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8055B1 - 그라운드 앵커 - Google Patents

그라운드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055B1
KR101368055B1 KR1020110076590A KR20110076590A KR101368055B1 KR 101368055 B1 KR101368055 B1 KR 101368055B1 KR 1020110076590 A KR1020110076590 A KR 1020110076590A KR 20110076590 A KR20110076590 A KR 20110076590A KR 101368055 B1 KR101368055 B1 KR 101368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ground
head
strand
exten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874A (ko
Inventor
김창근
Original Assignee
김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근 filed Critical 김창근
Priority to KR102011007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0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0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강연선과; 상기 강연선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홀 형성체가 일측면에 복수 구비되는 앵커 머리부와, 상기 앵커 머리부가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홀 형성체에 결합된 강연선의 측면이 끼워지는 홈을 갖는 지지판이 구비되는 앵커 연장부로 구성되는 앵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라운드 앵커{Anchor head device}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서의 앵커 시공시 발생되는 인장력 부재 및 인장력 손실을 방지하고, 간편하고도 신속히 설치가능한 지압마찰형(복합형)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앵커시공 후 제거가 용이하도록 나사 결합 방식으로 강연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앵커체를 구비한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의 강연선을 지중에 주입할 수 있음에 따라 통상의 마찰형 앵커보다 큰 앵커 정착장을 지중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되어, 지반과의 마찰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앵커체를 구비한 지압마찰형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연선은 여러 가닥의 강철선(또는 "소선"이라 함)을 꼬아서 제조하는 선부재로서, PC(Prestressed Concrete) 강연선 또는 PS(Prestressed) 강연선이란 명칭으로 널리 공지되고 있다.
특히, 상기 PC 또는 PS 강연선은, 건물 터파기, 철도 및 도로 등에 인접한 자연사면 및 인공사면의 보강, 지하구조물 및 터널 등의 구조물 축조에 필요한 지반보강, 옹벽의 보수, 설치 등의 보강공사에서, 굴착 지반이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체인 앵커의 인장재 부착장 및 인장재 자유장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일반적인 그라운드 앵커는,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을 지반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고강도의 강연선(w)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그 강연선에 높은 긴장력을 도입함으로써 구조물에 횡방향 또는 연직방향의 구속력 또는 선행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체로서, 지반을 천공하여 앵커 구멍(250:그라우트 공)을 형성하고, 이 앵커 구멍에 상기 강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앵커체(A) 및 인장부(B)를 삽입하며, 그라우트 시공한 후 지면에 노출되는 앵커두부(C)를 정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앵커 공법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앵커체(A)는 그라우트 시공을 통해 지중에 정착됨에 따라 앵커를 지중에 정착시키는 정착용 구조인 "인장재 부착장" 또는 "앵커 정착장"을 형성하게 되고; 앵커체(A)로부터 지면으로 연장된 복수의 강연선(w)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인장부(B)는 "인장재 자유장" 또는 "앵커 자유장"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앵커두부(C)는 대좌(210), 지압판(220), 정착구(230) 등을 이용하여 인장력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앵커체(A) 및 인장부(B)를 지면에 고정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앵커 공법은, 앵커용 지반 등에 형성된 앵커 구멍(250) 속으로 그라우트재를 단순 밀크 주입해서 정착용 그라우트를 형성함으로써, 지반과의 마찰저항으로 인장하중이 지중에 걸리게 하여 연약지반 또는 암반을 지탱해주는 형태를 취하게 됨에 따라, 연약지반에서 앵커를 시공할 때에 발생되는 인장력 부재 및 인장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하체의 갯수, 간격, 인장시점 등을 조절하고 있지만, 소정의 목표로 한 결과를 얻기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인장재 제거식 앵커인 경우, 인발을 쉽게 하기 위해 구리스(grease)가 들어간 비결합(unbonded) PS강연선을 인장재로 사용하므로, 사용 후 제거해야 할 상기 구리스로 인해 건축 구조물 상판과 주변지반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앵커에는, 그라우트와 지반의 주면마찰력 및, 확공식 착공에 의한 그라우트와 지반과의 지압저항에 의해 지지되는 지압마찰형(복합형)의 앵커가 공지되고 있으며; 또한 강연선 등의 제거가 가능한 제거식 앵커(또는 "가설 앵커"라 함)가 공지되고 있다. 현재는 상기 지압마찰형(복합형) 및 제거식 앵커의 구조 및 기능을 개량하여 연약지반에서의 마찰력 및 인장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약지반에서의 앵커 시공시 발생되는 인장력 부재 및 인장력 손실을 방지하고, 간편하고도 신속히 설치가능한 지압마찰형(복합형)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에 있어서, 앵커시공 후 제거가 용이하도록 나사 결합 방식으로 강연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앵커체를 구비한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의 강연선을 지중에 주입할 수 있음에 따라 통상의 마찰형 앵커보다 큰 앵커 정착장을 지중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되어, 지반과의 마찰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앵커체를 구비한 지압마찰형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강연선과; 상기 강연선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홀 형성체가 일측면에 복수 구비되는 앵커 머리부와, 상기 앵커 머리부가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홀 형성체에 결합된 강연선의 측면이 끼워지는 홈을 갖는 지지판이 구비되는 앵커 연장부로 구성되는 앵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앵커체의 앵커 머리부는, 상기 앵커 연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헤드의 일측면에서는 상기 앵커 연장부를 향해서 돌출 형성되며, 앵커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에 결합되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를 둘러싸며 복수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 형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앵커 연장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앵커 연장부는, 밴드묶음용 홈부와, 내부 중공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공 및,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개구가 형성되는 내부가 중공인 금속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강연선을 상기 연장부에 고정시키는 밴드와; 상기 밴드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고정된 앵커체를 감싸는 팩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의 강연선을 앵커체에 설치 할 수 있게 되며, 지중에서 강연선과 앵커체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강연선을 구비한 앵커체를 연약지반의 지중에 주입함으로써, 대구경의 앵커 정착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그라우트와 지반의 주면마찰력 및 그라우트와 지반과의 지압저항이 향상됨으로써, 인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즉, 연약지반의 안정화에 효과적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의 앵커체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체의 앵커 머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체에 강연선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체에 설치되는 일례의 강연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체에 설치되는 다른 예의 강연선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체의 조립 상태도이고,
도 7은 종래 연약지반에 시공된 일반적으로 앵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은 일실시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체(A3)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앵커체(A3)는 복수의 강연선(구체적으로는, PS강연선)이 나사 결합되는 앵커 머리부(A1)와; 이 앵커 머리부가 일측 선단부에 형성되는 내부가 중공인 금속관으로서, 상기 강연선을 지지하는 홈이 형성되는 앵커 연장부(A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통형으로 된 연장부(A2:파이프 또는 튜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금속관)에 대해서 상기 앵커 머리부(A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앵커체(A3)는, 앵커 연장부(A2)에 앵커 머리부(A1)를 일체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앵커 머리부와 연장부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지만, 나사산 또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결합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 머리부(A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전방을 향하는 일측면이 만곡 형성되고, 후방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헤드(10)와; 이 헤드(10)의 후방면 중앙에서 상기 앵커 연장부(A2)를 향해서 돌출 형성되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24)에 끼워 결합되는 돌출부(12)와; 이 돌출부(12) 주변의 후방면의 테두리부(11)에서 후방으로 돌출해서 형성되는 강연선 결합용의 결합홀 형성체(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앵커 머리부(A1)의 헤드(10)의 직경(d1)은 중공의 금속관인 앵커 연장부(A2)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 및 돌출부(12)를 매개로 앵커 머리부와 연장부가 결합될 때, 앵커 머리부는 연장부보다 측면으로 더 확장된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결합홀 형성체(13)는 상기 돌출부(12)를 둘러싸며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는 통상 앵커 연장부(A2)의 개구(24)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개구(24)의 단면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된다. 특히, 나사체결 방식으로 앵커 머리부(A1)와 앵커 연장부(A2)가 결합할 때는 돌출부(12)의 표면 및 이와 대향하여 위치되는 연장부의 선단 개구(24)의 내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앵커 연장부(A2)는 대략 원통형상의 내부가 중공인 금속관(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금속관(20) 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묶음용 홈부(21) 및, 금속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내부 중공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공(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앵커 머리부(A1)가 결합되는 일측과 대향하는 금속관(20)의 타측은 개구된다. 도면에 있어서는 일측 개구(24)만이 도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개구(24)에 앵커 머리부(A1)가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 개구를 통해 상기 그라우트재가 금속관(20)의 중공부로 주입되면, 상기 통공(22)을 통해 배출된다.
더욱이, 상기 일측 개구(24)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표면 상에는 금속관(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해서 복수의 홈(25)이 형성된 지지판(26)이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판(26)은 원형 또는 환형의 판형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판(26)은 원통형상의 금속관(20)에 대해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금속관(20)과 지지판(26)을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금속관(20)과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지지판(26)의 중앙에는 금속관(20)의 단부에 삽입할 수 있는 결합공(26a)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공의 내표면 및 결합공이 삽입되는 대응하는 금속관의 표면에는 나사산 등의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지판(26)에 형성된 홈(25)의 개수는 상기 강연선 결합홀 형성체(13)와 동일 개수로 형성되며, 양쪽은 상호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홈(25) 간의 설치 간격과 결합홀 형성체(13) 간의 설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 형성체(13)는, 일례로서 내부가 중공인 원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삽입구(13a)가 형성되는 한편, 이 삽입구의 표면에 나사산(1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 주변의 환형상 테두리면(11)에서 돌출부(12) 및 헤드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된다.
따라서, 앵커체(A3)에 강연선이 설치될 때는, 강연선의 선단부는 결합홀 형성체(13)의 삽입구(13a)에 나사 결합되고, 앵커체를 따라 연장되는 강연선의 측면은 지지판(26)의 홈(25) 내에 끼워져서 지지된다(도 3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 형성체(13)는 헤드(10)의 후방 테두리면(11)에서 돌출 형성되고 있지만, 헤드 내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홈부(21)는 금속관(20) 상에서 지지판(26)과 헤드(10)가 결합되는 개구(24)가 형성된 일측 단부) 간에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지만, 지지판(26)과 금속관의 타측 단부 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체에 결합되는 강연선(30a)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30a)은, 일반적으로 강철선이 사용되는 복수의 주변 소선(31,32,33)이 중앙 소선(34)을 중심으로 꼬여서 형성되는 연장부(35)와; 이 연장부(35) 상에 형성된 나사산(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4
여기서, 상기 소선은, 강철 이외의 다양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해서 제작한 스트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단일의 스트링 또는 복수의 스트링을 결합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소선(小線)의 의미는 강연선 연장부(35)의 단면 직경에 비해 스트링의 직경이 작은 것을 의미하며, 이하 상기 강철선 또는 스트링을 "소선"으로 칭한다.
도 4(a)에 따른 강연선(30a)에 있어서는 연장부(35)의 단부(35a)에 나사산(36:나사산 형성부)이 형성되며, 강연선은 이 나사산을 매개로 대응하는 결합 부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앵커체(A3)의 결합홀 형성체(13)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연선의 단부(35a)의 나사산과 상기 삽입홀(13a)의 나사산을 일치시켜 회전시킴으로써, 강연선(30a)과 결합홀 형성체(13)를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있어서는 나사산(36)은 연장부(35)의 단부(35a)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나사산(36)은 강연선의 연장부(35) 상의 전체 위치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또는 연장부(35) 상의 다양한 위치에 복수 개소 이격해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연장부(35)의 양쪽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장부(35)는 일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앵거체에 결합되는 강연선(30b)은 복수의 주변 소선(31,32,33)이 중앙 소선(34)을 중심으로 꼬여서 형성되는 연장부(35)와; 이 연장부(35) 상에서 복수의 소선이 일체화되는 일체부(37)와; 이 일체부 상에 형성되는 나사산(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체부(37)는 강연선의 소정 부위를 가열해서 용융시킨 후, 고화시킴으로써, 복수의 주변 소선(31,32,33)과 중앙 소선(34)이 용융되어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체부를 형성하는 이유는, 통상의 강연선에 있어서는 절단에 따라 단부가 노출될 경우, 각 소선(31 내지 33) 간이 상호 이격되어, 나사산을 단부(35a)의 외표면에 형성하더라도, 결합 부재에 형성된 대응하는 나사산에 잘 맞지 않는(즉, 나사산이 일정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이하, 상기 앵커체(A3)의 조립 상태도인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앵커체(A3)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앵커 머리부(A1)의 돌출부(12)를 앵커 연장부(A2)의 개구에 끼움으로써, 앵커 머리부와 돌출부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사산(36)이 형성된 강연선의 일측 단부(35a)를 나사산(13a')이 형성된 결합홀 형성체(13)의 삽입구(13a)에 삽입해서 회전시킴으로써, 강연선을 앵커 머리부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앵커체를 따라 연장되는 강연선의 측면을 지지판(26)의 홈(26) 내에 끼워서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강연선이 앵커체의 앵커 머리부(A1) 및 앵커 연장부(A2)에 걸쳐서 결합된다.
한편, 앵커 연장부(A2)의 표면을 따라서, 복수의 강연선(30)이 연장된 상태에서, 밴드(27)를 이용하여 밴드묶음용 홈부(21)에 대해서 강연선(30)을 묶을 수 있다. 또한, 밴드로 묶을 때, 밴드(27)의 일 부분은 밴드묶음용 홈부(21)에 끼워짐에 따라, 강연선이 금속관(20)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연장부 상에서 움직이는 일은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묶음용 홈부(21)의 위치는, 앵커 머리부(A1)가 앵커 연장부(A2)에 결합될 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연선 결합 홀(13) 간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강연선(30)의 방해 없이, 밴드묶음용 홈부(21)에 밴드(27)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강연선(30)이 설치된 앵커체를 팽창성 재질의 봉지 형태의 팩(P:또는 봉지)으로 감싼(덮은) 후, 개구부를 끈(28)으로 묶음으로써, 팩(P)으로 둘러싸인 앵커체가 완성된다.
이러한 앵커체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강연선(30)에 의해 앵커체(A3)로부터 앵커두부(C)를 향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인장부(B)를 형성하게 된다. 즉, 대구경의 앵커 자유장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완성된 앵커체(A3)는 연약지반에 형성된 앵커 구멍(250:그라우트 공) 속으로 삽입되고, 이 앵커 구멍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 그라우트, 시멘트 몰탈 등의 주입재(또는 "그라우트재"라 함)가 고압으로 가압 주입된다. 이러한 주입재는 금속관(20)의 타측 단부의 개구를 통해 앵커 연장부(A2) 내로 주입된 후, 통공(21)으로부터 압력 토출된다.
이에 따라, 주입재는 팩(P) 내부로 압력 토출되어, 앵커 구멍(250) 속에서 팽창 응결된다. 즉, 대구경의 앵커 정착장이 연약지반 내에 형성된다.
최종적으로는, 상기 강연선(30)을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강연선 결합홀(13)로부터 분리한 후, 압력 인발하여 제거되도록 한다.
한편, 강연선의 인발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홈(21) 및 밴드(27)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일례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A3 - 앵커체, A1 - 앵커 머리부,
A2 - 연장부, 10 - 헤드,
19 - 돌출부, 25 - 설치홈,
26 - 지지판.
.

Claims (5)

  1.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강연선과;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의 단부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강연선의 제거시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리가 가능한 결합홀 형성체가 일측면에 복수 구비되는 앵커 머리부와, 상기 앵커 머리부가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홀 형성체에 결합된 강연선의 측면이 끼워지는 홈을 갖는 지지판이 구비되는 앵커 연장부로 구성되는 앵커체;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체의 앵커 머리부는, 상기 앵커 연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헤드의 일측면에서는 상기 앵커 연장부를 향해서 돌출 형성되며, 앵커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에 결합되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를 둘러싸며 복수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 형성체가 구비되는 그라운드 앵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앵커 연장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연장부는, 밴드묶음용 홈부와, 내부 중공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공 및,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개구가 형성되는 내부가 중공인 금속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강연선을 상기 연장부에 고정시키는 밴드와;
    상기 밴드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고정된 앵커체를 감싸는 팩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KR1020110076590A 2011-08-01 2011-08-01 그라운드 앵커 Active KR10136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590A KR101368055B1 (ko) 2011-08-01 2011-08-01 그라운드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590A KR101368055B1 (ko) 2011-08-01 2011-08-01 그라운드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874A KR20130014874A (ko) 2013-02-12
KR101368055B1 true KR101368055B1 (ko) 2014-02-27

Family

ID=4789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590A Active KR101368055B1 (ko) 2011-08-01 2011-08-01 그라운드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51B1 (ko) * 2020-09-18 2022-04-20 박신우 용융로 보수용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용융로 보수방법
CN112554184A (zh) * 2020-12-23 2021-03-26 北京建筑大学 一种锚杆锚固端结构、玻璃纤维筋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101Y1 (ko) * 2000-02-03 2000-07-15 이창훈 그라운드 앵커
KR100938853B1 (ko) * 2009-01-30 2010-01-26 배석동 다공 pc 패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4450A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 한돌 압축형 그라운드 앵커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101Y1 (ko) * 2000-02-03 2000-07-15 이창훈 그라운드 앵커
KR100938853B1 (ko) * 2009-01-30 2010-01-26 배석동 다공 pc 패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4450A (ko) * 2009-10-23 2011-04-29 주식회사 한돌 압축형 그라운드 앵커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874A (ko)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125B1 (ko) 확개된 앵커헤드부를 가지는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US20090191006A1 (en) Resin Mixing and Cable Tensioning Device and Assembly for Cable Bolts
KR100876129B1 (ko) 피에스 강연선을 이용한 앵커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CA1050233A (en) Removable press anchor with destructible anchor body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JP6872231B2 (ja) 長期耐久性を有する岩盤斜面の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023086B1 (ko) 끝단압축 인장형 영구앵커
KR100908085B1 (ko)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KR101368055B1 (ko) 그라운드 앵커
KR100505329B1 (ko) 지반 보강용 텐션 네일공법
KR100997672B1 (ko) 강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앵커 구조
KR20050017160A (ko)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고강성 앵커
KR101047085B1 (ko) 이형철근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29906A (ko) 주변마찰력 증가 장치
KR101241351B1 (ko) 정착력이 우수한 네일 및 그 네일을 이용한 네일링 시공 방법
KR101038757B1 (ko) 구조용 강관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43281B1 (ko) 강연선을 이용한 케이블 볼트와 록 볼트 및 소일 네일용 반구형 정착체 시공장치
KR102108410B1 (ko)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CN102428233B (zh) 具有能移除的拉力构件的拉力分散型复合锚体及其构造方法
KR100690014B1 (ko)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KR100741506B1 (ko) 토목용 보강재
KR102225888B1 (ko) 경사면의 최대 확장성을 적용한 쐐기 지압형 앵커
KR101213588B1 (ko) 지반 성토용 타이케이블
KR101257387B1 (ko) 절토부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