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07B1 - Module type filter and filtering type pollution water disposal device having it - Google Patents
Module type filter and filtering type pollution water disposal device hav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6607B1 KR101366607B1 KR1020120018357A KR20120018357A KR101366607B1 KR 101366607 B1 KR101366607 B1 KR 101366607B1 KR 1020120018357 A KR1020120018357 A KR 1020120018357A KR 20120018357 A KR20120018357 A KR 20120018357A KR 101366607 B1 KR101366607 B1 KR 101366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pace
- installation hole
- sewage
- space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544 Olefi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67 olefi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3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moving along a closed path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가 이루어진 하수가 하천으로 월류되도록 하여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여과형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공이 관통 형성된 격벽에 의하여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공간부로 분할된 내부공간을 구비한 집수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공간부와 연통된 유입관과; 상기 제1공간부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상기 제2공간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2공간부와 연통된 유출관과; 상기 제1공간부로 유입된 하수를 여과시킨 후에 상기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집수부의 설치공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부유부재가 충진된 모듈형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수의 정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하천의 오염을 저감하고 별도의 역세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하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설에 대한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pollution of a river by allowing the sewage that has been purified to flow over the stream, and is disposed above the first space part and the first space part by a partition wall through which an installation hole is formed. A water collecting unit having an internal space divided into a second space unit; An inflow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so that sewage flows into the first space; An out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part such that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part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space part; A modular filter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so that the sewage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is filtered and then flows out to the second space por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and filled with a floating member therein; It is designed to reduce the pollution of the stream by improving the sewage treatment efficiency by improving the sewage treatment quickly and to reduc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 of the facility by performing the sewage purification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backwashing operation. It can be eff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과형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가 이루어진 하수가 하천으로 월류되도록 하여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여과형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type water treat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ar filter and a filtration-type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to allow the purified sewage to flow over the river to prevent the pollution of the river.
현재, 세계적으로 물부족 현상이 여러 국가의 주요한 이슈로 작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또한 이를 방치할 수 없는 국면에 이르렀고, 이러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 방안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Currently, the world's water shortage is a major issue in many countries, and Korea has also come to a stage where it can not be neglected. In order to solve this water shortage problem, we are looking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In fact.
따라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적으로 내리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efficiently using the natural rainfall to solve the water shortage phenomenon.
그러나, 이러한 우수는 대기중의 여러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이를 포함한 채 내리게 되며, 지표면에서도 각종 오염물질과 함께 하천 등으로 스며들게 되므로, 이러한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하천 등의 수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우수정화시설이 요구되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such rainwater is exposed to various pollutants in the atmosphere and is discharged downward including the rainwater, it is also impregnated with various contaminants along the river surface, so that the pollutants contained in such rainwater are removed, It is necessary to have an excellent purification facility.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정화시설이 요구되는 하수관거에서의 하수배제방식은 합류식과 분류식으로 구분되며, 합류식 하수도는 청천(晴天)시 배출되는 하수를 전량 하수처리장으로 수송되나 우천(雨天)시에는 하수 배출량이 증가하여 일정량(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은 차집관로를 통해서 하수처리장으로 수송되고 그 이상은 여과형 수처리장치에서 월류하여 공공수역으로 방류된다.The sewage treatment system in sewage pipes requiring excellent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as described above is divided into confluence and classification, and consolidation sewer is transported all the sewage discharged in Cheongcheon to sewage treatment plant, but in rainy weather As the discharge increases, a certain amount (maximum amount of planned wastewater) is transported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rough the conduit, and more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ed water treatment system to the public water.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여과형 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강우가 종료되면 더 이상 월류수가 시설물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시설물 내에 잔류하는 우수가 장기간 방치되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함으로써 위생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when the rainfall is over, the overflow water is no longer introduced into the facility, and if the rainwater remaining in the facility is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ygiene is caused by decay and odor is generated.
또한, 종래의 여과형 수처리장치는 여과를 위한 여과망의 일측에 펌프가 연결되어 펌프의 흡입에 의해 여과말 외부의 물이 여과망 내부로 유입되면서 오염물질은 여과망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 pump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ltration network so that water from outside the filter end is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network by suction of the pump, and contaminants are filtered by the filtration network to contaminate the water. The material can be remov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과형 수처리 장치는 여과망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질이 여과망의 외측 표면에 부착하게 되고, 장시간 운전할 경우 여과망의 공극이 막혀 성능이 저하되므로, 일정 주기로 역세척을 통해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nts filtered by the filter net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net, and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long time, the pores of the filter net are blocked and the performance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의 정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하천의 오염을 저감하고 별도의 역세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하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설에 대한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여과형 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 is to improve the sewage treatment efficiency so that the sewage can be purified quickly, so that the pollution of the stream is reduced and the sewage can be purified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backwashing operation. By providing a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that can reduc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for the facilit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여과형 수처리장치는, 설치공이 관통 형성된 격벽에 의하여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공간부로 분할된 내부공간을 구비한 집수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공간부와 연통된 유입관과; 상기 제1공간부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상기 제2공간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2공간부와 연통된 유출관과; 상기 제1공간부로 유입된 하수를 여과시킨 후에 상기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집수부의 설치공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부유부재가 충진된 모듈형 필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internal space divided into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disposed above the first space portion by the partition wall form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A catchment unit; An inflow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so that sewage flows into the first space; An out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part such that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part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space part; A modular filter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so that the sewage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is filtered and then flows out to the second space por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and filled with a floating member therein; .
여기서, 상기 모듈형 필터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된 관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에 설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부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odular filter may include a tubular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ing, a scree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on the plate surface, and a floating member filled in the housing. have.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공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설치공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공에 설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so as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and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체결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공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so that the housing may be screwed to the installation hole.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플랜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재가 상기 설치공의 주연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설치공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lange member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using, the flange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by screwing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그리고, 상기 부유부재는 상기 하우징 체적의 25 % 내지 75 %의 비율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The floating member may be filled in the housing at a rate of 25% to 75% of the housing volume.
또한, 상기 유입관이 상기 제1공간부와 연통되는 영역과, 상기 영역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상기 설치공 사이의 상기 제1공간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공간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판면에 다수의 정류공이 형성된 정류벽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let pipe is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space portion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space portion between the area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installation hole forme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area and on the plate surface. A rectifying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rectifying holes are formed may be installed.
아울러, 상기 제1공간부의 하부 일측면에는 상기 제1공간부에 유입된 하수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을 상기 제1공간부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별도의 배출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parate discharge hole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discharge the sediment generated from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pace portion may be formed in on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por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듈형 필터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된 관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에 설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부유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dular filter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ubular housing is opene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and the scree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on the plate surfac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oating member filled in.
여기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집수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so that the housing may be installed in a collecting portion of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그리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집수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플랜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lange member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housing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using may be installed in a collecting portion of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또한, 상기 부유부재는 상기 하우징 체적의 25 % 내지 75 %의 비율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oating member may be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t a rate of 25% to 75% of the housing volume.
아울러, 상기 부유부재는 5 mm 이상 20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에 형성된 타공은 2 mm 이상 4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oat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and the perforations formed in the scree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2 mm or more and 4 mm or les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과형 수처리장치는, 하수의 정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하천의 오염을 저감하고 별도의 역세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하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설에 대한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urification of sewage to be performed quickly, thereby improving sewage treatment efficiency, thereby reducing pollution of the river and purifying sewage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backwashing operation. This can reduc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for the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모듈형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모듈형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dular filter of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dular filter of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모듈형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모듈형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 ′,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dular filter of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dular filter of the apparatus, and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장치는, 설치공(111)이 관통 형성된 격벽(110)에 의하여 제1공간부(120)와, 제1공간부(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공간부(130)로 분할된 내부공간을 구비한 집수부(100)와, 제1공간부(120)의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도록 제1공간부(120)와 연통된 유입관(200)과, 제1공간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제2공간부(13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2공간부(130)와 연통된 유출관(300)과, 제1공간부(120)로 유입된 하수를 여과시킨 후에 상기 설치공(111)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부(130)로 유출하도록 집수부(100)의 설치공(111)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부유부재가 충진된 모듈형 필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in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과형 수처리장치는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에서 월류되는 미처리하수(CSOS)가 하천유역으로 방류되어 하천이 오염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한 장치로서, 강우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빗물과 함께 하수관에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어 하천을 오염시킴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천에 방류되기 전에 하수 또는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및 고형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o reduce uncontaminated sewage (CSO S ) overflowing in river basin from rainwater sediment of combined sewage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olluting rivers, they are discharged into the rivers, and before they are discharged into the rivers, contaminants such as contaminants and solids contained in the sewage or rainwater are removed.
집수부(100)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장방 형상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이분하도록 집수부(100)의 저부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별도의 격벽(110)이 설치되어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은 격벽(110)에 의하여 이분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제1공간부(120)와, 제1공간부(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공간부(130)로 이루어지며, 제1공간부(120)와 제2공간부(130)가 연통될 수 있도록 격벽(110)에는 복수의 설치공(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pace includes a
설치공(111)은 어떠한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모듈형 필터(400)를 삽입하여 설치공(111)에 설치시에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제1공간부(120)의 일측은 외부의 하수나 빗물이 제1공간부(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관(200)과 연통되며, 제2공간부(130)의 일측은 제1공간부(120)로 유입된 하수나 빗물이 집수부(10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출관(300)과 연통되어 있다. One side of the
그리고, 유입관(200)이 제1공간부(120)와 연통되는 영역과, 상기 영역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설치공(111) 사이의 제1공간부(120)의 내부에는 제1공간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판면에 다수의 정류공(141)이 형성된 정류벽(140)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따라서, 유입관(200)을 통하여 제1공간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나 빗물은 제1공간부(120)의 벽면과 정류벽(140)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먼저 유입된 후에일정 시간 머물면서 하수나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그 바닥면에 침전되도록 한 후에 모듈형 필터(400)가 설치된 제1공간부(120)로 유입된다. Therefore, the sewage or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상기 공간에서 하수나 혹은 빗물이 일정 시간 머물 수 있도록 정류벽(140)에 형성된 정류공(141)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를 갖는 위치에 형성되며, 정류벽(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ctifying
그리고, 집수부(100)의 하부 일측면에는 제1공간부(120)로 유입된 빗물이나 하수가 잔류시에 집수부(100)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과 함께 잔류수를 집수부(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별도의 배출공(150)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In addition, the rainwater or the sewage flowing into the
유출관(200)은 제1공간부(120)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제2공간부(120)를 형성하는 집수부(100)의 일측 벽면을 관통한 후에 연장 형성되어 격벽(110)을 통하여 제1공간부(120)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The
유입관(300)은 제2공간부(130)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데, 제2공간부(130) 내부에서도 유입된 하수나 혹은 빗물이 머물면서 침전 작용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2공간부(13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
한편, 모듈형 필터(400)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된 관상의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의 상면과 하면에 설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스크린(420)과, 하우징(410)의 내부에 충진된 부유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하우징(410)은 원형이나 혹은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관상의 부재로서, 본 발명에서는 설치공(111)에 설치시에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이 구비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그리고, 하우징(410)은 설치공(1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설치공(1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공(111)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는, 제1공간부(120)로 유입된 하수나 빗물이 제2공간부(130) 측으로 유출되면서 정화가 이루어지는 일정 길이의 경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하수나 빗물에 대한 정화 작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ensure that the purification process for sewage or rainwater is made accurately by forming a pat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which the sewage or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하우징(410)이 설치공(111)에 설치되는 구조는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플랜지를 하우징(410)의 외면에 구비함으로써 설치공(111)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우징(410)의 외면에 제1나사산(411)이 형성되고, 설치공(111)의 둘레면에는 제1나사산(411)과 체결되는 제2나사산(411a)이 형성되어 하우징(410)은 설치공(111)에 나사 결합된다. When installed by a screw coupling method, a
그리고, 별도의 플랜지에 의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우징(410)의 외면에 하우징(4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플랜지부재(412)가 구비되고, 플랜지부재(412)가 설치공(111)의 주연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하우징(410)이 설치공(111)에 결합된다. And, when installed by a separate flange is provided with a
하우징(41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복수의 타공이 판면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형성된 스크린(420)이 부착되어 있으며,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부유부재(430)가 충진되어 있다.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스크린(420)에 형성된 타공은 그 직경이 2 mm 이상 4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부유부재(430)는 5 mm 이상 20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구형상의 올레핀계 섬유여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erforations formed on the
올레핀계 섬유여재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혹은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올레핀계 섬유에. 활성탄과 같은 다른 물질을 합성시킨 재질로서 비중이 1보다 작아서 물에 가라않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Olefin fiber media is used for olefin fiber such as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It is a material synthesized with other materials such as activated carbon, and its specific gravity is less than 1, so it does not go into water.
부유부재(430)가 5 mm 이상 20 mm 이하의 다양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부유부재(430)와 부유부재(430)사이의 공극에 상대적으로 직영이 작은 부유부재(430)가 채워짐으로써 공극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하수나 빗물의 정화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loating
이러한 부유부재(430)는 하우징(410) 체적의 25 % 내지 75 %의 비율로 하우징(410)의 내부에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공간부(120)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하수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높아져서 설치공(111)을 통하여 제2공간부(130)로 유입시에 빗물이나 하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한 후에 빗물이나 하수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에 부유부재(430)가 하우징(41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부유물질에 부착된 오염 물질이 자연적으로 제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loating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형 수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 6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우천시에 유입공(200)을 통하여 빗물과 하수가 제1공간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정류벽(140)과 집수부(100)의 내측 벽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유입되어 점진적으로 수위가 높아지면 정류벽(140)의 정류공(141)을 통하여 제1공간부(120) 측으로 유출되게 된다. Rainwater and sewage flows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rectifying
정류벽(140)과 집수부(100)의 내측 벽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1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침전된 후에 제1공간부(120) 측으로 유출되는 하수나 혹은 빗물의 유출량이 증가하면 제1공간부(12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모듈형 필터(400) 내부에 충진된 부유부재(430)가 하수나 혹은 빗물에 부유하여 모듈형 필터(400)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밀집되게 배치된다. When the amount of sewage or rainwater that flows out to the
그리고, 제1공간부(120)의 내부에서 일정 수위가 될 때까지 하수나 빗물이 머물면서 2차적으로 오염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진다. Then, sewage or rainwater stays until the water level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제1공간부(120)로 유입된 하수나 빗물의 수위가 모듈형 부재(400)의 하면까지 닿으면 모듈형 부재(400)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나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1차적으로 모듈형 필터(400)의 하면에 구비된 타공이 형성된 스크린(420)에 의하여 걸러지게 된다.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or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제1공간부(120) 내부의 수위가 점점 더 높아지게 되면 모듈형 필터(400)의 상측에 밀집되게 배치된 부유부재(430)에 의하여 2차적으로 상기 오염물질이 걸러지면서 제2공간부(13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이러한 과정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면서 제2공간부(130)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나 빗물의 수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한 후에 제2공간부(130)와 연통되게 설치된 유출관(300)을 통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하수나 혹은 빗물이 집수부(100)의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수처리가 완료된다. As this process is continuously performed, contaminants are removed through the
강우가 종료되어 점진적으로 집수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나 빗물의 양이 줄어들면 제2공간부(130)와 제1공간부(120)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모듈형 필터(400)의 상측에 밀집되게 배치되었던 부유부재(430)는 모듈형 필터(400)의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When the rainfall is terminated and the amount of sewage or rainwater gradually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수위가 낮아지면서 부유부재(430)에 부착되었던 오염물질은 모듈형 필터(400) 하측의 스크린(410)에 형성된 타공을 통하여 모듈형 필터(400)의 외부로 배출된 후에 제1공간부(120)의 저부면에 침전되게 된다. As the water level is lowered, the pollutants attached to the floating
그리고, 제1공간부(120)의 저부면에 잔류하게 된 잔류수와, 잔류수 내부에 포함된 침전되었던 침전물은 집수부(100)의 하부 일측벽에 별도로 형성된 배출공(150)을 개방하여 집수부(100)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집수부(100)의 내부에 잔류수나 혹은 침전물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하고 위생을 저해함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집수부 110 : 격벽
111 : 설치공 120 : 제1공간부
130 : 제2공간부 140 : 정류벽
141 : 정류공 150 : 배출공
200 : 유입관 300 : 유출관
400 : 모듈형 필터 410 : 하우징
411 : 나사산 412 : 플랜지부재
420 : 스크린 430 : 부유부재100: collecting part 110: partition wall
111: installation hole 120: the first space
130: second space portion 140: rectifying wall
141: rectification hole 150: discharge hole
200: inlet pipe 300: outlet pipe
400: modular filter 410: housing
411
420: screen 430: floating member
Claims (13)
상기 제1공간부의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공간부와 연통된 유입관과;
상기 제1공간부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상기 제2공간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2공간부와 연통된 유출관과;
상기 제1공간부로 유입된 하수를 여과시킨 후에 상기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집수부의 설치공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부유부재가 충진된 모듈형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필터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된 관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에 설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부유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수처리장치.A water collecting part having an internal space divided into a first space part and a second space part disposed above the first space part by a partition wall through which an installation hole is formed;
An inflow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so that sewage flows into the first space;
An out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part such that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part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space part;
A modular filter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so that the sewage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is filtered and then flows out to the second space por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and filled with a floating member therein; ≪ / RTI &
The modular filter includes a tubular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formed therein, a scree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on the plate surface, and a floating member filled in the housing.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공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설치공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공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filtered typ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so that the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up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the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down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체결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공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screw thread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so that the housing is screwed to the installation hole. .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플랜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재가 상기 설치공의 주연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lange member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member is screwed to the periphery of the installation hole, the housing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Water treatment device.
상기 부유부재는 상기 하우징 체적의 25 % 내지 75 %의 비율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loating member is filtered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t a rate of 25% to 75% of the housing volume.
상기 유입관이 상기 제1공간부와 연통되는 영역과, 상기 영역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상기 설치공 사이의 상기 제1공간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공간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판면에 다수의 정류공이 형성된 정류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수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let pipe is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space part in the first space part between the area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part and the installation hole forme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area,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tifying wall is formed with a rectifying hole.
상기 제1공간부의 하부 일측면에는 상기 제1공간부에 유입된 하수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을 상기 제1공간부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별도의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형 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Filtration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pace portion is formed through a separate discharge hol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discharge the sediment generated from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pace portion. Water treatment device.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된 관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에 설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부유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필터.A modular filter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And a tubular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formed therein, a scree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on the plate surface, and a floating member filled in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을 상기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집수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필터.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housing can be installed in a collecting portion of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상기 하우징을 상기 여과형 수처리장치의 집수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플랜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필터.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flange memb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using can be installed in a water collecting portion of the filtration type water treatment device.
상기 부유부재는 상기 하우징 체적의 25 % 내지 75 %의 비율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필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loating member is a modular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housing at a rate of 25% to 75% of the housing volume.
상기 부유부재는 5 mm 이상 20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에 형성된 타공은 2 mm 이상 4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필터.The method of claim 12,
The floating member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and the perforations formed in the scree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2 mm or more and 4 mm or l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357A KR101366607B1 (en) | 2012-02-23 | 2012-02-23 | Module type filter and filtering type pollution water disposal device hav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357A KR101366607B1 (en) | 2012-02-23 | 2012-02-23 | Module type filter and filtering type pollution water disposal device having 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834A KR20130096834A (en) | 2013-09-02 |
KR101366607B1 true KR101366607B1 (en) | 2014-02-25 |
Family
ID=4944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8357A Active KR101366607B1 (en) | 2012-02-23 | 2012-02-23 | Module type filter and filtering type pollution water disposal device hav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660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632B1 (en) | 2009-07-31 | 2009-10-23 | 이원선 | Early Rainwater Purifier |
KR100987316B1 (en) | 2010-05-13 | 2010-10-12 | 박병대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
KR101036018B1 (en) | 2010-12-23 | 2011-05-23 | 주식회사 엘엔에이치환경기술공사 | Pollutant filter of sewage and filtering device using same |
KR101080812B1 (en) | 2011-06-23 | 2011-11-07 | 우광재 | Floatable filter module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
-
2012
- 2012-02-23 KR KR1020120018357A patent/KR10136660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632B1 (en) | 2009-07-31 | 2009-10-23 | 이원선 | Early Rainwater Purifier |
KR100987316B1 (en) | 2010-05-13 | 2010-10-12 | 박병대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
KR101036018B1 (en) | 2010-12-23 | 2011-05-23 | 주식회사 엘엔에이치환경기술공사 | Pollutant filter of sewage and filtering device using same |
KR101080812B1 (en) | 2011-06-23 | 2011-11-07 | 우광재 | Floatable filter module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834A (en) | 2013-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58044B2 (en) |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KR10090417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 |
KR100524151B1 (en) | The collecting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 |
KR100649180B1 (en) | Initial excellent (non-point source) and sewage overflow treatment system using inclined plate sedimentation | |
KR101494296B1 (en) | A Non-power Automatic Back-washing Type Equipment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of First Flush | |
KR100913315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 |
KR101736743B1 (en) | Automatic backwashing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with automatic backwash and stagnation water treatment | |
AU2018288385B2 (en) |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 |
KR100673536B1 (en) |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1842653B1 (en) | Filter cartridge and the non-point po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84642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KR200424846Y1 (en) | Initial excellent (non-point source) and sewage overflow treatment system using inclined plate sedimentation | |
KR100807192B1 (en) | Vortex Type Initial Excellent Treatment System | |
KR101799513B1 (en) | Filter cartridge and the non-point po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036018B1 (en) | Pollutant filter of sewage and filtering device using same | |
KR100605267B1 (en) |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1585575B1 (en) | Apparatus for reusing rainwater | |
KR20130120052A (en) | A collection well for roads and bridfes with nonpoint pollution soure reduction feature | |
KR200205193Y1 (en) | Simplicity filtration system for waterworks | |
KR101195091B1 (en) | Non-point Source Control Facility | |
KR20070067943A (en) | Centrifugal Sewage Treatment Equipment | |
KR101366607B1 (en) | Module type filter and filtering type pollution water disposal device having it | |
KR100896056B1 (en) | Excellent treatment system | |
KR102095891B1 (en) | A Non-point Source Contaminant Decreasing Device | |
KR101556183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