 하부 석쇠판(3)의 수직 금속판(6)에 형성된 V자형 홈(5)에 모이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열에 의해 경화 또는 휘산되거나 홈(5) 바깥으로 흘러내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선행문헌에 따른 구이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첫째, 상부 석쇠판(2)의 수직 금속판(1) 하단이 하부 석쇠판(3)의 수직 금속판(6)에 형성된 V자형 홈(5)에 닿아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홈(5)에 모인 기름의 흐름이 수직 금속판(1)에 의해 방해를 받기 때문에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기름이 홈(5)에 계속해서 모이는 경우 기름이 홈(5)으로부터 넘쳐 구이판 아래에 있는 불에 떨어져 연기가 발생할 염려가 많다.
둘째, 상부 석쇠판(2)의 수직 금속판(1) 상단은 단면적이 넓어 고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화력이 고기와 직접 접촉되어 직화되는 면적이 줄어들고 수직 금속판(1)을 통해 간접적으로 가열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직화의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고기가 수직 금속판(1)에 눌러붙는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기름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연기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기가 올려지는 구이부와 고기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구이부에 의한 간접가열보다 화력에 의한 직접가열(직화)이 증대되도록 하여 직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기를 구울 때 고기가 구이부에 눌러붙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구이판은, 복수 개의 제1살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제1살대에 기름받이홈이 길게 형성된 하부 가열판; 및 고기가 놓여지는 복수 개의 제2살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하부 가열판 위에 안착되는 상부 가열판;을 포함하며, 상부 가열판이 하부 가열판에 안착될 때 제2살대는 제1살대와 동일방향으로 위치되며 제1살대의 수직 상방에 제1살대와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2살대의 단면적은 중심부가 크고 중심부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가면서 작아진다. 제2살대는 마름모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살대의 중심부 좌우측 폭은 기름받이홈의 좌우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위에서 수직 하방으로 바라볼 때 제2살대가 기름받이홈의 폭 범위 내에 위치된다.
하부 가열판에는 기름받이홈을 통해 흘러나온 기름이 모이는 홈 형태의 고임부와, 구워진 고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고임부와 구획 형성된 홈 형태의 고기 모음부가 제1살대의 주위로 형성된다.
하부 가열판에는 상부 가열판이 올바르게 안착되도록 위치를 결정하는 안착돌부가 위로 돌출 형성된다.
상부 가열판은, 제2살대로 이루어진 구이부; 및 구이부의 테두리를 감싸 구이부를 지지하며 안착돌부의 외측에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 구이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상부 가열판이 하부 가열판에 안착될 때 고기가 놓여지는 제2살대가 기름받이홈이 형성된 제1살대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고기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 다른 곳으로 떨어지지 않고 기름받이홈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연기발생이 최소화된다. 특히, 종래와 달리 제2살대가 제1살대와 이격되므로 제2살대로 인해 기름받이홈에서 기름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아, 기름받이홈에 많은 기름이 떨어지더라도 기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름이 기름받이홈으로부터 넘치지 않게 된다.
둘째, 제2살대의 좌우폭이 기름받이홈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2살대를 따라 흐르는 기름이 다른 곳으로 흐르지 않고 기름받이홈으로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1살대를 통과한 화력이 제2살대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고기로 전달되기 때문에 직화효율이 우수하다.
셋째, 제2살대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마름모꼴로 형성되되 중심부의 단면적이 가장 크고 중심부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2살대에 놓여지는 고기와 제2살대 사이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제2살대를 통한 간접가열이 줄어들고 화력에 의한 직접 가열이 증가하여 직화효율이 우수해진다. 또한, 제2살대의 양측 경사면으로 인해 기름 등이 기름받이홈으로 원활하게 떨어지게 된다. 즉. 제2살대의 상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으로 인해서는 직화효율이 우수해지며, 제2살대의 하부에 형성된 제2경사면으로 인해서는 기름들이 기름받이홈으로 원활하게 떨어지게 된다.
넷째, 하부 가열판에 안착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가열판의 안착부가 안착돌부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2살대가 제1살대와 위치가 일치된 상태로 올바르게 안착될 수 있다.
다섯째, 하부 가열판의 상면 중 화력이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 구워진 고기를 놓을 수 있는 고기 모음부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고기가 필요 이상으로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문헌에 따른 구이판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고기가 구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구이판의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 구이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고기가 구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구이판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은 하부 가열판(100) 및 상부 가열판(200)을 포함한다.
하부 가열판(100)은 원형판 형태로 형성되며 그 아래에 화력을 제공하는 숯불 등과 같은 열원이 위치된다. 하부 가열판(100)은 화력을 통과시키면서 고기를 구울 때 떨어지는 수분, 기름 또는 양념을 1차적으로 받을 수 있는 기름받이부(110)와, 기름받이부(110)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이 모이는 홈 형태의 고임부(120), 및 구워진 고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고기 모음부(130)를 포함한다.
기름받이부(110)는 하부 가열판(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1살대(11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살대(111)의 상부에는 상부 가열판(200)의 후술할 제2살대(211)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 제1살대(111)의 양쪽으로 흘러보내는 기름받이홈(112)이 상방으로 개방되게 제1살대(111)의 전체에 걸쳐서 길게 형성된다. 기름받이홈(112)은 전체적으로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중심부가 양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중심부에서 양단부로 가면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기름이 잘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름받이홈(112)과 같이 제1살대(111)도 중심부가 높고 양단부가 낮게 형성될 수 있으나, 제1살대(111)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름받이홈(112)의 높이만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고임부(120)는 기름받이부(110)의 주위 중 제1살대(111)의 양단과 인접된 두 곳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1살대(111)의 기름받이홈(112)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 수분 또는 양념이 자연스럽게 고이게 된다. 고임부(120)에 고인 기름 등은 고기를 다 구운 후 따라낸다.
고기 모음부(130)는 기름받이부(110)의 주위 중 제1살대(111)의 양쪽 측방향에 각각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구워진 고기나, 김치, 마늘 등의 양념류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기 모음부(130)는 화력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고기 등이 필요 이상으로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기 모음부(130)는 고임부(120)와 격벽(140)으로 구획된다.
고임부(120)와 고기 모음부(130)의 바깥쪽으로는 수평한 수평부(150)가 형성되어, 테이블 등과 같은 거치대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기름받이부(110)의 가장자리 중 고기 모음부(130)가 형성된 쪽에는 상부 가열판(200)을 끼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안착돌부(160)가 위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수평부(150)의 양쪽에는 손잡이(170)가 각각 형성되며, 손잡이(170)에는 도구를 끼워 뜨거워진 하부 가열판(100)을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도구 끼움홀(171)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 가열판(200)은 하부 가열판(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그 위에 고기가 놓여진다. 상부 가열판(200)은 고기를 올려놓고 구울 수 있도록 된 구이부(210)와, 구이부(210)의 테두리를 감싸고 하부 가열판(100)에 안착되는 안착부(220)를 포함한다.
구이부(210)는 고기가 놓여지며 동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살대(211)와, 제2살대(211)의 양단부와 안착부(220)의 내측면을 일체로 연결하여 안착부(220)에 대하여 제2살대(211)를 지지하는 지지부(212)로 구성된다.
제2살대(211)는 상부 가열판(200)이 하부 가열판(100) 위에 안착될 때 제1살대(111)의 수직상방에 위치되도록 간격이 배열된다. 제2살대(211)의 단면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태로 형성되되 중심부의 단면적이 크고 중심부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고기와 접촉되는 제2살대(211)의 상부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고기와 제2살대(211)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된다. 그대신 제2살대(211) 사이를 통해 올라오는 화력과 고기가 접촉되는 면적은 넓어지므로 고기가 잘 익게 된다. 즉, 직화효율이 증대된다.
제2살대(211)의 좌우폭은 제1살대(111)에 형성된 기름받이홈(112)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보았을 때 제2살대(211)는 제1살대(111)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며, 위에서 수직 하방으로 내려다 보았을 때 제2살대(211)는 기름받이홈(112)의 좌우폭 범위 내에 위치된다.
고기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 등은 제2살대(211)의 상부에 양쪽에 형성된 제1경사면(211a)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흘러내리다가, 중심부에서 방향을 전환한 후 하부에 형성된 제2경사면(211b)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흘러내린다.
안착부(220)는 구이부(210)를 빙둘러 형성되며 상단이 구이부(210)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 가열판(100) 위에 안착될 때 그 하단이 안착돌부(160)의 외측에 끼워지므로 사용시 상부 가열판(20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처럼 상부 가열판(200)의 유동이 방지되어야만 제1,2살대(111)(211)의 위치가 서로 맞게 되고 기름을 비롯한 수분이나 양념이 제1살대(111)의 기름받이홈(112)으로 떨어지게 된다. 만일, 두 살대(111)(211)의 위치가 어긋나면 기름 등이 열원으로 떨어져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안착부(220) 중 제2살대(211)의 양단부 쪽에 위치된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제2살대(211)의 측방향 쪽에 위치되는 부분은 직선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하부 가열판(100)의 안착돌부(160)도 직선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안착부(220)를 안착돌부(160)에 끼우기만 하면 제2살대(211)는 자동적으로 제1살대(111)와 동일방향으로 위치되며 제1살대(111)의 수직 상방에 위치된다.
한편, 안착부(220)의 양쪽 즉, 제2살대(211)의 측방향 쪽에 위치되는 직선부분에는 손잡이(230)가 각각 형성되며, 손잡이(230)에는 도구를 끼워 뜨거워진 상부 가열판(200)을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도구 끼움홀(231)이 각각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구이판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부 가열판(100)을 열원이 있는 테이블 등의 거치대에 올려놓는다. 그리고나서, 상부 가열판(200)을 하부 가열판(100)의 상부에 올려놓는다. 이 때, 상부 가열판(200)의 제2살대(211)는 하부 가열판(100)의 제1살대(111)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상부 가열판(200)을 하부 가열판(100) 위에 올려놓을 때 안착부(220)의 하단이 안착돌부(160)에 끼워지도록 하면, 제2살대(211)가 제1살대(111)의 수직 상방에 위치된다.
하부 가열판(100)과 상부 가열판(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부 가열판(200)의 제2살대(211) 위에 고기를 올려놓고 굽는다.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은 제1살대(111) 사이의 간극과 제2살대(211)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승하여 고기와 접촉하면서 고기를 굽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살대(111) 사이의 간극과 제2살대(211) 사이의 간극은 어긋나지 않고 수직 상방으로 연통되므로 화력이 원활하게 상승한다. 이 때, 제2살대(211)의 좌우폭은 제1살대(111)의 좌우폭보다 작으므로 제1살대(111)를 통과한 화력은 제2살대(211)의 저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상승한다.
고기가 놓여지는 제2살대(211)는 그 단면적이 중심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작아지기 때문에 고기와 제2살대(211)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제2살대(211)를 통한 간접가열이 최소화되며 화력을 통한 직접가열이 최대화된다. 고기와 제2살대(211)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고기가 제2살대(211)에 눌러붙을 염려도 줄어든다.
고기가 구워지면서 고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나 기름 또는 고기에 묻어 있는 양념은 제2살대(211)를 타고 제1살대(111)의 기름받이홈(112)으로 흘러내린다. 이 과정에서 제2살대(211)는 전체적으로 마름모꼴로 형성되되 중심부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기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은 제2살대(211)의 상부에 형성된 양쪽 제1경사면(211a)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흘러내리다가 제2살대(211)의 중심부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하부에 형성된 양쪽 제2경사면(211b)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흘러내려, 최종적으로는 제1살대(111)의 기름받이홈(112)에 안정적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제2살대(211)에 의해 화력에 의한 고기의 직화가 최대화되고, 고기가 제2살대(211)에 눌러붙을 염려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기름 등이 안정적으로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한편, 제2살대(211)의 중심부 좌우폭은 제1살대(111)의 기름받이홈(112)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제2살대(211)가 기름받이홈(112)의 좌우폭 내에 들어가는 형태이기 때문에 제2살대(211)를 따라 흘러내리는 기름 등이 중간에서 낙하하더라도 다른 곳으로 떨어지지 않고 제2살대(211)의 기름받이홈(112)으로 안정적으로 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100 : 하부 가열판 110 : 기름받이부
111 : 제1살대 112 : 기름받이홈
120 : 고임부 130 : 고기 모음부
140 : 격벽 150 : 수평부
151 : 도구 끼움홀 160 : 안착돌부
170 : 손잡이 200 : 상부 가열판
210 : 구이부 211 : 제2살대
212 : 지지부 220 : 안착부
230 : 손잡이

Claims (7)

  1. 복수 개의 제1살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살대에 기름받이홈이 길게 형성된 하부 가열판; 및
    고기가 놓여지는 복수 개의 제2살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하부 가열판 위에 안착되는 상부 가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열판이 하부 가열판에 안착될 때 상기 제2살대는 상기 제1살대와 동일방향으로 위치되며 제1살대의 수직 상방에 제1살대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살대는 단면이 마름모꼴로 이루어지며 단면적은 중심부가 크고 상부 및 하부로 가면서 작아지며,
    상기 하부 가열판에는 상기 기름받이홈을 통해 흘러나온 기름이 모이는 홈 형태의 고임부와, 구워진 고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고임부와 구획 형성된 홈 형태의 고기 모음부가 상기 제1살대의 주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살대의 중심부 좌우측 폭은 상기 기름받이홈의 좌우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위에서 수직 하방으로 바라볼 때 상기 제2살대가 상기 기름받이홈의 폭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열판에는 상기 상부 가열판이 올바르게 안착되도록 위치를 결정하는 안착돌부가 위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열판은,
    상기 제2살대로 이루어진 구이부; 및
    상기 구이부의 테두리를 감싸 구이부를 지지하며 상기 안착돌부의 외측에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KR1020120054367A 2012-05-22 2012-05-22 구이판 Expired - Fee Related KR101368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367A KR101368358B1 (ko) 2012-05-22 2012-05-22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367A KR101368358B1 (ko) 2012-05-22 2012-05-22 구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502A KR20130130502A (ko) 2013-12-02
KR101368358B1 true KR101368358B1 (ko) 2014-02-28

Family

ID=4998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3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8358B1 (ko) 2012-05-22 2012-05-22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85A (ko) 2015-07-08 2017-01-18 최보윤 구이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91A (ko) * 2003-05-15 2003-06-02 이병용 이중석쇠
KR100866157B1 (ko) 2008-03-13 2008-10-30 (주)창해엔지니어링 직화식 구이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91A (ko) * 2003-05-15 2003-06-02 이병용 이중석쇠
KR100866157B1 (ko) 2008-03-13 2008-10-30 (주)창해엔지니어링 직화식 구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502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922B2 (en) Grill pan
US5467691A (en) Cooking grid
KR100866157B1 (ko) 직화식 구이판
US20090205628A1 (en) Flameless barbecue grill
KR102214329B1 (ko) 직화 구이용 조리기
US20190350406A1 (en) Multi-function griddle pan
US20140208961A1 (en) Grilling Apparatus
KR20210056750A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구이판 및 그 구이판이 구성된 구이판 어셈블리
KR200470529Y1 (ko) 바베큐 육류 구이판
KR200444353Y1 (ko) 만능 구이판
KR101187145B1 (ko) 구이판
KR101368358B1 (ko) 구이판
KR101321525B1 (ko) 구이용 불판
KR101839024B1 (ko)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경사형 석쇠
KR200482346Y1 (ko) 고기구이 불판
KR200477707Y1 (ko) 구이용 불판
KR101547581B1 (ko) 기름 유도 배출 기능과 열효율 향상 기능을 개선한 복합 기능성 고기 구이판
US20020152900A1 (en) Radiant heat sausage cook plate
KR200497835Y1 (ko) 구이용 불판
KR20090086679A (ko)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10132561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0471351Y1 (ko) 연기 발생방지 기능이 구비된 구이장치
KR200471303Y1 (ko) 석쇠가 포함되는 프라이팬
RU120555U1 (ru) Решетка для барбек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0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1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0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