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90B1 - Ligh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gh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6690B1 KR101366690B1 KR1020120130518A KR20120130518A KR101366690B1 KR 101366690 B1 KR101366690 B1 KR 101366690B1 KR 1020120130518 A KR1020120130518 A KR 1020120130518A KR 20120130518 A KR20120130518 A KR 20120130518A KR 101366690 B1 KR101366690 B1 KR 101366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lighting
- illumination
- case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21V21/28—Pivoted arms adjustable in more than one plane
- F21V21/29—Pivoted arms adjustable in more than one plane employing universal joi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평한 면에 놓여지거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봉부재;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조명부; 및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조명부를 상호 연결하는 조명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명 연결부는,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구멍부; 그 일단부는 상기 구멍부에 끼워지되 회전운동가능도록 끼워져 지지되고, 그 타단부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된 머리부가 구비된 조명지지부재;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머리부를 위와 아래에서 각각 가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머리부를 중심으로 하는 위아래 방향의 회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로 이루어진 결합부; 및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를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가압하도록 구비된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는, 광원이 고정된 광원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케이스는, 상호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 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단부에는 상부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단부에는 하부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돌출부와 하부돌출부는 상호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base portion which can be placed on a flat surface or fixed to a wall surface; A rod member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 illumination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And an illumination connection part inter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and the illumination part, wherein the illumination connection part comprises a ho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An illumination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fitted to the hole and supported to be rotatable, the other end having a head having a diameter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A coupling part including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disposed to surround the head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the upper and lower members respectively arranged to press the head above and below the head and provided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bout the head; And an elastic part provided to press the head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wherein the lighting part includes a light source case to which a light source is fixed, and the light source case is coupled to each other. Comprising a case and a lower case, one side end of the upper case is provided with an upper protrusion, one side end of the lower case is provided with a lower protrusion,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부드럽게 조명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lighting unit more conveniently and smoothly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조명장치는, 일반적으로 현광등, 백열등, 엘이디(LED) 전구 등 다양한 광원을 포함하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하다. The lighting apparatus generally includes various light sources such as a sine lamp, an incandescent lamp, and an LED bulb, and the specific forms thereof are various.
이러한 조명장치들 중 천정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주택이나 사무실의 천정에 설치되어 넓은 범위를 조명하는 장치이고, 스탠드와 같은 조명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를 조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장치이다. Among these lighting devices, a lighting device such as a ceiling lamp is installed on a ceiling of a house or office to illuminate a wide range, and a lighting device such as a stand is used to illuminate a relatively narrow range as needed. to be.
특히, 스탠드와 같은 조명장치는, 책상이나 바닥에 올려져 사용되거나 벽체에 베이스부가 고정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책을 읽거나 또는 어떤 필요에 의해 제한적인 공간의 조명이 필요할 때, 필요한 부분을 필요한 조도로서 조명할 수 있도록, 광원을 포함한 조명부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particular, a lighting device such as a stand is used on a desk or a floor, or a base part is fixed to a wall. Such a lighting device is widely used because of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move the lighting unit including a light source so that when a user reads a book or needs lighting in a limited space due to a certain need, the user can illuminate the necessary part with the required illumination.
이러한 스탠드와 같은 조명장치는, 일반적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연결된 봉부재와, 이러한 봉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며 빛을 발광하는 광원이 구비된 조명부로 구성된다. A lighting device such as a stand generally includes a base part, a bar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part, and an illumination part including a light source connected to an end of the bar member and emitting light.
특히, 상기 봉부재와 조명부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관절과 같은 움직임이 가능한 연결부가 조명 연결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명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조명부의 봉부재에 대해 자세를 제한적인 범위에서 변경시키면서, 원하는 자세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connecting portion capable of moving like a joint is provided at the portion connecting the rod member and the lighting unit. Since such lighting connection part is provided, it can adjust so that it may become a desired posture, changing a posture with respect to the rod member of an illumination part in a limited range.
그러나, 종래의 조명 연결부를 포함한 조명장치는, 전체 구성 및 조명 연결부의 구조상의 한계로 인하여, 조명 연결부의 봉부재에 대한 상대 움직임이 만족스럽지 못하여, 사용자가 조명부를 원하는 위치 또는 자세로 변경시키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기 힘들거나 또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lighting connector, due to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lighting connector, the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rod member of the lighting connector is not satisfactory, so that the user may change the lighting unit to a desired position or posture.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or impossible to achieve conveniently.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조명 연결부를 포함한 조명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명부의 자세 또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동작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작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conventional lighting connec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hange the posture or position of the lighting unit can be made easily and conveniently and smoothly even with a small for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평한 면에 놓여지거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봉부재;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조명부; 및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조명부를 상호 연결하는 조명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장치로서, 상기 조명 연결부는,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구멍부; 그 일단부는 상기 구멍부에 끼워지되 회전운동가능도록 끼워져 지지되고, 그 타단부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된 머리부가 구비된 조명지지부재;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머리부를 위와 아래에서 각각 가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머리부를 중심으로 하는 위아래 방향의 회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로 이루어진 결합부; 및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를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가압하도록 구비된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는, 광원이 고정된 광원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케이스는, 상호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단부에는 상부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단부에는 하부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돌출부와 하부돌출부는 상호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ortion that can be placed on a flat surface, or fixed to the wall surface; A rod member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 illumination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And an illumination connection part inter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and the illumination part, wherein the illumination connection part comprises: a hole provided in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An illumination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fitted to the hole and supported to be rotatable, the other end having a head having a diameter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A coupling part including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disposed to surround the head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the upper and lower members respectively arranged to press the head above and below the head and provided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bout the head; And an elastic part provided to press the head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wherein the lighting part includes a light source case to which a light source is fixed, and the light source case is coupled to each other. Comprising a case and a lower case, one side end of the upper case is provided with an upper protrusion, one side end of the lower case is provided with a lower protrusion,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ixed.
한편, 상기 구멍부에 끼워지는 조명지지부재의 일단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O-ring)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illumination supporting member fitted to the hole.
또한, 상기 구멍부에 끼워지는 조명지지부재의 일단부의 외측면에는, 오목한 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멍부의 내측면에는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 내에서만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회전움직임이 소정각도 범위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제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light supporting member fitted to the ho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in which a concave groove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jecting protrusion formed t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move only in the groove,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illumination support member can be limited to only a predetermined angle range.
한편, 상기 탄성부는,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스프링안착구멍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에 구비되되, 탄성변형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를 가압하도록 구비된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portion, the spring is inserted into the spring seating hole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light suppor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s provided, the pressing member provided to press the coupling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ally deformed spring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는, 조명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결합부 내부의 상기 머리부가 수용되는 공간은, 상기 머리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ead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i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the space in which the head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portion is cylindrical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ead. desirable
또한, 상기 결합부의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부재를 가압하도록 탄성변형된 판 형상의 하부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etween the lower member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lower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late-shaped lower plate spring elastically deformed to press the lower member.
한편, 상기 상호 결합된 상부 돌출부와 하부돌출부의 단부에는, 탄성을 지닌“ㄷ”자 형상의 걸림쇠를 구비하되, 그 걸림쇠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돌출부의 단부에 걸려고정되고 그 걸림쇠의 타단부는 상기 상부 돌출부에 걸리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ends of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coupled to each oth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C" shaped latch, one end of the latch is fixed to the end of the lower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of the latch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rojection is provided so as to be caught.
그리고, 상기 광원케이스는 전체적으로 고리형상이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케이스의 내부에 원주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엘이디(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case is generally annular, and the light source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LEDs (LED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ght source case.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명부의 자세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이 작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obtain the effect that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posture or position of the lighting unit can be made smoothly even with a small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명부가 조립된 상태로 예시된 사시도,
도 3 내지 6은, 도 1의 조명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도 1의 조명부의 머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조명부가 조명지지부재의 축방향으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에 가압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가압스프링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가압스프링을 옆에서 바라본 도면.1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ighting unit of FIG. 1 assembled; FIG.
3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lighting connection of Figure 1,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vertically moving direction while rotating about the head of the lighting unit of FIG. 1;
8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lighting unit of FIG. 1 rotat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ght supporting member.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spring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spring of Figure 9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 is a side view of the pressure spring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조명장치가 부분 분해사시도로 예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부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조명 연결부의 각 부품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ing unit of Figure 1, Figures 3 to 6, each component and operation of the lighting connection of Figure 1 Figures for explaining.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주로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일명 스탠드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 연결부의 구성을 채용한 상태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베이스부를 벽체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조명장치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o-called stand mainly used on a des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a state in which a configuration of a lighting connection unit is adopted. That is,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the lighting apparatus which uses a base part fixed to a wall.
도 1에 예시된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는 책상이나 테이블에 놓여 주로 사용되는 스탠드용 조명장치로서, 베이스부(10), 봉부재(20), 조명부(30) 및 조명 연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베이스부(10)는, 책상의 바닥면에 놓여져 사용되며,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베이스부(10)는 다른 구성들의 동작시 안정감을 주기 위해 무겁게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는 벽체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실내의 바닥면에 놓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10)는, 상호 결합된 상부케이스(102)와 하부케이스(104)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102)는 하부케이스(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봉부재(20)는, 베이스부(10)에 그 일단부인 하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얇고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의 부재이다. 봉부재(20)는 속이 빈 파이프일 수도 있고, 횡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인 봉 부재일 수도 있다. The
또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봉부재(20)를 제1봉재(21)와 제2봉부재(22)로 구성하고, 이들 제1,2 봉부재(21, 22)는 중간연결부(25)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 the
상기 조명부(30)는 봉부재(2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도 1에 예시된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의 조명부(30)는 제2봉부재(22)의 타단부(24)에 구비되어 있다. 조명부(30)는, 광원(328)이 고정된 광원케이스(32)를 구비한다. 광원케이스(32)는 전체적으로 고리형상이다. 고리 형상이라 하면, 도넛과 같이 중심부가 관통된 원의 형상을 의미한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광원케이스가 고리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The
한편, 실시예에 따라, 조명부(30)는 제1봉부재(21)의 타단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조명부(30)에는 전기가 공급되면 빛을 발광하는 광원이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은, 다수의 엘이디(LED) 전구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명부(30)는 광원으로서 다수의 엘이디(LED)가 실장되어 있는 링 형상의 LED 조립체(328; 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광원으로, 통상의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상기 조명 연결부(40)는, 제2봉부재(22)의 타단부(24)와 조명부(3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조명 연결부는, 구멍부(42), 조명지지부재(44), 결합부(46) 및 탄성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구멍부(42)는, 제2봉부재(22)의 타단부(24)에 구비된다. 구멍부(42)는 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봉부재의 단부에 표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빈 공간으로서, 조명지지부재(44)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제2봉부재(22)가 파이프와 같이 속이 빈 부재이기 때문에, 구멍부(42)는 자연스럽게 구비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봉부재가 파이프 형상이 아닌 경우, 봉부재의 단부에 구멍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상기 조명지지부재(44)의 일단부(442)는 구멍부(42)에 끼워져 지지되되, 회전운동가능도록 끼워져 지지된다. One
회전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구멍부(42)에 끼워지는 조명지지부재(44)의 일단부(442)의 외측면에는,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445)이 2개 구비된다. 2개의 홈(445)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홈(445)에는 오링(443; O-ring)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조명지지부재(44)는, 구멍부(42) 내에서 그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축회전운동이 가능하다. In order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조명지지부재(44)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의 회전각도는 제한된다. 회전움직임을 소정각도 내로 제한하기 위해, 홈부(447)와 돌출부(422)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상기 홈부(447)는, 구멍부(42)에 끼워지는 조명지지부재(44)의 일단부(442)의 외측면에 오목한 홈부(447)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22)는, 구멍부(42)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것으로서, 홈부(447)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만 이동가능하다. The
즉, 조명지지부재(44)와 여기에 지지된 조명부(30)가 함께 축회전할 때, 돌출부(422)는 홈부(447)의 공간을 따라 축회전되되, 조명지지부재(44)와 함께 이동하며, 돌출부(422)의 제한을 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축회전의 정도가 제한된다. That is, when the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돌출부(422)는 무두볼트(stripper bolt)로 구비된다. 무두볼트는, 제2봉부재의 타단부(24)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홈부(447)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체결된다. 무두볼트는, 회전축의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2봉부재(22)의 타단부(24)에 체결된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422 is provided with a stripper bolt. The tannery bolt penetrates through the
조명지지부재(44)의 타단부에는 양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어 형성된 머리부(446)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446)는, 조명지지부재(4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기둥과 유사한 형상이다. 머리부(446)가 형성된 조명지지부재(44)는 마치 망치와 같은 형상이다. The other end of the
상기 결합부(46)는, 조명지지부재(44)의 머리부(446)를 견고하게 감싸도록 배치된다. 결합부(46)는 상부부재(462)와 하부부재(464)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부재(462)와 하부부재(464)는, 머리부(446)를 위와 아래에서 각각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The
또한 결합부의 내부에 머리부(446)가 수용된다. 머리부(446)가 수용되는 공간은, 머리부(44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이다.In addition, the
또한 결합부(46)는, 머리부(446)를 중심으로 회전움직임이 가능하다. 결합부(46)는, 머리부를 중심으로, 위로 회전하거나, 아래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는, 조명지지부재(44)는 금속재질로 되어 있고, 결합부(46)는 고분자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재질은 적절한 다른 재질로 변경되는 것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상기 탄성부(48)는 조명지지부재(44)의 머리부(446)를 결합부(46)의 내측면에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48)는 스프링(482)과 가압부재(48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The
상기 스프링(482)은, 조명지지부재(44)의 타단부에 형성된 스프링안착구멍(444)에 일단부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가압부재(484)는, 스프링(482)의 타단부에 구비되되, 탄성변형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부(46)를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The
스프링(48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부재(484)는 결합부(46)의 내측면에 직접 가압하며, 이와 동시에 머리부(446)의 일측면(449)은 결합부(46)의 접촉하는 면을 가압한다.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상기 광원케이스(32)는, 상호 결합된 상부 케이스(322)와 하부 케이스(3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스(322)의 일측단부에는 상부 돌출부(323)가 구비되고, 하부 케이스(326)의 일측단부에는 하부돌출부(327)가 구비된다. The
상부 돌출부(323)와 하부돌출부(327)는 상호 결합되되, 결합부(46)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부돌출부(323)와 하부돌출부(327)는, 결합부(46)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어서, 결합부(46)와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The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부(46)의 하부부재(464)와 하부케이스(326)의 사이에는, 하부부재(326)를 가압하도록 탄성변형된 판 형상의 하부판스프링(49)을 더 구비한다. 하부 판스프링(49)의 탄성복원력은, 결합부(46)의 하부부재(464)를 아래에서 위로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between the
또한, 본 실시예는, 상부 돌출부(323)와 하부 돌출부(327)의 상호 견고한 결합을 위해, 각각의 단부에는 탄성을 지닌“ㄷ”자 형상의 걸림쇠(466)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쇠(466)는, 조명지지부재(44)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2개가 구비된다. 각 걸림쇠(466)의 일단부(467)는 하부 돌출부(327)의 단부에 걸려고정되고, 그 걸림쇠(466)의 타단부(468)는 상부 돌출부(323)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 shaped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조명부(30)는 LED 조립체(328), LGP(ligth guide plate) 또는 확산판(329)과, 테이프(330) 및 램프링(331)를 구비한다. 또한 하부 케이스(326)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332)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부(332)는 상부 케이스(322)에 결합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the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조명장치(1)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 구멍부(42), 조명지지부재(44), 결합부(46) 및 탄성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연결부(4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조명부(30)의 상하 방향 움직임 및 축방향 회전움직임이 부드럽고 안정감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도 7에는, 조명부(3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표현한 도면이 예시되어 있다. 광원케이스(32)를 이루는 상부, 하부케이스(342, 346)의 각각에 일측으로 돌출된 상, 하부 돌출부(323, 327)가 그 사이에 결합부(46)를 두고, 결합부(46)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부재(462)와 하부부재(464)로 구성된 결합부(46)는 다시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446)를 감싼 상태로 지지하고 있으며, 머리부(446)는 탄성부(48)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결합부(46) 내부에서 강하게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부(3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두드럽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In FIG. 7, a diagram in which vertical movement of the
즉, 탄성부를 이루는 스프링(482)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재(484)는 결합부(46)의 내측면을 직접 가압하고, 이와 동시에 머리부(446) 일측면(449)이 결합부(46)의 접하는 면에 같은 힘으로 눌리기 때문에, 결합부(46)에 고정된 광원케이스(32)는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조명부(30)의 처짐 없이 그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도 7과 같이, 조명부(30)의 위치가 (a)위치에 있거나, 사용자가 조명부(30)를 잡고 아래로 힘을 주는 동작에 의해 조명부의 위치가 (b)위치로 이동하거나, 혹은 (c)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상술한 구성의 조명부(30)와 봉부재(20)를 연결하는 조명 연결부(4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조명부(30)의 무게로 인해 조명부(30)가 처지는 등의 일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조명부(30)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느낌을 사용자가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position of the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부(46)를 밑에서 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하부판스프링(49)을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부(46)가 머리부(446)를 탄성부(48)의 가압방향과는 다른 상하방향으로도 추가적으로 가압할 수가 있어서, 결과적으로, 조명부(30)는 더욱 안정적으로, 머리부(446)를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의 회전 움직임이 이루어지고 특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명지지부재(44)가 봉부재에 구멍부(4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조명지지부재(44)의 외측면에 오링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조명 연결부(40)의 조명부(30)는 봉부재(20)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8, the
즉, 도 8을 참조하면, (a)로 지시된 위치에 있는 조명부(30)를, 사용자가 잡고 조명지지부재(44)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b)로 지시된 위치까지 회전한다. 다시 사용자가 조명부(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a)위치를 지나 (c)위치까지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조명부(30)를 회전시켜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변경시켜 사용하면 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8, if the user grasps the
이때, 조명부(30)의 축방향회전 가능한 각도는, 홈부(447)와 돌출부(422)의 작용으로 인해, 홈부(447)가 형성된 범위 만큼으로 제한된다. 또한 오링(443)을 구비하고 있기때문에, 회전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axially rotatable angle of the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조명부(30)를 도 7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자세를 변경시키는 것과 동시에 도 9와 같이 축방향으로 시계,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자세로 조명부(30)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change the posture of the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케이스가 전체적으로 고리형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명부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때, 손으로 잡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광원이 링 형상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부가 조사하는 부분의 조도가 균질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ight source case is a ring shape as a who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is easy to hold by hand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ighting unit.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rranged along the ring-shaped circumfere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lluminance of the portion irradiated by the illumination unit is uniform.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는 앞선 실시예의 일부구성이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결합부에 가압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가압스프링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가압스프링을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s 9 to 11 show an embodiment in which som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modified.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spring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Figur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spring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Figure 11 is a view of the pressure spring viewed from the side.
앞선 실시예에서는, 결합부(46)의 하부부재(464)와 하부케이스(327)의 사이에는, 하부부재(464)를 가압하도록 탄성변형된 판 형상의 하부판스프링(49)이 구비되어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46)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결합되어, 그 결합부(46)를 가압하는 "ㄷ"자 형상의 가압스프링(49a)을 구비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가압스프링(49a)이 "ㄷ"자 모양에서 개방된 부분이 좌측을 향하도록 18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a plate-shaped
또한 본 실시예의 가압스프링(49a)은, 강한 탄성을 지닌 철소재의 하나의 부재가 구부러져 일체로 형성된다. 가압스프링(49a)은, 상부(492a), 하부(494a) 및 측부(496a)로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492a)는 측부(496a)와 예각을 이루고, 하부(494a)도 측부(496a)와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예각은 90도 작은 각도를 의미하며, 각도가 작아질수록 탄성변형되는 양이 많아서 복원력에 의한 가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압스프링(49a)이 상부(492a)와 하부(494a)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결합부(46)에 끼워지게 되고 나면, 복원력에 의해 상부(492a)와 하부(494a)는 결합부(46)를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앞선 실시예의 경우, 하부판스프링(49)은, 상부케이스(323)와 하부케이스(327)가 상호결합되어야 비로서 결합부(46)의 하부부재(464)를 가압할 수 있었지만, "ㄷ"자 형상의 가압스프링(49a)을 구비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하부케이스(323, 327)의 상호결합이 되어야 비로서 결합부(46)를 가입하는 것이 아니라, 가압스프링(49a)이 결합부(46)에 탄성변형되면서 끼워지기만 해도, 결합부(46)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있게 조명부(30)의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the
도면에 예시된 구성 중 설명되지 않는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Configurations that are not described among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s of the foregoing embodimen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조명장치 10 ... 베이스부
20 ... 봉부재 30 ... 조명부
34 ... 광원케이스 342 ... 상부케이스
346 ... 하부케이스
40 ... 조명 연결부 42 ... 구멍부
44 ... 조명지지부재 46 ... 결합부
48 ... 탄성부 49 ... 하부판스프링
49a ... 가압스프링1 ...
20 ...
34 ... light source case 342 ... upper case
346 ... lower case
40 ...
44 ...
48 ...
49a ... Pressure spring
Claims (10)
상기 베이스부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봉부재;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조명부; 및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조명부를 상호 연결하는 조명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장치로서,
상기 조명 연결부는,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구멍부;
그 일단부는 상기 구멍부에 끼워지되 회전운동가능도록 끼워져 지지되고, 그 타단부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된 머리부가 구비된 조명지지부재;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머리부를 위와 아래에서 각각 가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머리부를 중심으로 하는 위아래 방향의 회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로 이루어진 결합부; 및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를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가압하도록 구비된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는, 광원이 고정된 광원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케이스는, 상호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단부에는 상부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단부에는 하부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돌출부와 하부돌출부는 상호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A base portion which can be placed on a flat surface or fixed to a wall surface;
A rod member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 illumination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And
An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and the lighting unit interconnecting;
The lighting connection,
A ho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An illumination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fitted to the hole and supported to be rotatable, the other end having a head having a diameter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A coupling part including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disposed to surround the head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the upper and lower members respectively arranged to press the head above and below the head and configured to rotat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bout the head; And
And an elastic part provided to press the head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to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part.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case in which a light source is fixed,
The light source case is made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coupled to each other,
One side end of the upper case is provided with an upper protrusion, one side end of the lower case is provided with a lower protrusion,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is coupled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be fixed to the coupling unit.
상기 구멍부에 끼워지는 조명지지부재의 일단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O-ring)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ring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illumination supporting member fitted to the hole.
상기 구멍부에 끼워지는 조명지지부재의 일단부의 외측면에는, 오목한 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멍부의 내측면에는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 내에서만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회전움직임이 소정각도 범위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fitted to the hole,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rotrusion,
The protruding portion is movable only within the groove portion,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can be limited to be mad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상기 탄성부는,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스프링안착구멍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에 구비되되, 탄성변형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를 가압하도록 구비된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portion
A spring inserted into a spring seating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ighting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spring, the illu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member provided to press the coupling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ally deformed spring.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는, 조명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결합부 내부의 상기 머리부가 수용되는 공간은, 상기 머리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of the illumination support member i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llumination support member,
Illu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in which the head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portion is cylindrical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ead.
상기 결합부의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부재를 가압하도록 탄성변형된 판 형상의 하부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The method of claim 1,
Between the lower member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lower case, further comprising a plate-shaped lower plate spring elastically deformed to press the lower member.
상기 상호 결합된 상부 돌출부와 하부돌출부의 단부에는, 탄성을 지닌“ㄷ”자 형상의 걸림쇠를 구비하되, 그 걸림쇠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돌출부의 단부에 걸려고정되고 그 걸림쇠의 타단부는 상기 상부 돌출부에 걸리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 end portion of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C” shaped latch, wherein one end of the latch is fixed to the end of the lower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of the latch is the upper protrusion. Illu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hang.
상기 광원케이스는 전체적으로 고리형상이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케이스의 내부에 원주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엘이디(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source case is generally annular,
The light source is a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ED (LED)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ght source case.
상기 결합부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결합되어, 그 결합부를 가압하는 "ㄷ"자 형상의 가압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the illu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spring of "-" shaped to press the coupling portion.
상기 가압스프링은, 상부와 하부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측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및 하부는 상기 측부와 예각을 이루며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ssing spring is composed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the side interconnecting each other, where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an illu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acute angl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2/011795 WO2013100730A1 (en) | 2011-12-29 | 2012-12-28 | Lighting apparatus |
TW101151037A TWI490427B (en) | 2011-12-29 | 2012-12-28 | Ligh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6109 | 2011-12-29 | ||
KR20110146109 | 2011-12-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7771A KR20130077771A (en) | 2013-07-09 |
KR101366690B1 true KR101366690B1 (en) | 2014-03-12 |
Family
ID=4899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518A Active KR101366690B1 (en) | 2011-12-29 | 2012-11-16 | Ligh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6690B1 (en) |
TW (1) | TWI490427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7034A (en) * | 2015-07-10 | 2017-01-18 | 아이투엠 주식회사 | An Illuminat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5342B1 (en) * | 2016-05-31 | 2017-07-07 | 김태영 | Lighting system for camping and leisure with safety warning lamp and fire detection function of vehicle |
CN111140780A (en) * | 2020-01-14 | 2020-05-12 | 深圳市凯润智能照明有限公司 | Desk lamp and desk lamp pivot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33103A (en) * | 1991-03-29 | 1994-07-26 | Luxo Lamp Corporation | Halogen lamp |
JP2008004480A (en) | 2006-06-26 | 2008-01-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Desktop lighting apparatus |
KR100934750B1 (en) | 2009-07-08 | 2009-12-30 | 엔텍엘이디(주) | Desk lamp |
KR101012873B1 (en) | 2009-03-06 | 2011-02-08 |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 Head hinge for stan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761Y1 (en) * | 2003-02-13 | 2003-05-22 | 세욱조명주식회사 | A angle control apparatus for a desk lamp |
TWM351991U (en) * | 2008-08-28 | 2009-03-01 | Shin Zu Shing Co Ltd | Hinge with positioning function and illumination lamp having the same |
-
2012
- 2012-11-16 KR KR1020120130518A patent/KR101366690B1/en active Active
- 2012-12-28 TW TW101151037A patent/TWI490427B/en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33103A (en) * | 1991-03-29 | 1994-07-26 | Luxo Lamp Corporation | Halogen lamp |
JP2008004480A (en) | 2006-06-26 | 2008-01-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Desktop lighting apparatus |
KR101012873B1 (en) | 2009-03-06 | 2011-02-08 |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 Head hinge for stand |
KR100934750B1 (en) | 2009-07-08 | 2009-12-30 | 엔텍엘이디(주) | Desk lamp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7034A (en) * | 2015-07-10 | 2017-01-18 | 아이투엠 주식회사 | An Illumination Device |
WO2017010615A1 (en) * | 2015-07-10 | 2017-01-19 | 아이투엠 주식회사 | Transformable lighting device |
KR101720303B1 (en) | 2015-07-10 | 2017-03-27 | 아이투엠 주식회사 | An Illumin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335535A (en) | 2013-09-01 |
KR20130077771A (en) | 2013-07-09 |
TWI490427B (en) | 2015-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9697B1 (en) | Lighting Apparatus | |
KR101309698B1 (en) | Lighting Apparatus | |
KR101366690B1 (en) | Lighting Apparatus | |
JP2010238580A (en) | Makeup frame and recessed lighting fixture | |
JP2012059560A (en) | Lighting fixture | |
JP5936049B2 (en) |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ethod | |
CN205447450U (en) | Light emitting diode (LED) lamp | |
KR101389435B1 (en) | Driving device indication direction of which is controlled freely | |
KR20210087835A (en) | Multi directional reclamation lamp | |
JP6255779B2 (en) | Lighting device | |
KR102595103B1 (en) | Light stand capable of self-assembling | |
KR100979275B1 (en) | Stage lighting apparatus | |
WO2013100730A1 (en) | Lighting apparatus | |
JP2008071604A (en) | lighting equipment | |
KR101702880B1 (en) | Resilient mounting device for lighting | |
US20160298819A1 (en) | Lampshade and lamp | |
KR102470167B1 (en) | Bracket of rotation type for led lamp | |
KR200480378Y1 (en) | Lighting lamp | |
KR20170092415A (en) | Movable type lighting device | |
KR20200007620A (en) | Sphere shaped lighting fixture | |
KR200382414Y1 (en) | Lighting stand for decoration capable of a varied 3D assembly | |
CN201072053Y (en) | Embedded lamp | |
TWM504197U (en) | Angle-adjustable lamp | |
KR20230161738A (en) | Lamp stand apparatus | |
KR20150142368A (en) | modular lampsha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