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09B1 - Multi-functional buckle device for seat belt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buckle device for seat bel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6609B1 KR101366609B1 KR1020130111764A KR20130111764A KR101366609B1 KR 101366609 B1 KR101366609 B1 KR 101366609B1 KR 1020130111764 A KR1020130111764 A KR 1020130111764A KR 20130111764 A KR20130111764 A KR 20130111764A KR 101366609 B1 KR101366609 B1 KR 1013666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let
- seat belt
- buckle
- core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2105 tongue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21 gun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2—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Return motion lock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022/1957—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클 리프트 기능 및 장력 조정 기능을 통해 차량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충돌사고 발생시 프리텐션 기능을 통해 탑승자의 신체에 대한 구속력을 높여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의 시트벨트의 버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제자리 회전하게 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와 함께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콜릿과; 상기 콜릿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너트의 축방향 이동시 콜릿과 함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버클 측으로부터 당김력이 작용할 경우 콜릿과의 간섭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일단이 결합되고 버클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버클을 이동시키게 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of the vehicle occupant is more conveniently made through the buckle lift function and the tension adjustment function, and the safety of the occupant is increas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y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on the occupant's body through the pretension function in the event of a crash. It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eat belt buckle device for further improvemen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 drive motor fixed to one end of the housing; A lead screw which is rotated in place in the housing by receiv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A moving nut mov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when the lead screw rotates in place; A collet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able nut; A core installed inside the collet to move together with the collet dur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movable nut, the core being restrained by interference with the collet when a pull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buckle side withou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nut; One end is coupled to the cor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buckle is a wire to move the buck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nut; seat belt buckle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벨트의 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클 리프트 기능 및 장력 조정 기능을 통해 차량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충돌사고 발생시 프리텐션 기능을 통해 탑승자의 신체에 대한 구속력을 높여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의 시트벨트의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device of the seat 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make the seat belt of the vehicle occupant more convenient through the buckle lift function and the tension adjustment function, and also the pretension function in the event of a cras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device of a multifunctional seat belt that increases the binding force to the body to further improve the safety of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벨트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일종의 안전장치로서, 한쪽의 텅(tongue)을 연장하여 반대쪽의 버클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착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 seat belt of a vehicle is a kind of safety device that protects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and can be worn by extending one tongue and fastening it to the opposite buckle.
이러한 시트 벨트는 차량 충돌시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몸이 앞쪽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1차적으로 잡아줌으로써, 탑승자를 큰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The seat belt primarily serves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risk of serious injury by primarily catching the driver's and front passenger's body jumping forward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그러나, 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이 크면, 관성에 의해 탑승자는 큰 힘으로 전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상기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고 있어 시트벨트에 의해 지지가 된다 하더라도 일정거리만큼 밀리게 된다.However, if the external force applied during the front collision is large, the occupant is pushed forward by a large force due to the inertia, even if the occupant is wearing the seat belt and supported by the seat belt, it is pushed by a certain distance.
따라서, 전방 추돌 및 충돌사고 발생시 시트벨트를 순간적으로 감아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운전자 및 다른 탑승자의 밀림을 방지하는 프리텐셔너(pretentioner)가 설치된다. 즉, 프리텐셔너란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몸이 앞으로 쏠리기 전에 미리 더 큰 장력으로 잠기도록 하여 탑승객이 입을 수 있는 상해를 줄여주는 장치이다.Accordingly, a pretensioner is installed to prevent tension of the driver and other occupants by temporarily winding the seat belt in the event of a frontal collision and a collision accident, thereby improv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seat belt. In other words, the pretensioner is a device that reduces the injuries that passengers may suffer by locking in a greater tension in advance before the body of the occupant is forward.
기존에는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시트 벨트나 버클 등에 프리텐션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기존의 기술은 화약을 이용함에 따라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뿐만 아니라 오작동시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효과 면에서 그다지 탁월하지 않기 때문에 크게 각광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Conventionally, a technique of applying a pretension function to a seat belt or a buckle using the explosive power of gunpowder has been proposed, but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not only a disadvantage that cannot be reused due to the use of gunpowder, but also a problem that threatens the safety of passengers in case of malfunction. There is, in particular, because it is not so excellent in terms of the situation is not receiving much attention.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는 이외의 다른 방편으로서 압축공기나 압축가스를 이용하는 프리텐션 시트 벨트나 버클 등도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프리텐션 시트 벨트 및 버클은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아, 일부 고급 차종에만 적용되고 있고 대중화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In addition to using the explosive force of the gunpowder, there are also pretension seat belts and buckles that use compressed air or compressed gas. However, these conventional pretension seat belts and buckles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and a high manufacturing cost. It is being applied and not popularized.
한편, 기존에는 시트벨트의 텅을 버클에 체결할 때에는 상기 버클이 높게 돌출되어 있어야만 승객이 용이하게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으나, 콘솔박스의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콘솔박스의 높이가 커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버클의 돌출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승객이 시트벨트를 착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Meanwhile, when the tongue of the seat belt is fastened to the buckle, passengers can easily wear the seat belt only when the buckle is protruded high. However, as the utility of the console box is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onsole box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uckle is shortened, which is inconvenient for passengers to wear seat belt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트벨트의 착용시 버클이 텅과의 체결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하고 체결 후 원위치하도록 하는 기술(즉, 버클 리프트 기술)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 역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많이 되는 관계로, 일부 고급 차종에만 적용되고 있고 대중화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technique for moving the buckle to a position where the seat belt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tongue when the seat belt is worn (or buckle lift technology), but this is also structurally complicated. Due to the high manufacturing cost, it is only applied to some high-end cars and is not popularized.
따라서,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제조 단가가 낮으면서도, 버클 리프트 기능과 시트 벨트의 장력 조절 기능, 차량 충돌시 프리텐션 등 편의성 및 안전과 관련된 고급 사양의 대중화에 효과적인 안전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safety device that is effective in the popularization of high-end specifications related to convenience and safety, such as a buckle lift function, a seat belt tension control function, and a pretension in a vehicle crash, while having a low manufacturing cost due to its simple structure.
즉,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대중화에 효과적이면서도, 버클 리프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에 알맞게 조절될 수 있으며, 전방 충돌시 프리텐션 기능을 발휘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등의 탑승자의 몸이 앞으로 쏠려서 차량의 실내 부품들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새로운 안전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In other words, the structure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it is effective for popularization, but it is not only possible to lift the buckle, but also the tension of the seat belt can be adjusted accordingly to the occupan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new safety device to prevent the occupant's body from tipping forward and hitting the interior parts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 및 현재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버클 리프트 기능 및 장력 조정 기능을 통해 차량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충돌사고 발생시 프리텐션 기능을 통해 탑승자의 신체에 대한 구속력을 높여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의 시트벨트의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current circumstances, and the occupant through the pre-tension function in the event of a crash in addition to making the seat belt of the vehicle occupant more convenient through the buckle lift function and the tension adjustment fun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eat belt buckle device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safety of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by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on the bod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제자리 회전하게 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와 함께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콜릿과; 상기 콜릿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너트의 축방향 이동시 콜릿과 함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버클 측으로부터 당김력이 작용할 경우 콜릿과의 간섭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일단이 결합되고 버클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버클을 이동시키게 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ousing; A drive motor fixed to one end of the housing; A lead screw which is rotated in place in the housing by receiv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A moving nut mov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when the lead screw rotates in place; A collet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able nut; A core installed inside the collet to move together with the collet dur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movable nut, the core being restrained by interference with the collet when a pull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buckle side withou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nut; One end is coupled to the cor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buckle to the wire to move the buckl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nut; seat belt buckle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버클 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buckle device of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wearing of the vehicle occupant is made more convenient.
즉, 시트벨트의 착용시 버클이 텅과의 체결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한 후에 체결이 완료되면 원위치하여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에 알맞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시트벨트의 착용성이 향상된다.That is, when the seat belt is worn, the buckle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with the tongue is easy, and when the fastening is completed, the seat belt's tension can be adjusted to suit the occupant, thereby improving the wearability of the seat belt.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 충돌이 발생할 경우, 프리텐션 기능이 작동하여 탑승자에 대한 신체 구속력을 높임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N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occurs, the pretension function is activated to increase the body restraint for the occupant to further improve the safety of the occupant.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낮아, 일부 고가의 고급 차종에 한정되어 적용되고 있던 안전과 관련된 고급 사양을 중저가 차종에도 적용하여 안전성 확보와 관련된 고급 사양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high-end specifications related to ensuring safety by applying the safety-related high-end specifications that were limited to some expensive luxury cars applied to low-end models Can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버클 장치가 차량의 시트 측면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트벨트의 버클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사시도로서, 일부 부품을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버클 리프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a는 버클 리프트 전의 상태도이고,
도 6b는 버클 리프트 후의 상태도이며,
도 6c는 버클이 원위치한 후의 상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프리텐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a는 차량 충돌 직전의 상태도이고,
도 7b는 차량 충돌 감지 직후의 프리텐션 작동 상태도이며,
도 7c는 코어가 쐐기 작용을 수행한 직후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버클 리프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9a는 버클 리프트 전의 상태도이고,
도 9b는 버클 리프트 후의 상태도이며,
도 9c는 버클이 원위치한 상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프리텐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0a는 차량 충돌 직전의 상태도이고,
도 10b는 차량 충돌 감지 직후의 프리텐션 작동 상태도이며,
도 10c는 코어가 쐐기 작용을 수행한 직후의 상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1a는 링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리드스크류의 사시도이고,
도 11c는 이동너트의 사시도이고,
도 11d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1e는 콜릿의 사시도이고,
도 11f는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11g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적용되는 멈춤링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ckle device of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eat side of the vehicle.
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buckle device of the seat belt of FIG. 1.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 of FIG. 2 in cross sec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FIG.
6a to 6c are for explaining the buckle lift action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buckle lift,
6B is a state diagram after the buckle lift,
6C is a state diagram after the buckle is in place.
7a to 7c are for explaining the pretension function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state diagram immediately before a vehicle crash,
7B is a state diagram of pretension operation immediately after vehicle collision detection;
7C is a state diagram immediately after the core performs the wedge ac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for explaining the buckle lift action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of FIG.
9A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buckle lift,
9B is a state diagram after the buckle lift,
9C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buckle is in the original position.
10a to 10c are for explaining the pretension function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state diagram immediately before a vehicle crash,
10B is a state diagram of pretension operation immediately after vehicle collision detection;
10C is a state diagram immediately after the core performs the wedge action.
11A to 11G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ly;
1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ng bracket,
1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ad screw,
11c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nut,
11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11E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let,
11F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re and
11G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 ring applied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1g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G.
[실시예1][Example 1]
먼저, 도 1 내지 도 11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F.
도 1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차량용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원통형의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일단에 고정되는 구동모터(2)와; 상기 구동모터(2)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 내부에서 제자리 회전하게 되는 리드스크류(3)와; 상기 리드스크류(3)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류(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너트(4; moving nut)와; 상기 이동너트(4)와 함께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콜릿(5 ; collet)과; 상기 콜릿(5) 내부에 프리텐션(pre-tention) 기능 수행을 위해 설치되는 코어(6; core)와; 상기 코어(6)에 일단이 결합되고 버클(8)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4)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버클(8)을 이동시키게 되는 와이어(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7C, the vehicle seat belt buckle device B includes a
이때, 상기 하우징(1)은 차체에 고정되거나, 탑승자 시트(S)의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이동너트(4)는 상기 리드스크류(3)에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구동모터(2)의 구동에 따른 리드스크류(3)의 회전시, 상기 이동너트(4)의 전진 및 후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ving
즉, 상기 이동너트(4)는 내부 공간 대부분은 비어 있어 리드스크류(3)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며 상기 이동너트(4)의 무게도 최소화하여 상기 이동너트(4)의 전진 및 후진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at is, since most of the inner space of the
한편, 상기 이동너트(4)의 버클측 단부는 코어(6)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너트(4)의 전진시 코어(6)를 밀어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uckle-side end of the moving
상기 코어(6)는 상기 콜릿(5) 내부에 설치되어 버클 리프트 기능 수행을 위한 상기 이동너트(4)의 축방향 이동시에는 콜릿(5)과 함께 이동하며, 차량 충돌에 의해 버클(8) 측으로부터 급작스러운 당김력이 작용할 경우 콜릿(5)과의 간섭에 의해 콜릿(5)이 하우징(1) 내벽에 구속되도록 구성된다. The
상기에서 이동너트(4)의 축방향 이동은, 상기 리드스크류(3)의 회전 방향에 따라 버클(8) 측으로의 이동(즉, 전진) 혹은 구동모터(2) 측으로의 이동(즉, 후진)으로 나뉜다. In the axial movement of the moving
그리고, 상기 콜릿(5)은 이동너트(4)의 일단에 나사산(401)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콜릿(5)과 이동너트(4)의 체결 방식이 나사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콜릿(5)은 확경(擴徑) 가능하도록 종방향의 분할홈(501)을 가지며, 상기 콜릿(5)의 분할홈(501)이 형성된 구간에는 버클(8)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주는 영역이 구비된다. 부언컨대, 상기 콜릿(5)의 버클(8) 측 단부는 내주면이 테이퍼진(taperde) 상태로서 버클(8)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도록 구성되므로, 내경이 점점 줄어되는 내경 축소부(I; 도 4 참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코어(6)는 상기 콜릿(5)의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영역에 대응하여 외경이 줄어드는 영역을 포함한다. 즉, 상기 코어(6)는 콜릿(5)의 내경 축소부(I)에 대응하는 외경 축소부(O; 도 11f 참조)를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코어(6)의 축방향 중심에는 와이어 삽입홀(601)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6)의 외주면상에는 체결부재(61)의 체결시 상기 와이어 삽입홀(601)을 통해 삽입된 와이어(7)를 상기 체결부재(61)가 압착하여 고정하는 와이어 체결용 홀(60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와이어 체결용 홀(602)은 코어(6)의 외경이 줄어드는 영역이 아닌 외경 변화가 없는 영역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코어(6)의 외경 변화가 없는 영역에 와이어 체결용 홀(602)이 형성되는 것이 작업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외경이 줄어드는 영역에 와이어 체결용 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과 구동모터(2) 사이에는, 하우징(1)과 구동모터(2)를 연결하면서 상기 구동모터(2)의 동력이 리드스크류(3)로 전달되도록 하는 링브라켓(9)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nd, between the housing (1) and the drive motor (2), while connecting the housing (1) and the drive motor (2) ring bracket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2) to the lead screw ( 9) is preferably provided.
이를 위해, 상기 링브라켓(9)은 면 중앙부에는 리드스크류(3)가 관통하는 스크류 관통홀(901)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관통홀(901) 근방의 면상에는 구동모터(2)에 링브라켓(9)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 체결공(902)이 형성되며, 상기 링브라켓(9)의 외주면상에는 하우징(1)의 일단부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산(903)이 형성된다.To this end, the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3)에는 구동모터(2)의 모터축(201)이 결합되는 축결합홈(301)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하우징(1)의 타단 측에는 상기 하우징(1)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7)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와이어 가이드(12)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12)는 튜브 형태로서 만곡부(curved portion)를 가짐에 따라 와이어(7)의 진행 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oth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와이어(7)는 예컨대 철선 등의 금속재질로서 프리텐션 기능 수행이 가능할 정도의 충분한 인장 강도가 확보되면서 일정 곡률로 휘어진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될 경우 다시 직선 형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프리텐션 기능 수행이 가능할 정도의 충분한 인장 강도가 확보되며 탄성을 갖는 한 기타 다른 재질로도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하우징(1) 외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장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 내에 위치하는 이동너트(4)의 외면에는 상기 장홈(101) 내에 위치하여 이동너트(4)가 직선 운동하도록 돕는 안내돌기(4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모터(2)의 구동에 의한 리드스크류(3)의 회전시, 이동너트(4)가 리드스크류(3)와 함께 회전하면 이동너트(4)의 전후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상기 이동너트(4)가 리드스크류(3)와 함께 회전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상기 이동너트(4)의 전,후진이 확실히 담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 is formed in the long groove 101 in the axial direc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nut (4) located in the housing (1) is located in the long groove (101) in the moving nut (4) It is preferable that a
상기 안내돌기(411)는 하우징(1)과 이동너트(4)의 조립성을 위해 하단부에 나사산을 갖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하우징(1) 내부에 이동너트(4)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너트(4)에 형성된 안내돌기 조립홀(402)에 상기 안내돌기(411)의 나사산부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콜릿(5)의 외면 및 하우징(1)의 내면에는, 차량 충돌시 와이어(7)를 통해 코어(6)에 전달된 급작스런 당김력에 의해 상기 코어(6)를 버클 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기 코어(6)의 빗면이 콜릿의 내경 축소부(I)를 바깥쪽으로 확장시키는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콜릿(5)이 확경됨에 따라 상기 콜릿(5)의 외면이 상기 하우징(1) 내면에 맞물리도록 하는 세레이션(503)(103)이 형성된다.The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세레이션(503)(103)은 맞물림이 이루어질 경우, 코어(6)의 이동이 바로 구속될 수 있는 치형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확대부를 참조하면, 치형 구조에 있어서 콜릿(5)과 하우징(1)에 형성되는 세레이션(503)(103)은 콜릿(5)의 확경에 따른 형합시, 반경 방향으로 날이 선 치면들 간의 간섭에 의해 곧바로 콜릿(5)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B)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크게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바, 버클(8)을 시트벨트(미도시)의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착용이 완료되면 다시 원위치시키는 버클 리프트 기능과, 시트벨트 착용 완료 후에 버클(8)의 위치 조정을 통해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에 적절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시트벨트 장력 조정기능과, 차량 충돌 등에 의해 이상이 감지될 경우 구동모터(2)의 구동을 통해 버클(8)을 순간적으로 구동모터(2)측(즉, 후진)으로 잡아당겨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밀림을 방지하는 프리텐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ree functions largely, and after the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기능 및 그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three functions mentioned above and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functions are explained in order as follows.
1. [버클 리프트 기능]1. [Buckle lift function]
먼저, 버클 리프트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버클 리프트 기능이 선택되어 구동모터(2)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구동모터(2)의 구동에 의해 이동너트(4), 상기 이동너트(4)에 결합된 콜릿(5), 상기 콜릿(5) 내부의 배치된 코어(6), 상기 코어(6)에 연결된 와이어(7)가 도 6a에 도시된 상태에서 우측(즉, 버클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버클(8)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d1' 만큼 이동한 리프트(lift) 상태로 전환된다.First, referring to the buckle lift function, when the buckle lift function is selected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즉, 구동모터(2)의 구동에 의해 리드스크류(3)가 제자리에서 정회전하면 리드스크류(3)에 결합된 이동너트(4)는 리드스크류(3)의 축방향을 따라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너트(4)에 체결된 콜릿(5)도 전진하게 되며, 상기 콜릿(5) 내부에 설치된 코어(6)도 단부가 접촉된 이동너트(4)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콜릿(5)과 함께 전진하게 되며, 따라서 코어(6)에 결합된 와이어(7)도 전진하게 됨으로써, 와이어 가이드(12)의 가이드를 받는 와이어(7) 선단에 결합된 버클(8)은 텅과의 체결이 용이한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리프트 된 상태에서 탑승자는 버클(8)과 시트벨트에 구비된 텅과 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텅과 버클(8)의 체결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구동모터(2)의 구동에 의해 리드스크류(3)가 역회전한다.In the lift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occupant can be easily fastened with the tongues provided in the
이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3)에 결합된 이동너트(4)는 리드스크류(3)의 축방향을 따라 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너트(4)에 체결된 콜릿(5)도 후진하게 되며, 상기 콜릿(5) 내부에 설치된 코어(6)도 콜릿(5)의 간섭에 의해 후진하게 된다.Accordingly, the moving
따라서 코어(6)에 결합된 와이어(7)도 후진하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7)의 이동 거리를 버클 리프트 기능 전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7) 선단에 결합된 버클(8)은 버클 리프트 전의 상태로 원위치하게 된다(도 6c 참조). Therefore, the
한편, 버클(8)의 원위치를 위한 이동너트(4)의 후진시, 본 실시 예의 콜릿(5)은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만들어짐에 따라 코어(6)와의 간섭에 의해 하우징(1) 내면에 밀착되어 이동되지 못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upon retraction of the
즉, 본 실시 예의 콜릿(5)은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설계되어, 후술하게 될 [프리텐션 기능]이 이루어질 때를 제외한 [버클 리프트 기능] 및 후술하게 될 [시트벨트 장력 조정 기능]의 수행시에는 버클(8)이 하우징(1) 내면에 간섭되어 이동하지 못하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That is, the
상기에서, 버클(8)은 50~100mm 내에서 상승할 수 있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버클(8)과 텅이 조인트 된 다음에 바로 원위치로 가도록 제어되어도 되지만, 바로 원위치하지 않고 5~10초 지연 후에 원위치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the buckle (8) is preferably controlled to rise within 50 ~ 100mm, may be controlled to go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immediately after the buckle (8) and the tongue is jointed, 5 to 10 seconds without the original position It is desirable to be controlled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after the delay.
버클(8)의 상승 위치를 적정 범위로 제어하는 이유로, 상기 버클(8)이 50mm 미만의 너무 짧은 거리로 상승하면 시트벨트의 착용이 여전히 불편하여 버클 리프트 기능이 의미가 없을 수 있으며, 100mm 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높은 위치까지 상승할 경우에는 버클(8)이 아래로 꼬꾸라져서 시트벨트의 착용이 불편하게 되기 때문이다. For the reason of controlling the raised position of the
한편, 버클(8)과 텅이 조인트 된 다음에 버클(8)이 원위치로 되돌아 가기까지 시간 지연을 적정 범위로 두는 이유는, 시간 지연이 너무 짧은 상태로 버클(8)이 원위치하게 되면 시트벨트 착용에 불편이 수반되고, 너무 긴 시간 지연 후에 버클(8)이 원위치로 탑승자에게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2. [시트벨트 장력 조정 기능]2. [Seat belt tension adjustment function]
다음으로, 시트벨트 장력 조정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look at the seat belt tension adjustment function as follows.
시트벨트 장력 조정 기능은,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에게 최적화도록 시트벨트의 장력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여기서, 시트벨트 장력 조정 기능은 전술한 버클 리프트 기능의 버클 원위치에 더하여,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에게 최적화도록 시트벨트의 장력이 추가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seat belt tension adjustment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that allows the seat belt tension to be adjusted so that the seat belt tension is optimized for the occupant. Here, the seat belt tension adjustment function includes the tension of the seat belt can be further adjusted so that the seat belt tension is optimized for the occupan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uckle lift position of the buckle lift func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버클(8)이 리프트 전의 상태로 원위치 한 상태에서, 사용자 체형을 감안하여 구동모터(2)가 추가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에 연결된 리드스크류(3)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는 이동너트(4), 콜릿(5), 코어(6)가 이동하게 되고, 결국 코어(6)에 연결된 와이어(7) 및 버클(8)이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벨트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상기 시트벨트 장력 조정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클 리프트 기능 수행이 완료되어 일단 버클(8)이 원위치한 다음에 그 후속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벨트 장력 조정 기능은 버클 리프트 기능에 의해 버클(8)이 원위치하는 것과는 별개의 과정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eat belt tension adjustment func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separ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uckle lift function is performed once the buckle (8) is in place and the subsequent process. That is, the seat belt tension adjustment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process from the original buckle (8) by the buckle lift function.
다시 말해, 버클(8)과 텅이 체결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버클(8)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이 생략된 채, 바로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벨트 장력 조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after the
3. [프리텐션 기능]3. [Pretension Fun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프리텐션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pretens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프리텐션 기능은, 차량의 전방 충돌 등 사고 발생시 곧바로 와이어(7)에 작용하는 장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전방으로의 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말한다.The pretension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preventing tension in the front of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by improving the tension acting on the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전방 충돌 사고 등 이상 감지시, 이상 감지 신호가 바로 구동모터(2)에 전달되어 버클을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In 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ity such as a front collision accident is detected,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driving
즉, 이상 감지에 따른 제어 신호가 전달됨과 동시에 구동모터(2)는 이동너트(4)를 후진 방향(즉, 구동모터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너트(4)에 체결된 콜릿(5)도 후진하게 되며, 상기 콜릿(5) 내부에 설치된 코어(6)도 간섭된 콜릿(5)의 미는 힘에 의해 후진하게 되고, 결국 와이어(7)에 연결된 버클(8)에도 후진 방향의 힘이 전달되어 시트벨트를 미리 잡아당겨 줌으로써,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전방으로의 밀림을 방지하는 프리텐션(pre-tention) 기능이 수행된다. That is,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bnormal detection is transmitted and at the same time the
참고로, 이상 감지에 따른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가 구동하여 이루어지는 프리텐션 기능은 매우 짧은 시간에 수행되며, 프리텐션 기능이 수행되기 전까지는 아직 탑승자의 몸이 전방으로 쏠리기 전 상태이다.For reference, the pretension function that is driven by the driving
도 7b에 표시한 'd2'는 이상 감지에 따른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가 구동하여 프리텐션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동너트(4)와 이에 연동하는 콜릿(5), 코어(6), 와이어(7), 버클(8) 등의 구성요소가 뒤로 물러난 거리이다.In FIG. 7B, 'd2' denotes the moving
이후, 프리텐션이 기능한 상태에서 탑승자의 몸이 전방으로 쏠림에 따라, 시트벨트에 탑승자의 쏠림에 따른 하중이 가해지고, 상기 하중은 버클(8)에 연결된 와이어(7)를 통해 코어(6)에 대해 급속한 외력(즉, 당김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코어(6)는 짧은 구간(d3 ; 도 7c 참조)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콜릿(5)과 간섭 작용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코어(6)는 하우징(1) 내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구속된다.Subsequently, as the occupant's body is moved forward while the pretension function is applied, a load is applied to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occupant's leaning, and the load is applied to the
즉, 상기 코어(6)가 짧은 구간의 이동 후 바로 구속됨에 따라 코어(6)에 연결된 와이어(7) 및 그 선단에 결합된 버클(8)이 함께 바로 구속되며, 이로 이해 탑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면서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탑승객을 잡아 주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the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 장치(B) 구조에 따르면, 콜릿(5)은 확경(擴徑) 가능하도록 종방향의 분할홈(501)을 가지며, 분할홈(501)이 형성된 구간에는 버클(8)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어(6)에는 상기 콜릿(5)의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영역에 대응하여 외경이 줄어드는 영역이 구비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상기 콜릿(5)의 분할홈(501)이 형성된 구간 중, 버클(8)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영역은 그 두께가 점점 버클 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짐으로써 내경이 점점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section in which the
따라서, 프리텐션 기능이 작동한 상태에서, 이후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몸이 전방으로 밀림에 따라 버클(8)에 연결된 와이어(7)를 통해 급속한 외력(즉, 당김력)이 코어(6)에 전달되는데, 외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짧은 구간 이동하는 상기 코어(6)는 일종의 쐐기로서 작용하여 상기 콜릿(5)의 분할홈(501)이 형성된 내경 축소부(I)를 바깥으로 확장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콜릿(5)은 하우징(1) 내주면에 간섭되어 고정된다.Thus, with the pretension function activated, a rapid external force (ie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콜릿(5)이 하우징(1) 내주면에 간섭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코어(6)는 버클측으로의 당김력이 계속 작용하더라도 상기 콜릿(5)의 내경 축소부(1)와의 간섭에 의해 콜릿(5) 내측에 물려 고정된다.
In addition, as the
한편, 상술한 세 가지 기능 중에서, [버클 리프트 기능]의 수행은 차량에 승객이 탑승하기 위해 도어를 열어주게 되면 도어센서(미도시)의 신호가 차량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전달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탑승자가 시트(S)에 앉은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스위치를 온(on) 시킴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three function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 of the [buckle lift function] is a signal of the door sensor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electronically when the door is opened for the passenger to board the vehicle, It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by turning on a separate operation switch in a state where the occupant sits on the seat (S).
또한, 차량 속도에 의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의 속도가 제로(zero)일 때에는 버클(8)이 항상 리프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차속이 제로가 아닌 주행상태에서는 버클(8)이 원위치로 다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t can also be controlled by vehicle speed. That is,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zero,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Seat belt buckle device (B)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cts as described above will provide the following advantages.
먼저, 시트벨트의 착용시 버클(8)이 리프트(lift)되어 텅과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텅과의 체결이 완료된 후에 버클(8)이 원위치하므로 시트벨트의 착용성이 향상된다.First, when the seat belt is worn, the
특히, 버클(8)의 원위치에 이은 후속 제어에 의해, 혹은 버클(8)의 원위치와는 별개의 제어에 의해,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에 알맞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시트벨트의 착용성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향상될 수 있다.In particular, by the subsequent control following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 충돌이 발생할 경우, 프리텐션 기능이 작동하게 됨에 따라 시트벨트의 탑승자에 대한 신체 구속력을 높임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occurs, the pretension function is activated,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by increasing the body restraint on the occupant of the seat belt.
또한,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하므로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in structure, not only is it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따라서, 일부 고가의 고급 차종에 한정되어 적용되고 있던 안전과 관련된 고급 사양을 중저가 차종에도 적용하여 안전성 확보와 관련된 고급 사양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
Therefore, by applying the safety-related high-end specifications that were limited to some expensive luxury cars to low- and medium-priced cars can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high-end specifications related to securing safety.
[실시예2][Example 2]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B)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G.
기본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B)의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와 동일하나, [버클 리프트 기능] 및 [장력 조정 기능] 수행시에, 코어(6)가 이동너트(4)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가압수단이 더 구비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Basically,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uckle lift function] and [tension adjustment function] In practi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pressuriz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move the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동일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가압 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위주로 설명한다.Therefore,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is embodiment are abbreviate | omitted, and it demonstrates focusing on the structure and effect | action of a pressurization means.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상기 코어(6)를 이동너트(4) 측으로 밀어붙이는 작용을 하는 가압수단이 더 구비된다.Seat belt buckle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for acting to push the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콜릿(5)의 분할홈(501)이 형성된 버클 측 단부에 설치되는 멈춤링(13)과, 상기 멈춤링(1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코어(6)를 이동너트(4) 측으로 밀어붙이는 탄성부재(14)를 포함한다.The pressing means is supported by a
상기 멈춤링(13)은 'C'자형 스냅링(도 11 참조)으로서, 상기 콜릿(5)의 분할홈(501)이 형성된 버클 측 단부 내면에 형성된 링설치홈(502)에 끼워진다.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별도 부재인 멈춤링(13)이 탄성부재(14)를 지지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멈춤링을 설치하는 대신 상기 콜릿(5)의 분할홈(501)이 형성된 버클 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지지편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에 의해 탄성부재(14)가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4)로서는, 예컨대 압축코일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나, 기타 가압 작용을 수행하는 여러 가지 부재가 적용가능하다.As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제공한다.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실시예의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전술한 [버클 리프트 기능] 및 [장력 조정 기능] 수행시에 코어(6)가 이동너트(4)에 접촉한 상태에서 전진 및 후진하도록 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콜릿(5)이 하우징(1) 내면에 클램핑되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ssurized to allow the
즉, 전술한 제1실시에서는, 전술한 [버클 리프트 기능] 및 [장력 조정 기능] 수행시에 따른 이동너트(4)의 전진 및 후진 과정에서 콜릿(5)이 하우징(1) 내면에 클램핑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콜릿(5)의 설계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콜릿(5)의 설계 강도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 정상적으로 기능 가능한 콜릿의 설계 강도에 비해 더 작은 값으로 설계되더라도 [버클 리프트 기능] 및 [장력 조정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콜릿(5)이 하우징(1) 내면에 클램핑되는 현상이 가압수단의 코어(6)에 대한 이동모터(4)측으로의 가압 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상기 [버클 리프트 기능] 및 [장력 조정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확경이 가능하도록 분할홈(501)을 갖는 콜릿(5)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경 및 수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chang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와이어(7)는 상기 코어(6)와 버클(8)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예로서, 연결부재인 와이어는 본 실시 예에서 도시한 선형 구조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콜릿(5)의 외면 및 하우징(1)의 내면에는, 코어(6)의 이동이 구속되면서 상기 콜릿(5)이 확경되는 경우, 맞물려서 상기 콜릿(5)이 하우징(1)에 구속되도록 하는 세레이션(503)(603)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왜냐하면, 차량 충돌에 따른 [프리텐션 기능] 수행시, 상기 콜릿(5)의 외면 및 하우징(1)의 내면에 상기 세레이션(503)(603)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코어(6)의 쐐기 작용에 의해 상기 콜릿(5)이 확경되면 상기 콜릿(5)과 하우징(1)의 마찰력에 의해 콜릿(5)이 하우징(1) 내면에 클램핑되고, 이에 따라 코어(6)도 콜릿(5)과의 간섭에 의해 바로 구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Because, when performing the [pretens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collision, the wedge of the
그러므로, 상기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Therefore,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changed within the scope and equivalents of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본 발명의 시트벨트 버클 장치(B)는, 탑승자에게 버클 리프트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차량 충돌시 프리텐션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 안전장치로서, 부품 수가 적고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므로, 안전과 관련된 고급사양의 대중화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향후 저비용·고사양(高仕樣)을 지향하는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The seat belt buckle device (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safety device of a new structure that provides a buckle lift function to the occupant, and also provides a pretension function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s the unit price can be lowered,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popularization of safety-related high-end specifications. Therefore, it is highly applicable to the automobile industry aiming at low cost and high specifications in the future.
B: 버클 장치 1: 하우징
101: 장홈 103: 세레이션
2: 구동모터 201: 모터축
3: 리드스크류 301: 축결합홈
4: 이동너트 401: 이동너트의 나사산
402: 안내돌기 조립홀 411: 안내돌기
5: 콜릿(collet) 501: 분할홈
502: 링설치홈 503: 세레이션
6: 코어 601: 와이어 삽입홀
602: 와이어 체결용 홀 61: 체결부재
7: 와이어 8: 버클
9: 링브라켓 901: 스크류 관통홀
902: 나사 체결공 903: 링브라켓의 나사산
12: 와이어 가이드 13: 멈춤링
14: 탄성부재 I: 내경 축소부
O: 외경 축소부 S: 시트B: Buckle Device 1: Housing
101: long groove 103: serration
2: drive motor 201: motor shaft
3: lead screw 301: shaft coupling groove
4: moving nut 401: thread of moving nut
402: guide protrusion assembly hole 411: guide protrusion
5: Collet 501: Split Groove
502:
6: core 601: wire insertion hole
602: wire fastening hole 61: fastening member
7: wire 8: buckle
9: ring bracket 901: screw through hole
902: screw fastening 903: thread of the ring bracket
12: Wire guide 13: Set ring
14: elastic member I: inner diameter reducing portion
O: outer diameter reducing portion S: sheet
Claims (14)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제자리 회전하게 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너트;
상기 이동너트와 함께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콜릿;
상기 콜릿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너트의 축방향 이동시 콜릿과 함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버클 측으로부터 당김력이 작용할 경우 콜릿과의 간섭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는 코어;
상기 코어에 일단이 결합되고 버클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버클을 이동시키게 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housing;
A driving motor fixed to one end of the housing;
A lead screw which is rotated in place in the housing by receiv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A moving nut mov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when the lead screw rotates in place;
A collet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able nut;
A core installed inside the collet to move together with the collet dur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moving nut, the core being restrained by interference with the collet when a pull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buckle side in the absence of the moving nut;
And a wir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or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uckle to move the buck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nut.
상기 콜릿은 이동너트의 일단에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t is a seat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by screwing to one end of the moving nut.
상기 이동너트의 버클측 단부는 코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너트의 전진시 코어를 밀어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buckle side end of the movable nut is in contact with the core, the seat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by pushing the core when the moving nut advances.
상기 콜릿은 확경(擴徑) 가능하도록 종방향의 분할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llet has a split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able diameter expansion.
상기 콜릿은 버클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주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llet has a seat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rea that gradually decreases the inner diameter toward the buckle side.
상기 코어는, 상기 콜릿의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영역에 대응하여 외경이 줄어드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core, the seat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g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collet gradually decreases.
상기 하우징과 구동모터 사이에는, 하우징과 구동모터를 연결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이 리드스크류로 전달되도록 하는 링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Between the housing and the drive motor, the seat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drive motor to transfer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lead screw is provided.
상기 하우징의 타단 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튜브형의 와이어 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Seat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side of the housing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tubular wire guide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wire.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바꾸는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wire guide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urved portion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wire.
상기 하우징 외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너트의 외면에는 상기 장홈 내에 위치하여 이동너트가 직선 운동하도록 돕는 안내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Lo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n the axial direction,
Seat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nut is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to help the movement nut to move in a straight line.
상기 코어의 축방향 중심에는 와이어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상에는 체결부재의 체결시 상기 와이어 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와이어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와이어 체결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wire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n axial center of the core, and a seat belt ho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to form a wire fastening hole for crimping and fixing the wire inserted through the wire insertion hole when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Buckle device.
상기 콜릿의 외면 및 하우징의 내면에는 코어의 이동이 구속되면서 상기 콜릿이 확경되는 경우, 서로 형합하여 상기 콜릿의 확경부와 하우징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세레이션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Seat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ra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lle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s constrain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collet and the housing when the collet is enlarged, while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core .
상기 코어를 이동너트 측으로 밀어붙이는 힘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eat belt buck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for providing a force for pushing the core toward the moving nut.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콜릿의 버클 측 단부에 설치되는 멈춤링과;
상기 멈춤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코어를 이동너트 측으로 밀어붙이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essing means comprises:
A stop ring installed at the buckle side end of the collet;
And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stop ring to push the core toward the moving n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764A KR101366609B1 (en) | 2013-09-17 | 2013-09-17 | Multi-functional buckle device for seat bel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764A KR101366609B1 (en) | 2013-09-17 | 2013-09-17 | Multi-functional buckle device for seat bel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6609B1 true KR101366609B1 (en) | 2014-02-25 |
Family
ID=5027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17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6609B1 (en) | 2013-09-17 | 2013-09-17 | Multi-functional buckle device for seat bel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660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5816B1 (en) | 2014-11-05 | 2016-03-24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Buckle transmission apparatus |
KR101791499B1 (en) * | 2016-07-08 | 2017-10-30 | 장정염 | Buckle moving system of safety belt for vehicle |
US10399538B2 (en) * | 2016-01-22 | 2019-09-03 |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 Buckle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18374A1 (en) | 2001-08-23 | 2003-03-06 | Nhk Spring Co.,Ltd. | Seat belt pretensioner |
JP2009173103A (en) | 2008-01-23 | 2009-08-06 | Takata Corp | Pretensioner and seat belt device |
KR100957256B1 (en) | 2006-05-31 | 2010-05-12 |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 Seat belt pretensioner |
JP2011156936A (en) | 2010-01-29 | 2011-08-18 | Tokai Rika Co Ltd | Seat belt device |
-
2013
- 2013-09-17 KR KR1020130111764A patent/KR1013666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18374A1 (en) | 2001-08-23 | 2003-03-06 | Nhk Spring Co.,Ltd. | Seat belt pretensioner |
KR100957256B1 (en) | 2006-05-31 | 2010-05-12 |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 Seat belt pretensioner |
JP2009173103A (en) | 2008-01-23 | 2009-08-06 | Takata Corp | Pretensioner and seat belt device |
JP2011156936A (en) | 2010-01-29 | 2011-08-18 | Tokai Rika Co Ltd | Seat belt devi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5816B1 (en) | 2014-11-05 | 2016-03-24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Buckle transmission apparatus |
US10399538B2 (en) * | 2016-01-22 | 2019-09-03 |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 Buckle device |
KR101791499B1 (en) * | 2016-07-08 | 2017-10-30 | 장정염 | Buckle moving system of safety belt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16982B1 (en) | Vehicle seat | |
JP5557367B2 (en) | Seat belt device | |
US8777268B2 (en) | Reversible belt tensioner f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s | |
US7152824B2 (en) |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 |
US9238447B2 (en) | Belt lock feeder | |
KR102305515B1 (en) | Buckle device, seat mounting structure for buckle device, and vehicle seat belt device | |
EP2662251B1 (en) | seat belt connection device for a vehicle | |
EP3450262B1 (en) | Three-point seatbelt device | |
US20110133439A1 (en) | Restraint system load limiter | |
WO2013021787A1 (en) | Retractor device for seatbelt, and seatbelt device | |
JP5196386B2 (en) | Seat belt retractor | |
US20190135226A1 (en) | Seatbelt device | |
US20200298793A1 (en) | Pretensioner,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 |
KR101366609B1 (en) | Multi-functional buckle device for seat belt | |
US10974691B2 (en) | Self-locking belt retractor for a seat belt device of a motor vehicle | |
US9950690B2 (en) |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 |
EP1593559A1 (en) | Seat belt restraint system | |
EP3339108B1 (en) | Webbing take-up device | |
JP2013184605A (en) | Webbing retractor | |
JP5687145B2 (en) | Seat belt device | |
US20170291571A1 (en) | Webbing take-up device | |
US10744974B2 (en) | Webbing take-up device | |
JP7612459B2 (en) | Pretensioner, retractor and seatbelt device | |
JP2017061208A (en) | Webbing taking-up device | |
EP2108551B1 (en) | Bel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1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